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사전학

연구 동향

국어(학)사·계통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국어정책·사회언어학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여론과 쟁점
남북의 규범어와
≪겨레말큰사전≫
국립국어원 동향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학)사․계통론
<단행본>

국립국어원, 李衡祥의 『字學提綱』 譯註, (연구 책임자: 김언종), 국립국어원 
김규철 외, 『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이』, 역락 
김무림, 『홍무정운역훈』, 신구문화사 
김미경,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한글: 세계 최고의 문화 상품 한글에 대한 모든 것』, 지우출판사 
김성란, 『근대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노걸대류 언해본을 중심으로』, 역락 
김성주·박상준·박준석, 『금강경언해』, 신구문화사 
김주필 외, 『역주 어제(언해): 역주 어제조훈(언해)』, 역락 
김주필 외, 『역주 어제경세문답(언해)』, 역락 
김진호, 『재미있는 한국어 이야기』, 박이정 
김태엽, 『국어학개요』, 대구대학교 출판부 
김해정, 『사서언해의 비교연구』, 보고사 
김홍석, 『형태소와 차자표기』, 역락 
남성우, 『16세기 국어의 동의어 연구』, 박이정 
리득춘, 『조선어언어력사연구』, 역락 
리득춘·리승자·김광수, 『조선어발달사』, 역락 
朴盛鍾, 『朝鮮初基 古文書 吏讀文 譯註』,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국어학적 연구』, 일지사 
윤석민·권면주·유승섭, 『(쉽게 읽는)禪家龜鑑諺解, 下』, 박이정 
윤석민·권면주·유승섭, 『(쉽게 읽는)중각두시언해』, 박이정 
윤용선, 『국어사 연습』, 명지대학교 출판부 
이동화,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문창사 
이복영, 『大阜島 地域語의 通時音韻論』, 한국학술정보 
이상억, 『한국어 체언의 음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석주·이주행, 『한국어학 개론』, 보고사 
이승재 외, 『國寶 二百四號 周本 華嚴經 卷第三十六: 誠庵古書博物館 所藏』, 태학사 
이은규, 『고대 한국어 차자표기 용자 사전』, 제이앤씨 
임용기·홍윤표 편, 『국어사 연구 어디까지 와 있는가』, 태학사 
정광, 『역주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 신구문화사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정광 外,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솔미 정광 선생 정년퇴임 기념논총』, 태학사 
정언학,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태학사 
丁泰鎭·金炳濟 저·정태진선생기념사업회 엮음, 『朝鮮 古語 方言 辭典』, 민지사 
조항범 외, 『역주 어제자성편(언해)』, 역락 
최남희 외, 『國語史와 漢字音』, 박이정 
태학사 편집위원회, 『國語學論叢: 李秉根先生退任紀念』, 태학사 
홍종선 외, 『후기 근대국어 통사의 연구』, 역락 
홍종선 외, 『후기 근대국어 형태의 연구』, 역락 
황경수·강규선, 『훈민정음 연구』, 청운 
황문환 외, 『역주 어제경세문답속록(언해)』, 역락 
C.I. 벡위드 저·鄭光 역, 『고구려어: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 고구려연구재단 

<학위 논문>

가르드잡 바야르마, <『몽어유해』 「어록해」의 역주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김성남, <국어 인칭대명사의 역사적 연구>, 동의대 대학원(석사) 
김승우, <<월인천강지곡>의 주제와 형상화 방식>, 고려대 대학원(석사) 
김은명, <토씨의 분류 체계 변천에 관한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정현, <『교린수지』의 표기와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오, <<법화경> 권3 음독구결 연구>, 동국대 대학원(석사) 
김홍렬, <훈민정음의 역학적 해석>,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꼬미싸로바 빅토리야, <러시아 학자의 알타이어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박미영, <개화기 신문에 나타난 조사의 연구: <뎨국신문>과 <독닙신문>을 대상으로>,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미영, <국어 지식 영역에서 국어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 국어의 변화를 고려한 훈민정음 교수․학습 원리를 중심으로>, 성신여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부자, <한국어 선어말어미 통합순서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박사) 
박옥출, <어미의 통합 범위에 대한 국어학사적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용찬, <15세기 국어 연결어미와 보조사의 통합형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박정윤, <『소학언해』 한자어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方香玉, <「어제내훈」의 어휘론과 형태론>, 조선대 대학원(석사) 
백미령,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의 계통 기술에 대하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석미향, <『초발심자경문언해』의 음운과 한글구결 연구: 송광사판 서봉사판의 비교를 통하여>,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손영희, <『규합총서』의 표기법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송신지,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어휘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원(석사) 
송이규, <존대법 ‘-삽-'의 변화에 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예리, <최근세국어 타동구문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석사) 
엄수진, <국어 모음체계 변천사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여은지, <병자일기의 표기와 음운 변화 연구>, 전북대 대학원(석사) 
