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단행본>

김병홍, 『언어 문화의 전개 양상과 방향 연구』, 세종출판사.
김웅배, 『전남방언연구』, 박이정.
김정자, 『재일 한국인 1세의 한국어·일본어 혼용 실태에 대한 연구』, 태학사.
김차균, 『국어 방언 성조론』, 역락.
김차균, 『영호남 방언 운율 비교』, 역락.
남기탁·손주일·한길·최윤현 공편, 『방언(강원전통문화총서 4)』, 국학자료원.
민현식·이석주·이주행, 『대중매체와 언어』, 역락.
배주채·최명옥·곽충구·전학석,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장일영 편, 『진주지역방언집』, 금호출판사.
전병용, 『매스 미디어와 언어』, 청동거울.

<학위논문>

강덕구, <고등학생의 통신 언어 사용과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대화방 언어·게시판언어·휴대 전화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성혜, <신문 광고 언어의 특성에 대한 연구 - ­자동차 광고를 중심으로 -­>, 인제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구기철, <통신언어 필터링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체험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부산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동섭,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제주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봉국,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영란, <진천군 이월면의 지명어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장종, <이천방언의 상대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이천 청소년의 ‘-ㄹ(ㄴ)거’를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주덕, <고등학생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춘희, <국어순화를 위한 통신언어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용한, <과제 중심적 대화에서의 대화 전략 운영에 관한 연구­ - TV 생방송 토론 대화를 중심으로 -­>,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박종진, <괴산지역어 연구­ - 음운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진홍, <광양 지방의 지명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소신애, <연변 혼춘지역 조선어의 진행중인 음변화 연구 - ­구개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 서강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규호, <함안군 지명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육선주, <부산지역언어의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방송언어 오용실태 연구>, 경성대 멀티미디어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상한, <한·일 컴퓨터 통신언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동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남윤, <운봉지역어의 음운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선영, <토론의 논증 구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선화, <공공 상황에서의 한국어 호칭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종옥, <통신 언어의 어휘 오용 실태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종화,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통신 언어 고찰­ - 2002년 서울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 숭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태경, <휴대전화 문자언어의 실태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 ­중·고등학생이 사용하는 휴대전화 문자언어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경희, <대구 지역 상호에 관한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상룡, <전자게시판의 PC 통신 언어 연구>, 세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무사, <국어 통신언어 교육의 방향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강봉, <강·하천의 합류와 분기처의 지명연구>, 전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최운성, <컴퓨터 통신 대화방 언어의 분석 연구>, 충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화미, <중국에서 한중 이중언어 사용현황에 대한 연구>, 호서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윤정, <‘아줌마’, ‘아가씨’, ‘언니’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의 적용 -­>,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인숙, <인터넷 언어에 대한 고찰>,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지형, <인터넷 게시판 언어의 국어학적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경하, <통신언어 사용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미주, <체언 어간말 유기자음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경북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정혜, <문화에 따른 언어능력의 차이>,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범모, “교양으로서의 언어학 교육:영상 시대의 언어”, 한국언어학회 여름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언어학회 .
강정희, “언어 접촉과 언어 변화 - ­오사카 거주 제주방언 화자 사회의 방언 보존에 대한 조사 -­”, 국어학 40, 국어학회.
강정희, “제주방언 공간 명사의 문법화 현상 - ­부사 “ᄒ`끔, ᄒ`썰, 고쌔”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강희숙, “호칭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상대높임법의 형태론”, 한글 256, 한글학회.
고창근, “제주도 방언 보조용언 ‘-어 불다’에 대하여”, 영주어문 4, 영주어문학회.
곽충구, “방언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곽충구, “방언 연구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곽충구, “방언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
구종남, “보조용언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에 대하여”,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구현정, “말실수의 유형 - ­대중매체 텍스트를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구현정, “통신언어 -언어 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국어학 39, 국어학회.
구현정, “통신언어 -언어 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제14회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말연구학회.
권우진, “신문 표제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김경숙, “방언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 ­영국, 북미, 일본을 중심으로­ -”, 어문론총 37, 한국문화언어학회.
김규현, “서평:이원표 『담화분석 ­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실례­』”,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김덕모, “례절차림에서 본 조선어의 문화적특성”, 중국조선어문 117,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덕모, “친척관계의 부름말과 형태분류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병홍, “언어변화의 방향성에 대하여”, 한국어학의 오늘과 내일 (2002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한국어학회.
김봉국,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 어간말자음군의 음운론”, 국어학 39, 국어학회.
김상준, “남북한 방송보도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비교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김성주, “터키어 화자들의 한국어 학습 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분석”,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김영순, “신체언어 연구의 생태학적 관점”,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김영철, “특집:지방화 시대의 언어와 문학 - ­현대시에 나타난 지방어의 시적 기능 연구 -­”,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김영태, “집중 서평: 20세기 국어 방언학의 결정체­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태학사, 2001)”, 시학과 언어학 4, 시학과 언어학회.
