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통사론
<단행본>

고영근 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창수, 『자질연산문법이론』, 월인.
국립국어연구원, 『제품 설명서의 문장 실태 연구 1』,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김문오).
김동찬, 『조선어실용문법』, 박이정.
김민수 ·전수태·최호철·이윤표·이준석·최경봉, 『우리말의 규범생성문법 연구』, 월인.
김병홍, 『우리말 통어론 연구의 이론과 실제』, 세종출판사.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 그레마스의 기호학 및 일반 의미론의 연구 - 』, 고려대학교 출판부 .
김종도, 『인지문법의 디딤돌』, 박이정.
남기심 ·고영근, 『표준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노마 히데키,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태학사.
박진호 ·임홍빈 외, 『국어 문법 현상의 계량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서승현, 『국어의 형태·통사적 구성에 관한 연구』, 보고사.
안증환, 『능동구조의 한국어와 피동구조의 일본어』, 제이앤씨 .
양정석, 『시상성과 논항연결』, 태학사.
우형식, 『국어 문장성분분류의 역사적 연구』, 세종출판사.
이관규, 『학교문법론 (개정판)』, 월인.
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이홍배, 『최소주의 통사론』, 한국문화사.
임홍빈 외,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하치근, 『현대우리말본』, 박이정.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역락.
허재영, 『부정문의 통시적 연구』, 역락.
홍사만, 『한 ·일어 대조분석』, 역락.
황문환, 『 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 태학사.
Kang, Hye-Kyung, 『Aspects of the Acquisition of Quantification』, 한국문화사.

<학위논문>

강동완, <한문의 주제화 구문 연구 - 사서에 나타난 ‘가이’ 류를 중심으로 - >,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정훈, <한국어의 정도부사 연구 - 비격식적 입말의 정도부사를 중심으로 - >,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곽묘숙, <연결어미 ‘-어/-아’의 다단계성에 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민, <재귀 대명사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광원, <16세기 국어 청자 대우법 연구>, 동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남돈, <북한 「토」 문법 이론의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선효, <현대 국어의 관형어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성용, <명사의 접속사화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수정, <<박통사> 언해본의 형태·통사 변화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수현, <「노걸대」류 언해서의 인과관계 접속 연구>,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하,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한국어 문장 이해에서 규범 어순의 영향>,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종인, <현대국어 시제 연구 - 존재의 어간 ‘있-’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 국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혜영, <국어 의문사의 작용역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니라리사, <카자흐스탄 고려말의 문법과 어휘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도원영, <국어 형용성 동사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박기남, <국어 비자립 어근의 통사부 도출에 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석준, <현대국어 선어말 어미 ‘-시-’에 대한 연구 - 의미·기능, 관련 구문의 구조를 중심으로 - >,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박소영, <국어 문법 연구사에서 나타난 보어의 범위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순정, <한국어와 일본어 경동사 구문의 비교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박지숙, <국어 의문형 서법 부사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혜진, <<신편고등국어문법>의 통사론의 특성>, 부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호관, <국어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대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배영은, <연결어미 ‘-어/어서’와 ‘-니/니까’에 대한 비교 고찰>, 목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변정민, <국어의 인지 동사 연구 -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 >,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서진숙, <동사 ‘치다’의 다의화와 문법화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손영재, <‘-(으)"’과 ‘-기’ 명사절 구성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손정수, <단형 부정문의 쓰임과 한계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의 언어사용을 바탕으로 - >,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정근, <명사와 동사 결합에 구성의 유형론과 기계 번역>,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상혁, <그리스어 신약성경과 한국어 신약성경의 시제체계 비교 연구 - 과거시제를 중심으로 - >,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온병석, <현대 국어 청자 대우법의 체계 연구>, 동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승국, <현대국어의 문형에 관한 연구 - 문장의 형식구조를 중심으로 - >, 중앙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유혜원, <국어의 격 교체 구문의 연구 - 한영 기계 번역 시스템을 중심으로 - >,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윤명상, <동사 ‘보다’의 문법화>, 한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세영, <‘말다‘구성 연구>, 동아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종국, <‘(-)하다’ 구문의 통사적 특성>, 부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춘숙, <한국어 전향적 중심의 서열 설정>,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하라 소지, <한국어와 일본어의 격조사 대조연구>, 목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동식, <한국어 자타양용동사의 격 교체 현상과 사건구조 - 중립동사와 이동동사를 중심으로 - >,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두빈, <한·일어 주·속격조사의 비교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상근, <한국어문법론 재구를 위한 서설 - 한국어의 바른 길을 위하여 - >, 중앙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영진, <국어 연결어미의 종결어미화 연구>, 경성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언학, <중세 국어 보조 용언 연구 - ‘V-어 V’, ‘V-고 V’ 구성을 대상으로 - >, 서강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정재은, <국어의 관형 보문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제한, <국어 문단 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전주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정지호, <현대국어 서술성 의존명사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윤희, <국어 대칭동사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채숙희, <연결어미 상당의 명사구 보문 구성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대희, <국어 풀이씨의 문법화 과정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통사론적 연구 - 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 >,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홍고 테루오, <이두자료의 경어법에 관한 통시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홍윤기, <국어 문장의 상적 의미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Olga Shestak, <한국어 위치표시 어휘의 통사·의미론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미영, “잠재적 지배 관계와 부분 문장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문법 검사기", Lecture not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2358-1, IEA/AIE 2002.