윤미영, <용언 어간말 ‘ㅎ'의 표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성균관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화, <≪금강경삼가해언해≫ 연구: 국어 표기법과 어휘를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희, <<부모은중경언해> 이본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병기, <한국어 미래성 표현의 역사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이상금, <중세국어의 다소 표현 형용사에 대한 문법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이은영, <≪법집별행록절요언해≫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전호연, <오서 현토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수현, <『노걸대』에 나타난 명사구 내포문의 변화>, 건국대 대학원(석사) 
정혜선, <19세기 국어의 ‘원인' 통합형 접속어미 연구>, 서강대 대학원(석사) 
정희영,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근대국어 시제 연구: 춘향전을 중심으로>,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齊藤明美, <명치시기 일본의 한어 학습서 연구: 『교린수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조민진, <‘-겟-' 의 문법화 과정 연구>, 서강대 대학원(석사) 
조신옥, <박통사 비교연구: 중국어원문과 한국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대학원(석사) 
주영선, <『제정집』 해제 및 번역>,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성규, <구역 ≪신약젼셔≫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허경무,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연구>, 부산대 대학원(박사) 
홍세아, <개화기 신문에 나타난 어미의 연구: <독닙신문>과 <뎨국신문>을 대상으로>,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홍수아, <『交隣須知』の明治刊本における 韓國語の表記法に關する硏究>, 한림대 국제학대학원(석사) 
홍수정, <조선 중기 한글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고은숙, “2006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근대국어 연결어미의 기능 연구 -역학서 자료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고정의,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의 구결 연구”,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권인한, “무령왕릉(武寧王陵) 출토 명문들에 대한 어학적 고찰”,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김경아, “순경음의 변화에 대한 재론”, 인문논총 15, 서울여대 인문과학연구소 
김남경, “구급방류 구문 연구 -중세 구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33,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김남돈, “신소설 말뭉치와 깜짝새 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최근세국어 문법의 연구 방안”, 국어국문학 143, 국어국문학회 
김덕신,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보급을 위한 조선어학회의 활동”, 어문학 91, 한국어문학회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연구의 문제점 -시대 구분 문제와 비음소적 과잉 문자 아래아(“․") 문제에 한정하여-”,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김무림, “한국 한자음의 근대성(1) -반영 양상의 종합-”, 한국어학 30, 한국어학회 
김무식, “동래정씨 소장 “편지급문집(便紙及祭文集)"의 자료적 성격과 특징”,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김서형, “중세 국어 “으란" 연구”,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김석득, “근·현대의 국어(학) 정신사”, 한글 272, 한글학회 
김석배, “<陋巷詞>의 文獻學的 考察”, 문학과 언어 28, 문학과언어학회 
김석연, “훈민정음이 곧 누리글이다”, 한글 272, 한글학회 
김선영,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2) -권8. 16:18 ~18:04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김성주, “석독구결(釋讀口訣)의 피동 표현”,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김세환, “『정선 일어통편』에 보이는 어미 “-아/어(X)"의 교체에 대하여”, 한민족어문학 49, 한민족어문학회 
김슬옹, “『訓民正音』(해례본)의 간행 책으로서의 담론과 교육 전략”, 한국어문학연구 47,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슬옹, “훈민정음 해례본의 “우리나라와 말글" 명칭 번역 담론 - 표준 공역을 제안하며”, 언어과학연구 39, 언어과학회 
김슬옹, “‘훈민정음’의 명칭 맥락과 의미”, 한글 272, 한글학회 
金亮鎭, “他動詞 ‘*식다’를 찾아서”,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연주, “영건의궤(營建儀軌)류 차자표기 용자의 특성 연구”,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김영선, “개화기 국어의 “이(j)" 동화 현상과 모음 체계”,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김유범, “우리말 접사의 국어사적 고찰 -시대별 개관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김유범, “중세국어 문법 교육과 언해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김유범, “형용사 “지다"의 형성과 역문법화”,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김정대, “어미의 지배 범위에 대한 주시경(1910)의 인식”,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김정우, “초기 라디오 광고언어에서 대명사 “여러분"의 사용양상 -1959~1964년의 라디오 광고언어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김주원, “조선왕조실록의 번역에 나타난 오류 -야인(여진족)에 관한 기록을 중심으로-”, 알타이학보 16, 한국알타이학회 