김은희, “濟州方言の モダリテ ィ -”, 言語學論集(古浦敏生先生退官論文集), 溪水社(일본발행).
김정태, “전래지명어의 소재별 특성 고찰”, 『우리말과 글의 이해』, 이경자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
김정태, “충남 천안방언의 움라우트에 대하여”,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김중섭,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진석, “아나운서와 사회자의 언어특징 및 우리의 연구과제”, 중국조선어문 117,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차균, “안동방언과 밀양방언 성조 비교”, 어문연구 39, 어문연구학회.
김차균, “특집:지방화 시대의 언어와 문학 - ­창원방언과 안동방언 성조의 비교­ -”,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김태엽, “경북말의 서술어미와 의문어미”, 우리말글 24, 우리말글학회.
김현기 ·이은영·홍기환, “파워스펙트럼 및 후두내시경을 이용한 방언 음성의 실험적 연구”, 음성과학 9-2, 한국음성과학회.
김형철, “간판 상호 언어의 연구(1) - ­어종 및 문자 분포를 중심으로­ -”, 교육이론과 실천 12­2, 경남대 교육문제연구소.
김형철, “간판 상호 언어의 연구(2) - ­업종별 특성을 중심으로 -­”, 경산문화연구 7, 경산대 경산문화연구소.
김혜숙, “서평: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2002”,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두길수 ·안동언,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문순덕, “제주 방언 보조조사의 담화 기능”, 영주어문 4, 영주어문학회.
민현식, “국어 사용 실태 조사 방법론 연구”,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민현식, “국어 의식 조사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갑수, “청소년의 언어 행태와 그 개선 방안”,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경래, “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모국어 사용 실태”,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박경래, “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언어태도”,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박동근, “통신언어의 유형에 따른 언어학적 기능 연구”,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박숙희, “영일방언 조사의 형태론적 특징”, 『우리말과 글의 이해』, 이경자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
박영순, “응용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영준, “광고언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박용한, “ TV 생방송 토론 대화에서의 대화 전략 연구 - ­대화 구조 지배 전략을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변정민, “한국어의 인지 단계에 대한 연구 - ­동사를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소강춘, “소설 『태평천하』에 반영된 작가 채만식의 방언의식”,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손세모돌, “인터넷 게시판 글 제목 분석”, 한국언어문화 21, 한국언어문화학회.
송경숙, “전자담화에서의 전제 (presupposition)분석­ - 인터넷 채팅을 중심으로 -­”,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송경숙, “한국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성 이데올로기와 성 정체성 전환”,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Gender and Language Association Conference, 국제성과언어학회.
시정곤 ·송민규, “사이버 언어와 경제성의 원리”, 국제어문 25, 국제어문학회.
신희삼, “방언 영역의 교재 구성에 관하여”,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안귀남, “안동방언 연구의 성과와 방향”, 안동어문학 7, 안동어문학회.
오정란, “「삼척지방 방언편람」 발간의 국어학적 의의”, 실직문화 13, 삼척문화원.
오종갑, “ ‘ꐅ+ə’의 음운론적 변화와 영남방언­ -‘e>i/i+−’ 규칙의 설정과 그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오창명, “『제주지명사전』의 서설적 논의”, 영주어문 4, 영주어문학회.
오창명, “제주도의 언어지도 (1) - ­매미류 -­”, 탐라문화 22,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오홍일, “국어 산책:목포·무안 지방의 방언을 찾아서”,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왕한석, “친척 관련 속담의 민족지적 연구”,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우창현, “제주 방언 ‘-암시-’와 중앙어 ‘-고 있-’과의 상관성”, 시학과 언어학 3, 시학과 언어학회.
위평량, “『토지』의 방언적 성격”,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유송영, “ ‘호칭·지칭어와 2인칭 대명사’의 사용과 ‘화자-청자’의 관계”,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유종호, “우리 시의 향기:시와 방언”,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이경희, “경남 방언의 경음화와 유성화 현상에 대한 음성학적 고찰 - ­마찰음 /ㅅ/와 /ㅆ/를 대상으로 -­”, 한글 255, 한글학회.
이경희, “서울 방언과 부산 방언의 마찰음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 비교”, 음성과학 9-3, 한국음성과학회.
이룡해, “문화차이와 어의의 비대응”, 중국조선어문 117,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문규, “대구방언과 안동방언의 성조 비교 연구”,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이병근 ·김봉국, “강원도 정선 지역의 언어 연구”,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병운, “방언 월 끝 억양의 유형”, 음성과학 9-2, 한국음성과학회.
이상신, “반모음 y의 음절 구조적 지위와 음절화에 의한 방언분화”,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승규, “여주지역어의 음운 연구”,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승하, “시 창작에 있어 사투리 구사의 효과”, 어문연구 38, 어문연구학회.
