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  
					|  |  
					|  |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홍바우는 남의 일에 참견을 한다거나 훼방 치는 일도 없이 살아온 ‘옹춘마니’였다”.(문    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 ‘옹춘마니’의 뜻은?① 마음이 착하고 자신의 일에 성실한 사람
 ② 세상 물정에 어두워 손해를 많이 보는 사람
 ③ 참견한다거나 간섭받기를 싫어하는 사람
 ④ 소견이 좁고 마음이 너그럽지 못한 사람
 
 
“바람에 뒤집힌 물결이 물녘을 먹어 드는 소리도 갯가의 ‘작벼리’가 풍파에 결딴나는 소    리보다 덜하지 않고…”(이문구의 ‘매월당 김시습’)에서 ‘작벼리’의 뜻은?① 물가의 모래벌판에 돌이 섞여 있는 곳
 ② 갯가에 섬처럼 박혀 있는 큰 바위
 ③ 고기를 잡기 위해 물가에 쳐 놓은 그물
 ④ 큰 파도를 막기 위해 설치된 방파제
 
 
“말뚝벙거지를 깊숙이 눌러 쓴, ‘틀스럽게’ 생긴 사공은 힐끗 호방 등 불빛으로 대불이를    쳐다보더니…”(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 ‘틀스럽다’의 뜻은?① 몸집이 크고 거만하다.
 ② 겉모양이 듬직하고 위엄이 있다.
 ③ 생김새가 보잘것없고 초라하다.
 ④ 행동거지가 거칠고 험상궂다.
 
 
다음에서 ‘한무릎공부’의 뜻은?① 여럿이 같이 하는 공부
 ② 잠깐 가볍게 하는 공부
 ③ 한동안 착실히 하는 공부
 ④ 단정하게 앉아 하는 공부
 
 
“이날 식전에 점돌이는 주사 댁으로 일을 가고 박 첨지는 ‘호락질’로 논을 써렸다.”(이기    영의 ‘맥추’)에서 ‘호락질’의 뜻은?① 모를 심기 위해 논을 고르는 일
 ② 어떤 일을 차분하고 정성스럽게 처리하는 것
 ③ 다른 사람이 할 것을 맡아서 대신 해 주는 것
 ④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가족끼리 농사를 짓는 일
 
 
다음에서 ‘우적우적’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① 일을 우격다짐으로 서둘러 해 나가는 모양
 ② 단번에 매우 많이 자꾸 늘거나 줄어드는 모양
 ③ 솜 따위가 물에 젖어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는 모양
 ④ 거침없이 기세 좋게 나아가거나 왕성하게 일어서는 모양
 
 
다음에서 ‘추다’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은?① 아이는 어깨를 추면서 벌벌 떨었다.
 ② 온 방을 다 추어도 공책을 찾을 수가 없었다.
 ③ 그렇게 함부로 물건을 춘다면 부서지고 만다.
 ④ 등성이 쪽으로 추어 오르면 계곡이 보인다.
 
    
※ 정답    긁어 주세요.            
     
    | 1.-④, 2.-①, 3.-②, 4.-③, 5.-④, 6.-③, 7.-③. |  |  
					|  |  
					| 
							
								|  |  
								|  |  
								|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