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단행본>

강길운, 『통시국문법정설 1』, 한국문화사.
강길운, 『통시국문법정설 2』, 한국문화사.
국립경주박물관, 『문자로 본 신라 - ­신라인의 기록과 필적­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국어연구원, 『2002년 10월의 문화인물 신숙주의 학문과 인간』,
국어국문학회 편,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금산회 편,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金文京·玄幸子·佐藤晴彦 譯註, 『老乞大(ろうきつだい)』, 평범사, 동경.
김민수 편,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김동소, 『중세 한국어 개설』,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김봉태,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산스크리트·티벳·파스파 문자­』, 삼우사.
김영진, 『국어사연구』, 이회문화사.
김영황, 『조선어사』, 역락.
김찬흡 외, 『역주 탐라지』, 푸른역사.
김태곤, 『중세국어 다의어와 어휘변천』, 박이정.
박영신, 『(겨레 학문의 선구자)외솔과 한결의 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박창원 편,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박창원, 『고대국어 음운 (1)』, 태학사.
박태권, 『국어학사 연구』, 세종출판사.
석인 정태진 기념사업회 편, 『중등 국어 독본과 한자 안쓰기 문제』, 범우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남명집언해 (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남명집언해 (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법화경언해 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법화경언해 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법화경언해 5(역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원각경언해 1(역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원각경언해 2(역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손주일,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 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안병희·윤용선·이호권, 『중세국어연습』,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오희복, 『리두』, 역락.
우형식, 『국어 문장성분분류의 역사적 연구』, 세종출판사.
이득춘, 『朝鮮對音文獻標音手冊』, 黑龍江朝鮮民族出版社.
이정용, 『한국 고지명 차자표기 연구 (경인한국학연구총서 6)』, 경인문화사.
장윤희,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전정례·김형주,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경일, 『한국운서의 이해』, 아카넷.
정광 주편·양오진·정승혜 편, 『원본노걸대』, 外語敎學與硏究出版社, 北京.
정광, 『역학서 연구』, 제이앤씨.
정광·정승혜·양오진, 『이학지남』, 태학사.
정길남, 『신소설의 우리말 연구』, 한국문화사.
정재영, 『다산 정약용의 『兒學編』』, 태학사.
조의성, 『월인석보 어휘색인』, 박이정.
최태영, 『최태영의 우리말 연구』, 월인.
충북대학교 박물관, 『순천김씨묘 출토 간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한국문화연구원 편, 『국어학 연구 50년(한국학술사총서 1)』, 혜안.
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어문회 공편, 『매죽헌 성삼문의 충의와 학문』.
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어문회 공편, 『보한재 신숙주의 학문과 업적』.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편, 『조선 중기 새 법령 모음 ≪各司受敎≫』, 청년사.
허재영, 『부정문의 통시적 연구』, 역락.
황문환,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태학사.

<학위논문>

강미경, <중세 한국어 보조용언 연구>, 대구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광원, <16세기 국어 청자 대우법 연구>, 동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남돈, <북한 「토」 문법 이론의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수정, <<박통사> 언해본의 형태·통사 변화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수현, <「노걸대」류 언해서의 인과관계 접속 연구>,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소영, <국어 문법 연구사에서 나타난 보어의 범위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재민, <구결로 본 보현십원가 해석>, 연세대 석사 학위 논문.
박혜정, <중세국어 모음연구­음성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혜진, <<신편고등국어문법>의 통사론의 특성>, 부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백경민, <18세기 국어의 복합명사 연구­유해류를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백상현, <「아언각비」의 분석적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수백, <≪자류주석≫의 새김말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광용, <중세국어의 치음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신은수, <‘둏-’의 어휘 의미에 대한 통시적 연구>, 전북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귀순, <<규합총서>의 표기 및 단위어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오만, <교토대학본「교린수지」의 어휘 연구>, 경상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와타나베 다카코, <훈민정음 연구사­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위진, <조선시대 한자학습서의 국어 음운 표기 연구>, 전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윤성렬, <향가에 나타난 ‘攴’과 ‘支’의 고찰>, 목포대 석사 학위 논문.
