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교육
<단행본>

국립국어연구원,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 - 』,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조남호).
김기성, 『현대 몽골 / 한국어 회화』, 역락.
김복문, 『(국어의 영어식 로마자 표기법 일람표를 통해)한국어 쉽게 배워 말하기 = A step-by-step handbook for speaking Korean』, 무역출판사.
김봉순, 『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성주, 『한국어문법론』, 앙카라대학교 출판부.
김중섭, 『관광한국어』, 박이정.
김중섭, 『한국어 고급 1』,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중섭, 『한국어 고급 2』, 경희대학교 출판국.
김진우, 『제이어 습득연구 - 현황과 전망 -』, 한국문화사.
노명완·이차숙, 『문식성 연구』, 박이정.
문화관광부, 『LA지역의 한국어 교육 실태 조사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김광해).
문화관광부,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조철현).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1 “한국어 교사 교육·연수를 위한 표준 교육 과정”시행 시안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조항록).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2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 제도 평가 항목 개발 및 모의 평가 연구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민현식).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3 “한국어 교육 총서 『 한국어 교수법』”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한재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1 “한국어” 초급(말하기·듣기) 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실물 교재 개발 최종 보고서 1 듣기』,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이해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1 “한국어” 초급(말하기·듣기) 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실물 교재 개발 최종 보고서 1 말하기』,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이해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2 “한국어” 중급 1 교재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김정숙).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서상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1 2002년도 한국어 세계화 포탈 사이트 개발 및 구축 최종 보고서』, 사업용역 보고서(책임자:유석훈).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2 “한국어세계화 단위기지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윤희원).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3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김하수).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한국어 교사 초청 연구 사업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고성환)
박경래, 『디지털시대의 글쓰기』, 박이정.
박덕유, 『문법교육의 탐구』, 한국문화사.
박덕유, 『문장론의 이해』, 한국문화사.
박미경·김정은·이수영, 『숙명 한국어 Student Book I』, 숙명여대 국제언어교육원.
박미경·김정은·이수영, 『숙명 한국어 Work Book I』, 숙명여대 국제언어교육원.
박영순편,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영순편,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영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수정판)』, 월인.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박인환, 『(바른 우리말 길잡이)선생님 이 말이 맞아요?』, 세원미디어.
방인태, 『국어교육과 국문학』, 역락.
성숙자, 『고등학교 교과 어휘연구』, 세종출판사.
손종호·정원수·김정태·김영익·이형권·송기섭, 『좋은 논문 쓰기』, 충남대학교 출판부.
송병렬, 『새로운 한문 교육의 지평 - 한문 교육의 이론과 실제 - 』, 문자향.
서유경, 『인터넷 매체와 국어교육』, 역락.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편,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3』, 태학사.
우인혜, 『한국어 쓰기』, 보고사.
이강엽외, 『디지털 시대의 국어과 수업모형 - ­구비문학 교육을 실례로 - 』, 평민사.
이득춘, 『韓國語標準語法』, 길림인민출판사.
이미경·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중학교 국어 교과서 오류 실태 분석 - 1학년 1,2학년 1,2학기를 중심으로 - 』, 이미경의원실.
이병모, 『글짓기 어떻게 할 것인가』, 박이정.
이원희,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한국문화사.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 과정 중심 접근 - 』, 교육과학사.
이종철, 『우리말의 화용적 양상과 지도 방법』, 박이정.
이춘근, 『문법교육론』, 이회문화사.
이희자, 『한국어교육과 학습사전』, 한국문화사.
임천택,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평가』, 박이정.
임칠성·최승권·김정희·심윤희, 『국어 선생님, 듣기수업 어떻게 하십니까?』, 역락.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박이정.
조희형, 『과학교육 논문 작성법』, 교육과학사.
진창영·이정옥·안주호 공편, 『작문과 화법』, 정림사.
최영환,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 학문출판.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21세기 언어 교육·정책 토론회』.
황송문,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국학자료원.
황유복··중한인우호협회 공편, 『중국 속의 한글학교』, 고구려.
Ross King and Jae-Hoon Yeon with Insun Lee, 『continuing Korean』, Tuttle Publishing.

<학위논문>

강경선, <향토 민요의 국어과 교재화 가능성 연구 - ­남해 민요를 중심으로 ->,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덕구, <고등학생의 통신 언어 사용과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대화방 언어·게시판언어·휴대 전화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 ­>,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명숙, <효율적인 작문 지도 방법>,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병옥, <협동 학습을 통한 쓰기 지도 연구 - ­논설문을 중심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성원, <표준발음과 고교생의 현실발음에 대한 비교 연구>,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안숙, <창의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방안 연구 - ­내용교과를 중심으로 ->,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애경, <한글 맞춤법의 수준별 교수-학습 방안 연구>,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은아, <한국어능력시험 초급단계의 어휘 - ·문법영역 문항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인식, <토론 활동을 통한 논술 지도 방안>,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정민, <총체적 언어 교육을 통한 자발적인 표현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고경희, <속담 표현을 바탕으로 한 화법 교육 -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고현주, <광고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구기철, <통신언어 필터링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체험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부산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경희, <문장 구조에 대한 탐구학습 모형>,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병렬, <북한 고등중학교 한문교과서 분석 - ­98년도 교과서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혁미, <실업계 고등학생의 독서 실태 분석>,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길기송, <초등학생의 어휘 사용 실태와 어휘 확충 지도방안 연구>, 중부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림, <읽기 전 배경지식 활성화 전략을 통한 독서 능력 신장방안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수행평가 연구 - ­중학교 국어과 중심으로 ->,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규남, <중등학교 북한 관련 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기춘, <자발적인 독서 습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독서흥미 자료의 개발과 적용을 중심으로 ->, 청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대하, <공업계 학생의 학력증진을 위한 한자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전기과를 중심으로 ->,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동헌, <효과적인 수준별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명선,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매체 교육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 대중 매체를 중심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영, <국어 다의어의 지도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영, <어휘력 신장을 위한 어휘 교육의 방법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자,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 텍스트의 문단 분석과 평가>,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화, <문답식 학습을 통한 「심청전」 교육방안 연구>,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민정, <고등학교 국어과 문법교과서 연구 -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민정, <고등학교 독서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민정, <시각언어와 텍스트 구조화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병철, <수행평가 방법 개선을 통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효율적인 독서교육 방안>,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보현, <컴퓨터를 활용한 국어과 수업 연구>,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봉희, <고등학교 논술 교육 개선을 위한 연구 - ­문제해결과정을 통한 단계적 쓰기 지도의 효율성을 중심으로 ->,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상동, <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한자·한자어 지도 방법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상영, <한국어 어휘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유의어를 중심으로 ->,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선홍, <한자어 학습용어의 한자 지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학교 2학년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소영, <고등학교 작문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 ­수필 지도 중심으로 ->,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수범, <인터넷을 이용한 논술 지도 사례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숙경, <국어과 자기주도적학습을 위한 ICT 활용 교수-학습 방안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양규,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 모형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7차 교육과정 반영 양상 연구 - 단원 및 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주, <제7차 문법 과목 교육 과정의 교과서 실현양상>,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태, <고등학교 논술지도 개선을 위한 한 연구>,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환, <초등학교 한자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영희, <중학생의 옛이야기 전달 실태 연구>,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용원, <컴퓨터를 활용한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우경, <중·고등학생 이야기의 언어 특징에 관한 연구 - 제1회 전국 중·고등학생 이야기 대회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 ­>,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원기,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대표새김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유진, <조사의 기능 범주에 따른 내용 지도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학교문법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윤경, <일본인의 한국어 발음에 나타난 모어 악센트의 간섭 현상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윤옥, <언어 기능을 고려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체제에 관한 연구 - 초급 중심으로 ->,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은정,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의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 목표 어휘 선정과 과 구성의 실제>, 경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인숙,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체제 및 상관성 연구 - 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재춘, <쓰기 전 과정 지도의 학생 수준별 효과에 대한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란, <중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연구 - ­개화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변천사를 중심으로 - ­>,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아, <한국어 교육에서의 속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주, <인터뷰를 통한 국어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한, <판소리 장단 재구성 활용을 통한 듣기 능력 향상 방안>, 창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희, <단계별 듣기 교육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종구, <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기준>,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주덕, <고등학생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주환, <국어지식 영역의 탐구 학습에 대한 연구>, 강릉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지영, <한국어 작문의 상호협력적 교수-학습 방안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지은, <반성적 평가를 활용한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지현, <중학교 국어교과 읽기영역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연결성 연구 - 7차 교육 과정 해설서와 7학년 교과서 읽기 영역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진향, <TV드라마를 통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진희, <창의적 사고 신장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지도 방안 연구>, 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철영, <과정 중심의 고등학교 작문 지도 방안>, 대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철훈, <중학교 ‘국어지식 영역의 지도방안 연구 - ­7학년 단원을 중심으로­ ->,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춘이, <신문활용교육을 통한 읽기 교육의 활성화 방안 - ­중학교 2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태진, <소집단 토의학습을 통한 수준별 논술지도 방안 연구>, 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하영, <한국어 교육을 위한 듣기 텍스트 개발 방안>,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한영, <신문을 활용한 말하기, 듣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국어교육을 중심으로 ->,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현정,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현희, <한국어 교재의 어휘 구성에 관한 비교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형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와 쓰기 교수 학습에 관한 통합적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형렬, <추론적 읽기 능력향상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혜정,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혜진, <전통적 독서방법론의 현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효선, <중학생에 대한 읽기 전략 지도의 효과 연구>,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효정, <언어 활동의 통합을 위한 국어 교육의 평가>,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나은선, <한국어 교재의 과제 분석과 활용방안 - ­초급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나정선,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나지혜, <효율적인 독서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서천 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남근영,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 나타난 전치개사 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남신, <웹기반 읽기 교육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노남희, <질문생성 전략을 통한 신문 읽기 지도방안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노미라, <매체 텍스트의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 연구 - ­매체 텍스트의 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동여생, <중국어를 통한 한자 및 한자어 교육연구>, 세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경자, <수준별 전략 중심의 쓰기 교수 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연희, <중국 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민병희,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ICT 교수 학습 방법 연구>, 목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민진영,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경순, <중학교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방안 연구>,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관우,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기완, <소설 평가 문항의 적절성 연구 - ­수학능력시험 문제를 중심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노철, <한자어 활용 능력 신장을 위한 효율적인 학습 방안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노훈, <의미구조도그리기를 통한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보규, <중학교 국어 지식 영역의 지도방법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선영, <중학교 국어지식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탐구학습과 협동학습의 혼합모형을 중심으로 ->, 경희대 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성원, <인터뷰 담화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소영, <중·고등학교 문법 교육에 나타난 텍스트 언어학적 특성 고찰 - 텍스트 언어학의 효과적 수용 방안을 위하여 ->,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수미, <국어교육에서 속담의 지도방안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수연,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동음이의어 구별을 위한 ‘길잡이말(Guide Words)’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수지, <한국어 교육에서의 설명적 텍스트 교수 방안 - ­형식 스키마 활성화 전략을 중심으로 ->,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순자, <수업 담화 분석 - 언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영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표준발음 지도법 연구>, 경성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옥희,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시의 은유와 환유에 대하여>,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완숙, <창의성 계발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용선, <고등학생의 독서 실태 분석을 통한 단계별 독서지도 방안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용철, <실학파 사대가 독서론의 의의와 현대적 계승 - ­독서지도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윤경, <중학생의 쓰기 능력 조사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재남, <외국어로서 한국어의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종은, <대화 중심의 쓰기 과정 단계와 지도 방법 연구>, 세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주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시론>,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진수, <웹을 활용한 쓰기 지도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창재, <초등학교교과서 한자병기의 필요성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현점, <공공기관의 한문강좌 현황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희로, <컴퓨터 통신 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백명숙, <과제해결의 통합적 활동이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사까와 야스히로, <제2외국어 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 일본 대학 과정을 중심으로 ->,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사모토 마리,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 연구 - 동사형 관용어를 중심으로 ->,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사와다 히로유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한·일어 동사 대응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대훈, <자기 주도적 정보 수집 학습을 위한 WBI의 모형 개발 연구 - 중학교 1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명자, <중학생의 이야기하기 실태 연구 - ­시작하기와 끝맺기를 중심으로 ->,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영순, <국어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 7학년 중심 ->,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종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고유어 접두사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설은정, <시사만화 활용을 통한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 방안>,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설학줄, <학습자 중심의 옛글 학습 지도 방법 연구 - ­‘세종 어제 훈민정음’을 중심으로 ->,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숙자, <고등학교 공통 필수 교과 어휘 분석 연구>, 부산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성지연,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사용 연구 - ­일본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진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연구 -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 창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효숙, <학습 부진아 쓰기 지도 - 활동철을 중심으로 ->,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손건찬, <중학생 논술문의 수준별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손명희,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방법 연구 - ­말하기, 듣기 교육을 중심으로 ->,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경희, <해외에서의 한국어 교재 구성 연구 - ­미국 교포 2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성립, <한글 전용 