김주필, “18세기 왕실 문헌의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정신문화연구 29-1,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주필, “개교 60주년 기념 특별호: ≪됴야긔문(朝野記問)≫의 자음 관련 음운현상과 그 통시적 특성”, 어문학논총 특별호,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김주필, “자석류(字釋類) 문헌의 원순모음화와 구개음화”, 어문학논총 25,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김태엽, “김동리 소설에 나타나는 경북 방언”,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김태엽, “이병각 작품에 나타난 경북 방언”, 어문연구 51, 어문연구학회 
金玄, “中世國語 1音節 用言語幹의 音韻構造”, 어문연구 13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현주, “후기 중세국어 {--}의 기능 -“존대되는 존재"의 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남경란,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壇經)≫의 구결 연구”,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남경란, “『사서언해』의 국어학적 고찰 -『논어언해』의 어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34,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기심, “국어학 연구의 문제점”,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남풍현, “상고시대(上古時代)에 있어서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발달”,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리의도, “한글날의 발전사”, 한글 273, 한글학회 
문혜윤, “문예독본류와 한글 문체의 형성”, 어문논집 54, 민족어문학회 
박기선, “개화기 한자 어휘의 변천에 관한 小考 -‘텬로력뎡’의 異本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박석문, “부사 형성 접미사 “-시"에 대하여”, 반교어문연구 20, 반교어문학회 
박종덕, “『훈민정음 해례본』의 유출 과정 연구 -학계에서 바라본 “발견"에 대한 반론의 입장에서-”,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박진호, “중세국어에서 형용사와 결합하는 “-어 잇-"의 상적 의미”,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박진호, “진본(晉本) ≪화엄경(華嚴經)≫ 권제(卷第)20의 점토(點吐) 해독”,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 “인품(人品)"부 어휘의 고찰”, 겨레어문학 36, 겨레어문학회 
박찬식, “유해류 역학서의 “궁실"(宮室)부 어휘의 고찰”,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에 쓰인 이두 “급(及)"의 의미”,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구문의 형식에 대한 연구”, 한글 271, 한글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와 현대국어 간의 조사 “과(果)"의 쓰임 차이에 대한 연구”,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와 현대국어의 구문상 표현차이 연구”,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구문과 현대국어의 구문 간 표현 차이에 대한 연구”, 한글 273, 한글학회 
박철주, “『대명률직해』의 부정사에 대한 연구 -“부득(不得)"과 “안서(安徐)"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박철주, “『육조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 언해(諺解)(상, 중, 하)』에서의 “을/를" 표지, 무표지 양상에 대한 연구”,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박형익, “「언문 주보통문집(諺文 註解 普通文字集)」의 사전학적 분석”,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박흥길, ““-ㅂ다" 풀이씨 연구”,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방향옥, “『어제내훈』의 어휘 연구”,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배대온, “고대국어 연구 방법에 대하여”,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백낙천, “조선 후기 한글 간찰의 형식과 내용”,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백두현, “『속사씨남정기』의 서지, 국어학적 연구”,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백두현, “국어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하여”, 국어학 47, 국어학회 
백두현,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서보월, “「온주법」의 표기법 연구”,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서은아, “일제 시대 광고 언어의 특징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석주연, ““-도록"의 의미와 문법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宋曄輝, “『越南亡國史』의 飜譯 過程에 나타난 諸問題”,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신명선, “한국어교육학회 제260회 학술대회 특집: 국어 생활과 국어 문화; 개화기 국어 생활 연구 -독립신문의 광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신중진, “국어국문학과 지역의 문제: 한국 근대 초기의 ‘洋’ 관련 서구 문명 어휘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44, 국어국문학회 