윤정남, <15세기 국어의 「ᄅ」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동석, <국어 음운 현상의 소멸과 변화에 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봉주, <15세기 국어의 모음체계>,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선영, <국어의 어간복합어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숙경, <중세국어 가정부사의 의미체계 변화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안구, <‘있다’와 ‘없다’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전경, <15세기 불경의 구결 표기법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진호, <개화기 국어 어휘 연구­신문 말뭉치의 고빈도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은정, <『종덕신편언해』의 국어학적 연구­표기·음운을 중심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혜영, <중세국어 모음충돌 회피현상에 대한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명숙, <현대 국어 말소리의 통시적 변화­1950년대 이후 방송 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조성숙,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표기법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진지연, <『번역노걸대』의 표기법과 음운 연구>, 경성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용운, <국어의 조사화 연구>, 동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한형조, <『동문유해』에 대한 연구­단어 형성법을 중심으로­>,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고 테루오, <이두자료의 경어법에 관한 통시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中嶋弘美, <향가와 만엽집 시가의 비교연구­향가 난해구 해독을 위한 제언­>,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리항, “훈민정음의 창제년월일확정과 민족글자사용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강신항, “서평: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강신항, “신숙주의 음운학”,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강신항,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와 운서”,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강옥미, “기획특집:한국어 음운론에 있어서 복선음운론의 수용 양상과 전망”,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강우원, “국어학사에 나타난 느낌씨의 연구­역대한국문법대계(1986)를 중심으로­”,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강인선, “문자·표기”,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강인선, “연희식 축사의 용자법에 대하여”, 구결연구 8, 구결학회.
고광모, “‘-겠-’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의 발달”, 국어학 39, 국어학회.
고광모, “명령법 어미 ‘-게’의 기원과 형성 과정”, 한글 257, 한글학회.
고광주, “유현경(1998) 다시 읽기”, 형태론 4-2, 박이정.
고니시 도시오, “서평:텍스트이론-독후감”,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고동호, “<어음 번역>의 언어학적 연구 성과와 문제점”, 한힌샘 주 시경 연구 14·15, 한글학회.
고동호, “만주어 음성상징 성분의 구성 특징”,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고명균, “노걸대언해에 나타난 단위성 의존명사의 유형·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한국어문학연구회.
고성환, “Underwood(1890),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형태론 4-2, 박이정.
고성환, “서평:한국어문운동과 근대화”,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고성환,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영진, “북한 문법의 품사론의 변천­‘품사’에서 ‘품사론’으로­”, 애산학보 27, 애산학회.
고정의, “대명률직해의 이두와 그 특징”, 구결연구 9, 구결학회.
고창수, “서평:이기용(1999), 『전산형태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형태론 4-1, 박이정.
곽충구, “방언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곽충구, “방언 연구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곽충구, “방언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구본관,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구본관, “기획특집:형태론의 연구사”,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구본관, “서평: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구본관, “형태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구현옥, “성조소 ‘상성’해석에 대한 고찰”, 동남어문논집 15, 동남어문학회.
권병로·이득춘, “19세기 중국어학습서의 한글표기가 보여주는 근대 중국어 어음의 몇 특징고찰”,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권용경, “‘(ㅅ)’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권인한,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권인한, “속지명과 국어음운사의 한 과제­‘大丘’와 ‘達句火’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 40, 국어학회.
권재선, “대구·경산·청도의 옛 지명 연구”,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권재선, “한, 일어 모음체계 변천의 비교연구”,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권재선, “한국어 도깨비와 일본의 oni의 어원과 그 설화의 비교”, 동아인문학 1, 동아인문학회.
김광수, “후기중세조선어 의문문류형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규현, “서평:이원표 『담화분석­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실례­』”,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김기석, “남북한 국어순화의 전개 양상과 그 전망”,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김기종, “개혁개방후 직접옮김법에 의한 조선어단어의 뜻변화”,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기혁, “문장에 대한 관점과 해석”, 애산학보 27, 애산학회.
김동식, “서평: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김동언·러스 킹, “개화기 러시아 관련 한글 자료에 대하여”, 한글 255, 한글학회.
김무림, “음성학·음운론의 연구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김무식, “번역노걸대 언해문의 정오”, 문학과 언어 24, 문학과언어학회.
