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다음에서 ‘내미손’의 뜻은?
① 없는 사람에게 자선을 잘 베푸는 인정 어린 손
② 물건을 흥정할 때 어수룩하고 만만하게 보이는 사람
③ 형편이 맞지 않을 때 달갑지 않게 찾아 온 손님
④ 많은 액수를 갚아서 얼마 남아 있지 않은 빚
- “놀미에서 넘어와 학교랑 장터로 길이 갈리는 한길
‘삼사미’에 이르자 리는 걸음을 늦췄 다.”(이문구의 ‘우리 동네 아저씨’)에서
‘삼사미’의 뜻은?
① 세 거리. 또는 세 갈래로 난 길
② 사방으로 뻗은 반듯한 네 거리 길
③ 왼쪽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는 길
④ 오른쪽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는 길
- “가슴을 풀어헤치고 늑장을 부리던 담뱃대 장수는 덜미를 잡힌 채
‘풀대님’으로 끌려 들 어왔다.”(이무영의 ‘농민’)에서
‘풀대님’의 뜻은?
① 아무런 저항도 못하고 순순히 따름
② 죄인을 벌하려고 대기 중인 장소
③ 대님을 매지 않고 그대로 터놓음
④ 푸대접이나 시련이 예견되는 곳
- 다음에서 ‘거방지다’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몸집이 크다
② 매우 푸지다
③ 하는 짓이 점잖고 무게가 있다
④ 행동에 예의가 없고 건방지다
- 다음에서 ‘성기다’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① 물건의 사이가 뜨다
② 시간 사이의 간격이 크다
③ 관계가 깊지 않고 성깃하다
④ 반복되는 도수나 횟수가 뜨다
- 다음에서 ‘동뜨다’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영희는 성격이 동떠서 주위의 칭찬이 자자하다.
② 그는 우리 동기 가운데 가장 동뜬 학생이었다.
③ 그동안 왜 그렇게 동떴니? 집안에 무슨 일이 있었니?
④ 최진철이도 지금까지의 흥분에 비해서는 좀 동뜨게 심란한 눈치였다.
- 다음에서 ‘살랑살랑’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
① 조금 서늘한 바람이 가볍게 자꾸 부는 모양
② 물이 끓어오르면 이리저리 자꾸 움직이는 모양
③ 팔이나 꼬리 따위를 자꾸 흔드는 모양
④ 말이나 행동을 가만가만 조심스럽게 하는 모양
※ 정답 긁어 주세요.
1.-②, 2.-①, 3.-③, 4.-④, 5.-②, 6.-①, 7.-④. |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