안명철,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육서(六書)”,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안인숙, “象徵語의 通時的 硏究”, 어문논집 34, 중앙어문학회 
안주호, “근대국어 시기의 진언표기 연구”,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안주호, “인용동사의 문법적 고찰”, 우리말글 37, 우리말글학회 
양영희, “15세기 2인칭 대명사 ‘너’와 ‘그듸’의 기능 비교”, 우리말글 36, 우리말글학회 
양영희, “15세기 호칭어 체계 구축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양영희, “16세기 2인칭대명사 체계”,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양영희, “인칭대명사의 기능 변화 유형과 원인”,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양영희, “중세 국어 ‘재귀대명사’ 설정에 대한 재고”, 한글 273, 한글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3인칭 대명사의 부류와 기능”, 한국언어문학 59, 한국언어문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시기 설정에 대한 단상 -존대법과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호칭어와 종결어미의 호응에 대한 재고”, 사회언어학 14-2, 한국사회언어학회 
여찬영, “「중용언해(中庸諺解)」의 번역언어학적 분석”, 언어과학연구 38, 언어과학회 
여찬영, “『대학율곡선생언해(大學栗谷先生諺解)』의 번역언어학적 연구”, 어문론총 45, 한국문학언어학회 
여찬영, “『中庸栗谷先生諺解』의 번역전략 연구”, 우리말글 38, 우리말글학회 
오미녕, “일본 경도국립박물관 소장(所藏) 『세설신서(世說新書)』와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 소장(所藏) 『세설신어(世說新語)』의 비교연구”,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오창명, “『火器都監儀軌(1615)』의 차자 표기 연구”, 영주어문 11, 영주어문학회 
柳穆相, “국제학술대회논문: 세계화 시대의 국어국문학의 현황과 전망; 우리 語文學 硏究의 오늘과 내일”, 어문논집 34, 중앙어문학회 
윤용선, “『소학언해』의 구결체계에 대한 검토”, 진단학보 102, 진단학회 
윤용선, “국어대우법의 통시적 이해”,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경자, “우리말 연구 -『돌출(突出)』 개념 낱말 중심-”, 인문학연구 33-1,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이규호, “복합조사 ‘이라고’의 생성과 분화”, 국어학 47, 국어학회 
이덕희, “물명어휘집의 의미적 체계”,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이덕희, “물보와 청관물명고의 사전적 특성 - 사전의 체제와 정의항의 유형”,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동석, “중세국어 “짛다"의 의미 및 변화 연구”,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이병기,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3) -권8. 18:05 -19:23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이시즈카 하루미치, “서평: 李丞宰 外 『角筆口訣 寫眞 資料 2: 國寶 204號 周本 『華嚴經』 卷第36 -誠庵古書博物館 所藏』, 李丞宰 外 『角筆口訣의 解讀과 飜譯2- 周本 『華嚴經』 卷第36』”, 인문논총 56,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이용,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碑文)의 이독적(吏讀的) 요소”,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이장희, “고구려어의 어말모음 교체에 대하여”, 언어과학연구 39, 언어과학회 
이정택, “주시경, 최현배, 정열모의 조사 체계 비교”, 태릉어문연구 14,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李知英, “中世國語 ‘아직, 안, 안즉, 안직’의 意味와 통사적 특징”,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태희, “중세국어 음절말 중화에 대한 분석적 연구”, 언어연구 23-1, 경희대 언어연구소 
李浩權, “諺解와 諺解書의 史的 考察”, 논문집 4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희두, “움라우트 불투명성의 통시적 고찰”, 언어학 14-3, 대한언어학회 
임보선, “어간말 자음군의 변화 요인에 대하여”,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장경준,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에서 ‘故’자에 현토된 구결점의 해석”, 태릉어문연구 14,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장경준, “석독구결의 구결자 “火"과 “"에 대하여”, 국어학 47, 국어학회 
장경준, “점토 체계의 특징이 부호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암본 『유가사지론』 권5. 8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장숙영, “『노걸대, 박통사』류에 나타난 국어의 이음씨끝 변화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장숙영, “노걸대, 박통사류에 나타난 국어의 이음씨끝의 소멸”, 겨레어문학 36, 겨레어문학회 
장영길, “『언해랍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의 희귀어휘 연구”,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장요한, “어미 “-과-"의 의미 기능에 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 49, 한민족어문학회 
장윤희, “고대국어의 파생 접미사 연구”, 국어학 47, 국어학회 
전정례, “20세기 언어 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전정례, “언어는 왜, 어떻게 변화하는가”,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정경일, “교정전운옥편 속음의 유형별 고찰”,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정광, “이문(吏文)과 한이문(漢吏文)”,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정길남, “개화기 교과서의 종성표기와 어간 어미 분리표기에 관하여”, 국어교육연구 39, 국어교육학회 