김문경, “구본 <노걸대>의 문제점”,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김문경,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훈독현상­한일근세의 가점 자료­”, 구결연구 8, 구결학회.
김문웅·남권희, “「마경초(언해)」에 대한 서지와 특징”,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김민수, “차자표기 음독의 ‘隨書者之便’에 대하여”, 구결연구 9, 구결학회.
김병홍, “언어 변화의 양상과 전형”, 동남어문논집 15, 동남어문학회.
김병홍, “언어변화의 방향성에 대하여”, 한국어학의 오늘과 내일(2002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한국어학회.
김상태, “『釋譜詳節』 卷九 문법현상의 통계적 연구­형태분석 말뭉치를 이용하여­”, 어문연구 38, 어문연구학회.
김성규, “유동적 상성 어간의 발달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31, 국어국문학회.
김수남,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역사적 변천과 원리”, 인문학연구 28, 조선대 인문학연구소.
김영만, “구결어 如의 독해법 연구”,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김영만,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초분절소(운소) 비교 연구”,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김영배, “조선 초기의 역경­최초의 역경 ≪석보상절≫을 중심으로­”, 대각사상 5, 대각사상연구원.
김영선, “16세기 국어의 홀소리 관련 음운 현상 연구”, 한글 257, 한글학회.
김영선, “자음 ‘ㅇ’의 설정에 대한 사적 고찰”, 동남어문논집 15, 동남어문학회.
김영선, “중세국어의 모음 체계 변화 와 몇 문제”, 동남어문논집 14, 동남어문학회.
김영수, “≪화음계몽언해≫의 언어적특징과 번역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영욱, “11세기 문법형태들을 찾아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영욱, “기획특집:역사형태론의 전망과 과제”,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김영일, “<삼국사기 지리지>에 관련된 국어학적 문제”,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김영일,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 고찰”, 한글 257, 한글학회.
김영황, “고대와 중세의 어휘변천과정을 통하여 본 조선어의 단일성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김영희, “여동 구문의 기저적 양상”, 애산학보 27, 애산학회.
김용경, “문법화의 단계성에 대한 고찰”, 한글 256, 한글학회.
김유범, “설음·치음과 15세기 국어 선어말어미 {--}의 이형태 교체”,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김유범·박선우, “』삽입 현상의 연구사적 검토”, 어문논집 45, 민족어문학회.
김일, “조선어음운체계의 력사적변천에 대한 재인식”, 중국조선어문 118,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일, “조선어음운체계의 력사적변천에 대한 재인식”,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정수, “옛말 형태소의 목록(4)”, 한국언어문화 21, 한국언어문화학회.
김종규, “음성학·음운론”,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김종택, “於乙買(串)을 다시 해독함”,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김주원, “서평:한국의 언어연구”,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김주원, “소학집주(만문)와 번역소학(만문) 연구”,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김주원, “十九史略諺解 卷一에 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김지은, “관형절의 한 유형에 대한 연구”, 애산학보 27, 애산학회.
김진영, “판소리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과 연구 전망”,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김창섭, “서평:(초판)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김혜숙, “서평: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2002”,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김흥수·박영목·신범순, “서평: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疏(卷35) 석독 자료에 나타난 독음 고찰­‘-’, ‘-’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6,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경란, “<법화경> 이본의 입겿 연구--영남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전국학술발표논문집, 언어과학회.
남경란, “<법화경> 이본의 입겿(口訣) 연구­영남대학교 소장본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1, 언어과학회.
남경란, “<불설사십이장경> 입겿의 이본에 대하여”, 어문학 75, 한국어문학회.
남경란, “<칠대만법> 이본 비교 연구­영남대본을 중심으로­”, 한글학회(대구지회) 6월 정기발표회.
남경란, “여말선초에 간행된 새로운 입겿 자료에 대하여”, 국어사자료학회 전국학술발표논문집, 국어사자료학회.
남경란, “여말선초에 간행된 새로운 입겿 자료에 대하여”,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남권희, “<삼략> 판본과 언해본 3종 비교”,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남풍현, “신라시대 구결의 재구를 위하여”, 구결연구 8, 구결학회.
