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편찬학
<단행본>

강현화, 『스페인 동사대역 사전』, 신아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연구소 편, 『음성 언어 자료와 국어 연구』, 월인.
고명균, 『한국어 기본용언 활용 예문 사전』, 국제교육진흥원.
고영근 외,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국립국어연구원, 『2002년 신어』,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박용찬).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연구분석』,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운영).
국립국어연구원, 『기본어휘 선정 및 사용 실태 조사를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이익환).
국립국어연구원, 『남북 언어 순화 자료집1 ­남과 북이 서로 같게 순화한 용어를 중심으로­』,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이승재).
국립국어연구원, 『북한 방송 용어 조사 연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전수태).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조선말 사전(학생용)> 분석』,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양명희).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인명­』,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일반용어­』,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 용례집 ­지명­』,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주요 어휘 ­동사편(상/하)­『~ㅂ』,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호성).
국립국어연구원, 『주요 어휘 ­동사편(상/하)­ㅅ~ㅎ』,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정호성).
국립국어연구원, 『현진건의 20세기 전반기 단편소설 어휘 조사』, 연구 사업 보고서(담당자:양명희).
김동환, 『개념적 혼성이론』, 박이정.
김응모, 『한국어 몸동작 자동사 낱말밭』, 세종출판사.
김응모, 『한국어 심리 자동사 낱말밭』, 세종출판사.
김응모, 『한국어 인지심리 자동사 낱말밭』, 세종출판사.
김응모, 『한국어 정서 자동사 낱말밭』, 세종출판사.
김태곤, 『중세국어 다의어와 어휘변천』, 박이정.
노대규, 『한국어의 화용 의미론』, 국학자료원.
노용균, 『한국어 기본 숙어 사전』, 한국문화사.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편, 『한한대사전 5』, 단국대학교출판부.
두산동아 사서편집국 편, 『(초등)새국어사전』, 두산동아.
문병우, 『한국어 화용표지 연구­‘-요’를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 구축』,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김흥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서상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전문용어의 정비』,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최기선).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분과』,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홍재성).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한민족 언어 정보화』,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이태영).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사용자 설명서』, 연구 용역 보고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한영 병렬 말뭉치 용례검색 시스템(HepMan 2.0)』, 연구 용역 보고서(책임자:엔아이비소프트).
민현식·이석주·이주행, 『대중매체와 언어』, 역락.
박용수, 『(새로 다듬은)우리말갈래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박홍길 편,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배도용, 『우리말 의미 확장 연구』, 한국문화사.
서상규·구현정 공편,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서학순·김광혁, 『조선어어휘편람』, 박이정.
송경숙, 『담화 분석­대화 및 토론 분석의 실제­』, 한국문화사.
심재기·채완, 『언어와 의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연세)초등국어사전』, 두산동아.
연합뉴스 편, 『북한어휘사전』, 연합뉴스 민족뉴스취재본부.
윤영은, 『언어의 의미현상 ­영어와 한국어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이양혜, 『한국어 파생명사 사전』, 국학자료원.
이원길, 『한국어 표현방식의 체계 ­국어 문체론 연구­』, 일월서각.
이정애, 『국어화용표지의 연구』, 월인.
이현국, 『화법과 실용문작법』, 학문사.
전성기, 『의미 번역 문법 ­불한번역과 한불번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전영우, 『짜임새 있는 연설』, 민지사.
전정례·허재영, 『얘기 좀 할래요?­대화의 기술­』, 건국대학교 출판부.
전혜영 외, 『속담의 의미와 기능』, 태학사.
정희자, 『담화와 추론』, 한국문화사.
조오현·김용경·박동근, 『컴퓨터통신언어사전』, 역락.
조의성, 『월인석보 어휘색인』, 박이정.
한글학회 편, 『우리 토박이말 사전』, 어문각.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홍윤표 외,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황경자·이수미·윤영은·전혜영·장인봉, 『언어의 의미와 사용(1)』, 태학사.
Miho Choo & William O'Grady, 『HANDBOOK OF KOREAN VOCABULARY』, 한국문화사.
Shin, Yong-Min, 『Possession und partizipantenrelation : Eine funktional-typologische Studie zur Possession und ihren semantischen Rollen am Beispiel des Deutschen und Koreanischen』, University of Erfurt:Dissertation.
Young-ja Beckers-Kim·Helmut Hetzer, 『Hanja:Handbuch und Lexikon der sinokoreanischen Schriftzeichen』, Hollym.

