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문자·표기
<단행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 정우봉).
국립경주박물관, 『문자로 본 신라 - ­신라인의 기록과 필적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국어연구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집 발간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창).
국립국어연구원, 『로마자 표기법 왜 개정해야 하나』.
국립국어연구원, 『로마자 표기법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인명­』,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일반용어­』,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지명­』,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한자 이체자 조사 - ­표준 코드(KS C 5601)한자를 중심으로­ -』,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준석).
권재선, 『한글의 세계화』, 우골탑.
김덕길, 『미국식 영어발음 올바른 한글표기법』, 광야.
김봉태,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 ­산스크리트·티벳·파스파 문자 -­』, 삼우사.
김항만, 『한글의 비밀 : 한글을 위한 명상』, 세인.
나찬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월인.
남권희,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 청주고인쇄박물관.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옛문헌 한글 글꼴 발굴·복원 연구­ - 17.18세기 문헌을 중심으로 -­』, 연구 사업 보고서(책임자:박병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국제 문자 코드계의 한자표준화에 대한 연구』, 연구 사업 보고서(책임자:이재훈).
반재원,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 한배달.
오희복, 『리두』, 역락.
이정용, 『한국 고지명 차자표기 연구 (경인한국학연구총서 6)』, 경인문화사.
전정례·김형주,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광·정승혜·양오진, 『이학지남』, 태학사.
정보통신부 편, 『다국어 정보 처리를 위한 유니코드 (V3.0) 한자의 이체자 연구』, 정보통신부.
정재영, 『다산 정약용의 『兒學編』』, 태학사.
조오현·김용경·박동근, 『컴퓨터통신언어사전』, 역락.
충북대학교 박물관, 『순천김씨묘 출토 간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편, 『조선 중기 새 법령 모음 ≪各司受敎≫』, 청년사.
홍윤표 외,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학위논문>

김서형, <국어의 연결어미 ‘-아’와 ‘-고’의 연구­구결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인옥, <「대명률직해」의 ‘-호, -재’에 대한 연구>, 경상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재민, <구결로 본 보현십원가 해석>, 연세대 석사 학위 논문.
와타나베 다카코, <훈민정음 연구사 -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성렬, <향가에 나타난 ‘攴’과 ‘支’의 고찰>, 목포대 석사 학위 논문.
이전경, <15세기 불경의 구결 표기법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임은정, <『종덕신편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 ­표기·음운을 중심으로­ ->,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해수, <남·북한 정서법에 관한 비교 연구>,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성숙,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표기법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진지연, <『번역노걸대』의 표기법과 음운 연구>, 경성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고 테루오, <이두자료의 경어법에 관한 통시적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中嶋弘美, <향가와 만엽집 시가의 비교연구­향가 난해구 해독을 위한 제언­>,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리항, “훈민정음의 창제년월일확정과 민족글자사용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강인선, “문자·표기”,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강인선, “연희식 축사의 용자법에 대하여”, 구결연구 8, 구결학회.
강현화, “ISO 2382 용어에 대한 북한용어집과 KS 통합 완성본과의 비교 연구”, 2002 우리말 컴퓨터처리국제 학술대회 6, 중국 정보학회/한국어정보학회.
강현화, “ISO 2382 용어에 대한 북한용어집과 KS 통합 완성본과의 비교 연구”, 전문용어연구 4, 전문용어공학센터(kaist KORTEM).
고정의, “대명률직해의 이두와 그 특징”, 구결연구 9, 구결학회.
권병로·이득춘, “19세기 중국어학습서의 한글표기가 보여주는 근대 중국어 어음의 몇 특징고찰”,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권용경, “‘(ㅅ)’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권재선, “대구·경산·청도의 옛 지명 연구”,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권종성, “조선어정보처리에서 나서는 언어학적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김동언·러스 킹, “개화기 러시아 관련 한글 자료에 대하여”, 한글 255, 한글학회.
김두식, “한글 서체 특성 표현을 위한 대표 글자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김무식, “번역노걸대 언해문의 정오”, 문학과 언어 24, 문학과언어학회.