강정희, “제주방언 공간 명사의 문법화 현상 - 부사 “ᄒ`끔, ᄒ`썰, 고쌔"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강현화, “ '한-서 교육용 기본동사의 문형 대조 분석연구 - 격틀 유형 대조를 통하여 -", 2002 겨울 학술대회, 한국어학회.
강현화, “서 -한 기본동사의 의미, 통사 유형 대조연구",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강현화, “자동번역 시스템 구축을 위한 스페인어와 한국어의 문형비교 연구", 서어서문연구 22, 한국서어서문학회.
강현화 ·신자영·이재성,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대조 연구 - 한국어의 기본동사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고광주, “국어의 tough구문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고광주, “국어의 ‘어렵다’류 구문 연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고광주, “유현경 (1998) 다시 읽기", 형태론 4-2, 박이정.
고광주, “한국어의 격교체", 『한국어학의 오늘과 내일』, 한국어학회 .
고석주, “조사 ‘가’의 의미", 국어학 40, 국어학회.
고창수, “한국어 구문 분석기의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
곽성희, “영한 결속구조 비교 연구",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구본관, “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구종남, “보조용언 ‘빠지다’, ‘터지다’, ‘제끼다’에 대하여",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권기양, “장소어구 도치구몬과 확대투사자질", 현대문법연구 27, 현대문법학회.
권재일, “한국어 의문문의 실현 방법과 그 언어 유형론적 특성 -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 ", 한글 257, 한글학회.
권재일, “한국어와 몽골어의 문법 구조 대조", Journal of Korean Studies 3, Central Asian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김광섭, “동사구 초점과 주어의 작용역",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김광섭, “동사이동, 동반이동, 그리고 재구효과",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김광수, “후기중세조선어 의문문류형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광희, “국어 공범주의 통합 기술과 비변형적 통제이론의 제안",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김광희, “자기의 역행조응에 관한 한 의문", 『석화 정재완 교수 정년기념논총 』, 석화 정재완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
김규현, “전향직시어로서의 지시대명사 - 한국어대화에서의 '그'와 '저'의 분석 -", Japanese/Korean Linguistics 10, Cambridge niversity Press.
김기혁, “ On the Relation of the theta-role and Case in Korean", 13th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김기혁, “기획특집:국어 문법에서 격과 의미역할",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김기혁, “문장에 대한 문법적 관점과 해석", 학술대회 발표지, 한국어학회.
김기혁, “문장의 구조와 유형", 경희어문학 22,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동석 ·김용하, “겹음운화와 한국어의 겹주어/겹목적어",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김동석 ·김용하, “주격과 대격의 교체 - 한국어의 예외적 격 표시 -", 우리말글 26, 우리말글학회.
김상태, “『釋譜詳節』 卷九 문법현상의 통계적 연구 - 형태분석 말뭉치를 이용하여 - ", 어문연구 38, 어문연구학회.
김선웅, “ A Note on Expletive Split",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김선효, “ ‘-적’형의 통사적 범주와 의미",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선희, “부정 양태 부사의 통사 ·의미적 특성", 한글 256, 한글학회.