<학위논문>

강소정, <한국어 속에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어휘에 관한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연임, <한국어 생략의 담화론적 연구>, 충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고륙양,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 존대표현의 대조연구>, 상명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미선, <접속부사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중앙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인규, <한국어 사과 화행의 중간언어론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숙, <「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은, <한.중 단음절 한자어 대비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태훈, <한국어 말모둠 구축 방안 연구­형태 분석 말모둠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현진, <남북한 맞춤법 규범의 비교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형정,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혜정,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니라리사, <카자흐스탄 고려말의 문법과 어휘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문병우, <화용 표지 ‘-요’에 대한 연구>, 경상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민복기, <우리말 ‘집’으로 번역되는 한자 유의어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배수자, <별명의 생성 연구­초·중·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창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범기혜, <한중 동형 한자 어휘에 대한 비교 고찰>, 전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봉미경, <한국어 형용사 유의관계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수백, <≪자류주석≫의 새김말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진숙, <동사 ‘치다’의 다의화와 문법화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진홍, <광양 지방의 지명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익호, <국어 섭취동사의 의미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기성, <국어의 차 명칭에 대한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신동일, <국어 은유의 연구>, 한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신은수, <‘둏-’의 어휘 의미에 대한 통시적 연구>, 전북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심련화, <중국 조선어에서의 외래어와 한국어에서의 외래어 비교 연구>, 경기대 국제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쑨타리 랍룽루앙, <한·태 속담의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희제, <현대국어 단음절 한자어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귀순, <<규합총서>의 표기 및 단위어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희, <남북한 화법 원리를 통한 말하기 실상 비교 연구­분단시대 우리말의 동질성 회복을 위하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건환, <현대 국어의 의미확장 연구>, 전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계요, <한·중 사자성어의 대조 연구>, 상명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금주, <고사성어의 변화 양상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금주, <현대국어 지시현상 연구>, 인하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명희, <중국 조선어와 한국어의 어휘차이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미영, <신체어의 은유와 환유­국어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민우, <국어 이동동사의 인지적 의미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숙경, <중세국어 가정부사의 의미체계 변화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애, <국어 의미 중복 표현 연구>, 조선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정식, <국어 다의 발생의 양상과 원인>, 고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정희, <남북한과 중국 어휘비교>, 충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진호, <개화기 국어 어휘 연구­신문 말뭉치의 고빈도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카라시 고이치, <한국어 연구와 한국어의 텍스트 해석>,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행숙, <평가적 판단 형용사의 인지 과정과 영상 도식>,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현숙, <한국어 보조용언의 전산적 처리 연구>, 홍익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근석, <현대 국어의 어휘적 연어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명희, <한국어 매크로 시소러스(Korean macro-thesaurus)의 작성법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다운, <한국어와 중국어의 화행 대조 분석­칭찬과 그 반응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세훈, <담화의 역동적 구조 분석 방법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재범, <어휘탐지 과제에서 보이는 한국어 품사 중의적 어휘의 점화효과>,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강봉, <강·하천의 합류와 분기처의 지명연구>, 전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조영돈, <논증적인 글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경원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조향숙, <현대 국어의 선택표현에 대한 고찰>, 전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미경, <합성동사의 의미관계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원범, <신체어의 성적 상징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장수, <국어 신조어의 특성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정진, <TV 광고 문안 변화 연구­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준호, <한국어 사전 편찬 도구의 설계와 구현>,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평향직, <한국어 종결어미 ‘-지’와 일본어 종조사 「ね」,「よ」에 관한 대조연구­정보영역 이론의 관점에서­>,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성일, <유머 텍스트의 원리와 언어학적 분석>, 경원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허선익, <의미 변동에 따른 동사의 어휘 어미 표상 연구>, 경상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혜진, <미각 형용사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히라이 세이미, <‘계시다’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渡邊浩子, <한국어 종결어미의 대조 분석­일본어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Olga Shestak, <한국어 위치표시 어휘의 통사·의미론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강범모, “생성어휘부 이론의 다의어 기술 방법과 그 적용­동사 ‘사다’와 ‘팔다’­”,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강범모, “술어 명사의 의미 구조”, 언어학 31, 한국언어학회.
강범모, “텍스트 부호화와 문서 표준­TEI/SGML­”,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강범모·이유선·차재은, “다국어 어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론 연구 및 모형 개발 (1)”, 컴퓨터와 인문학 시리즈 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강보유, “중국, 조선, 한국의 현행 어휘사용에서의 의미 이질화에 대한 조사와 분석”,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강소영, “[확연], [당연], [개연]의 양태표지 연구”,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강영, “‘-도록’의 의미 범주 연구”,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강우원, “담화표지 ‘아’와 ‘어’의 특성 비교 연구”, 우리말 연구 12, 우리말학회.
강은국·강영, “남과 북의 어휘사용의 이질화에 대한 소고”,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강현화, “한국어 문화 어휘의 선정과 기술에 대한 연구”,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고명균, “노걸대언해에 나타난 단위성 의존명사의 유형·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한국어문학연구회.
고성환,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영근, “문법과 텍스트과학”,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영근, “텍스트과학, 그 정체성을 찾아서”,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고영화, “관계 형성적 인식과 의사소통에 대하여”, 국어교육학연구 15, 국어교육학회.
고창수, “언어정보산업의 미래와 언어학”, 한국언어문화 21, 한국언어문화학회.
곽은주, “Structural Relations in Korean Discourse Generics”, 언어 27-1, 한국언어학회.
곽재용, “기초어휘로서의 신체어”, 두류국어교육 3, 두류국어교육학회.
곽재용, “의령군 부림면의 지명 연구”, 진주문화 16, 진주문화교육원.
곽충구, “방언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구현정, “조건 담화와 공손법”, 언어과학연구 23, 언어과학회.
구현정, “조건 담화의 순서 교대 단위", 2002 동계 전국 학술 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2, 언어과학회.
구현정, “조건 담화의 순서 교대 양상”, 언어과학연구 21, 언어과학회.
구현정·전영옥, “구어와 구어 전사 말뭉치”,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구현정·전정미·전영옥, “담화 정보 주석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권순희, “청자를 고려한 대화 방법”,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권종성, “조선어정보처리에서 나서는 언어학적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김완진, “사과와 능금, 그리고 ‘멎’”, 국어학 40, 국어학회.
길본일, “‘시간의 화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담화와 인지 9-1, 담화·인지언어학회.
길본일, “사람 가리킴말의 한 고찰”, 언어과학 9-2, 한국언어과학회.
길본일, “시간의 화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2 학술세미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김경석, “한글 전산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거꾸로 간추린 한글 사전의 가나다 차례 원칙”, 한글 256, 한글학회.
김규현, “일상대화에서의 한국어 화제표지 '는' 분석”, WECOL Proceedings, West Coast Conference on Linguistics.
김기종, “개혁개방후 직접옮김법에 의한 조선어단어의 뜻변화”,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기종, “중국조선어어휘규범화작업에 대한 회고와 당면한 문제점 및 그 발전전망”,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김도남, “텍스트 이해의 상호텍스트성”,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김동환, “개념적 혼성과 컴퓨터 유머의 의미구성”,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미경, “한국어 문어체 담화와 대화체 담화의 선호논항구조 비교”,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김미령, “대응 발화의 설정에 대하여”, 우리말 연구 12, 우리말학회.
김미형, “논설문 문체의 변천 연구”,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김민수, “한자어 정리의 한 방안”,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김상윤, “욕설의 특질에 관한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김상준, “남북한 방송보도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비교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김선효, “‘-적’형의 통사적 범주와 의미”,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선희, “부정 양태 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성”, 한글 256, 한글학회.
김선희·오승신, “음성 말뭉치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김성도, “움베르토 에코와의 대담”, 세계의 문학 104, 민음사.
