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어휘 이야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 표기
국어 순화
발음 이야기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국어의 발음
   음의 길이
최혜원(崔惠媛) / 국립국어원
  우리말에서 장단 구별이 점점 희미해져 가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말의 표준어에서 모음의 길이는 단어의 의미를 달라지게 하는 중요한 운율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눈[目] 눈:[雪]
밤[夜] 밤:[栗]
적다(이름을) 적:다(수량이)
걷다(소매를) 걷:다(걸음을)
  이러한 모음 길이의 차이에 따른 단어의 의미 구별은 우리말 외에도 영어(seat[si:t]-sit [sit], feet[fi:t]-fit[fit])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렇게 장단에 따라 의미 구별을 하는 언어는 대부분 단모음과 장모음의 이중 대립을 보이지만 드물게는 모음의 길이가 삼중 대립을 보이는 언어도 있다. 남멕시코의 고산 지역에서 쓰이는 믹스 어는 ‘pet(등산)/peꋵt(비)/peːt(사람 이름)’와 같이 세 가지 길이 차이에 따라 단어의 의미를 구별한다고 한다.
  우리에게는 익숙지 않지만 자음 길이에 따라 단어를 구별하는 언어도 존재한다. 헝가리 어, 에스토니아 어, 루간다 어, 이탈리아 어, 일본어 등이 그 예인데, 모음과 마찬가지로 긴소리가 오느냐 짧은소리가 오느냐에 따라 단어의 뜻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때 장자음은 대체로 단자음의 1.5배에서 3배의 길이가 된다고 한다.
헝가리 어 hall(듣다) hal(생선)
에스토니아 어 sa::kk(전리품) sa::k(톱)
이탈리아 어 fatto(완료된) fato(운명)
루간다 어 kkúlà(보물) kúlà(자라다)
일본어 shitte(알고 있는) shite(하고 있는)
  여기에서 단어의 의미 구별에 사용되는 길이란 음 자체가 갖는 물리적인 수치의 차이보다 길이의 상대적인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어떤 단어 내의 특정 모음이나 자음이 짧은소리로 난다면 그것과 의미가 구분되는 단어의 모음이나 자음은 좀 더 길게 발음하게 되는 것이다.
  상대적인 길이 차이와는 달리 소리 자체가 가지는 고유한 길이가 있다. 일찍이 최현배는 “소리의 동안은 예사로 홀소리(모음)를 두고 하는 말이지만, 가늘게 살피어 보면 닿소리(자음)에도 동안이 없지 아니하니라. 얼른 말하여 보면 갈이소리(마찰음)와 콧소리(비음)는 굴림소리(유음)보다 동안이 길다 할 만하니라.”라고 하였다. 자음 고유의 길이가 자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우리말 자음의 길이에 대해서는 몇몇 학자의 논의가 있었는데, 이들 논의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순간적으로 발화하는 파열음이 어느 정도 지속성이 있는 마찰음이나 파찰음보다 길이가 짧은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같은 환경에 있을 때 ‘ㅅ’나 ‘ㅈ’보다는 ‘ㅂ’나 ‘ㄷ’의 길이가 짧다는 것이다.
  자음과 마찬가지로 모음 또한 고유의 길이가 존재한다. 다른 조건이 같을 때 고모음은 저모음보다 길이가 짧다. 턱을 조금 벌려 발음하는 ‘이’나 ‘우’보다는 ‘아’나 ‘애’를 발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소리의 길이는 다른 운율 자질들과 마찬가지로 음운 환경, 발화 속도, 문장의 통사, 의미 구조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외에도 소리의 길이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화자의 의도'이다. 대화를 하면서 화자 자신의 의도 및 감정이 깊이 개입되면서 어떤 부분을 강조하려고 할 때 모음과 자음은 길어지는 것이다.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