김성주, “ ‘-시키-’ 동사의 유형과 국어의 사동문",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김수연, “ Numeral Quantifiers in Small Clauses", 언어 27-4, 한국언어학회.
김수태, “융합씨끝 ‘-다지, -으라지’에 대하여", 한글 258, 한글학회.
김신호, “이동과 해석의 관점에서 본 공범주의 통사적 분포에 관한 연구", 불어불문학연구 50, 한국불어불문학회.
김양진, “한국어 호격명사구와 종결어미에 대하여",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김연주, “ <營造儀軌>의 工匠도구 표기 연구", 언어과학연구 20, 언어과학회.
김연주, “ <營造儀軌>의 部材 명칭 해독", 한국말글학 19, 한국말글학회.
김연주, “ <營造儀軌>의 용기명 표기 해독", 민족문화논총 25,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김영욱, “ 11세기 문법형태들을 찾아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영희, “대명사 “서로"의 용법과 의미",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김용경, “문법화의 단계성에 대한 고찰", 한글 256, 한글학회.
김은희, “서법부사의 서법성 고찰", 일본학보 51, 한국일본학회.
김의수, “국어의 격 허가 기제 연구", 국어학 39, 국어학회.
김의수, “청자 대우법 문말어미 교체의 허가 원리 연구", 언어학 31, 한국언어학회.
김의수, “형식동사 ‘이다’의 문법", 어학연구 38-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김인택, “안긴마디 특성과 풀이마디",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
김인택, “한국어 내포절의 범주 설정에 대하여",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김재욱, “관용어와 속담에서 나타나는 격조사의 전형성", 한국어문학연구 15, 한국어문학연구회.
김정석, “문체전치와 확대투사원리", 2002년 춘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현대문법학회.
김정우, “번역의 관점에서 본 국어 외래어 표기법", 국제어문 25, 국제어문학회.
김주식, “혼성이론에 근거한 주관적 이동", 언어학 10-3, 대한언어학회.
김준기, “부정문의 중의성에 대하여",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진해, “공동토론회 (주제 - 연어(連語)) 지정 토론:“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 의미적 성격"에 대한 토론“, 국어학 39, 국어학회.
김창섭, “경동사 ‘하다’의 두 가지 보어",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충실, ““ -다가"의 통사적 의미",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Ⅲ - 회화·시청각·인터넷 - , 태학사.
김태수, “ Negation Formation without NegP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김태엽, “경북말의 서술어미와 의문어미", 우리말글 24, 우리말글학회.
김태엽, “국어 청자높임법에서 낮춤법 설정의 허실",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김해연, “ Single-Clause Turns as Turn-Constructional Units in Korean Conversation",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희성 ·이용재·김기호, “동사구 생략에서의 초점억양 실현양상", 음성과학 9-3, 한국음성과학회.
낙경민, “체언표현법의 기본문제",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남승호, “처소논항 교체의 의미론 - 자동사와 형용사를 중심으로 - ",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노은주, “ The Korean Sentence-Ending Suffix ney:Epistemicity vs. Cognitive Effects", 언어 7-4, 한국언어학회.
무라타 히로시, “현대한국어의 상에 대하여", 형태론 4-1, 박이정.
민현식, “ ‘부사성’의 문법적 의미",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민현식, “부사형어미와 부사절 체계의 재고", 국제한국언어학회국제학술대회논문집, 국제한국어학회 .
박기덕, “한국어 구절구조 규칙",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박병선, “국어 구문적 공기관계 연구", 우리어문연구 19, 우리어문학회.
박석준, “여격어를 존대하는 것처럼 보이는 ‘-시-’문장의 통사 구조",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박선우, “ 15세기 국어 서실법 양태 부사의 통사, 의미적 특성(1)", 어문논집 45, 민족어문학회.
박소영, “한국어 부사절과 접속문 체계 다시 보기",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박순혁, “접합부에서의 주변자리",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박승혁, “통사론", 『언어의 이론과 분석 (1)』, 태학사.
박재연, “서평:한동완 (1996), 『국어의 시제 연구』", 형태론 4-1, 박이정.
박정섭, “속격 및 명사 병치 구성에 관한 연구 - 한국어와 불어를 중심으로 - ", 어학연구 38-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박종언 ·박명관, “Scope Reconstruction in A-movement and Negation",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박철우, “국어의 보충어와 부가어 판별 기준",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박호관, “국어 접속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2002년 동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현대문법학회.