김성호, “한국방송언어 문장 관련 색인", KBS한국어 연구논문 53, KBS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김성화, “형용사 유의어 연구(4)­‘불쌍하다/가엾다’­”, 어문학교육 25, 한국어문교육학회.
김연심, “<시각행위>명칭의 분절구조 연구(3)”,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김영순, “신체언어 연구의 생태학적 관점”, 현대문법연구 29, 현대문법학회.
김영순, “언어적 직시와 비언어적 직시의 평행성”, 언어과학회 2002년 하계 전국 학술 발표대회 발표집, 언어과학회.
김영순, “영상 광고의 텍스트성과 구성원리”, 텍스트언어학 1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영황, “고대와 중세의 어휘변천과정을 통하여 본 조선어의 단일성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김영희, “≪족(族)≫계렬 신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김완진, “어원 탐구:‘문설주’와 그 주변”,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김완진, “어원 탐구:사과참외와 참죽나무”,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김응모, “길쌈 자동사의 낱말밭 연구”, 외대논총 25, 부산외국어대학교.
김응모, “반성과 용서 자동사의 내용연구”, 외대논총 24, 부산외국어대학교.
김응모, “분노 자동사 내용 연구(1)”, 비교문화연구 13,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김응모, “상거래 동사의 낱말밭 연구”, 외대논총 25, 부산외국어대학교.
김응모, “성격 자동사의 낱말밭 연구”, 외대어문논집 17, 부산외국어대학교 어문학연구소.
김응모, “증오·시기 자동사의 내용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김의수, “여타조건과 언어의 공모성”,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언어정보학회.
김의수·강범모, “구문 분석 말뭉치 구축을 위한 분석의 원칙, 방법, 문제”, 제1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김인균, “국어 명사의 의미 특성과 분류”, 시학과 언어학 4, 시학과 언어학회.
김인균, “합성 명사의 의미 관계와 사이시옷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 11, 한국어의미학회.
김정남, “‘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정태, “전래지명어의 소재별 특성 고찰”, 『우리말과 글의 이해』, 이경자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김종록, “종결어미 통합형 접속어미의 사전 표제어 분석”, 어문학 75, 한국어문학회.
김준기, “온도어의 의미 고찰”,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김준기, “촉각어의 의미에 대하여”, 인천어문연구 17·18, 인천어문학회.
김지은, “한, 불 번역에서의 신체부위명사 문제­목적어 명사구로 번역되는 경우­”, 현대문법연구 27, 현대문법학회.
김진수, “요리 관련 어휘의 의미분석­‘나눔’의 의미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26, 우리말글학회.
김진형, “신어(新語)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태엽,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 우리말글 26, 우리말글학회.
김태자, “관례적 사용과 대화적 함축”, 국어교육 107,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형정, “구어 전사 말뭉치의 표기 방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김혜숙, “모둠 활동에 나타나는 말하기·듣기의 개념 틀에 대하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김홍범, “상징어 의미 영역 분류사전 편찬 방안”,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김효중, “번역가능성에 대한 고찰”, 언어학 34, 한국언어학회.
김흥수, “소설의 대화 인용에서 인용 동사 표현의 양상­발화 동사 “말하다”의 쓰임을 중심으로­“, 어문학논총 2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나은미, “한국어 종결어미 ‘-ㅂ시다’의 의미”,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나은영, “'방금'과 '금방'의 의미 고찰”, 태릉 어문 연구 10,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남경완, “한국어 어절 중의성의 출현 양상­어휘의 계량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우리어문연구 19, 우리어문학회.
남광철, “조한번역실천에서 존재하는 몇가지 문제”, 중국조선어문 118,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남윤진, “국어연구와 빈도 정보”,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남지순, “고유명사 자동 처리를 위한 전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남지순, “한국어 명사 전자 사전 DECO-N의 하위 모듈 사전의 구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집 34,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노은희, “청자의 맞장구 유형과 기능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도원영, “교차성 용언의 다의성과 사전 처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도원영, “국어 형용성 동사의 의미적 특성”, 우리어문연구 19, 우리어문학회.
문금현, “광고문에 나오는 간접표현의 의미 분석”,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문금현, “방송에서 문어와 구어의 사용 현황(김용식)에 대한 토론요지문”, 제5회 한국화법학회 전국학술대회, 한국화법학회.
문금현, “복부 명칭 분절구조 연구에 대하여(장은하)에 대한 토론요지문”, 제10차 전국학술대회 발표요지문, 한국어의미학회.
문순덕, “제주 방언 보조조사의 담화 기능”, 영주어문 4, 영주어문학회.
민병곤, “[한국어 속담의 토포스 기능에 대한 화용론적 고찰]”,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SSA,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Argumentation.
민병곤, “토론 담화에서 속담의 진행(move) 기능에 대한 고찰”, 선청어문 30, 서울대 국어교육과.
민충환, “우리 소설, 우리말:<임꺽정>에 나타난 아름다운 우리말”,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민충환, “우리 소설, 우리말:북한과 연변 소설의 속담에 관한 단상”,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민충환, “우리 소설, 우리말:살아 있는 우리말 어휘의 맛”,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개화기 국어 어휘 연구 방법의 재검토”, 동양학 3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민현식, “개화기 한글본 <이언>의 한자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민현식, “속담과 전통인문학적 사유”, 한국어의미학 11, 한국어의미학회.
민현식, “특집:한국 어문학과 근대적 제도­개화기 국어 변화의 계량적 이해­”, 한국어문학연구 3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박갑수, “방송언어의 어휘변천", KBS한국어 연구논문 53, KBS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박금자, “간텍스트성, 변형, 다시쓰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박동근, “음운 주석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박만규, “다의어의 의미 분할과 의미 부류”, 한글 257, 한글학회.