표기와 한글·한자 병용 표기에 따른 중학교 국사 교과서 학습용어의 이해도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주영, <한국어 학습에 나타나는 오류 연구 - ­어미를 중심으로 ->,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신상직, <고등학교 인성교육을 위한 화법 교육 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신용수, <국어과 동기유발을 위한 마술매체 개발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신현주, <창의적 독서 지도 방안 - 고등학교 7차 국어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 ­>,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심영란, <아이디어 생성을 위한 대화 중심 작문 지도 방안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심윤희,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듣기 평가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심정애, <학습자 중심 국어교육의 방법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근영, <효과적인 문법 지도를 위한 광고언어 활용 방안>,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윤정, <총체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방안>,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재현, <속독 훈련이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야마시 타카즈미,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하다’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경수, <한문교과의 정의적 영역 연구 - ­제6차 고등학교 한문Ⅰ교과서를 중심으로 ->,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명순, <독서환경 조성과 자율적 독서 습관 형성에 관한 연구>, 중부대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병옥,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 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승희, <높임법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안의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유리, <쓰기 포트폴리오를 통한 비정 활동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은숙,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성 분석 -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인정, <중·고등학교 논술의 효율적 지도 및 평가 방안의 모색>,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재옥, <광고언어의 교육적 활용 방안 - ­국어지식 영역을 중심으로 ->,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엄훈, <조선 전기 공론 논변의 국어교육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여순민,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전략 연구 - ­‘문제-해결’글쓰기 중심으로 ->,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여승현, <중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옥현진, <국어과 매체 문식성 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와타나베 요시야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원용석, <완당 김정희의 교육관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경숙, <웹기반 작문 교수·학습 모형과 지도 실제에 대한 고찰>,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은정, <읽기 학습기술 훈련이 고등학생들의 읽기 습관과 국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은주, <한문과 수업에서 포트폴리오 자료의 활용 효과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인귀, <어휘 지도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인숙, <국어과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게임텍스트의 연구 - ­디아블로 Ⅱ를 중심으로 ->,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재경, <국어지식 수업 방법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강로, <고등학교 국어과 어휘력 신장을 위한 수업방법 연구>, 대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기훈, <말하기 지도 방법의 체계화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미숙, <창의적 사고를 위한 글쓰기의 전략과 실제 - ­그림을 통한 쓰기 학습을 중심으로 ->,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정희, <교육연극을 적용한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경진, <고등학교 국어 생활 교과서 비교 분석 - ­제7차 교육 과정 구현 실태를 중심으로 ->,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곤희, <국어 문장 성분 사용의 오류 실태 분석과 교정지도 -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 대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동신, <중·고등 학교 국어 교과서에 관한 연구 - 언어 영역을 중심으로 ->,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동은,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 발음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복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문학단원의 체제와 제재에 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근,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 실태와 교사·학생의 태도에 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문, <읽기 평가의 개선 방향 연구>,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월, <파생어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호,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 나타난 부사 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호, <잡가의 대중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 교육내용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훈, <국어과 쓰기 영역에서의 우언 글쓰기 활용 가능성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선영, <어휘 지도가 내용 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성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 화행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수민,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승현, <한자 CAI 프로그램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아, <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영역 통합적 수행평가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옥희, <제7차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내용 분석>,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원재, <교과집중형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방안 연구 - ­인문고 국어과를 중심으로 ->,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윤자, <한··일 교육용 상용한자 비교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주, <예시문 활용을 통한 쓰기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화, <광고를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의진, <논술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의 체계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인숙, <수준별 모둠활동을 통한 자기주도적 쓰기 능력 신장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재곤, <글쓰기 능력 신장에 관한 지도 방안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정국,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목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정숙, <논술 지도에 대한 연구 - 단계별 문제 해결 전략을 중심으로 ->, 중부대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정태, <탐구 중심의 어휘 학습을 통한 독해력 신장 방안>, 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종숙,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교과서의 분석적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주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 체계 고찰>,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태경, <휴대전화 문자언어의 실태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 ­중·고등학생이 사용하는 휴대전화 문자언어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하영, <독서 지도를 통한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해경, <한문 독해력 신장을 위한 CAI 프로그램 개발 -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향,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재 개발 방안>,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현진, <한국어 피동표현의 교수 내용 및 방안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혜자, <중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경대, <설명적 텍스트의 기능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난숙,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동윤, <한국어 조사 교수법에 대한 연구 - ­{-이/가}와 {-은/는}을 중심으로 ->,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미화, <영어권 화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법 연구 - ­발음 간섭 현상 개선을 중심으로 - >,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승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다의어 사전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영규, <독서클럽 활동을 통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은섭, <요약능력 신장을 위한 텍스트 구조 지도 전략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재영, <토론식 쓰기 수업 모형 - 논술 교육을 중심으로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제완, <읽기능력 신장 방안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천택,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원리와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임충완, <국어과 수행평가의 효과적인 개선방안 연구>, 대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효례, <한·중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선덕,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연주,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한자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윤정,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교육 분석>,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지숙,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학교 말하기 영역의 수업설계 방안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명재, <사고 구술(Think aloud)을 통한 쓰기 과정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명환, <독서지도에 관한 연구>, 중부대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지영, <텍스트 구조 지도를 통한 쓰기 전략 연구 -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창실, <효과적인 독서 지도 방안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계순, <국어 어휘력 신장방안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광진,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분석 연구 - ­고등학교 7차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규문, <국어과 수행평가 교수·학습 