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정책
<단행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 정우봉).
국립국어연구원, 『2002년 신어』,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 박용찬).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연구분석』,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운영).
국립국어연구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집 발간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창).
국립국어연구원, 『공무원 국어 시험을 위한 제안 문제 유형을 중심으로』,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양명희).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순화 자료집』,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최용기).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연구 논저 목록 1(1991~2001)』,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박민규).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연구 자료 구축 1』,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박민규).
국립국어연구원, 『국어학 연감 2002』(담당자:박민규).
국립국어연구원, 『기본어휘 선정 및 사용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이익환).
국립국어연구원, 『남북 언어 순화 자료집 1 남과 북이 서로 같게 순화한 용어를 중심으로』,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승재).
국립국어연구원, 『로마자 표기법 왜 개정해야 하나』. 국립국어연구원, 『로마자 표기법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 바른 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법령문의 국어학적 검토 법무부 검토 의뢰 법령을 중심으로­ꡕ,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김문오).
국립국어연구원, 『북한 방송 용어 조사 연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전수태).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조선말 사전(학생용)> 분석』,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양명희).
국립국어연구원, 『어문 규범 준수 실태 조사 Ⅲ 』,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최혜원).
국립국어연구원, 『어문 규범의 단계적 개발을 위한 초등학생의 글쓰기 분석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창).
국립국어연구원, 『언론 외래어 순화 자료집』,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최용기).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인명』,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일반용어』,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지명』,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우리 문화 길라잡이』, 학고재
국립국어연구원, 『제품 설명서의 문장 실태 연구 1』,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김문오).
국립국어연구원, 『주요 어휘동사편 (상/하) ㄱ~ㅂ』,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호성).
국립국어연구원, 『주요 어휘동사편 (상/하) ㅅ~ㅎ 』,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호성).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최혜원).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한자 이체자 조사 표준 코드(KS C 5601)한자를 중심으로』,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준석).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와 언어학 관련 사이트 자료집』,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승재).
국립국어연구원,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조남호).
권오운, 『우리말 지르잡기 신문·방송·문학작품·교과서에 잘못 쓰인 우리말 곧추기 , 문학수첩.
김민수편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김병기, 『아직도 ‘한글전용’을 고집해야 하는가?』, 다운샘.
김복문, 『(국어의 영어식 로마자 표기법 일람표를 통해)한국어 쉽게 배워 말하기 = A step-by-step handbook for speaking Korean』, 무역출판사.
김상준, 『남북한 보도방송 언어연구 우리 언어의 동질성 회복은 가능한가?』,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슬옹·김불꾼·신연희, 『뜻 깊은 큰 소리 한글이름』, 다른우리.
남영신, 『나의 한국어 바로 쓰기 노트』, 까치글방.
문화관광부편 , 『국어 정책 자료집 2002』, 문화관광부.
문화관광부, 『LA지역의 한국어 교육 실태 조사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김광해).
문화관광부, 『남북한어의 공동 순화 방안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구본관).
문화관광부, 『토박이말 이름 어휘집』, 문화관광부.
문화관광부,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조철현).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 구축』,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김흥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서상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옛문헌 한글 글꼴 발굴·복원 연구 17.18세기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 사업 보고서(책임자:박병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전문용어의 정비』,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최기선).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분과』,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홍재성).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한민족 언어 정보화』,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이태영).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사용자 설명서』, 연구 용역 보고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국어 발전 종합계획 시안』.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국제 문자 코드계의 한자표준화에 대한 연구』, 연구 사업 보고서(책임자:이재훈).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한영 병렬 말뭉치 용례검색 시스템(HepMan 2.0)』,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엔아이비소프트).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디지털(사이버)한글박물관 구축 운영 사업 2002년 결과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홍윤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1 “한국어 교사 교육·연수를 위한 표준 교육 과정”시행 시안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조항록).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2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 제도 평가 항목 개발 및 모의 평가 연구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민현식).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3 “한국어교육 총서 『한국어 교수법』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한재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1 “한국어” 초급(말하기·듣기) 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실물 교재 개발 최종 보고서 1 듣기』,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이해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1 “한국어” 초급(말하기·듣기) 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실물 교재 개발 최종 보고서 1 말하기』,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이해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2 “한국어” 중급 1 교재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김정숙).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서상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1 2002년도 한국어 세계화 포탈 사이트 개발 및 구축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유석훈).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2 “한국어세계화 단위기지 개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윤희원).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2년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3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김하수).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한국어 교사 초청 연구 사업 최종 보고서ꡕ, 사업 용역 보고서(책임자:고성환) 박영순 편 , ꡔ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박영신, 『(겨레 학문의 선구자)외솔과 한결의 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박인환, 『(바른 우리말 길잡이)선생님 이 말이 맞아요?』, 세원미디어.