박석준, “선거 후보자간 TV 생방송 합동 토론 대화에서 사용되는 대화 전략에 대하여­이미지 관리 전략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박선자, “우리말 여성 기호의 인지 의미론적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박시현, ““이제”에 대하여“,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박영목, “작문 활동 과정에서의 사회인지적 의미 협상”, 교육연구논총 18,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박영순, “‘말’등에 나타난 인지적 개념화와 은유 생성에 대하여”,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박재연, “중조대사전 편찬과 그 활용”,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박정숙, ““구두뒷굽”에 나타나는 화행 교환 고찰“, 새국어교육 63,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정숙, “‘소지’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철우, “국어 서사문 담화에서의 중심 전이 과정과 응집성에 관한 고찰”, 어학연구 38-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박한기, “‘경험자’ 의미역의 통사적 구현”, 한글 258, 한글학회.
박홍길, “‘-ㄹ다’ 풀이씨 연구”,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박홍길, “국어 어휘 변천 자료 목록­소리 바뀜을 중심으로­”,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배도영, “우리말 ‘귀’의 의미 확장 연구”,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배도용, “다의어 ‘눈’의 의미 확장 연구”, 담화와 인지 9-1, 담화·인지언어학회.
배도용, “다의어와 다의 현상­우리말 명사를 중심으로­”,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배도용, “사전에서의 다의의 배열 순서 연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배도용, “우리말 '귀'의 의미 확장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여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언어과학회.
배도용, “우리말 ‘머리’의 의미 확장 연구”, 국어학 40, 국어학회.
배도용, “우리말 ‘손’의 의미 확장 연구”, 한글 258, 한글학회.
배도용, “우리말 신체어 ‘발’의 의미 확장 연구”,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배성우, “<신발> 명칭의 분절구조 고찰­<재료>를 중심으로­”, 한국어 어휘분절구조 연구 8, 한국어내용학회.
배해수, “<시각> 명칭의 분절구조 고찰”, 한국어내용론 8, 한국어내용학회.
배해수, “<시간> 단위 명칭의 분절구조 고찰”, 한국학연구 17,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배해수, “<시점-끝> 명칭에 대한 고찰”, 한국어내용론 8, 한국어내용학회.
백미현, “한국어 복수 의미 연구”,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변명선, “그림동화 두 형제에 나타난 관용표현 연구”, 인문과학논집 제24집, 청주대 인문과학연구소.
변영수, “고유어 접두사의 의미 양상”,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변정민, “한국어의 인지 단계에 대한 연구­동사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서상규, “공동토론회(주제­연어(連語)) 발표 논문:한국어 정보처리와 연어정보”, 국어학 39, 국어학회.
서상규, “국어정보학 연구의 현황과 방향”,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서상규, “한국어 균형말뭉치의 현황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서상규, “한국어 기본 어휘와 말뭉치 분석”,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서상규, “한국어 말뭉치의 구축과 과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서정욱, “복음서에 대한 영한 번역문 담화분석 비교와 4복음의 종합”, 진리와 학문의 세계 6, 달구벌기독학술연구회.
석주연, “피동의 요소 '히'와 '어지'의 의미차이에 대한 토론", 2002년 봄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성환갑, “반의어 결합 한자어 연구(Ⅱ)­그 의미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1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소강춘, “정보처리 프로그램에 대하여­SynKDP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손세모돌, “발표에서의 부차 언어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손세모돌, “신체 언어 연구­발표에서의 신체 동작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손숙자, “<말> 명칭의 분절구조 연구(3)”,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송경숙, “전자담화에서의 전제(presupposition)분석­인터넷 채팅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송기중, “생성용어와 제정용어를 통해 본 현대국어의 몇 가지 현상(1)”,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 (2)”, 어문학논총 2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송민, “어원 탐구·근대어:‘병원’의 성립과 정착”,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송영미·미즈시마 히로꼬, “한국과 일본의 감사표현 비교연구”, 이중언어학 20, 이중언어학회.
송영화·최성만, “≪눈이 나리는 밤에≫에 대한 문체론적고찰”,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송효빈, “동사 “보다”의 인지적 연구“, 한국언어문학 49, 한국언어문학회.
시정곤 외, “Two Types of Genitive Markers in Korea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Selected Papers from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신명선, “독립신문 기사문의 의사소통 조건에 대한 고찰”,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신지연,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신희삼, “합성법에 의한 다의어 형성의 원리”, 한국언어문학 48, 한국언어문학회.
안경상, “<훈몽자회>에 반영된 15세기 이후의 고유어사용실태에 대한 력사적고찰”,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안의정, “국내외 구어 말뭉치 구축 현황”,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안의정, “형태소 분석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안인경, “텍스트의 관점에서 본 독한 동시통역에서의 관계문 문제”,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양명희, “텍스트이론과 만화”,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양영하, “구어담화에 나타난 ‘쉼’의 기능”,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양영희, “‘시’의 존대 대상에 대하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양창용, “Ani 'no':It doesn't always Mean 'no' in Korean”,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양태식, “어휘론·의미론·사전편찬학”, 『국어학 연감 2002』, 국립국어연구원.
양태종, “문학 텍스트의 수사적 분석­착상을 중심으로­”, 독어학 5, 한국독어학회.
엄훈, “조선 전기 공론 영역 논변의 사례 분석”,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엄훈, “조선시대 공론 영역 논변에 대한 장르론적 접근”,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여찬영, “아가위나무류 한자 자석 연구”,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염재상, “정신역학 이론에서 본 ‘중의성’의 이해­한국어 ‘-ㄹ 수 있다’의 예­”, 한글 255, 한글학회.
염창권, “문학텍스트 이해와 해석의 국면­해석학적 접근 시고”, 초등교육연구 16, 광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오미정, “국어 형용사 {가볍다}의 의미 분석”,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오미정, “남북한 국어사전 편찬의 현황­해방이후 시기를 중심으로­”,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오새내, “동적 언어 이론에 의한 <한국어 명칭 사전> 편찬에 대한 시고”, 한국어의미학회 전국학술대회, 한국어의미학회.
오현금, “언어간 의미 점화 효과”,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인지과학회.
오현금, “이동동사의 인지도식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인지과학회.
우응순·권순회·한창훈, “고시조 시어 시소러스 개발”, 민족문화연구 37,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우형식,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대조언어학적 검토”, 비교문화연구 13, 부산외대 비교문화연구소.