이승후, “통신 언어의 특징과 문제점”,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윤구, “개신파의 방향과 방언 분화의 양상 - ­무주 방언의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26, 우리말글학회.
이은규, “ <삼국사기>지리지의 지명 표기 용자례”, 한국말글학 19, 한국말글학회.
이은영, “남북의 언어 예절 전망”,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
이은희, “사회언어학과 국어교육”,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이익섭, “언어로 본 강릉의 정체성, 강릉 문화 정체성 연구”, 강릉 문화예술진흥재단 .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발생 동기와 기능”, 『한국 언어 문화 탐색』, 박이정 .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통계적 분석”,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XIII, 국제한국언어학회(ICKL).
이정복, “전자편지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 변용 현상”,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이정복, “전자편지 텍스트의 구조와 기능”,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정복, “통신 언어 문장종결법의 사회언어학”,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이주행, “서울 방언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주행, “서울 방언의 음운에 대한 연구”,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임용기, “지명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한 몇가지 문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
임칠성, “채팅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석화 정재완 교수 정년기념논총』, 석화 정재원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
전병용,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대화방 언어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21, 한국언어문화학회.
전철웅, “방언 ·사회언어학”,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전혜영, “국어 여성어 연구사”,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정경일,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적응 실태”,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정순기,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산생되는 조선어어휘변종에 대한 몇가지 고찰”,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 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정승철, “국어 활용어미의 방언분화 ­'-(으)이-'계 설명, 의문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국어학 39, 국어학회.
정현숙, “한국인과 미국인의 언어사용차이 - ­다문화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정호완, “제천지명의 언어지리학적 고찰”, 인문과학예술논총, 대구대학교 .
정호완, “합천(陜川) 지명과 철기문화의 상관성”, 우리말글 26, 우리말글학회.
조강봉, “광주지역 지명의 유래 연구 (2)”, 우리말글 24, 우리말글학회.
조성문, “국어 어문규정에 대한 신세대의 인지도 분석”,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조학행, “일본에서 한국어의 언어지위 향상에 관한 연구”, 언어학 10-2, 대한언어학회.
채서영, “우리말 어두 유음 사용에 나타난 영어의 영향”,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최건·이영자, “중 일 미 조선족이중언어사용자의 언어변용에 대한 약간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최전승, “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몇 가지에 대한 대조적 고찰­ - 중간본 ≪여사서 언해≫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 41, 한민족어문학회.
한동완, “제주방언 청자 경어법의 형태 원리”,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성일, “유머 텍스트의 사회 언어학적 연구”,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한영목, “충남방언 ‘-벼’와 ‘-깨미’ 구문 연구”, 어문연구 40, 어문연구학회.
허춘, “제주 지역 신문의 우리말글”, 영주어문 4, 영주어문학회.
황대화, “황해도방언의 모음변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水口里香, “日本語類義語の意味境界についての硏究”,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Cho, Sung-Moon, “Analysis of the Newer Generation's Language Perception in Korean Regulations”, Korean Linguistics,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Choi, Heekyong, “The Dynamics of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wo Children at the Computer”,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Hyang-Sook Sohn, “Non-Uniformity in Dialectal Variation and Linguistic Change”,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Hye-yeon Kim, “Co-Construction as an Interactional Achievement in Korean Conversation”,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Hyeon-Seok Kang, “Genderlectal Variation in Korean?:An Empirical Sociolinguistic Study of Utterance-Final Tones”, Language Research 38-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Jin-hee Suh, “The Grammar of the Naming of Brands in Korean : The Case of Cosmetics”,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Kyu-hyun Kim, “Interactive Classroom Discourse as Context of Learning and Socialization”,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Kyung-hee Suh, “The Korean Sentence-final Marker cianha in Conversational Discourse”,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Nam-kyu Park, “Anxiety and Relations of Power:An Interview Study of Two Korean ESL Learners”,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Song, Kyong-Sook, “The Art of Repetition in Cyber Communicatio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Yeonkwon Jung, “The Korean Face Revisited:A multi-dimensional View”,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기타>

김슬옹, “통신 이름을 통해 본 통신 문화”, 한글새소식 356, 한글학회.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CU@K리그”, 새국어소식 48, 국립국어연구원.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ᄒ ᄎᄏ(?)”, 새국어소식 44, 국립국어연구원.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너無너無 사랑한 Day(?)”, 새국어소식 43, 국립국어연구원.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안냐세엽”, 새국어소식 46, 국립국어연구원.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이모티콘”, 새국어소식 45, 국립국어연구원.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줄인 말”, 새국어소식 42, 국립국어연구원.
박용찬, “통신 언어의 이해:하이루~”, 새국어소식 47, 국립국어연구원.
양경한, “청소년들의 언어 생활”, 한글새소식 353, 한글학회.
홍성호 ·변영선, “체육기사를 통해 본 북한 신문언어의 실태 -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 말과글 93,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