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일을 했어요 우리 시 다시 보기
신문 제목 다시 보기 내가 본 한국 사람, 한국말
말의 뿌리를 찾아서 교실 풍경
문화 들여다보기 일터에서 말하다
만화로 배우는 우리말 국어 관련 소식
우리말 다듬기
김옥순(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오늘은 정월(正月) 보름이다
대보름 명절인데
나는 멀리 고향을 나서 남의 나라 쓸쓸한 객고에 있는 신세로다
옛날 두보나 이백 같은 이 나라의 시인도
먼 타관에 나서 이 날을 맞은 일도 있었을 것이다
오늘 고향의 내집에 있는다면
새 옷을 입고 새 신도 신고 떡과 고기도 억병 먹고
일가친척들과 서로 모여 즐거이 웃음으로 지날 것이련만
나는 오늘 때묻은 입든 옷에 마른 물고기 한 토막으로
혼자 외로이 앉아 이것저것 쓸쓸한 생각을 하는 것이다
옛날 그 두보나 이백 같은 이 나라의 시인도
이날 이렇게 마른 물고기 한 토막으로 외로이 쓸쓸한 생각을 한 적도 있었을 것이다
나는 이제 어느 먼 외진 거리에 한고향 사람의 조그마한 가업집이 있는 것을 생각하고
이 집에 가서 그 맛스러운 떡국이라도 한 그릇 사먹으리라 한다
우리네 조상들이 먼먼 옛날로부터 대대로 이 날엔 으레히 그러하며 오듯이
먼 타관에 난 그 두보나 이백 같은 이 나라의 시인도
이 날은 그 어느 한고향 사람의 주막이나 반관(飯館)을 찾어가서
그 조상들이 대대로 하든 본대로 원소(元宵)라는 떡을 입에 대며
스스로 마음을 느꾸어 위안하지 않았을 것인가
그러면서 이 마음이 맑은 옛 시인들은
먼 훗날 그들의 먼 훗자손들도
그들의 본을 따서 이날에는 원소를 먹을 것을
외로이 타관에 나서도 이 원소를 먹을 것을 생각하며
그들이 아득하니 슬펐을 듯이
나도 떡국을 놓고 아득하니 슬플 것이로다
아, 이 정월(正月) 대보름 명절인데
거리에는 오독독이 탕탕 터지고 호궁(胡弓) 소리 삘삘 높아서
내 쓸쓸한 마음엔 작꼬 이 나라의 옛 시인(詩人)들이 그들의
쓸쓸한 마음들이 생각난다
내 쓸쓸한 마음은 아마 두보(杜甫)나 이백(李白) 같은 사람들의 마음인지도 모를 것이다
아무려나 이것은 옛투의 쓸쓸한 마음이다

(「두보(杜甫)나 이백(李白)같이」, 인문평론 16호, 1941.4.)

   백석(1912~1995)의 시 「두보(杜甫)나 이백(李白)같이」는 시인 백석이 정월 대보름 명절을 중국 땅에서 맞이하는 감회를 읊은 시이다. 개인주의가 널리 퍼져 있는 오늘날에도 명절에 혼자 있기는 쓸쓸하기 마련인데 1940년대의 가족과 마을 사람, 친족 중심이었던 시절에 타국에서 혼자 명절을 맞이하는 시인의 심정은 어땠을까 궁금해진다. 원래 음력 섣달 그믐날부터 정월 대보름날까지는 전통적으로 마을마다 부정 타지 않도록 금기를 지키게 되어 있었다. 세 가지 부정이 있는데 마을에 이방인이 오거나, 여자가 아기를 낳거나 사람이 죽으면 그 해는 정월 대보름 축제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축제 이전의 마을은 피 부정이나 낯선이의 침입이나 죽음을 맞는 등을 부정을 피하고 축제 이전의 고요한 상태로 금기를 지키고 난 뒤에는 마음껏 쇳소리를 내고 난장을 벌였다. 정월 대보름날은 마을사람들이 꾕과리 소리를 내며 즐기고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약밥, 오곡밥 따위를 먹는 등의 축제를 벌였다. 지금도 동해안이나 남해안 등의 시골이나 각지의 국사당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기하여 무당들의 굿이 벌어지곤 한다. 이런 대단한 집단적인 축제의 날에 타국에 홀로 있는 시인의 심정은 다음과 같은 대립적인 이미지로 나타난다.

타관 고향
친척과 가족 외톨이
새옷, 새신을 신다 때 묻은 입던 옷을 입다
떡, 고기를 억병으로 먹다 마른 물고기 한 토막을 먹다

   말하는 이는 명절날 타관에서 혼자 보내는 자신을 쓸쓸하고 비참한 나락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두보(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12~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공부(工部)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힌다. 작품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 )와 이백(중국 당나라의 시인(701~762). 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젊어서 여러 나라에 만유(漫遊)하고, 뒤에 출사(出仕)하였으나 안사의 난으로 유배되는 등 불우한 만년을 보냈다. 칠언 절구에 특히 뛰어났으며, 이별과 자연을 제재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현종과 양귀비의 모란연(牧丹宴)에서 취중에〈청평조(淸平調)〉3수를 지은 이야기가 유명하다. 시성(詩聖) 두보(杜甫)에 대하여 시선(詩仙)으로 칭하여진다. 시문집에 《이태백시집》 30권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인용)과 대응하여 비교한다.

중국의 시인, 두보와 이백 조선의 시인, 백석
중국 땅 중국 땅
타향살이의 시가 많다 타향살이의 시가 많다

   백석 자신이나 두보나 이백, 세 사람 다 시인이고, 중국 땅에서 타향살이를 하는 시를 많이 썼다는 등의 공통점에서 두보나 이백과 자신을 동급으로 보고 있다. 두보나 이백이 중국 사람이라서 타향에서 주막이나 반관을 찾아가서 원소라는 떡을 먹으며 고향을 그렸다면 조선인인 백석 자신은 고향 사람의 가업집을 찾아가서 맛스러운 떡국을 먹으며 고향을 그리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백석은 정월 대보름날 타향살이를 하는 조선의 시인인 자신을 신세 한탄으로 끝맺지 않고 중국의 두보나 이백처럼 고고하고 품격 있는 시인과 동급으로 끌어올렸다. 명절날 객고를 느끼는 두보의 시를 한 편 소개하겠다.

   중양절에 홀로/ 술을 마신다/ 병든 몸 이끌고/강 위의 누대에도 올라본다
   죽엽주(竹葉酒) 이 좋은 술도/ 이제 그만 마시자/ 꺾어 놓을 국화꽃도/ 다 소용없다/
   타향살이 저문 날에/ 원숭이는 울어쌓고/서리 내릴 날 아직 멀었는데도/
   고향의 흰기러기가 날아온다/ 아우와 여동생들은/
   지금은 어디 사는지/ 다 늙은 몸 이 전쟁통에/ 어찌해볼 도리가 없다

(「중양절」(2수), 정양, 박완식 번역, 이회출판사, 1996)

   이들 시 속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백석이 명절날 타관에서 떡국을 먹으며 고향과 조상을 생각하듯이 두보도 명절날 타관에서 전통적인 원소라는 떡을 먹으며 고향과 가족을 생각할 것이라는 전통에 대한 이어져 오는 원형적인 생각이다. 이렇게 명절이 갖는 원형적인 풍습이 한 가족과 한 민족을 묶어 주는 질긴 연결고리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