유만근, “남북한 국어사전 표제어 차례 어긋남 문제”, 말과 글 91,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유만근, “옥스포드 영어대사전과 시조”, 말과 글 91,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유영남, “어휘의 오류”,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유춘희, “세 나라 조선어어휘사용 대비분석”, 중국조선어문 117,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유혜령, “‘-로’의 인지의미론적 분석”,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윤광진·김동일, “한국어-중국 조선어 자동 전환 시스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윤석만, “텍스트의 ‘결속성’과 한→불 번역에서의 ‘지시관계’ 번역문제”,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윤석민,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윤석민, “의미 현상과 비의미론적 정보­웃음 상징어의 의미 기술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윤애선, “불-한 이중어정보 자동처리를 위한 연어관계 분석(1)­말뭉치를 이용한 불어 연어 추출­”, 불어불문학연구 50-1, 한국불어불문학회.
윤영은, “의미론”, 『언어의 이론과 분석(1)』, 태학사.
윤재학, “한국어 및 영어의 제외구문의 의미분석”, 언어와 정보 6-1, 한국언어정보학회.
윤평현, “기획특집:한국어 접속어미의 의미”,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이건식, “두음법칙기반 한자독음변환 알고리즘”,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이광호, “유의 경쟁의 통시성 고찰”,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이광호, “유의어 정도성 측정을 위한 집합론적 유형화”, 문학과 언어 24, 문학과언어학회.
이광호, “음식관련서의 분류체계와 어휘특성”, 우리말연구, 우리말학회.
이광호, “집합론적 유형화에 따른 유의어 분석”, 용연어문학, 용언어문학회.
이기만, “평양문화어어휘구성의 주체적발전”,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이기용·홍정하·이종민, “언어정보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의미론 체계의 구축”, 언어 27-3, 한국언어학회.
이득춘, “어휘사의 측면으로 본 우리 말 어휘발달의 몇 개 문제”,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이득춘, “어휘사의 측면으로 본 우리 말 어휘발달의 몇 개 문제”,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민덕, “서술의문문의 화행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이병선, “한자어 사용량의 감소와 사고력의 쇠퇴”, 어문연구 1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성만, “텍스트문화와 텍스트모형­텍스트종류 「부음」의 문화적 차이와 변화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성연, “구약 「요나」의 결속구조 연구”, 한국언어문학 48, 한국언어문학회.
이수련, “소유 도식으로 본 <오다>, <가다>”, 한글 258, 한글학회.
이수련, “소유 표현으로서 ‘있다’의 원형성”, 『낱말의 이해』, 한국문화사.
이승재, “한국어와 정보 처리 환경”,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이양순, “『순천김씨묘간찰』에 나타나는 복식 관련어 연구”, 반교어문학회지 14, 반교어문학회.
이양혜, “‘먹다’의 기능과 의미 변화”,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이예식, “한국어의 초점사 -도는 양보표지인가 역동표지인가?”,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이용주, “음성코퍼스의 공학적 응용 및 국내외 현황”,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이유미, “담화에 나타나는 중의의 유형과 특징”,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이익섭, “번역문의 국어와 비국어”,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이정숙, “쓰기 텍스트구조 분석 양상 고찰­초등학생 글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25,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정화, “A Cognitive-semantic Analysis of the Korean Postpositions -Ey and -(U)lo”,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정화, “A Review of Approaches to Polysemy”, 언어 27-1, 한국언어학회.
이종열, “게슈탈트 요인에 의한 국어의 의미확장 양상”, 어문학 78, 한국어문학회.
이종열, “국어 환유 표현의 사상적 특징과 의미 작용”, 어문학 76, 한국어문학회.
이종열, “혼성에 의한 은유적 의미의 인지 과정”, 담화와 인지 9-1,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종철, “어말어미 ‘-거든’에 대한 화용론적 연구”,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이주행,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화법관에 관한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이찬규, “단어연상에 관한 조사 연구(Ⅰ)”, 語文硏究 1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창인, “컴퓨터 보조 언어학습과 자연언어처리”, 영어영문학연구 46-1,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이채연, “시각언어와 텍스트 구조화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7, 신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이충구, “한자의 육서와 국어주석 고찰 ”, 『고전문학의 현황과 전망』, 역락.
이카라시 고이치, “{-느라(고)}에 대하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이탁, “‘-이여’의 기능 연구”, 국어학 40, 국어학회.
이혜경, “Discourse Connectives Revisited with Reference to so”,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홍식,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일역, “조한번역에서의 원문선행에 관하여”,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임규홍, “국어 정도 부사 ‘너무’의 화용론적 의미”,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임소영·안주호, “어휘 정보 주석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임용기, “지명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임준호·박소영·곽용재·임해창·김의수·강범모,“구문패턴을 이용한 반자동 구문분석 말뭉치 구축도구”, 제1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임지룡, “'긴장감'의 환유 및 은유적 양상", 2002년춘계학술발표회발표논문집, 현대문법학회.
임지룡, “'시간'의 개념화 양상", 2002 한국언어학회 국제 학술대회:한국어학의 오늘과 내일, 한국어학회.
임지룡, “20세기 이후 국어 어휘의 사용 실태와 조어론적 특성”,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임지룡, “‘시간’의 개념화 양상”, 어문학 77, 한국어문학회.
임지룡, “감정 표현의 인지적 양상”, 한국언어과학회 2002년 겨울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언어과학회.
임지룡, “기획특집:기본 감정 표현의 은유화 양상 연구”,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임지룡, “담화와 텍스트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임지룡, “의미론 분야연구사”, 국어국문학회 50년, 태학사.
임지룡, “현대 국어 어휘의 사용 실태와 조어론적 특성”,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임채훈, “국어 비유구문의 의미 연구”,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임칠성, “초급 한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임혜원, “한국어 대화자료에 나타난 이동은유”,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장경희, “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장소원, “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장윤희, “국어 동사사의 제문제”,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정광, “조선왕조실록에 쓰인 곤충과 그 상징성", 2002年硏究會, 日本人自然觀硏究會.
