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기타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정책과 제도
국어 단체 활동
국어 단체의 활동과 연구 성과
국립국어원의 활동과 성과
여론과 쟁점
한국어 교육과 번역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번역에 쓰인 우리말
한국어 교육과 능력 평가
2004~2005년도 국어 교육 동향 소고
국어 능력 시험 실시의 현황과 과제
국어 순화와 전문 용어 정비
국어 순화
전문 용어의 정비
특수 언어와 소수자의 문제
시각장해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의 언어 생활
소수자 언어 실태와 연구 과제
남북 언어
남북 학술 교류의 상황
남북 언어 교류 관련 학술회의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문자·표기
<단행본>

송기중, 『고대국어 어휘 표기 한자의 자별 용례 연구』, 서울대 출판부.
송철의 등, 『증수무원록언해』, 서울대 출판부.
이상혁, 『훈민정음과 국어 연구』, 역락.


<학위 논문>

권성미, <일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정인, <신소설의 표기법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경, <중학생을 위한 맞춤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오, <국어과 웹 기반 한글 맞춤법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대구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배보은, <문자의 자질에 대한 연구>, 경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변혜원, <『용비어천가』의 연구>, 상명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성인출, <18세기 후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계명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성화정, <국어 교과서의 잘못된 표기와 표현 실태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준일, <고등학생 휴대전화 문자 언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지연, <통신 언어자료를 이용한 맞춤법 지도방안>,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송월, <국어 맞춤법의 실태와 지도 방안>, 대구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임수희, <한국어의 음절구조에 의한 철자와 발음 교육>,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영섭, <고등학생의 맞춤법 오류 분석과 교정 지도 방안 연구>, 부경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미경, <한글 맞춤법 교육과 사용 실태 분석 및 지도 방안>,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수진, <한글 맞춤법 지도방안 연구>, 인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호정, <15세기 국어 표기의 지도 방법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황호성, <『글자의 혁명』(1956)에 나타난 최현배의 한글 풀어쓰기론 연구>, 세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일반 논문>

김영일, “어형 ‘나무’의 원형과 형태 변화 -『계림유사』의 표기를 중심으로”, 한글 264, 한글학회.
김정대, “외국 학자들의 한글에 대한 평가 연구 -서구 학자들을 중심으로-”, 국어학 43, 국어학회.
김형배, “파생 부사의 원형 밝히기와 접미사 ‘-이, -히’의 표기 문제 -‘한글 맞춤법’ 조항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15, 한말연구학회.
김흥수, “이른바 개화기의 표기체 유형과 양상”, 국어문학 39, 국어문학회.
나은미, “<독립신문>의 표기법 연구”, 한성어문학 23, 한성대.
박홍길, “우리 말글 잘못쓰기 현실 1 -1986~99년 <조선일보>에 비친 모습-”, 새얼어문논집 16, 새얼어문학회.
안명철, “훈민정음 자질문자설에 대하여”, 어문연구 32-3, 한국어문연구회.
안주호, “『오대진언』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 연구 -성암본과 상원사본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25, 한국어학회.
전병용, “게시판 언어의 국어학적 연구: 방송사 게시판 언어를 중심으로”, 동양학 35,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기타>

김승곤, “한국의 영문 표기는 코리아(KOREA)이다”, 한글새소식 387, 한글학회.
박창원·김수현,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새국어생활 14-2, 국립국어원.
손범규, “발런타인데이와 초콜릿”, 새국어소식 67, 국립국어원.
손범규, “방송 자막의 올바른 사용”, 새국어소식 71, 국립국어원.
양명희, “경쟁율(?) …… 7%를 넘어섬으로서(?)”, 새국어소식 72, 국립국어원.
양명희, “자작극이었다(O)/자작극였다(X)”, 새국어소식 73, 국립국어원.
양명희, “준말의 표기”, 새국어소식 75, 국립국어원.
양명희, “눈곱/눈살/눈썹”, 새국어소식 76, 국립국어원.
유동삼, “‘-ᄇ니다’와 ‘-겠습니다’는 쓰는 경우가 다르다”, 한글새소식 381, 한글학회.
정호성, “‘깊숙이’와 ‘솔직히’”, 새국어소식 69, 국립국어원.
정호성, “애달픈 사연”, 새국어소식 70, 국립국어원.
정호성, “나 지금 바빠.”, 새국어소식 71, 국립국어원.
최혜원, “발음과 표기”, 새국어소식 72, 국립국어원.
한정섭, “27개 낱자로 40개 낱자를 표기하는 한글자 풀어쓰기 방안 1”, 한글새소식 385, 한글학회.
한정섭, “27개 낱자로 40개 낱자를 표기하는 한글자 풀어쓰기 방안 2”, 한글새소식 386, 한글학회.
한정섭, “27개 낱자로 40개 낱자를 표기하는 한글자 풀어쓰기 방안 3”, 한글새소식 388,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