남풍현, “新羅華嚴經寫經 造成記의 해독과 그 어휘”,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노대규, “‘고향’의 의미에 대하여”, 애산학보 27, 애산학회.
도수희, “지명·인명의 차자 표기에 관한 해독 문제”,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민현구,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와 집현전 학자들”,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개화기 국어 어휘 연구 방법의 재검토”, 동양학 3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민현식, “개화기 한글본 <이언>의 한자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민현식, “특집:한국 어문학과 근대적 제도­개화기 국어 변화의 계량적 이해­”, 한국어문학연구 3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박금자, “간텍스트성, 변형, 다시쓰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박봉곤,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박선우, “15세기 국어 서실법 양태 부사의 통사, 의미적 특성(1) ”, 어문논집 45, 민족어문학회.
박선우, “근대국어 ‘역행 중철표기’애 대한 음운론적 해석”,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선우, “남북한 맞춤법의 변천과정과 통일방안­자모배열 및 형태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박성종, “15세기 결성현 첩정을 통해 본 생활상의 한 단면”, 『조선시대 충청지역의 사회와 문화』, 한국고문서학회, 한국사학회, 호서사학회".
박성종, “문자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박성종, “이두에서의 훈독에 대하여”, 구결연구 8, 구결학회.
박성종·박도식, “15세기 상원사 입안문서 분석”, 고문서연구 21, 한국고문서학회.
박여성, “서평:텍스트이론-언어문학통합론의 이론과 실제”,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박영순, “응용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영준, “광고언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박용식, “<대명률직해>에 나타난 ‘爲有’에 대하여”,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박용식, “<대명률직해>에서의 이두 형태의 생략에 대한 연구”, 경상어문 8, 경상어문학회.
박재연, “서평:한동완(1996), 『국어의 시제 연구』”, 형태론 4-1, 박이정.
박종갑, “주시경 문법의 문법 모형 연구(1)­「국어문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박종희, “중성모음 ‘ㅣ’의 투명성과 불투명성”, 한글 257, 한글학회.
박진완, “[捷解新語] 대역문을 통해 본 근대 한국어 변천의 특성”,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박창원, “고대국어 모음체계”,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박창원, “국어연구 50년”, 『국어학 50년』, 혜안.
박창원, “국어학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박창원, “음운론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박혜정, “중세국어 모음체계”,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박홍길, “강화 현상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박홍길, “국어 어휘 변천 자료 목록­소리 바뀜을 중심으로­”,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박홍길, “이끌림말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박희숙, “<화랑세기> 향가의 차자표기에 대하여”,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방혜숙, “통일시대를 향한 남북한 언어 정책”,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배주채, “국어음운론 반세기”,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배주채, “서평:국어학연구사­흐름과 동향­”,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백두현, “『현풍 곽씨 언간』의 종합적 고찰”, 어문론총 36, 경북어문학회.
백두현, “≪조선관역어≫의 미해독어 ‘則卜論荅’(寅時) 고찰구”, 국어학 40, 국어학회.
백두현, “서평:(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백두현, “신자료 <십구사략언해> 제이지이 연구”,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서상규, “국어정보학 연구의 현황과 방향”,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서상규, “한국어 균형말뭉치의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서상규, “한국어 말뭉치의 구축과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서은아, “풀이씨 이름법 씨끝 ‘-기’의 통시적 연구­토씨 생략을 중심으로­”, 한글 256, 한글학회.
서정목, “서평:단어, 문장, 텍스트”,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서정수, “서평: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서형국, “<구급간이방> 권7의 서지와 언어에 대하여­만송문고본을 중심으로­”,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석주연, “중세국어의 인용문과 선어말어미 ‘오’”, 형태론 4-1, 박이정.
송기중, “19세기 서양인의 국어 계통론”,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 (2)”, 어문학논총 2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송복승, “‘듯’과 ‘듯이’의 발달에 대하여”,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송석중, “서평: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송원용, “기획특집:인지형태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송원용, “형태론과 공시태·통시태”, 국어국문학 131, 국어국문학회.