장은하, “<복부> 명칭 분절구조 연구”,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장흥권, “≪어휘구성≫의 리해와 대비연구”,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전병선, “남북 조선어정보처리 비교연구”, 중국조선어문 119,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전성기, “번역과 현대 한국어”, 텍스트언어학 1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전영옥, “구어 원시 말뭉치 구축 방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전영옥, “구어와 구어 전사 말뭉치”,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전영옥, “담화 정보 주석 말뭉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한국문화사.
전영옥, “한국어 담화 표지의 특징 연구”,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전영철, “한정성효과­한정성제약과 비한정성 제약­”,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전정미, “대학생을 위한 말하기 교육”, 화법연구 4, 한국화법학회.
전태현, “대중매체 담화 속의 더블스피크”,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정대호·이정민·남승호, “‘-이나’와 ‘-도’의 의미론­분류사구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정동환, “문학 작품에 나타난 의미 분석­황순원의 ‘소나기’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0, 한말연구학회.
정수진, “국어 상용어구의 의미구성 연구”, 담화와 인지 9-2, 담화·인지언어학회.
정순기,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산생되는 조선어어휘변종에 대한 몇가지 고찰”,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정양완, “국어생활 논단:이런 호칭 저런 호칭­특히 가족 간의 호칭을 중심으로­”,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정연진, “뒤섞기의 해석적 수의성”, Proceedings of the 2002 LSK International Summer Conference, 한국언어학회.
정주리, “의미의 다의성과 체계적 도식화”,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정호완, “‘함(咸)-’계 지명의 형태와 의미”, 우리말글 25, 우리말글학회.
조남현, “우리 소설, 우리말 박태원 소설, 장문주의의 미학과 비의”, 새국어생활 12-1, 국립국어연구원.
조남호, “국어 어휘의 분야별 분포 양상”, 관악어문연구 2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세연, “한국어 반복 동사의 어휘론적 분석", 200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한국어학회.
조재영, “번역에서 전달내용 분석과 핵문”,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조창규, “국어 분류어휘표 작성을 위한 예비 작업”, 『석화 정재완 교수 정년기념논총』, 석화 정재완교수 정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조창규, “소월과 영랑 시어의 계량언어학적 고찰”,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조항범, “어원 탐구:‘아빠, 아버지’의 어원”, 새국어생활 12-3, 국립국어연구원.
조항범, “어원 탐구:‘오빠’와 ‘누나’의 어원”, 새국어생활 12-4, 국립국어연구원.
조화, “조선어 공간화은유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20,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주경희, “속담과 관용어의 차이점­의미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30, 국어국문학회.
주경희, “속담의 교훈성에 대하여”, 국어교육 108,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지인영, “A Metonymic Analysis on Pota”, 담화와 인지 9-1, 담화·인지언어학회.
진갑곤, “국어 산책:한자어와 관계있는 우리말의 어원”,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진경지, “한, 중 속담의 변용과 와전”, 한국언어문화 21, 한국언어문화학회.
진장타이, “略論現代漢語詞匯規範”,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차재은, “‘통일사전’의 올림말 배열 순서”, 한말연구 11, 한말연구학회.
차재은·강범모, “다의 설정의 방법에 대하여”,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차재은·강범모, “한중일영 다국어 어휘 데이터베이스의 모형”,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한국언어정보학회.
채완, “의성어 의태어의 텍스트별 특성”, 국어국문학 132, 국어국문학회.
최경봉, “은유 표현에서 어휘체계의 의미론적 역할”,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최규련, “국어 초점사 ‘이미’의 의미와 기능­상 기능 그리고 양태사 기능과 관련하여­”, 한글 255, 한글학회.
최규일, “한국어와 독일어의 말(어휘) 형성 비교 연구(1)”, 한국어 의미학 10, 한국어 의미학회.
최규일, “한국어와 독일어의 말(어휘) 형성론 비교 고찰(2)”, 반교어문학회지 14, 반교어문학회.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배경과 그 어휘 연구”, 한글 258, 한글학회.
최룡률, “접속토 ≪-아(서), -어(서), -여(서)≫의 뜻풀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21,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기관지.
최병진, “어휘정보구축을 위한 사전텍스트의 구조분석 및 변환”,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최윤갑, “중국에서의 조선어어휘규범화와 그 특성”,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최창렬, “아름다운 우리말 ‘고맙다’의 어원”, 한국어의미학 11, 한국어의미학회.
최태영, “교회용어고(Ⅱ)”, 숭실어문 18, 숭실어문학회.
최형용, “만해 한용운 시의 어휘에 대하여”, 논문집 49, 공군사관학교.
최호섭·옥철영, “한국어 의미망 구축과 활용”, 한국어학 17, 한국어학회.
최호철, “한국어 의미 연구의 나아갈 길”,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태평무, “대비언어학적측면으로부터 본 조선한자어의 구조적특성”,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하길종, “국어 표현의 유일성과 한정성”,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한동완, “어휘 연구 50년”, 『국어학 연구 50년』, 혜안.
한성일, “골계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고찰”, 경원어문논집 6, 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성일, “유머 텍스트의 사회 언어학적 연구”, 사회언어학 10-1, 한국사회언어학회.
한영균, “어휘 기술을 위한 연어정보의 추출 및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국어학 39, 국어학회.
한영목, “산문대화어의 문체”, 『우리 말과 글의 이해』, 이경자교수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한영목, “충남방언 ‘-벼’와 ‘-깨미’ 구문 연구”, 어문연구 40, 어문연구학회.
허왕욱, “다산 정약용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단 구성의 방법”, 한국어문교육 11,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허왕욱, “조선시대 시가에 나타난 동음이의현상의 활용 양상”, 국어교육 109,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허종진, “한국 가톨릭 교회의 교회말 다듬기”, 나라사랑 103, 외솔회.
홍윤기, “상적 의미의 두 요소”, 어문연구 1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홍윤표, “15세기~19세기 자료에 나타난 국어 어휘의 특성”,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1차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학 연구와 정보화”,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홍종선, “공동토론회(주제­연어(連語)) 지정 토론:“한국어 정보처리와 연어정보”에 대한 토론“, 국어학 39, 국어학회.