김문경,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훈독현상­한일근세의 가점 자료­”, 구결연구 8, 구결학회.
김문웅·남권희, “「마경초(언해)」에 대한 서지와 특징”,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김민수, “차자표기 음독의 ‘隨書者之便’에 대하여”, 구결연구 9, 구결학회.
김수남,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역사적 변천과 원리”, 인문학연구 28, 조선대 인문학연구소.
김연주, “<營造儀軌>의 工匠도구 표기 연구”, 언어과학연구 20, 언어과학회.
김연주, “<營造儀軌>의 部材 명칭 해독”, 한국말글학 19, 한국말글학회.
김연주, “<營造儀軌>의 용기명 표기 해독”, 민족문화논총 25,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김영만, “구결어 如의 독해법 연구”,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김영욱, “11세기 문법형태들을 찾아서”,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영일, “<삼국사기 지리지>에 관련된 국어학적 문제”,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김영일, “≪삼국사기 지리지≫의 지명 고찰”, 한글 257, 한글학회.
김정우, “번역의 관점에서 본 국어 외래어 표기법”, 국제어문 25, 국제어문학회.
김종택, “於乙買(串)을 다시 해독함”,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김주원, “十九史略諺解 卷一에 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 40, 한민족어문학회.
김흥규, “한국문화의 국제적 교류와 옛한글”, 『21세기 세종계획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정우봉).
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疏(卷35) 釋讀 자료에 나타난 독음 고찰­‘-’, ‘-’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26,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경란, “<법화경> 이본의 입겿 연구--영남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전국학술발표논문집, 언어과학회.
남경란, “<법화경> 이본의 입겿(口訣) 연구 - ­영남대학교 소장본을 중심으로 -­”, 언어과학연구 21, 언어과학회.
남경란, “<불설사십이장경> 입겿의 이본에 대하여”, 어문학 75, 한국어문학회.
남경란, “麗末鮮初에 간행된 새로운 입겿 자료에 대하여”, 국어사자료학회 전국학술발표논문집, 국어사자료학회.
남경란, “여말선초에 간행된 새로운 입겿 자료에 대하여”,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남광철, “조한번역에서의 문장부호처리에 관하여”,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남권희, “<삼략> 판본과 언해본 3종 비교”,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남풍현, “신라시대 구결의 재구를 위하여”, 구결연구 8, 구결학회.
남풍현, “新羅華嚴經寫經 造成記의 해독과 그 어휘”,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도수희, “영동 지역의 옛 지명에 대하여”, 지명학 8, 한국지명학회.
도수희, “지명·인명의 차자 표기에 관한 해독 문제”,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박병천, “옛문헌 한글 글꼴 발굴·복원 연구 - ­15·16세기 문헌을 중심으로­ -”, 『글꼴 2002』, 한국글꼴개발원.
박병천, “월인석보 한글 문자의 조형성 고찰 - ­월인석보 권1·2의 한글 큰 문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박봉곤,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박선우, “근대국어 ‘역행 중철표기’애 대한 음운론적 해석”,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선우, “남북한 맞춤법의 변천과정과 통일방안­자모 - 배열 및 형태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박성종, “문자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박성종, “이두에서의 훈독에 대하여”, 구결연究 8, 구결학회.
박성종·박도식, “15세기 상원사 입안문서 분석”, 고문서연구 21, 한국고문서학회.
박용식, “<대명률직해>에 나타난 ‘爲有’에 대하여”,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박용식, “<대명률직해>에서의 이두 형태의 생략에 대한 연구”, 경상어문 8, 경상어문학회.
박형익, “국어 어문 규정과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박희숙, “<화랑세기> 향가의 차자표기에 대하여”,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백두현, “≪조선관역어≫의 미해독어 ‘則卜論荅’(寅時) 고찰구”, 국어학 40, 국어학회.
백두현, “신자료 <십구사략언해> 제이지이 연구”,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서형국, “<구급간이방> 권7의 서지와 언어에 대하여 - ­만송문고본을 중심으로 -­”,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송민규, “PC통신 언어에서 나타나는 폐음절화의 경향”, 『디지털 시대의 언어와 문학 연구』, 국제어문학회.