송철의, “서평:(증보판)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송철의, “용언 ‘있다’의 통시적 발달에 대하여”,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시정곤, “기획특집:현대형태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시정곤, “형태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신명선, “독립신문 기사문의 의사소통 조건에 대한 고찰”,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신범순, “서평:텍스트이론의 지평과 학문간의 다리놓기”,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신은경, “국어 시·공간 표현의 통시적 연구­간극개념어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46, 민족어문학회.
신은경, “남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신지연,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신지영, “기획특집:음성 자료에 기초한 국어 음운론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안경상, “<훈몽자회>에 반영된 15세기 이후의 고유어사용실태에 대한 력사적고찰”,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안귀남, “안동방언 연구의 성과와 방향”, 안동어문학 7, 안동어문학회.
안배근, “사이시옷의 표기 변천”,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안병섭,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통일 방향”,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안병희, “<훈민정음>(해례본) 삼제”, 진단학보 93, 진단학회.
안병희,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의 생애와 학문”,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안주호,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노걸대언해>류를 중심으로­”,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안주호, “‘그리고’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안주호, “≪眞言勸供·三壇施食文 諺解≫의 진언표기방식 연구”, 국어학 40, 국어학회.
안주호, “망월사본 <진언집>을 중심으로 한 진언표기의 기초적 연구”,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안주호, “안심사본 <진언집>과 망월사본 <진언집>의 비교 연구”,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양명희, “홍기문의 국어 문법 연구”,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양영희, “중세국어 존대 방식의 구현 양상”, 한국언어문학 48, 한국언어문학회.
양정호,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양희철, “구결/향찰 “-立/音-”의 연구­상대존대법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양희철, “향찰 “音”의 한자음 연구“, 인문과학논집 25, 청주대 인문과학연구소.
엄정호, “서평:표준중세국어문법론”,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오미령, “일본 중세의 논어훈독­明経博士家인 淸原家의 訓点本 六種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9, 구결학회.
오미정, “남북한 국어사전 편찬의 현황­해방이후 시기를 중심으로­”,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오정란, “기획특집:국어 경음화 연구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우형식, “보어의 범위에 대한 연구사적 접근”, 한어문논총 10, 한어문교육학회.
유동석,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의 화자 문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유수열, “향가 형식론의 행방과 글쓰기 교육의 한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유형선, “목적어 연구 동향”,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윤석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윤성원, “치음”,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윤용선, “서평:(초판과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이강로, “보한재 신 숙주 선생의 생애”, 한힌샘 주 시경 연구 14·15, 한글학회.
이관규, “국어 지식 영역의 연구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이관규, “기획특집: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전망”,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이관규, “통사론”,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이광호, “개화기의 어문정책”, 동양학 3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이광호, “한글 필사본 '잔당오대연의'의 국어 문법적 검토”, 장서각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기동, “근대국어의 표기형식에 대하여­「한중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17,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이기문, “일사 방종현 선생님의 생애와 학문”,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도영, “국어교육”,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이돈주, “신숙주의 언어학적 업적”, 한힌샘 주 시경 연구 14·15, 한글학회.
이돈주,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와 훈민정음”,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이돈주, “한국한자음 중 속음의 정음성에 대하여­ -『全韻玉篇』의 정·속음 표시를 대상으로­ - ”, 한국언어문학 48, 한국언어문학회.
이동석, “15세기의 ㄷ 구개음화 현상 고찰”,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이득춘, “關於來母的高麗譯音”, 民族語文, 中國社會科學院.
이득춘, “關於韓國語語言史觀”, 東疆學刊, 延邊大學出版社.
이득춘, “어휘사의 측면으로 본 우리 말 어휘발달의 몇 개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이득춘, “어휘사의 측면으로 본 우리 말 어휘발달의 몇 개 문제”,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미향, “<松澗貳錄>에 나타난 고유어 연구”,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이병기, “색채명사의 발달”, 형태론 4-2, 박이정.
이병선, “阿羅, 安羅 지명의 어원과 그 比定문제”,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이봉원, “북한 언어공학의 현황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이상녀, “{家禮諺解}의 음운론적 연구”,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이상억, “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상혁, “조선 후기 국어 연구자들의 종성 의식에 대하여”, 우리어문연구 19, 우리어문학회.