박호관, “국어 접속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우리말글 24, 우리말글학회.
박호관, “한국어 명사구의 이중구조와 명시소 이동",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배주채, “ ‘잖’ 구문에 대하여", 정신문화연구 25-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범금희, “ {어 가지고}와 관련된 문법화 현상에 대하여(1) - {가지고}를 중심으로 -", 어문학 75, 한국어문학회.
범금희, “ {어 가지고}와 관련된 문법화 현상에 대하여(2)",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변정민, “인지 동사의 구문 연구",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변정민, “인지 동사의 범주",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변정민, “인지 동사의 의미적 특성",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서상규 ·서은아·이병규, “통사 정보 주석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 -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 』, 한국문화사.
서진희, “ Non-QR analysis for Scope Interaction in Korean and English:An approach in the "Probe-Goal" System", 언어 27-4, 한국언어학회.
석주연, “중세국어의 인용문과 선어말어미 ‘오’", 형태론 4-1, 박이정.
송복승, “ ‘듯’과 ‘듯이’의 발달에 대하여",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송재목, “한국어 형용사 반복 구문",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 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시정곤, “최기용 (2001)에 나타난 몇 가지 의문들", 형태론 4-2, 박이정.
신선경, “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
신수송 ·최석문, “국어의 진행상과 결과상 표현에 대하여", 국어학 39, 국어학회.
신지연, “정도부사의 범주화 기준에 대하여",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신창순, “서양인 선교사의 성경철자법 연구", 어문연구 1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안주호, “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노걸대언해>류를 중심으로 -",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안주호, “종결어미 “ -“게"의 통사적, 의미적 정보",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안주호, “한국어에서의 역문법화 현상에 대하여", 언어학 10-4, 대한언어학회.
안희돈 ·강현숙·한정임, “Towards a Functional Account of Case Marker Reduction and Coda Neutralization in Korean", 담화와 인지 9-1, 담화·인지언어학회.
양명희, “홍기문의 국어 문법 연구",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양영희, “ ‘시’의 존대 대상에 대하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존대 방식의 구현 양상", 한국언어문학 48, 한국언어문학회.
양정호,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
연재훈, “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
오경진, “연결 어미 ‘-어다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오충연, “국어 구조격 부여자의 범주", 어문연구 1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오충연, “국어 구조격 부여자의 범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143회 학술대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오충연, “명제-화제 복합범주로서의 구문정보와 한국어의 격체계", 2002년 이중언어학회 제13차 학술대회, 이중언어학회.
오충연, “목적어와 상", 숭실어문18집, 숭실어문학회.
옥철영 ·옥은주·이왕우, “수식 관계 구문에서 공기 제약 어휘간의 정보량 측정", 한글 255, 한글학회.
우형식, “보어의 범위에 대한 연구사적 접근", 한어문논총 10, 한어문교육학회.
유동석, “문법 이론 구축에서의 언어 자료의 문제", 형태론 4-1, 박이정.
유동석,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의 화자 문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
유석훈, “한국어 연쇄동사구문에 관한 기능적 연구", Meeting Handbook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13-1,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유송영, “호칭 지칭어와 2인칭 대명사의 사용과 화자-청자의 관계", 제24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한국어학회.
유승섭, “국어 내포 보문의 논항 구조 - 의존 용언을 중심으로 - ", 한글 256, 한글학회.
유영두, “기능어 연구", 어문학연구 12.
유현경, “부사형 어미와 접속어미",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유현경, “어미 ‘-다고’의 의미와 용법",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유현주, “언어의 보편성과 미명세 원리 - 영어, 독일어, 한국어의 처소동사를 중심으로 - ", 시학과 언어학 4, 시학과 언어학회.
유형선, “목적어 연구 동향",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유혜령, “학교문법에서의 “다" 처리 재고",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육학회.
윤애선, “ Potential Governing Relationship and Korean Grammar Checker Using Partial Parsing", Developments in Applied Artificial Intelligence 15, Springer.
윤평현, “한국어 접속어미의 의미", 200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Korean Linguistics Today and Tommorow), The Association for Korean Linguistics.