반재원,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한글 국제화를 위한 제언』, 한배달.
방송위원회편, 『방송언어 사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방송위원회.
손범규, 『(아름다운 우리말을 위해)아나운서가 간다』, 살림출판사.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정보화 연구인력 양성』, 사업 용역 보고서.
연합뉴스편 , 『북한어휘사전』, 연합뉴스 민족뉴스취재본부.
원영섭, 『틀린말 바른말』, 참이슬.
이민홍, 『언어민족주의와 언어사대주의의 갈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선웅·정희창, 『우리말 우리글 묻고 답하기』, 태학사.
조오현·김용경·박동근, 『남북한 언어의 이해』, 역락.
천용택·차종환 공편, 『달라진 남한 말과 북한 말』, 예가.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21세기 언어 교육·정책 토론회 』.

<학위논문>

강혜원, <한글 맞춤법의 띄어쓰기에 관한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보균, <학생들의 한글맞춤법 표기 실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현진, <남북한 맞춤법 규범의 비교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변경애, <한자 병용 정책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방법>,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육선주, <부산지역언어의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방송언어 오용실태 연구>, 경성대 멀티미디어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해수, <남·북한 정서법에 관한 비교 연구>,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훈탁, <남·북한 언어규범의 비교와 통일 방안 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용기,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단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鈴木紀彦, <한국에서의 한자병용논쟁과 그 의의>, 상명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신항, “일본어 투 순화 실태와 문제점”,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강신항,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와 운서”, 새국어생활12-3, 국립국어연구원.
강은국·강영, “남과 북의 어휘사용의 이질화에 대한 소고”,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고성환, “디지털 (사이버) 한글 박물관 구축과 정보화” ,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고창수, “한국어 구문 분석기의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ꡕ, 태학사.
곽재용, “방송에서의 외래어 사용 실태”, 진주교육대학교 논문집 44, 진주교육대학교.
곽충구, “방언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권인한, “발음법의 통일 방안 모색”,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3,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김기석, “남북한 국어순화의 전개 양상과 그 전망”,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김기종, “중국조선어어휘규범화작업에 대한 회고와 당면한 문제점 및 그 발전전망” ,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김민수, “민족어의 통일문제”,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김민수, “학술회의 소감 2” ,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김병선, “현대문학 연구의 정보화 ­현대시 연구 전자도서관 구축방안­”,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김상준, “보도 방송언어의 변천”, KBS한국어 연구논문 53, KBS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김상준, “남북한 방송보도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비교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김석득, “물들어가는 방송언어와 그 대응방안”, 외솔회지 5, 부산외솔회.
김선호, “대전 소재 대학생들의 한글 맞춤법·표준어 규정에 대한 인지 실태 연구”, 어문연구38, 어문연구학회.
김성수, “우리말을 지키기 위하여”, 새국어교육 64,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영황, “학술회의 소감 3”,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김진영, “판소리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과 연구 전망”,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김흥규, “한국문화의 국제적 교류와 옛한글”, 『21세기 세종계획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사업 용역 보고서 (책임자:정우봉).
김희숙, “ A Study on the Recent Attempt to Make English Official in the South Korean Society”,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김희숙, “한국어의 세계적 전파 믿음인가? 가능성인가?­”,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김희숙, “한국어의 세계화전략”,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 한국문화사.