이승연, “<화음계몽언해>의 표기와 문법”,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이승재, “구결 자료의 ‘-ㄱ-’약화, 탈락을 찾아서”, 한국문화 30,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이승재, “부호의 자형(字形)과 제작 원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승재·안효경, “각필 부호구결 자료에 대한 조사 연구­誠庵本 『瑜伽師地論』 卷第5와 卷第8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9, 구결학회.
이양순, “『순천김씨묘간찰』에 나타나는 복식 관련어 연구”, 반교어문학회지 14, 반교어문학회.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갓갑다/멀다’의 통사·의미적 특성”, 국어학 40, 국어학회.
이용, “연결어미 '-매'의 형성과 문법사적 의미”, 전농어문연구제13집,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윤동, “<조선관역어> 종성 사음에 대하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이은규, “<삼국사기>지리지의 지명 표기 용자례”, 한국말글학 19, 한국말글학회.
이의도, “잡지 ≪한글≫의 발전사”, 한글 256, 한글학회.
이장희, “6세기 兄의 신라 한자 훈에 대하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이장희, “고대 국어 자료 오류의 비정”, 지명학 8, 한국지명학회.
이장희, “전승 한자음 원순모음의 반영 양상 분석”,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이종덕, “‘청산별곡(靑山別曲)의 한 해석”,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이진호, “화석화된 활용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30, 국어국문학회.
이현희, “국어 문법형태 기술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야’와 ‘-이야’의 경우­”, 한민족어문학 41, 한민족어문학회.
이현희, “서평:표준중세국어문법론”,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이현희, “중세·근대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혜용, “후음 ‘ㅇ’의 음가”,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이호권, “서평:중세어 자료 강해”,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이호권, “일사 방종현 선생과 국어사 자료”,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홍식,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임동훈, “국어정책”,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임동훈, “기획특집:한국어 조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임동훈, “문법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임동훈, “서평:북한 및 재외교민의 철자법 집성과 조선어 연구 1, 2, 3”,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임용기, “‘삼분법’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와 중성체계 분석의 근거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애산학보 27, 애산학회.
임용기, “지명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임지룡, “담화와 텍스트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임지룡, “의미론 분야 연구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장경준, “‘-어(하)-’ 통합 현상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형태론 4-2, 박이정.
장경준, “구결점(口訣點)의 위치 변이에 대한 기초 연구­<유가사지론> 권 5, 8을 중심으로­”,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장경준, “점토석독구결 자료에 기입된 구결자와 대응 구결점에 대하여­『유가사지론』 권5, 8을 대상으로­”, 구결연구 9, 구결학회.
장영길, “≪관음경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불교어문논집 7, 한국불교어문학회.
장윤희, “국어 동사사의 제문제”,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장윤희, “서평:역대한국문법대계”,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장윤희, “한국어 의문법 어미의 문법사”,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장윤희, “현대국어 ‘르-말음’ 용언의 형태사”, 어문연구 1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장윤희, “현대국어 르-말음 용언의 형태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143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장은하, “남북한 맞춤법의 분화와 통일­소리에 관한 부분을 중심으로­”,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전수태, “산스크리트어의 수용과 파니니 문법”,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전수태, “서평:북한의 언어문화”,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전정례, “국어사·국어학사”,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전철웅, “방언·사회언어학”,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전혜영, “국어 여성어 연구사”,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정광, “<老乞大--朝鮮中世の中國語會話讀本-->”, 평범사, 동경.
정광, “<노걸대>의 성립과 그 변천”,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정광, “<월인석보>의 편간 재고”, 제12차 국어사 자료학회, 국어사자료학회.
정광, “성삼문의 학문과 조선전기의 역학”,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광,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정기호, “정렬모 말본의 국어학사적 의의”,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정기호, “정렬모 말본의 국어학사적 의의”, 나라사랑 103, 외솔회.
정명숙, “방송 언어에 나타난 말소리의 사적 변천”, 국어학 39, 국어학회.
정수원, “유음”,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정언학, “‘-고 잇다’ 구성의 문법화에 대한 통시적 연구”, 진단학보 94, 진단학회.