이관규, “국어 부사절 범위에 대한 여러 견해와 그 한계점",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이관규, “기획특집: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전망",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이관규, “통사론",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이광호, “일치이론에 입각한 한국어 부정구문의 격표시 설명",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이광호, “한글 필사본 '잔당오대연의'의 국어 문법적 검토", 장서각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기갑, “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
이기갑, “국어 입말 담화의 의문 제기 형식",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기용, “한국어 전산통사론의 과제와 구현",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
이기웅, “러시아어 동사의 논항값",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이남석, “명사구의 통사적 구성에 있어 수량 단위 표현의 기능", 독일문학 43-1, 한국독어독문학회.
이만기, “최소주의에서의 영허사 주어에 관하여",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이민덕, “어미 ≪-니≫와 ≪-아(어, 여)서≫가 원인을 나타낼 때의 차이점", 중국조선어문 117,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선우, “주제화 /적출",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이선웅, “와 /과의 통사와 의미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성심어문논집 24, 성심어문학회.
이성하, “이동동사로부터 후치사로의 문법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positions, Catholic University of Leuven, Belgium".
이성하, “이동동사의 후치사화에 관한 형태통사적 연구",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이세창, “유표성제약의 일반성 - *VhV의 대안을 중심으로 -", 언어 27-1, 한국언어학회.
이승자, “청자대우법에서의 반말과 반말의 위치",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승자, “청자대우법에서의 반말과 반말의 위치",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갓갑다/멀다’의 통사·의미적 특성", 국어학 40, 국어학회.
이영민, “완료 지속과 미완료 지속의 상 해석 원리",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이영민, “현대 국어의 지속상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 26, 국제어문학회.
이영헌, “양화 명사구와 조응에 관한 연구", 언어학 10-2, 대한언어학회.
이용, “연결어미 ‘-매'의 형성과 문법사적 의미", 전농어문연구제13집,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유기, “ (-가)계 의문 종결 형식의 구조", 국어국문학 131, 국어국문학회.
이익환, “논항성과 개연적 격구조", Proceedings of the 16th Asia Pacific Conference on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한국언어정보학회.
이정복, “인터넷 통신 언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통계적 분석",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XIII, 국제한국언어학회(ICKL).
이정복, “통신 언어 문장종결법의 사회언어학",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이정식, “ Remnants in Ellipsis Constructions",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이정식, “한국어 비교구문의 생략현상", 현대문법연구 30, 현대문법학회.
이정택, “문장 성분 분류 시론",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이정택, “접미사 피동문의 능동주 표지에 관한 연구", 한글 258, 한글학회.
이정화, “ A Cognitive-semantic Analysis of the Korean Postpositions -Ey and -(U)lo",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정훈, “국어 어순의 통사적 성격", 어문연구 1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주행, “한국어와 만주-퉁구스 제어의 격 표지어에 대한 비교 연구",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지영, “서사시제에 대하여 ―서사의 현재시제를 중심으로 ―", 朝鮮語硏究, 朝鮮語硏究會.
이필영,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한규, “한국어 부정극어 '여간'의 통사 화용 분석", Japanese/Korean Linguistics 10, Standford Linguistics Association.
이현희, “국어 문법형태 기술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 ‘야’와 ‘-이야’의 경우 -", 한민족어문학 41, 한민족어문학회.
이훈, “서술어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임동훈, “기획특집:한국어 조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임동훈, “문법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임채경, “국어 중주어에 관한 최소주의적 접근 - 강도출론 - ", 언어학 10-3, 대한언어학회.
임홍빈, “공동토론회 (주제 - 연어(連語)) 발표 논문:한국어 연어의 개념과 그 통사, 의미적 성격", 국어학 39, 국어학회.
장경준, “한자의 자형에 따른 구결점의 위치 변이에 대한 기초 연구 - 유가사지론 권 5, 8을 대상으로 - "", 제26회 공동연구회 발표 논문집, 구결학회.
장미라, “국어 소유 상태 구문의 실현 양상 - ‘있다, 가지다' 구문을 대상으로 - ", 국어국문학 130, 국어국문학회.
장미라, “조사 ‘를'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고황논집 30, 경희대학교.
장윤희, “한국어 의문법 어미의 문법사", 朝鮮語硏究 1, 朝鮮語硏究會.
전수태, “한국어의 체언과 조사기술에 대하여", 『우리말의 규범생성문법』, 월인 .