남기심, “남북 언어의 이질화와 그 극복 방안”,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남윤진, “국어연구와 빈도 정보”,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문영호, “언어의 민족성을 구현하는 것은 우리 말의 통일적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기본방도”,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민현구,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와 집현전 학자들 ”,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국어 순화 정책의 회고와 전망”,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남북 띄어쓰기 규범 문제의 현안 - 새로 나온 <조선말 띄어쓰기 규범>과 비교하여”,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3,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민현식, “한자 논쟁의 사회 정치 문화적 의미와 어문 정책” , 아세아연구 110,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민현식, “세칙안의 따옴표, 묶음표, 이음표” , 문장부호 세칙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주제발표.
박갑수, “방송언어의 어휘변천”, KBS한국어 연구논문 53, KBS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박봉곤,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박붕배, “대한제국 말기의 국어 교육과 일제 시대의 조선어 교육” , 21세기 언어 교육·정책 토론회 ,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박선우, “남북한 맞춤법의 변천과정과 통일방안 - 자모배열 및 형태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ꡕ, 국학자료원.
박영순, “응용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ꡕ, 한국문화사.
박형익, “국어 어문 규정과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박홍길, “신문의 외국어 사용 실태 조사”, 외솔회지 5, 부산외솔회.
방혜숙, “통일시대를 향한 남북한 언어 정책”,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변정용, “남북한의 한글 부호”,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서상규, “한국어 말뭉치의 구축과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서유경, “국어과 전자 교과서의 개발 방향 연구”,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소강춘, “정보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 SynKDP를 중심으로 -­”,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송영빈, “일본의 국어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시정곤, “ 21세기 국어학의 방향”, 『국어학 연구 50년 』, 혜안.
시정곤, “특집·띄어쓰기:명사 연결체의 띄어쓰기 실상과 처리 방향 ”,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신은경, “남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심병호, “최근 우리 나라에서 진행한 어휘규범화사업에 대하여” ,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안동언·두길수, “국어 어문 규정 검색 프로그램 개발” ,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안병섭,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통일 방향”,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안병희,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의 생애와 학문”,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양명희, “특집·문장부호:현행 문장 부호의 사용 실태”,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여규병, “특집·띄어쓰기:신문의 띄어쓰기”,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유만근, “우리말 /글 로마자표기법 종전안 비판과 대안” , 『음성언어 연구의 어제와 오늘 』,태학사.
윤천탁, “어문 규범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과서 표기의 문제점”,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이건식, “유니코드 기반 대규모 DB개발에서 옛한글 구현 방안”,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사업 용역 보고서 (책임자:정우봉).
이광호, “개화기의 어문정책”, 동양학 3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이기성, “한국 출판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이돈주,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와 훈민정음” ,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이봉원, “북한 언어공학의 현황과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이수화·정도상, “정보화 시대와 인문학의 역할”,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이승재, “특집·문장부호:옛 문헌의 각종 부호를 찾아서”,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이승재, “한국어와 정보 처리 환경”,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이이화, “특집·신숙주의 학문과 인간:신숙주의 문학과 사상”,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이익섭, “특집·띄어쓰기:띄어쓰기의 현황과 전망”,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이익섭, “특집·문장부호:문장 부호의 중요성과 우리의 현실”,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이정복, “인터넷 통신 시대, 한글의 세계화를 꿈꾸며”, 정보통신윤리 38,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이태영, “ 21세기 세종계획과 한민족 언어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이호영, “방송언어의 음성언어 변천”, KBS한국어 연구논문 53, KBS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임동훈, “국어정책”, 『국어학 연감 2002 』, 국립국어연구원.
임동훈, “띄어쓰기의 현황과 과제”,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임동훈, “특집·문장부호:현행 문장 부호의 미비점과 대안”,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임동훈, “현행 문장 부호의 보완과 세칙안”, 문장 부호 세칙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주제발표.
임용기, “지명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장은하, “남북한 맞춤법의 분화와 통일 -­ 소리에 관한 부분을 중심으로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전수태, “특집·문장부호:남북한 문장 부호 비교”,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정경일,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방안”,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3,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정경일, “영어 교과서의 로마자 표기 양상”,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 한국문화사.