정우영, “<남명집언해> 해제”, 『역주 남명집언해 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정우영, “<원각경언해> 해제”, 『역주 원각경언해 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정우영, “≪남명집언해≫의 음운 표기법과 어휘”, 불교어문논집 7, 한국불교어문학회.
정우영, “월인석보 권20의 어휘연구”, 국어국문학 131, 국어국문학회.
정재영, “선어말어미 ‘-ꑔ-(-겨-)’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정재영, “한국의 구결”,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정재영·박진호, “구결 자료 전산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정혜승, “남북한 국어 교육의 회고와 전망”,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정호완, “‘함(咸)-’계 지명의 형태와 의미”,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정희창, “중세 국어 引用文에 나타나는 ‘야’의 문법 범주”,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조강봉, “광주지역 지명의 유래 연구(2)”, 우리말글 24, 우리말글학회.
조경하, “고대국어 자음체계”,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조경하, “유성자음”,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판본에 대하여”,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조남민, “근대국어 모음체계”,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조남민, “음절말 자음체계”,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조동일, “서평:통일시대의 어문문제”,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조성문, “중세 국어'ㅣ' 모음의 두 가지 음가에 대한 분석”,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8-2, 한국음운론학회.
조의성, “中期朝鮮語の アクセント小攷 ”,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진문이, “현대국어 모음체계”, 『국어 음운 연구사 (1)』, 태학사.
채현식, “서평: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천소영, “m∨r∨형 지명어 재고”,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최규수, “낱말관과 국어학사의 시대 구분에 대하여­정렬모의 ≪신편고등국어문법≫을 중심으로­”,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최기호, “신 숙주의 ≪해동제국기≫에 대한 고찰”, 한힌샘 주 시경 연구 14·15, 한글학회.
최낙복, “유 길준 말본의 통어론 연구”, 한힌샘 주 시경 연구 14·15, 한글학회.
최낙복, “유길준 말본의 월 풀이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배경과 그 어휘 연구”, 한글 258, 한글학회.
최남희, “고대국어 자료 「叱」의 소릿값과 기능”,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최동주, “기획특집:국어 어미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최동주, “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최동주, “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최명옥, “과거시제 어미의 형성과 변화”, 진단학보 94, 진단학회.
최전승,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특질 몇 가지에 대한 대조적 고찰­중간본 ≪여사서 언해≫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41, 한민족어문학회.
최중호, “고려 시대 석독 구결의 ‘-ㄹ 이름법’ 연구”, 새얼어문논집 15, 새얼어문학회.
최호철, “남북한 통일 표준 발음법 시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최호철, “서평:북한의 말과 글”,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최호철, “한국어 의미 연구의 나아갈 길”,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하치근, “국어 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한동완, “어휘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한영균, “모음조화의 붕괴와 모음체系 재정립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용운, “언어 단위의 변화 유형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 3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한재영, “16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와 변화 양상 연구”, 진단학보 93, 진단학회.
한재영,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한재영, “향가의 ‘지(支)’와 ‘복(攴)’에 대하여”,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허왕욱, “조선시대 시가에 나타난 동음이의현상의 활용 양상”,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허원욱, “15세기 국어 이음마디 때매김법 제약”,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허원욱, “16세기 국어 이음마디 때매김법 제약”,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홍사만, “고대 한일어 속격조사 비교의 편린”, 『청계김사엽박사 추모문집』, 청계김사엽박사 추모기념사업회.
홍용기, “15 세기 한자 초성의 현실음 소고­/ᄏ/, 전탁음, /ᄋ/, /ᄋ [-ᄋ]/, /ᄋ [ᄋ]/, /ᄋ [△]/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홍윤표, “15세기~19세기 자료에 나타난 국어 어휘의 특성”,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서평:(초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홍종선, “국어 통사론 연구의 오늘과 내일”,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홍종선, “남북 표준어의 통일화”,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홍종선, “언어학 이론의 수용과 국어 문법론 연구의 전개”,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황경수, “중세국어 의존명사의 의미기능 연구”,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황국정, “남북한 국어사의 연구”,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황문환, “국어생활 논단:조선 시대 언간과 국어 생활”,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황문환, “현대국어 관형사의 어휘사적 고찰”, 한국문화 29,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황선엽, “고대 한국어 연결어미 형성에 관한 연구”,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회의 조직위원회.