전정미, “분리동사 {자르다/베다} 구문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전화룡, “조한수사의 위치대비",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정대호, “분류사 -도/-(이)나의 극성", Proceedings of Smog 2002 Spring Conference on Linguistics.
정대호, “의문사 없는 의문문 재고", Proceedings of the 2002 LSK International Summer Conference,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정동빈, “한국어린이의 통사구조습득탐구", English Linguistic Science 1-9, 한국영어언어과학학회.
정언학, “ ‘-고 잇다’ 구성의 문법화에 대한 통시적 연구", 진단학보 94, 진단학회.
정연진, “수의적 확대투사이론과 초점 인가", 언어과학 9-1, 한국언어과학회.
정연진, “일치와 분리 확대투사이론", 동의논집 36, 동의대학교.
정연진, “통사적 격과 초점인가", 국제한국언어학회 발표논문집 (abstract), The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정은경, “사역형의 통사적 분석", 언어 27-4, 한국언어학회.
정희창, “중세 국어 인용문에 나타나는 ‘야’의 문법 범주", 어문연구 11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조규태, “현대 국어의 안맺음씨끝 ‘-니-’에 대하여", 한글 258, 한글학회.
조미정, “ The Structure of Relative Clause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조세연 ·김종복, “Echoed Verb Constructions in Korean : A Construction-Based HPSG Analysis", 언어 27-4, 한국언어학회.
채영희, “매인 이름씨 ‘뿐’의 문법화",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채희락, “한국어 부사어의 분류와 분포 제약 - 일반 부사어와 호응 부사어의 차이를 중심으로 - ",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천기석, “수리문법에서 무한 집합의 검증 방법", 한글 257, 한글학회.
천호재, “한국어의 중간 자동사 구문과 중간 수동 구문에 관한 연구",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최기용, “한국어의 용언 반복 구문 - 용언의 가시적 이동을 위한 또 하나의 근거 - ", 생성문법연구 12-1, 한국생성문법학회.
최낙복, “유 길준 말본의 통어론 연구", 한힌샘 주 시경 연구 14·15, 한글학회.
최낙복, “유길준 말본의 월 풀이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
최동권, “한국어, 만주어, 몽골어 내포문주어의 표현 양상 "", 제1회 세계 한국학대회 논문집 1-3, 정신문화연구원.
최동주, “ ‘-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최동주, “기획특집:국어 어미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최동주, “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최동주, “후기 근대국어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최명옥, “과거시제 어미의 형성과 변화", 진단학보 94, 진단학회.
최영석, “역사적 현재 시제의 의미와 기능", 현대문법연구 27, 현대문법학회.
최웅환, “ 1인칭 주어제약 구문의 문법성과 통사적 표상",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최형강, “주격 중출 구성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최형용, “국어 사동 구성의 '을/를' 중출에 대하여", 논문집 50, 공군사관학교.
최희수, “한국어 자모 순서 통일안",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
하치근, “국어 문법 연구의 어제와 오늘",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
한영목, “충남방언 ‘-벼’와 ‘-깨미’ 구문 연구", 어문연구 40, 어문연구학회.
한재영, “ 16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와 변화 양상 연구", 진단학보 93, 진단학회.
한재영, “향가의 ‘支'와 ‘攴'에 대하여",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Pacific and Asia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한정한, “ VP의 화용적 기능",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한정한, “ ‘가’, ‘를’의 연결이론", 어학연구 38-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정한, “내포문에서의 화제화 제약과 정보구조",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허원욱, “ 15세기 국어 이음마디 때매김법 제약",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허원욱, “ 16세기 국어 이음마디 때매김법 제약",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허원욱, “현대 국어 「-게」 어찌마디의 통어적 연구", 한글 255, 한글학회.
홍민표, “한국어 영형대명사 지시관계 해소이론에 관한 고찰",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홍사만, “국어 정도 부사의 피한정어 연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홍사만, “국어 정도 부사의 하위분류", 어문론총 36, 경북어문학회.
홍사만, “일본어 정도부사 소고", 한·일언어문화연구 6, 한·일언어문화연구소.
홍사만, “한 ·일 정도부사의 대조 연구", 언어과학연구 21, 언어과학회.