모형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길조, <고등학교 어휘지도 방법 연구 - ­탐구학습을 중심으로 ->,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무사, <국어 통신언어 교육의 방향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선희,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교과서 어휘 분석>,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수정, <협동 학습을 통한 쓰기 지도 연구 - ­사회인지 이론을 중심으로 ->,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영서, <국어교과서 ‘평가중점’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문제의 상관성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영숙, <중학생의 듣기 실태 조사 연구>,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은숙, <논술문 쓰기 지도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일주, <고등학교 학생들의 높임법 사용의 실태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진교, <협상하기 전략을 활용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충기,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소설의 인물 정체성에 관하여>, 순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현희, <중학생의 독서 경향 연구 - 소설을 중심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의 작용 양상에 관한 연구 - ­제6, 7차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조경원, <대화 중심 작문 지도의 방안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상주, <전통 수사에서의 비유적 글쓰기 방법 연구 - ­연암 박지원의 글쓰기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윤영, <중학교 문법 교육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재윤, <질문만들기 지도가 질문만들기 능력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현주, <소설 중심의 독서 지도 방안 연구 - ­중학교 독서 지도를 중심으로 ->,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형주, <제6차, 제7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삽입된 질문 분석>,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희정, <사회적 문해력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연구 - ­조선 세종조 과거 시험을 중심으로 ->,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주영민, <문장 언어 구성 능력의 발달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주은정,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지현숙, <웹 기반 한국어교육의 교수전략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지현정, <국어과 학습 부진아의 쓰기 지도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진영호, <주자독서법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차진영, <국어과 협동학습의 실천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채금자,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국어과 마인드맵 기법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가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의 신문활용교육(NIE)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건환, <국어 어휘력 신장을 위한 한자어 지도법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명엽, <독서 성향이 학생의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독서 감상문 중심으로 ->, 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윤성, <비판적 읽기 지도 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은정, <일본어 모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방안>,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혜선, <말하기·듣기 영역의 교육과정 변천 과정 연구 -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혜영, <한국어 독학용 교재 개발 연구 - ­기초 단계를 중심으로 ->,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표은영,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수록된 고사성어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피혜정, <중학교 듣기·말하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 7차 교육 과정 듣기·말하기 내용 고찰을 통해서 ->,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하동희, <‘설’ 양식의 표현 원리를 통한 글쓰기 교육>,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하지선,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상관성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옥경, <자기 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윤정, <‘아줌마’, ‘아가씨’, ‘언니’ 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의 적용 ->,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인석, <고등학교 국어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혜연, <문법 교육에서의 구성주의 수업 적용 방안>,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성, <국어과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영혜, <가족독서를 통한 독서지도 방안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정연, <중학교 생활 국어 교과서 문법 단원의 평가와 재구성>,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정옥, <중학교 1학년 한문 교과서의 분석 연구 - ­한자 , 한자어를 중심으로 ->,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지선, <한자어 학습이 국사 교과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경근, <‘문장의 문법성’의 판단 기준에 비추어 본 「고등학교 문법」의 문제점>, 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미숙, <과정중심의 글쓰기 전략 학습을 통한 작문능력 신장 방안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은주, <중학생의 어휘력 평가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미동, <문단 퍼즐을 활용한 문단 연계 능력 향상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병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한자 교수-학습 모형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옥심, <독서지도에 대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인식>,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은필, <고등학교 국어과 말하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모둠별토의 학습활동을 통하여 ->,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정호, <네트워크를 활용한 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 ­이야기글을 중심으로 ->, 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Anna Izabella Paradowska,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의 발음과 청취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잡지>

강보유, “중국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교수법”,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승혜, “재미교포 성인 학습자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요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강진호, “청소년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교과서, 문학 교육, 교사­‘분단 소설’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9.
강현화, “해외 한국어 교사 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논의”,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고광수, “학교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고전문학 교육의 한 방향 - 강호가사의 교육적 의미­”, 문학교육학 10.
고석주, “학습자 말뭉치에서 조사 오류의 특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고지용, “토론 내용 이해 전략”,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곽춘옥, “연행(演行)의 관점에서 본 동화구연(口演)",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구현정, “말실수의 유형과 교육적 의의 ", 한국사회언어학회 가능 정기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사회언어학회.
권순희, “매체 변화에 따른 유머의 표현 기제”, 국어교육연구 10.
권순희, “수업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연구”,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권순희, “텔리비전 뉴스의 표현 분석과 국어교육",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권영민, “특집·한국인의 국어 능력:국어 능력 평가의 의미",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권재일,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김경연, “청소년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외국에서의 청소년을 위한 문학 생활화 방안 ­독일의 청소년문학 교수법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9.
김광해, “LA 지역의 한국어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 조사”,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김광해, “한국에서의 한국어 평가”, 국어교육연구 10.
김대행, “고등학교 교과서와 독서 교육”, 독서연구 7.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과제",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김대행, “국어교육학을 위한 언어 재개념화",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국어교육연구 10.
김도남, “읽기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김도남, “텍스트 이해 교육의 접근 관점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김도남, “텍스트 이해에 대한 관점과 독서 지도 과정 탐색”, 독서연구 7.
김동환,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김명순, “인성 발달을 돕는 독서 지도 방안”, 독서연구 7, 한국독서학회.
김명순, “읽기교육에서의 과제의 기능",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김명순, “표현적 쓰기의 특징과 지도 방향”,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문웅, “국어의 올바른 사용에 대하여", 초등국어교육 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김미옥, “학습 단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통계적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봉순, “균형있는 읽기교육의 가능성”,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김석회, “고전시가 연구와 국어교육”,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성룡, “중세시대의 대구 학습과 문학 교육”, 문학교육학 9.
김성주, “터키어 모국어 화자들의 한국어 학습 시 나타나는 오류 분석”, 제1회 한국학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성주, “터키어 화자들의 한국어 학습 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분석”,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김성진, “문학 작품 읽기 전략으로서 비평에 대한 시론”, 문학교육학 9.
김수업, “국어 교사의 길",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육학회.
김승희, “토의 발화 구성 방식과 기법”,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김양선,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여성 성장소설의 대중화”, 문학교육학 10.
김양희, “인민학교 1학년 교과서 제재 분석”, 국어교육연구10.
김영곤, “캐나다의 TESL 교사 양성 과정”, 국어교육연구9, 국어교육연구소.
김영란,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반성과 과제-초등학교 국어과 1-4학년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7.