황화상, “국어 합성 동사의 의미”,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陳力衛, “일본 신한자어의 형성에 미친 한문 훈독의 영향”, 구결연구 8, 구결학회.
Choi, Kyu-Ryun, “The Semantic Analysis of Korean Focus Particle acik”, Selected Papers from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Dong-Young LEE, “How to Represent Korean Dialogue?”, 언어 27-2, 한국언어학회.
Hae-Kyung Wee, “Exhaustivity of Focus”, 언어 27-4, 한국언어학회.
Haeyeon Kim, “Collaborative Turn Completion in Korean Conversation”, Language Research 38-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Ho-Byeong Yoon, “Intellectual Approaches to Korean Poetry: Re-reading Yong-Un Han's "Silence of Love"”,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Hye-yeon Kim, “Co-Construction as an Interactional Achievement in Korean Conversation”,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Hyeran Lee, “Backward Anaphora”, 언어학 10-4, 대한언어학회.
In-Young Jhee, “A Metonymic Analysis on the Korean Verb Pota”,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Jae Gyun Song, “The Exclusive Interpretation of Disjunction”, 언어학 10-3, 대한언어학회.
Jae-Woong Choe, “Extended Focus:Korean Delimiter man”, Language Research 38-4,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Jin-hee Suh, “The Grammar of the Naming of Brands in Korean : The Case of Cosmetics”,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Jin-hee Suh, “The Linguistic Patterns in the Naming of Brands in Korean”, 응용언어학 18-2, 한국응용언어학회.
Jin-hyung Kim, “Lexicon Optimization Reconsidered”, 어학연구 38-1, 서울대 언어교육원.
Jong-Hyun KIM, “Someone's Speech and Speaker's Thought : The Sentence-Final Particle '-ko' in Korean”, 언어 27-2, 한국언어학회.
Ju-shik Kim, “The 'Right & Left' Direction Conceptualization in Cultural Symbol System”,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Kang, Beom-mo, “Categories and Meaning of Korean Floating Quantifiers­with some Reference to Japanese­",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11-4.
Keum-Hyun Moon, “A Study on the Korean Textbook based on the Colloquial Text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Ki-seong Park, “A Semantic Approach to Nominative-Genitive Conversion in Korean Adnominal Clauses”,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Ki-tae Kim, “Invitations to Inferences in Korean Conversations: Contextualization Cues Revisited”,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박이정.
Kim Ki-soo, “Reconciling Two Rival Views of Metaphor Comprehension”,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Kim, Myung-Hee, “Thematic management in Korean narrative”, M. Louwerse and W. van Peer (eds.), Thematics:Interdisciplinary Studi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Koo, Hyun-Jung, “On the Semantic Network and Grammaticaliza- tion of Giving Verbs in Korean", High Desert Linguistics Conference-V, High Desert Linguistics Society.
Kyoung-kook Kim, “Negative Polarity Items and Licensing Condition in Korean”, 『21세기 국어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Kyu-hyun Kim, “Interactive Classroom Discourse as Context of Learning and Socialization”,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Kyung-Hee Suh, “An Interactional Account of the Korean Demonstrative ku in Conversation”, 언어와 언어학 29, 한국외국어대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Lee, Hyeran, “Backward Anaphora”,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언어정보학회.
Lee, Ok-Bun·Jeong, Ok-Ran, “The Effects of Semantic Association Task by Drawing in a Korean Bilingual Aphasic”, 음성과학 9-2, 한국음성과학회.
Lee, Ik-Hwan, “On the Corpus Size Needed for Compiling a Comprehensive Computational Lexicon by Automatic Lexical Acquisition", Computers and the Humanities (The Netherlands) 36-2,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Minpyo Hong, “Optimality Theory in Semantics and the Anaphora Resolution in Korean:An Adumbration”,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Moon, Seung-Jae, “What you hear is what you see?”, 한국음향학회지 21-1, 한국음향학회.
Namkil Kim, “On the Expressions of 'Imminence' of Korean”,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So-Woo Chung, “Conditional Beliefs in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언어와 정보 6-1, 한국언어정보학회.
Sookhee Lee, “On the Semi-Lexical Status of Korean 'come' and 'go'”, Selected Papers from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경진문화사.
Stefan Lorenz Knoob, “Arguments for a New Non-morphological Approach to Korean Voice and Diathesis­Toward an Event Semantics and Constructional Analysis”, 언어학 32, 한국언어학회.
Um, Hoon, “How could the official speakers communicate reasonably with their king?”,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gumentation, ISSA",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Argumentation.
Yong-Beom Kim, “On concession”, 언어와 정보 6-1, 한국언어정보학회.
Yoon Kyung-joo, “The Proposed Universal Semantic Prime THIS in 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Theory:Is there an exponent in Korean?”, 한국어학 16, 한국어학회.
Yoon, Ae-Sun, “Building a Domain-Specific French-Korean Lexicon”, Proceedings p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er",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Yoon-shin Kim, “The Change of Lexical Structure by Causativization in Korean:a generative lexicon approach”,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Young-Sik Choi, “Against Pied-Piping”, 언어와 정보 6-2, 한국언어정보학회.

<기타>

강재형, “한글날 특집:‘장본인’과 ‘전혀·너무’”, 새국어소식 51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구자성, “어의의 재발견 10:한자조기교육의 선행조건으로서의 당면과제”, 한글+한자문화,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김강출, “한글날 특집:‘아리랑치기’”, 새국어소식 51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김정섭, “≪표준 국어 대사전≫을 보고”, 한글새소식 364, 한글학회.
김희진, “거꾸로 말할 것인가”, 한우리 1, 행정자치부.