시정곤, “특집·띄어쓰기:명사 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신은경, “남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안배근, “사이시옷의 표기 변천”, 국어문학 37, 국어문학회.
안병섭,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통일 방향”,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안병희, “<훈민정음>(해례본) 三題”, 진단학보 93, 진단학회.
안주호, “≪眞言勸供·三壇施食文 諺解≫의 진언표기방식 연구”, 국어학 40, 국어학회.
안주호, “망월사본 <진언집>을 중심으로 한 진언표기의 기초적 연구”,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안주호, “안심사본 <진언집>과 망월사본 <진언집>의 비교 연구”, 배달말 31, 배달말학회.
양명희, “특집·문장부호:현행 문장 부호의 사용 실태”,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양희철, “구결/향찰 “-立/音-”의 연구­상대존대법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양희철, “향찰 “音”의 한자음 연구“, 인문과학논집 25, 청주대 인문과학연구소.
여규병, “특집·띄어쓰기:신문의 띄어쓰기”,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여태명, “한글 민체에 관한 연구”,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여태명, “한글 민체의 자형미 고찰”, 『글꼴 2002』, 한국글꼴개발원.
오미령, “일본 중세의 논어훈독­明経博士家인 淸原家의 訓点本 六種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9, 구결학회.
왕문용, “한글 자음의 명칭 개정을 제안함”,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윤치부, “<국민소학독본>의 국어교과서적 구성양상과 그 의미”,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이건식, “유니코드 기반 대규모 DB개발에서 옛한글 구현 방안”,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정우봉).
이경호, “자연 언어 처리와 문장 부호”, 『디지털 시대의 언어와 문학 연구』, 국제어문학회.
이기동, “근대국어의 표기형식에 대하여­ - 「한중록」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 17,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이미향, “<松澗貳錄>에 나타난 고유어 연구”,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이병선, “阿羅, 安羅 지명의 어원과 그 비정문제”,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이상억, “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승연, “<화음계몽언해>의 표기와 문법”,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이승재, “구결 자료의 ‘-ㄱ-’약화, 탈락을 찾아서”, 한국문화 30,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이승재, “부호의 자형(字形)과 제작 원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승재, “특집·문장부호:옛 문헌의 각종 부호를 찾아서”,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이승재·안효경, “각필 부호구결 자료에 대한 조사 연구 - ­誠庵本 『瑜伽師地論』 卷第5와 卷第8을 중심으로 -­”, 구결연구 9, 구결학회.
이은규, “<삼국사기>지리지의 지명 표기 용자례”, 한국말글학 19, 한국말글학회.
이익섭, “특집·띄어쓰기:띄어쓰기의 현황과 전망”,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이익섭, “특집·문장부호:문장 부호의 중요성과 우리의 현실”,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이장희, “6세기 兄의 신라 한자 훈에 대하여”,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이장희, “고대 국어 자료 오류의 비정”, 지명학 8, 한국지명학회.
이정복, “인터넷 통신 시대, 한글의 세계화를 꿈꾸며”, 정보통신윤리 38,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이정복, “전자편지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 변용 현상”,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이태영, “21세기 세종계획과 한민족 언어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임동훈, “띄어쓰기의 현황과 과제”,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임동훈, “특집·문장부호:현행 문장 부호의 미비점과 대안”,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장경준, “구결점(口訣點)의 위치 변이에 대한 기초 연구­ - <유가사지론> 권 5, 8을 중심으로 -­”, 국어사자료연구 3, 국어사자료학회.
장경준, “점토석독구결 자료에 기입된 구결자와 대응 구결점에 대하여­ -『유가사지론』 권5, 8을 대상으로 -­”, 구결연구 9, 구결학회.
장경준, “한자의 자형에 따른 구결점의 위치 변이에 대한 기초 연구 ­유가사지론 권5, 8을 대상으로­"”, 제26회 공동연구회 발표 논문집, 구결학회.