정동환, “통일 시대의 외래어 표기법”,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정재영·박진호, “구결 자료 전산화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정준섭, “ 21세기 국어 교육 정책”, 21세기 언어 교육·정책 토론회,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정혜승, “국어 교과서 연구의 회고와 전망”,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정희창, “특집·띄어쓰기: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조규태, “영어 공용어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세계화시대의 국제어 』, 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조남호, “‘21세기 세종계획’의 균형 말뭉치 분석”,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조성문, “국어 어문규정에 대한 신세대의 인지도 분석”,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채완, “사이시옷 규정과 문자 생활의 현실”, 인문과학연구 8, 동덕여대 인문과학연구소.
채완, “세칙안의 마침표와 쉼표”, 문장 부호 세칙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주제발표.
최용기, “광복 이후 외래어 투 순화 실태와 문제점”,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최용기,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국문학논집 18,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최용기, “통일 시대의 국어 순화”,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최윤갑, “중국에서의 조선어어휘규범화와 그 특성”,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최호철, “남북한 언어 통일과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최호철, “남북한 통일 표준 발음법 시안”,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최희수, “규범화에서 제기되는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태평무, “학술회의 소감 1”,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 국립국어연구원.
하치근, “남북 맞춤법의 통일화 방안”,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3,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한학성, “영어 공용어 논쟁에 나타난 우리 사회의 비논리성과 위선”, 21세기 언어 교육·정책 토론회 , 한글학회·한겨레신문사.
허재영, “근대 계몽기의 어문 정책”, 국어교육연구 10.
허철구, “로동신문의 어휘와 문체에 대한 연구”, 2002 신진연구자 북한 및 통일 관련 논문집 3, 통일부.
허철구, “특집·띄어쓰기:법률의 띄어쓰기”,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학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 태학사.
홍윤표, “옛한글의 개념에 대하여”, 『비표준문자등록센터 운영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사업 용역 보고서(임자:정우봉).
홍종선, “남북 표준어의 통일화”,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 국학자료원.
Chin W. Kim, “Korean in the 21st Century:Prospect and Challenge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Vladimir Pucek, “남북한 한국어의 「이질화」와 「동질화」 문제”,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기타>

곽재용, “바보같은 한글날”, 경남신문 1009, 경남신문사.
국립국어연구원, “언론의 외래어·외국어 사용 실태 개선 (31)”, 새국어소식 42,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 “언론의 외래어·외국어 사용 실태 개선 (32)”, 새국어소식 43, 국립국어연구원.
김문오, “법령문의 순화(6)”, 새국어소식 42, 국립국어연구원·한국어세계화재단.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오류(1)”, 새국어소식 49, 국립국어연구원·한국어세계화재단.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오류(2)”, 새국어소식 50, 국립국어연구원·한국어세계화재단.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오류(3)”, 새국어소식 51, 국립국어연구원·한국어세계화재단.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오류(4)”, 새국어소식 52, 국립국어연구원·한국어세계화재단.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오류(5)”, 새국어소식 53, 국립국어연구원·한국어세계화재단.
김성규, “외래어 특집:배터리는 역시 로○○ 밧데리”, 새국어소식 53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김수연, “국어 정책 행정을 하면서 얻은 보람과 아쉬움 - 아 ! 한글날은 언제 국경일이 되려나-­”, 한글새소식 362, 한글학회.
김정태, “법망의 일상과 국어”, 어문생활 52, 한국어문회.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9 - 사과로 사과[사:과]하세요 - ­”,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2 - 이 자리를 빌려 - ­”,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4 - 우승을 바랐지요 -­”,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8 - 아빠 꽃은 [꼬츤] 여기 있지 -­”,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9 - 쉰일곱 돌 광복절 -­”,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방송 언어를 다시 생각한다”, 제주MBC 65, 제주문화방송.
박경희, “외래어 특집:외래어 바름의 문제”, 새국어소식 53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박창원, “외래어 특집:외래어의 사용과 외국어의 남용”, 새국어소식 53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배동영, “한글 전용으로 우리 민족의 21세기를 개척해야 한다”, 한글새소식 357, 한글학회.
양명희, “남북 국어학자 학술 교류의 현황과 과제”, 『남북문화교류협력사업의 진단과 전망ꡕ,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엄민용, “한글날 특집:한글날은 국경일이 되어야 한다”, 새국어소식 51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유영남, “오류투성이 국어교과서”, 국제신문.