김희진, “바른 글 쓰기 1:월드컵 대회의 열기 속에서”, 새국어소식 48,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희진, “바른 글 쓰기 2:‘너무’가 넘쳐 난다”, 새국어소식 4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희진, “바른 글 쓰기 3:군살 빼고 혹 떼고”, 새국어소식 50,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희진, “바른 글 쓰기 4:요건 충족 없이 쓰이는 말들”, 새국어소식 51,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희진, “바른 글 쓰기 5:절반의 뜻은 버리고 잘못 쓰는 말들”, 새국어소식 52,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희진, “바른 글 쓰기 6:제 말뜻 찾아 주기”, 새국어소식 53,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탄신’과 ‘탄생’은 다르다”,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모셔야 할 분은 ‘주례’”,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3:환자가 접수하나”,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5:‘버금’은 ‘만년 2등’인데”,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6:답답한 사람이 ‘자문’한다”,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7:‘틀리다’가 틀릴 때”,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0:스스로 ‘놀래지’는 않는다”,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1:‘진위 여부’를 어떻게 가리나”,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2:‘옷차림’도 말해야 ‘인상착의’다”,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3:‘피해’의 용례”,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4:부모, 배우자를 부르거나 가리킬 때”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5:바른말 고운 글 우연히 만나야 ‘해후’­”,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6:‘분리 수거’ 아닌 ‘분류 배출’”,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7:한글이 모국어인가”,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18:‘승부’는 ‘승리’가 아니다”,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0:‘난이도’는 못 높여”,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1:‘저의 나라’는 없다”,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3:직책 하나로는 ‘역임’ 안 돼”,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4:당선 가능성”,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5:아무도 못 피는 담배”,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김희진, “바른말 고운 글 26:선거는 불편부당하게”, 국방일보, 국방홍보원.
박광민, “‘설’과 설‘빔’의 어원”, 한글+한자문화 31,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박용찬, “한글날 특집:상품명과 외래어”, 새국어소식 51 부록, 국립국어연구원.
신용태, “한자와 그 뿌리 4:한자의 수가 왜 많은가?”, 한글+한자문화 40,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심재기, “‘심부름’과 ‘무지개’”, 한글+한자문화 32,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양명희, “20세기를 찾아서:뭐 하는 사람들?­안잠자기, 아이보개­”, 새국어소식 42, 국립국어연구원.
양명희, “20세기를 찾아서:‘땡땡이’를 아십니까?”, 새국어소식 43, 국립국어연구원.
양명희, “20세기를 찾아서:‘호호베니’를 칠한 여자와 ‘세비로’양복을 입은 남자”, 새국어소식 44, 국립국어연구원.
양명희, “20세기를 찾아서:‘증(症)’”, 새국어소식 45, 국립국어연구원.
양명희, “20세기를 찾아서:“식은땀을 술술 흘렸습니다.”“, 새국어소식 46, 국립국어연구원.
양명희, “20세기를 찾아서:“따르를~”“, 새국어소식 47, 국립국어연구원.
유만근, “'Asian Game' 뜻은 ‘아시아 사냥감’”, 대한매일 19722, 대한매일신보사.
유만근, “3월과 석달”, 성대신문 1305, 성균관대학교.
유만근, “홀씨와 여윈 씨”, 성대신문 1313, 성균관대학교.
윤홍기, “‘청와대’와 ‘블루 하우스’는 얼빠진 이름이 아닌가?”, 한글새소식 353, 한글학회.
이운영, “사전의 뜻풀이:‘동성애’와 ‘동성연애’”, 새국어소식 48, 국립국어연구원.
이의도, ““구장”과 “자문 받다”“, 미디어 춘천MBC 89,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돼지 다섯 두”와 “닭 여섯 마리”“, 미디어 춘천MBC 88,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탄신일”과 “탄신 600돌”“, 미디어 춘천MBC 94,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그들을 추모하는가, 죽음을 추모하는가?”, 미디어 춘천MBC 98,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병적표의 “진위 여부”를 가리겠다고?“, 미디어 춘천MBC 96, 춘천문화방송(주).
이의도, “우편물 겉봉의 “~님 귀하”“, 미디어 춘천MBC 97, 춘천문화방송(주).
이재호, “‘잘 빚어진 항아리’ 번역의 오류”, 말과글 90,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25시(時)와 쿠오바디스’”, 새국어소식 49,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도외시(度外視)’와 ‘백안시(白眼視)’”, 새국어소식 46,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삼매경(三昧境)’과 ‘미증유(未曾有)’”, 새국어소식 53,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연리지’(連理枝)와 ‘상사병(相思病)’”, 새국어소식 51,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제왕 절개(帝王切開)’와 ‘주사위는 던져지다’”, 새국어소식 48,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철면피(鐵面皮)’와 ‘사이비(似而非)’”, 새국어소식 45,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판도라의 상자’와 ‘복마전(伏魔殿)’”, 새국어소식 50,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현두각(見頭角)’과 ‘절각(折角)’”, 새국어소식 52,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형이상학(形而上學)’과 ‘형이하학(形而下學)’”, 새국어소식 47,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남상(濫觴)과 미봉(彌縫)”, 새국어소식 44,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모순(矛盾)과 완벽(完璧)”, 새국어소식 43, 국립국어연구원.
이준석, “고사 성어를 찾아서:오비이락(烏飛梨落)”, 새국어소식 42, 국립국어연구원.
이진오, “‘연변’과 ‘옌볜’, 어느 쪽이 옳은가”, 말과글 92,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정재도, “≪우리 토박이말 사전≫을 보고”, 한글새소식 363, 한글학회.
정호성, “‘문득’과 ‘문뜩’”, 새국어소식 51, 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일체(一切)’와 ‘경신(更新)’”, 새국어소식 49, 국립국어연구원.
조재수, “다시, 사전 편찬의 전문화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364, 한글학회.
현남섭, “우리말과 전문 용어를 이어 놓기”, 한글새소식 353, 한글학회.
홍윤표, “국어 어원:‘결혼하다’와 ‘혼인하다’의 어원”, 새국어소식 52,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기침’과 ‘고뿔’”, 새국어소식 51,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낭떠러지’와 ‘벼랑’”, 새국어소식 45,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샌님’과 ‘스님’”, 새국어소식 44,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설거지’의 어원”, 새국어소식 53,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양말’과 ‘양철’”, 새국어소식 47,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양치질’”, 새국어소식 48,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오이지’, ‘짠지’, ‘단무지’, ‘장아찌’”, 새국어소식 46, 국립국어연구원.
홍윤표, “국어 어원:‘원숭이’와 ‘잔나비’”, 새국어소식 50, 국립국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