김영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언제}”,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순·임지룡, “몸짓 의사소통적 한국어 교수법 모형”,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김왕규, “국가 수준의 한자 기초학력 평가 연구(Ⅰ) 중학교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1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유미,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재봉, “창조적 국어사용과 논증문화 ",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재봉, “효과적인 토의학습”,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김재욱,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회화 교재의 구성원리 및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숙·김유정, “한국어 학습 말뭉치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김정숙·남기춘,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과 교육 방법”,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정우, “국어교육에서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김정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김정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 제15회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집, 한말연구학회.
김정은,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 제도 평가 항목 개발 및 모의 평가 연구”, 2002년도 한국어해외보급사업 제1차 공동워크숍 발표집,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김정자, “국어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의 수용”,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김정자, “전자우편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0.
김종철,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대학 교양 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의 방향”, 문학교육학 10.
김중섭,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신, “국어교육 연구에서의 ‘이해’영역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김중신, “청소년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문학교육학 9.
김진섭, “초등 문법 교육을 위한 탐구 학습 프로그램 연구", 어문학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김창원, “국어교육과 문화론",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창원,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고전문학의 생활화에 관한 하나의 단상 ­향가를 예로 하여­”, 문학교육학 10.
김창호, “귀국 학생을 위한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김태곤, “학습자 활동중심의 언어사용 기능 신장 방안", 백록논총 4-1,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김태준, “특집:한국 어문학과 근대적 제도­‘문(文)’의 전통과 근대 교육제도", 한국어문학연구 3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혜숙, “모둠 활동에 나타나는 말하기·듣기의 개념 틀에 대하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김혜숙,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말하기의 효과적 표현과 전달 매체 언어 자료를 활용한 모둠 활동을 통해 ",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김혜영, “글쓰기 과정에 나타난 장르의 선택 조건과 변용 가능성”,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혜영, “서평:Learning a Second Language Through Interaction by Rod Ellis(1999) Philadelphia, PA: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86 pp”,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혜정, “개화기부터 미군정기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괄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10.
김혜정, “텍스트 이해에서 의미 구성의 층위와 인지적 상호 작용”,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김호웅, “중극의 조선어문시험 평가방식의 실태와 특성”, 국어교육연구 10.
노마 히데키, “일본어권 한국어 교사의 기본조건”,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노마 히데키, “한국어 문법교육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 특히 일본어 모어화자를 위하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노명완, “중학교 국어 교과서와 독서 교육”, 독서연구 7.
노명완, “특집·한국인의 국어 능력:국어 교육과 국어 능력",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노은희, “대중문화의 국어교육적 의의”,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데와다까 유끼, “중국조선족학생들의 민족언어와 민족문화의 유지도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118,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명형대, “현대소설 연구와 국어교육”,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묘춘매,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현황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 10.
문금현,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連語) 학습 방안”,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민현식, “교수화법론", 화법연구 3, 한국화법학회.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민현식, “국어문법과 한국어문법의 상관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국제학술대회논문집 1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 “특집·한국인의 국어 능력:한국인의 국어 능력 실태",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한자 논쟁의 사회 정치 문화적 의미와 어문 정책", 아세아연구 110,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민현식·윤희원·김종철, “한국어교육 전공 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 선청어문30,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기석, “국문학연구와 국어교육의 상관성”,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박남식, “외국어 문법 교육의 주요 쟁점 - 한국에서의 외국어로서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박덕재, “교사의 피드백이 언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교육 9-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박덕재,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인터넷 듣기 실험을 중심으로 -",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박복선, “청소년문화와 국어교육의 소통을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박붕배, “특집:21세기 언어 교육 정책 - 대한제국 말기의 국어 교육과 일제 시대의 조선어 교육 - ­”, 교육한글 15, 한글학회.
박붕배, “대한제국 말기의 국어 교육과 일제 시대의 조선어 교육”, 21세기 언어 교육·정책토론회,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박선희, “개작과 프로젝트를 통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변과학기술대학교 제6회 연토회 6,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교.
박성은, “토의 절차와 규칙”,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박수자, “경상 방언 초등학습자의 받아쓰기 검사 활용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수자, “쓰기 과정에서 내용 생성에 초점을 둔 쓰기 지도”,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박수자, “지식과 창의성의 맥락에서 본 쓰기 유형 개발",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박영목, “독서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사회·문화적 접근”, 독서연구 7.
박영목, “작문 활동 과정에서의 사회인지적 의미 협상”, 교육연구논총 18,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박영목,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과 협동 작문”,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박영민, “작문 학습에서 비평문 쓰기의 의의",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육학회.
박영순, “정보화 시대의 이중언어교육”,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박용익, “학생들의 말하기 교육을 위한 대화분석의 활용 방안",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박태호, “초등 국어과 교수·학습 현상의 개념과 해석 모형",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태호,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읽기) 교과서와 독서 교육”, 독서연구 7.
반갑순, “초등학교 유의어 지도 방법 연구", 어문학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방성원, “고급 단계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제12차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방성원,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방인태, “국어과 문화생산 교수/학습론", 어문연구 3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방인태, “문화생산 작문교육론", 한국초등국어교육 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배현숙,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우리어문연구 17, 우리어문학회.
배현숙,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 현황 및 문제점”,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배현숙,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제점”, 2002년도 동계 학술발표회, 우리어문학회.
서상규·유현경·남윤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서유경, “국어교육에서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 교수-학습 방법 연구 - ­”,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서유경, “국어과 전자 교과서의 개발 방향 연구”,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서유경,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통합적 문학교육 연구”, 문학교육학 10.
서인석, “고전산문 연구와 국어교육”,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서정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새 문법 체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서종학, “한국어 교재 평가의 실제 - Lukoff(1993)을 대상으로 -­”,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서종학, “한국어 교재의 학습내용에 대한 실제적 평가 - Lukoff(1993)을 대상으로 -­”, 어문연구 116,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서혁, “국어과 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사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서현석, “국어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의 의미",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서희정,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거절 표현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석주연, “영국에서의 국제영어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 및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 국어교육연구 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석주연,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불규칙 용언 교육 방법에 대한 일고찰”,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선주원, “대화적 관점에서의 소설교육 교수-학습 전략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선주원, “상상력 형성을 위한 이해와 표현으로서의 소설교육”, 문학교육학 10.
선주원,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 의한 소설교육",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육학회.