장광군, “조선어 한자약어 소고”,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장은하, “남북한 맞춤법의 분화와 통일­소리에 관한 부분을 중심으로­”,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전수태, “특집·문장부호:남북한 문장 부호 비교”,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정경일,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방안”,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3,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정경일, “영어 교과서의 로마자 표기 양상”,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정재영, “선어말어미 ‘-ꑔ-(-겨-)’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정재영, “한국의 구결”,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정재영·박진호, “구결 자료 전산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정희창, “특집·띄어쓰기: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천소영, “m∨r∨형 지명어 재고”, 지명학 7, 한국지명학회.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배경과 그 어휘 연구”, 한글 258, 한글학회.
최남희, “고대국어 자료 「叱」의 소릿값과 기능”,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최동권, “한글과 파사파문자, 그리고 불교의 관계"”, 제8회 국제몽골학회 논문집, 국제몽골학회.
최병수, “조선글자의 컴퓨터부호화와 국제표준화에서 나서는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최중호, “고려 시대 석독 구결의 ‘-ㄹ 이름법’ 연구”, 새얼어문논집 15, 새얼어문학회.
최호철, “남북한 언어 통일과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최희수, “한국어 자모 순서 통일안”,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한재영, “향가의 ‘支'와 ‘攴'에 대하여", 제6회 환태평양 한국학 국제학술대회 세계적 전망에서의 한국학, Pacific and Asia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허철구, “특집·띄어쓰기:법률의 띄어쓰기”,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옛한글의 개념에 대하여”,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정우봉).
홍윤표·김완서, “2002년도 한글 글꼴 개발 현황”, 『글꼴 2002』, 한국글꼴개발원.
황금연, “『탁지준절』의 어휘 표기 대한 일 고찰 - ­차자 표기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황선엽, “향가에 나타나는 '遣'과 '古'에 대하여”, 국어학 39, 국어학회.
石塚晴通, “漢子文化圈の 加點史から見た高麗口訣と日本語初期訓點資料”, 口訣硏究 8, 口訣學會.
小林芳規, “한국의 각필점과 일본의 고훈점의 관계”, 구결연구 8, 구결학회.
陳力衛, “일본 신한자어의 형성에 미친 한문 훈독의 영향”, 구결연구 8, 구결학회.
四村浩子, “日本愛媛縣北字和郡三間町毛利家藏 「三體詩」의 角筆點에 관하여”, 구결연구 8, 구결학회.
沖森卓也·강인선 역, “고대일본의 문자법”, 구결연구 9, 구결학회.
E.Wyn Roberts, “Hangul - A Novel Phonological Theoretical Paradigm”,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Jean-Pierre Jaffré, “Han'gŭl and French Orthography:Differences and Similarities”,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Nicolas Tranter, “The 'Ideal Square' of Logographic Scripts and The Structural Similarities of Khitan Script and Han'gŭl”,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Sang-Oak Lee, “Comparative Analysis of Rankings of Lexical Frequency and Orthographic Syllable Frequency”,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기타>

고명균, “Language(Introducing Korea)”, www.studyinkorean.go.kr, 국제교육진흥원.
김세중, “‘원음주의’는 외래어 표기법의 대원칙이다”, 말과글 92,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박영준, “문자의 역사”, Digital POST 9월호, 정통부 우정사업본부.
유만근, “꼭지 이응[ŋ] 초성 글자”, 성대신문 1317, 성균관대학교.
유만근, “소밭갈이 필기법”, 성대신문 1323, 성균관대.
이병선, “한글, 한자문화 칼럼:매스콤과 한자표기의 효율성”, 한글+한자문화 4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중·일의 한자표기 인·지명의 발음 문제”, 한글+한자문화 3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의도, “a, b, c와 우리 성명”, 미디어 춘천MBC 91, 92, 춘천문화방송(주).
이의재, “한글 세계화의 전제조건”, Digital Post 9월호, 정통부 우정사업본부.
전한준, “기획논단:중국 간체자에 관한 소고”, 한글+한자문화 4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정용기, “한글, 한자문화 칼럼:독서와 문자체계”, 한글+한자문화 4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정희원, “외래어 특집:‘외래어 표기법’은 외래어만 적는가?”, 새국어소식 53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진태하, “기획논단:중국의 간화자 수용에 대하여”, 한글+한자문화 4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