홍윤기, “처소교차구문의 해석과 相 역할",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홍종선, “국어 통사론 연구의 오늘과 내일",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홍종선, “언어학 이론의 수용과 국어 문법론 연구의 전개",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황병순, “국어 인식시 체계와 상황시 체계",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휘세인 크르데미리, “터키어와 한국어의 시제 ·동작상·서법의 유형적 연구", 형태론 4-1, 박이정.
沖森卓也 ·강인선 역, “고대일본의 문자법", 구결연구 9, 구결학회.
紫公也, “「 -길래」의 의미와 용법에 대하여", 態本學園大學文學·言語學論文 9-1, 態本學園大學文學·言語學論集編集會議.
生越直樹, “日本語, 朝鮮語における連體修飾表現の使われ方 - 'きれいな花!'タイプの文を中心に -", シリ-ズ言語科學4 對照言語學, 東京大學出版會.
生越直樹, “日本語の助詞 'に'と朝鮮語の助詞'에게'をめぐって", 日本語學と言語學, 明治書院.
Ae-ryung Kim, “Derivational Interpretation of Korean “wh-phrases"",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Alexandre Sevigny, “Discourse Information Grammar", 언어학 10-4, 대한언어학회.
Andreas Ammann·Johan van der Auwera, “Korean Modality - Asymmetries between Possibility and Necessity",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Anna Wierzbicka, “Meaning and Universal Grammar",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Chae, Hee-Rahk, “Predicate Nominals and Light-er Verbs in Korean:An Indexed PSG Grammar", Proceedings of the 2002 LSK International Summer Conference, Vol. I",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Chan CHUNG & Jong-Bok KIM, “Korean Copula Constructions : A Construction and Linearization Perspective", 언어 27-2, 한국언어학회.
Choe, Hyon Sook, “A Movement Approach to Conditions B and C in the Minimalist Program", Proceedings of the 2002 LSK International Summer Conference 1, 한국언어학회.
Choe, Hyon Sook, “Inner Islands and Negating",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Choe, Hyon Sook, “Inner Islands and Negating", 현대문법연구 28, 현대문법학회.
Chung-hye Han·Na-Rae Han·Eon-Suk Ko·Martha Palme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Korean Treebank and its Application to NLP", 언어와 정보 6-1, 한국언어정보학회.
Dong-in Cho, “A Comparative Study of VP-Fronting", 언어학 31, 한국언어학회.
Dong-Whee Yang, “The Case Theory and the Notion of Default Phi-feature",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Eun Ji Lee, “[Tense] Values and Their Relation to Clausal Subordinateness in Korean", 언어학 10-3, 대한언어학회.
Eun-Jung Yoo, “Auxiliary Verbs and Structural Case Assignment in Korean", Language Research 38-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Gwangrak SON, “On Wh-Scrambling", 언어 27-2, 한국언어학회.
Han, Dong-Wan, “On the Dualistic Tense System of Korean", Selected Papers from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Hee-Don Ahn, “Notes on Case Alternation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Hye-Kyung Kang, “Bare Plurals of Quantification", 생성문법연구 12-2, 한국생성문법학회.
Hyekyung Choi, “A Study of Politeness in Korean Request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Hyeonjin Lee·Ken Wexler, “Nominative Case Omission and Unaccusatives in Korean Acquisitio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Hyo Sang Lee, “The Structure of Noun-complementation in Korean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Hyun-Ju Park, “Auxiliary Verb Construction versus Serial Verb Construction in Korea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Jae Jung Song, “Korean Syntactic Causatives: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Jae Jung Song, “The -ke ha Causative Construction in Korean - Causative or Not?: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Jae-Mog Song, “A Typ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Evidential Marker -te-",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Jaecheol Lee, “A Typological Analysis of Wh-Questions and the Scope of Wh-Words", 현대문법연구 28, 현대문법학회.
Jaehoon Yeon, “How can causatives come to be associated with passives in Korea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Jaehoon Yeon, “The Causative-Passive Ambiguity and the Notion of Contiguity as a Crucial Factor in Explaining the Retained- Object Passive Constructions",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Jai Hyoung Cho·Ock Hwan Kim, “Scrambling Across Topic Phrase", 언어학 10-1, 대한언어학회.