성기철, “국어학과 국어 교육”,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성기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성낙수, “중국 연변 지역의 한국어 연구”,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손성옥,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국어교육연구 10.
손영애, “1-6차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체제 및 내용 분석 연구”,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손정수,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문인과 독자의 교류 방안을 위한 시론”, 문학교육학 10.
손춘섭·김천갑·김광희·송인동·박재익,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과 현실적인 문제”,언어학 10-3, 대한언어학회.
송덕희, “집단 유형에 따른 토론학습 지도(수업 사례)”,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송현정, “국어지식 영역의 교과서 제시 방식에 관한 분석 -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과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신구진, “사회문화이론에 근거한 협력학습에서 ESL 교사의 역할”, 언어학 10-2, 대한언어학회.
신명선,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읽기 방법의 설계에 대한 시고”,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신수민, “토론 학습의 집단 구성”,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신종희, “중학생 PC 통신언어의 실태 분석”, 국어교육연구 34, 국어교육학회.
신현숙, “한국어 대화의 교수모형:질문과 응답”,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신현재, “학교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학교 문학교육의 위상과 지향점”, 문학교육학 10.
신화연, “토론 학습의 특징”,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신희삼, “방언 영역의 교재 구성에 관하여”,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심승자, “프랑스 바칼로레아와 한국어”, 국어교육연구 10.
심영택, “국어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안기화, “호주의 한국어 평가방식·실태 및 평가 내용 및 개선 방법 모색”, 국어교육연구 10.
안주호,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엄혜숙,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어른의 문학 생활화와 어린이 문학 - 어린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문학교육학 10.
염은열, “광고교육을 위한 문학 지식의 변용 가능성”,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염창권, “초등학교 문학수업의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염창권, “초등학교 문학수업의 문화기술적 연구 - 교과서 활용양상을 중심으로 - ­”, 문학교육학 9, 한국문학교육학회.
염창권·조은주, “학습일지(Learning Logs)에 나타난 6학년 학생들의 문학 반응 양상",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왕단, “중국 대학교 한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 ‘한국어시청설’과목을 중심으로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우창현, “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말하기, 듣기 교육", 시학과 언어학 4, 시학과 언어학회.
우형식, “문법 교육과 탐구 학습”, 교육논총 4, 부산외대교육대학원.
우형식, “한국어 어휘 교육의 방향”,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원진숙·박나리, “영어권 교포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원진숙·윤준채·전아영, “SSR 활동이 학습자의 읽기 태도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위숙량, “토의·토론학습 관련 교육과정 분석”,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유성기·곽재용·천경록·이원희,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읽기·쓰기 수행평가 연구(Ⅰ)", 한국초등국어교육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성기·곽재용·천경록·이원희,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읽기·쓰기 수행평가 연구(Ⅱ)", 한국초등국어교육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성호, “시 교육에서 비평의 위상과 역할”,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유성호, “학교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화자의 양상에 따른 시 교육의 여러 층위”, 문학교육학 10.
유수열, “향가 형식론의 행방과 글쓰기 교육의 한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유숙영, “단기 한국어 연수 과정의 프로젝트 중심 수업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유정아, “문학활동 설계모형 개발 및 적용”, 문학교육학 9.
유정종, “토의를 촉진시키는 교사의 행동”,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유현경·강현화, “유사관계 어휘정보를 활용한 어휘교육 방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유현경·서상규,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부사 사용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윤금선, “신문에 나타난 어문교육”, 국어교육연구 10.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현대 문학 정전 연구”, 국어교육연구 10.
윤천탁, “어문 규범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과서 표기의 문제점",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윤치부, “<국민소학독본>의 국어교과서적 구성양상과 그 의미",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이경화, “국어과교육에서의 창의성 계발 수업 방안 ", 전라북도열린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전락북도열린교육학회.
이경화,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이관규, “국어 지식 영역의 연구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이관규, “제7차 문법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문법 내용적 특징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구14, 국어교육학회.
이광숙,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학과의 현황”,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이남호,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전자시대의 문화와 독서”, 문학교육학 10.
이다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들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이도영, “국어교육”,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이도영, “음성 언어 교육과 문화 창조", 전국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도영, “음성 언어교육과 문화창조",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동은, “한국어 평가담화의 특징”,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동재, “미국에서의 국제 영어 교사 양성 실태와 바람직한 교사 자질”,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이득춘, “<한국어표준문법>의 문법술어에 대하여”,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의 현황과 연구>, 월인.
이명찬,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현대사회에서 시가 읽히는 방식”, 문학교육학 10.
이문규, “국어지식 교육과 문화 창조",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문규, “화법의 개념과 화법교육의 방향", 어문학교육 25, 한국어문교육학회.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병규, “국어지식 교육의 위상 재고", 초등국어교육 12, 서울교대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이병규, “국어지식의 성격과 국어지식 영역의 목표", 한국어교육 17,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삼형, “국어교육 연구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이상구, “국어과 교육에서의 통합 교육 방법­ - ‘문학 중심 주제 단원 학습법’을 중심으로 -",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이상구, “학교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구성주의적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와 방법”, 문학교육학 10.
이상태, “사고력 함양 중심의 작문 교육 계획", 어문학 75, 한국어문학회.
이석주, “한국어 문화의 내용별·단계별 목록 작성 시고",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이성만, “논증이론과 논증분석”,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이성영, “국어교육 내용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이성은·오은순, “문학중심 총체적 언어교육 활동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수진, “초등학교 읽기 수업의 발문 범주 체계 연구", 청람어문교육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5, 청람어문교육.
이숙영, “찬·반 대집단으로 나눠 전원이 참여하는 토론 학습(수업 사례)”,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이숭원, “시 연구와 시 교육의 관계”,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승용, “외국어 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강의와 교사의 역할”, 외국어 교육연구소논문집, 외국어 교육연구소.
이승희·황민아, “3-6세 한국 아동의 보조사 발달에 관한 연구 - 은/는, 만, 도 -", 언어청각장애연구 7-2,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이영자·이다미·고소영, “귀국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평가 방식 개발을 위한 연구”, 응용언어학 18-1, 한국응용언어학회.
이은경,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은경, “한국어 교재의 경어법 사용 분석”,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은희, “국어교육과 광고텍스트",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이은희,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이은희, “사회언어학과 국어교육",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이인제, “초등학교 고학년 국어(읽기) 교과서와 독서 교육”, 독서연구 7.