이득춘, “우리말 외래어에 대한 소견”, 연변일보(연길).
이병근,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은 상호보완적으로”, 어문생활 56, 한국어문회.
이설아, “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법석’과 한글 맞춤법”, 새국어소식 51, 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바른 말 사용과 2002 월드컵”, 새국어소식 48, 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방송 자막에서 발견된 잘못 (2)”, 새국어소식 50, 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방송에서 발견된 비표준어”, 새국어소식 52, 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잘못 쓴 우리말 바로잡기 , 한 해를 돌아보며”, 새국어소식 53, 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방송의 국어 오용 사례:잘못된 방송 자막”, 새국어소식 49, 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띄어쓰기의 이해:‘25시(時)와 쿠오바디스 ’”, 새국어소식 52, 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띄어쓰기의 이해:관형사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3, 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띄어쓰기의 이해:어미와 의존 명사”, 새국어소식 50, 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띄어쓰기의 이해:접사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49, 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띄어쓰기의 이해:조사와 의존 명사”, 새국어소식 51, 국립국어연구원.
이응백, “反求諸己(반구저기)”, 한글+한자문화 3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성명”, 한글+한자문화 33,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수도권의 지하철 명칭”, 한글+한자문화 39,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우리 교육은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는가”, 한글+漢字문화 4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학력저하의 근본 원인과 그 해결책을 생각해 본다”, 한글+한자문화 32,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한자교육은 부활해야 한다”, 한글+한자문화 3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한자는 지혜의 근원”, 어문생활 50,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이응백, “혀 수술의 충격”, 한글+한자문화 3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의도, ““~고 싶다”와 “~고자 하다” 바로쓰기“, 미디어 춘천MBC 93,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구장”과 “자문 받다”“, 미디어 춘천MBC 89,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돼지 다섯 두”와 “닭 여섯 마리”“, 미디어 춘천MBC 88,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탄신일”과 “탄신 600돌”“ , 미디어 춘천MBC 94,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하다”와 “되다”의 어긋남, 그리고 “, 미디어 춘천MBC 90,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한글은 우리말이 아니다? ” , 교육 소식 86, 교육인적원부.
장하늘, “‘문장 경찰서’를 세우자”, 한글새소식 360, 한글학회.
전수태, “북한 문화어의 이해:‘간부를 섬기지 말자’”, 새국어소식 47, 국립국어연구원.
전수태, “북한 문화어의 이해:‘강냉이창자’”, 새국어소식 42, 국립국어연구원.
전수태, “북한 문화어의 이해:‘게눈숨듯이’”, 새국어소식 45, 국립국어연구원.
전수태, “북한 문화어의 이해:‘모대기다’”, 새국어소식 46, 국립국어연구원.
전수태, “북한 문화어의 이해:‘밤을 패다’”, 새국어소식 44, 국립국어연구원.
전수태, “북한 문화어의 이해:‘쫄매’” , 새국어소식 43, 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내일 봬요”, 새국어소식 52, 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선물을 주신대”, 새국어소식 53, 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이렇게 해도 돼?”, 새국어소식 48, 국립국어연구원.
정희원, “외래어 표기법의 이해:‘호나우두’와 ‘히바우두’”, 새국어소식 47, 국립국어연구원.
정희원, “외래어 표기법의 이해:노블레스 오블리주”, 새국어소식 46, 국립국어연구원.
정희원, “외래어 표기법의 이해:영어 발음 망치는 외래어 표기법”, 새국어소식 44, 국립국어연구원.
정희원, “외래어 표기법의 이해:외래어 표기는 현지 발음과 가깝게”, 새국어소식 45, 국립국어연구원.
조남호, “국어 정책의 관점에서 본 전문 용어”, 한국학술단체연합회 2002년도 정기학술대회 발표집.
조용구, “방치할 수 없는 우리 어문의 난맥상”, 한글+한자문화 3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최용기, “외래어 특집:외래어 순화의 원칙과 방법”, 새국어소식 53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황건, “외래어 특집:우리말 의학 용어의 순화”, 새국어소식 53 부록, 국립국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