Jeong Shik Lee, “Deleting and Clipping of A’-Chains:Sluicing and VP-ellipsis",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Jinhee Suh, “The Interaction of Quantifier Scope in the Agree system:Going back to QR?",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Joan Maling·Jong Sup Jun·Soowon Kim, “Case-Marking on Duration Adverbials Revisited",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Jung, Dukkyo, “ƲP Structure for Light Verb Constructions", 언어학 10-2, 대한언어학회.
JunMo Cho, “LF Legibility and Licensing of Nominal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Kaoru Horie, “A Comparative Typological Account of Japanese and Korean Morpho-Syntactic Contrasts",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Kaoru Horie·Tetsuharu Moriya, “Two Negation Forms in Korean : A Typological and Contrastive Approach",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Kim, Jong-Hyun, “Speaker Commitments by ‘-canh-' and ‘-ci' in Korean",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 정기학술대회 Proceedings, 한국언어정보학회.
Kim, Ui-Su, “Some notes on Ergative constructions including Inalienable Nouns", Proceedings of the 200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Korean Linguistics Today and Tomorrow, The Association for Korean Linguistics(한국어학회).
Kim, Ki-Hyuk, “Grammatical Category of 'Copular' and Judgment Predicate Sentences", Selected Papers from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Kyung-hee Suh, “The Korean Sentence-final Marker cianha in Conversational Discourse",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Lee, Chung-Min, “A 'Removal' Type of Negative Predicates", Japanese/Korean Linguistics 10, CSLI:Distributed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ee, Chung-Min, “Acquisition of Information Structure in Korean - Topic and Subject Markers in Particular", Selected Papers from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Lee, Chung-Min, “Negative Polarity in Korean and Japanese", Japanese/Korean Linguistics 10, CSLI:Distributed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ee, Chung-Min, “On Negative Imperatives in Korean",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Lee, Sun-Hee, “Korean tough Constructions and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PSG, HPSG 2002.
Lee, Sun-Hee, “Unbounded Dependency in Korean tough Constructions", Proceedings of the 2002 LSK International Summer Conference,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Mean-Young Song, “Predicate Types and the Tense Marker -ess in Korean",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Nam Sun Song, “A Comparative Study of Japanese Passive and Korean Passive",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Nam Sun Song, “Differences between the Passives in Korean and Japanese",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Namkil Kim, “On the Expression of 'Imminence' in Korea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Peter Sells, “Some Observations on the Distribution of Nominative Objects in Korean",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Samuel E. Martin, “coming and going:deictic verbs in Korean and Japanese",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Sang Hwan Seong, “What does Germanic Syntactic Change Tell Us about Korean?",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Seda Gökmen·Chungmin Lee, “Aspects of the Acquisition of (Past) Tense and (Telic) Aspect in Turkish and Korean", Language Research 38-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Soon-Jo Woo, “Syntactic Parsing and the Syntax of Verbal Endings in Korean",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Suh, Chung-Mok, “TOPICALIZATION and FOCUSING in KOREAN", Proceedings of 2000 International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Suk, Ju Yeon, “The Change and Disappearance of Grammatical Forms:Functional Analysis", Korean Studies in Global Perspective, The 6th Pacific and Asia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Sung-Ho Ahn, “The State-Event Distinction and the Light Verb Construction", 생성문법연구 12-2, 한국생성문법학회.
Sungeun Cho, “The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and its cross-linguistic Evidence", 생성문법연구 12-2, 한국생성문법학회.
Sungshim Hong, “Raising to Object in Small Clauses", 현대문법연구 30, 현대문법학회.
Sunyoung Lee, “Pseudo-Relative Clauses in Korea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Yeon-Seung Kim, “On the Nature of Focus Movement", 현대문법연구 30, 현대문법학회.
Yeun Jin Jung, “Scrambling, Edge Effects, and A/A'-Distinction", 언어학 10-4, 대한언어학회.
Yoon, Pyeong-Hyeon, “On Opposition and Concess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Young-Seok Choi,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Historical Present Tense", 현대문법연구 27, 현대문법학회.

<기타>

이의도, ““~고 싶다"와 “~고자 하다" 바로쓰기“, 미디어 춘천 MBC 93,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하다"와 “되다"의 어긋남, 그리고“, 미디어 춘천 MBC 90, 춘천문화방송(주).
이대성, “한글날 특집:피동 표현과 국어 순화", 새국어소식 51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최민홍, “언어와 문자에 대한 절대적 가치론", 한글새소식 354,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