이인제·민병곤·이재기, “북한의 읽기 교육 현황 분석 - 교수 요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 ­”, 독서연구 7, 한국독서학회.
이재기, “중등 국어과 통일 관련 내용 분석 및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 모색", 통일교육연구 1,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이재기, “창의적 사고력과 관련된 국어과 수업 실태 분석", 초등장학자료 2002-35, 전라북도 교육청.
이재원, “예측성과 비예측성 사이에 존재하는 중도로서의 창발현상”, 게르만 어문학 12, 한국외국어대학교 게르만어문학연구회.
이정원, “언어발달과정 및 언어습득", 제20회 청각언어교육연수회 발표집, 한국청각언어교육연구회.
이정희, “한국어 오류 판정과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주행, “한국어의 발음 교육 방법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이지영,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특징 연구”,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창덕, “수업 대화분석 연구의 필요성과 그 과제”,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이채연, “인터넷을 활용한 국어과 쓰기 지도의 수업모형 구안과 그 효과”,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해영,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기초한 한국어의 화용 교육”,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이해영,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용 지침서 개발 연구”,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현희, “토론 판정 기준과 판정 방식”,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이희경·강승혜·김미옥, “한국어 성취도 평가 문항 개발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임경순, “비평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쓰기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임규홍,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쓰인 몇 가지 용어에 대한 연구",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임미성, “통합적 국어교육을 위한 교과서 구성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임성규, “국어지식의 교수 학습 방법과 적용 원리”, 국어교과교육연구 4, 국어교과교육학회.
임지룡, “「영어:영국의 국가 교육과정」에 대하여”,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임지룡·김영순·김연화, “교사 손동작의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중등교육연구 49,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임천택, “국어과 교육에서 ICT 활용의 실태와 방향",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임천택, “작문 교육을 위한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공간 모형 설계 방안”,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임천택,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모형 연구",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육학회.
임천택, “하이퍼텍스트의 특성과 작문교육적 의의 고찰",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임칠성, “‘교육 토론’의 모형과 의의”,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임칠성, “채팅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석화 정재완 교수 정년기념논총』, 석화 정재원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임칠성, “초급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장미라, “초기국어문법에서의 조사 인식과 분류체계 양상”, 경희어문학 22,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장윤희, “국어사 지식과 고전문학 교육의 상관성”,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장향실, “중국어 모국어 화자의 한국어 학습시 나타나는 발음상의 오류와 그 교육 방안”,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장흥권, “최근 일본에서의 조선어교육열”,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전정미, “대학생을 위한 말하기 교육”,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정구향,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범주와 수용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정끝별, “21세기 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시교육 방법론(1) - 패러디와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 ­”, 문학교육학 9.
정동빈, “Comprehension of Complex English Sentences by Bilingual Korean Children”, The Journal of Foreign Studies 1-6, 중앙대학교부설외국어문학연구소.
정명숙, “한국어 억양의 기본 유형과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정승혜, “한국에서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정재찬, “캘리포니아 주의 모국어 교육”,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전국국어교사모임.
정재훈, “호주에서의 국제 영어 교사 양성 실태”,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정준섭, “특집:21세기 언어 교육 정책 - 21세기 국어 교육 정책 - ­”, 교육한글 15, 한글학회.
정준섭, “21세기 국어 교육 정책”, 21세기 언어 교육·정책 토론회,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정지은, “토론 절차와 규칙”,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정현선,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정현선,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정혜승,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분석 - 교과서 요인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정혜승, “국어 교과서 연구의 회고와 전망”,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정혜승, “남북한 국어 교육의 회고와 전망”,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정혜승, “초등학생의 간접적 표현의 이해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조남민, “한국어 교육용 교재에 나타난 불규칙 용언에 관한 분석”,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조병영,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과 진술에 관한 연구 - 미국, 영국, 일본의 자국어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조수근, “한국인에 의한 영어 관계절의 습득 - 외국어 습득에 UG 가 작용하는 하나의 증거 - ­”, 언어학 10-3, 대한언어학회.
조은주, “주제에 대한 알맞은 이유를 들어가며 토의하기(수업 사례)”,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조은주, “토론 참여자의 역할”,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조창규, “교육용 어휘의 단위”,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조항덕,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사 양성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조항록·조현선·한송화, “한국어 배치고사 개발 사례 연구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배치고사를 중심으로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조희정, “근대 계몽기 어문교육 연구의 개념 및 범주 - 서우(西友)를 중심으로 -­",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진명숙, “토의 학습에 학생들의 참여를 확대시키는 방법”,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진제희, “교실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교사의 역할”,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차경애, “내용 중심 학습을 통한 몰입 모델 연구”,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차호일, “작문이론의 교육적 접근", 한국초등국어교육 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채련강, “대만의 대외중국어 교사 양성 실태”,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천경록, “읽기 교육방법과 사고구술", 한국초등국어교육 2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최두묵, “WBI를 활용한 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청람어문교육 24, 청람어문교육학회.
최명환, “문자 언어교육과 문화창조",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최미숙, “성인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성인의 문학생활화 방안”, 문학교육학 10.
최미숙,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시의 어제와 오늘", 시안 5-1, 시안사.
최미숙, “표현교육 연구의 반성과 제언”,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최수길, “토의를 위한 집단 구성 전략”, 광주초등국어교육연구 5.
최순희, “중국에서의 대외 한어 교사 양성 실태”,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최영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재 구성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2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최은규,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 및 제안”, 국어교육연구 9, 국어교육연구소.
최인자, “다중 문식성과 언어문화교육”,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최지현, “청소년을 위한 문학 생활화의 방법:인터넷에서의 청소년 문학 생활화 방안”, 문학교육학 9.
추이진단, “중국어권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교육”,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하세가와 유키코·이수경, “한일 한국어 교재의 문법 실러버스 비교 분석”,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귀은, “서사전략 내면화를 위한 집단적 소설 쓰기 수업”, 문학교육학 9, 한국문학교육학회.
한귀은, “영화적 서사체 쓰기 전략과 서사 교육",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한귀은, “유추적 상상력에 의한 동종화자 서사체의 다시 쓰기 학습법”,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한귀은, “타자와 온몸으로 만나는 문학교육 - 시교육을 중심으로 - ­”, 문학교육학 10.