황선엽, “향가에 나타나는 '遣'과 '古'에 대하여”, 국어학 39, 국어학회.
후지모토 유키오, “<고사촬요(攷事撮要)>의 책판기록에 대하여”,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鄭玉玲·呼和·陳嘉猷, “蒙古語三音節詞重音硏究”,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陳力衛, “日本 新漢字語의 形成에 미친 漢文 訓讀의 影響”, 口訣硏究 8, 口訣學會.
巴達瑪敖德斯爾, “內蒙古大學的蒙古語言文字硏究”,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鮑懷翹·呼和, “蒙古語句子韻律特征聲學分析”,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岸田文隆, “「漂民對話」の朝鮮語 ­その虛構的側面­”, 京都大學言語學硏究 21, 京都大學大學院 文學硏究科 言語學硏究室.
中島仁, “中期朝鮮語の<-오->について­連體形の場合­”,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伊藤英人, “高宗代司譯院漢學書字音改正について­「華語類抄」の字音を通して­”,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伊藤智ゆき, “<六祖法寶壇經諺解>の句音調について”,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愛新覺羅·烏拉熙春, “再論女眞語無二次長元音”,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辻星兒, “「改修捷解新語序例」訓讀”, 岡山大學言語學論叢 9, 岡山大學言語學硏究會.
石塚晴通, “漢子文化圈の 加點史から見た高麗口訣と日本語初期訓點資料”, 口訣硏究 8, 口訣學會.
細谷良夫, “日本東洋文庫所藏所藏の 光緖朝 <鑲紅旗檔>について”,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小林芳規, “韓國의 角筆點과 日本의 古訓點의 關係”, 口訣硏究 8, 구결학회.
Jae-Hoon Yeon, “The Korean Language. By Iksop Lee and S. Robert Ramsey.Albany, N.Y.: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0.374pp., $71.70(hardcover)”,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5-2.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ohn Whitman, “The Proto-Korean Shape of the Verb 하- ‘do'”,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Miller, Roy Andrew, “Remembering Professor Kim Bang-han”, 알타이학보 12, 한국알타이학회.
Umeda, “Studies of Korean Language in Japan:Retrospect and Prospect”, 제1차 한국어학회 국제 학술 대회 발표, 한국어학회.
Young-Key Kim, “Korean Linguistic Analyses in the United States”, 제1차 한국어학회 국제 학술 대회 발표, 한국어학회.

<기타>

김계곤, “서평:장 재성 지은 ≪문장 표현 사전≫을 읽고”, 한글새소식 364, 한글학회.
김정섭, “≪표준 국어 대사전≫을 보고”, 한글새소식 364, 한글학회.
나채운, “우리 말글과 기독교­세종의 '훈민정음'과 예수의 '구민복음'­”, 한글새소식 362, 한글학회.
박지홍, “우리말 연구의 흐름 (1)­앞머리에­”, 한글새소식 355, 한글학회.
박지홍, “우리말 연구의 흐름 (2)­조선조의 건국과 훈민정음의 반포­”, 한글새소식 356, 한글학회.
박지홍, “우리말 연구의 흐름 (3)­정음학이 이루어지기까지­”, 한글새소식 358, 한글학회.
박지홍, “우리말 연구의 흐름 (4)­수양대군의 왕위 찬탈과 언문 적기법의 등장­”, 한글새소식 360, 한글학회.
박지홍, “우리말 연구의 흐름 (5-1)­양명학의 등장과 다시 일어나는 정음학­”, 한글새소식 362, 한글학회.
안병희, “한글날 특집:10월의 문화 인물 신숙주 - 신숙주, 성삼문의 황찬 방문 -”, 새국어소식 51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임규홍, “다시 생각하는 외솔의 한글 사랑, 겨레 사랑”, 한글새소식 363, 한글학회.
정우영, “서평:김 동소 지은 ≪중세 한국어 개설≫”, 한글새소식 359, 한글학회.
하치근, “서평:박 태권 지은 ≪국어학사 연구≫”, 한글새소식 358,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