한명숙, “문학교육의 정서 탐구", 청람어문학 24, 청람어문교육학회.
한명숙, “창의적인 국어 수업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 방안", 전라북도열린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전락북도열린교육학회.
한상미, “학습자 자율성에 기초한 한국어 어휘 교육 사례 연구”, 한국어 교육 1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성일, “우리말다운 번역과 국어 교육",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한송화,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분석 - 전성 어미에서의 오류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한재영,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연구 방향과 실제”, 제1회 동남아 한국학 연구 워크숍(1st Korean Studies Workshop in Southeast Asia),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KAREC).
한창훈, “고전문학 감상 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상상력의역할에 대한 시론”, 문학교육학 9.
허용, “용언과 활용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접근”, 한국어문학연구 15,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회.
허용, “한국어 교수-학습에 나타나는 오류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언어와 언어학 30,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허용,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음운론적 고찰”,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허재영, “국어 지식 교육의 내용과 방법 - 7차 교육 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 ",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독서 범주와 교고서”, 경원어문학 6, 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허재영, “북한 고등중학교 1학년 {국어}의 체재와 내용",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황미향, “‘국어지식’ 내용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연구",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水口里香, “日本語類義語の意味境界についての硏究”,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Anna Parado, “Production of Korean Vowels by Polish Learners An Experimental Phonetic Approach”, SICOPS 2002 JSEP The Third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onetic Science 1, The Phonetic Society of Korea.
Anna Parado, “폴란드어 화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Flege의 이론에 입각하여 - ­”, 말소리 1, 대한음성학회.
Boonma Pippidhana, “태국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평가”, 국어교육연구 10.
Craig C. Merrill,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Da-Mi Lee·Kwee-Ock Lee, “The Acquisition of Korean Numeral Classifiers by Korean/English Bilingual ”,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Eun-Joo Kim, “Development of writing accuracy through error feedback”,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Han, Jae-Young, “Korean Proficiency Test and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 Korea-Australasia Research Centr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Ihn Tae Bah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ulture Productio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In-ran Choi, “A Social Approach to Research on Written language”, 응용언어학 18-2, 한국응용언어학회.
Jin-hee Suh, “The Linguistic Patterns in the Naming of Brands in Korean”, 응용언어학 18-2, 한국응용언어학회.
K. Seon Je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tudy of Korean Negation”,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Kim, Myung-Hee, “Segmental Vs. Prosodic Approach to Listening Comprehensio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9-2, 한국외국어교육학회.
Kyong-ae Yu, “Culture-Specific Concepts of Politeness”, 응용언어학 18-2, 한국응용언어학회.
Kyung-Ae Jin, “The Effect of Teaching Listening Strategies in the EFL Classroom”, LANGUAGE RESEARCH 38-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Lee, Chang-in, An Analysis of Web-based Instruction based on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ROCMELIA 6-1 중화민국 다매체 영어교육학회(ROCMELIA)
Lynne Hansen, “Keeping a Second Language”, 응용언어학 18-2, 한국응용언어학회.
Nam-kyu Park, “Anxiety and Relations of Power:An Interview Study of Two Korean ESL Learners”,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Namkil Kim, “BOOK REVIEW:Studies on Korean in Community School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Namkil Kim, “The Importance of Grammar in Korean Language Teaching”,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Park, Hye-Sook, “The effects of explicit focus on form on L2 learning”, 영어어문교육 8-1,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Seong-Chul Shin & Gene Baik, “Learning to Teach:Needs Analysis for a KFL Teacher Training Program Australian Survey­”,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Seong-Chul Shin, “Australian Students' Lexical Errors in Korean : Type, Frequency and Cause”, 한국어 교육 13-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Seong-Chul Shin, “Korean in Australian School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Shinhye Kim,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an EFL Context”, 현대문법연구 28, 현대문법학회.
Soo-Ok Kweon, “Subject/Object Asymmetry in wh-Question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Su-jung Woo·Jeong-hwa Lee, “Conceptual Metaphors for Happiness in Korean and English”, 응용언어학 18-2, 한국응용언어학회.
Sun Hee Kim, “The Acquisition of the English Article System : A Case Study”, 언어학 10-1, 대한언어학회.
Takako Yasuta, “Perception of Korean Stops by Japanese Speakers”,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Vladimir Vercholyak, “러시아 대학의 한국어교육과정의 현 능력 평가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 10.
Wilfried Herrmann, “Teaching Korean Grammar to German Speaker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Young-in Mo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Plagiarism in Summary Writings”, Language Research 38-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Yutani Yukitoshi,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론”, 국어교육연구 10.

<기타>

김석득, “유럽지역 한국학교 순회강의”, 한글새소식 356, 한글학회.
김석득, “유럽지역 한국학교 순회강의”, 한글새소식 358, 한글학회.
김슬옹, “문맹과 문해력", 한글새소식 362, 한글학회.
김옥란, “중국인에게 한국어 발음을 가르칠 때의 몇 가지 방법 - 자음 /ᄉ/의 발음 훈련을 중심으로 - ­”, 한글새소식 359, 한글학회.
손원일, “우물 안의 독수리 - ­국어 학습 영역의 세분화는 오판 -", 한글+한자문화 3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월드컵과 한자교육", 한글+한자문화 3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중·고 ‘국어’에 병기된 한자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한글+한자문화 3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의도, ““외곬으로 베풂을”의 발음”, 미디어 춘천MBC 95,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그들을 추모하는가, 죽음을 추모하는가?”, 미디어 춘천MBC 98,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병적표의”, “진위 여부”를 가리겠다고?”, 미디어 춘천MBC 96,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우편물 겉봉의 “~님 귀하””, 미디어 춘천MBC 97, 춘천문화방송(주).
임지룡, “글쓰기를 위한 말본 교육 (1)", 한글새소식 363, 한글학회.
임지룡, “글쓰기를 위한 말본 교육 (2)", 한글새소식 364, 한글학회.
정용원, “국어 교육의 현주소", 한글새소식 359, 한글학회.
최현섭, “相生話用”, 국어교육의 변천과 발전전망(제2회 한·일 국어교육 국제세미나 자료집).
최현섭, “초등교원양성을 위한 ‘국어과 교수법’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학진).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편집실 편,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오류 실태”, 말과글 92,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