鄭承喆, “純國文 『이태리건국삼걸젼』(1908)에 대하여”,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언학, “통합형 어미 “-습니다"류의 통시적 형성과 형태 분석”,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정인호, “제2음절 이하의 “" 변화에 대한 일고찰”, 진단학보 101, 진단학회 
정재영, “불갑사(佛甲寺) 소장의 화암사판(花岩寺版) 『부모은중경』에 대하여 -이 자료에 기입되어 있는 구결과 언해문을 중심으로-”, 영남학 9,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정재영, “한국의 구결(口訣)”,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정진원,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4) -유가08 19: 23-21:15(끝)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제등명미, “1909년 간(刊) 『한어통(韓語通)』의 일본어와 한국어”, 인문학연구 12, 한림대 인문학연구소 
조규태, “용비어천가 주해 속의 우리말 어휘에 대하여”, 어문학 92, 한국어문학회 
조규태,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 “-으니-"에 대하여”,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조규태, “한국어 수사의 어원과 어형 변화에 대하여”,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조오현, “ㄷ구개음화 발생의 역사적 전개 과정”, 동남어문논집 22, 동남어문학회 
趙宰亨, “處所副詞格助詞의 用法 考察”,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조항범, “開化期를 前後한 시기에 생성된 관용 표현”,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주경미, “신소설에 나타난 신체어 관련 관용 표현 연구 -“손, 눈, 입, 코, 귀"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8, 한국언어문학회 
최규수, “형태론의 체계와 문법 용어 사용의 문제 -국어학사의 관점에서-”,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최명환, “한국어교육학회 제260회 학술대회 특집: 국어 생활과 국어 문화; 한국의 언어문화와 글쓰기의 원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최미현, “『전운옥편(全韻玉篇)』에 반영된 지섭(止攝)의 양상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최미현, “『훈몽자회(訓蒙字會)』의 복수 한자음 유형에 대하여”,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최미현, “이중 한자음에 나타나는 입성운미 /-t/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최성덕, “국어 사동 범주의 연구사”, 태릉어문연구 14, 서울여대 국어국문학과 
최웅환, “『朝鮮語發音及文法』의 ‘문법’ 편과 『(中等敎科)朝鮮語文典』”, 문학과 언어 28, 문학과언어학회 
최중호, “≪계림유사≫의 유기음에 대해서”,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최중호, “고구려말의 모음 /어/에 대해”, 동남어문논집 21, 동남어문학회 
최중호, “고려시대 자음체계 연구”,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최호철, “북한의 국어 의미 연구 60년”, 한글 273, 한글학회 
최홍열, “훈몽자회 「질병」부 자훈의 고찰 -“내과"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하길종, “중, 근세 국어의 첩어 연구”, 우리어문연구 26, 우리어문학회 
하치근, “국어 조어론 연구의 어제, 오늘”,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韓成愚, “國語 音素 分布의 通時的 變化”,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영목, “국어 문법론 연구의 어제와 오늘”, 어문연구 50, 어문연구학회 
허재영, “근대계몽기 여성의 문자 생활”, 사회언어학 14-1, 한국사회언어학회 
허재영, “조선 시대 여자 교육서와 문자 생활”, 한글 272, 한글학회 
호광수, “상해판 <독립신문> 국문시의 문체와 표기법의 양상”, 한국언어문학 56, 한국언어문학회 
홍사만, “『倭語類解』의 어휘 분석(2) -치음 아래 /j/ 유지 표기-”, 한일언어문화연구 10, 한·일언어문화연구소 
홍사만, “국어 의존명사 {것}의 사적 연구”, 어문론총 44, 한국문학언어학회 
홍윤표, “한글 고문서의 연구 현황과 과제”, 영남학 10,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황경수, “훈민정음 제자해(制字解)와 초성(初聲)의 역학사상”,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황선엽, “『유가사지론』점토석독구결 해독 연구(11) -권8. 15:04 ~16:17 부분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6, 구결학회 
황선엽, “고대국어의 처격 조사”,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황선엽, “원왕생가(願往生歌)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연구 17, 구결학회 
황선엽, “월봉산월졍언셔상가”, 돈암어문학 19, 돈암어문학회 
황용주, “연어 구성 변화에 대한 국어정보학적 연구 -신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8, 한국언어문학회 
Christopher I. Beckwith, “Methodological Observations on Some Recent Studies of the Early Ethnolinguistic History of Korea and Vicinity”, 알타이학보 16, 한국알타이학회 
Jeong Me Yoon, “Selective Island Effects in Korean Wh-Constructions: A Diachronic Approach”, 언어 31-2, 한국언어학회 

<기타>

김계곤, “한글은 가장 이상적인 낱소리글자”,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김두루한, “훈민정음을 제대로 알자”, 나라사랑 111, 외솔회 
김두루한, “훈민정음을 제대로 알자”, 한글새소식 409, 한글학회 
김주원, “국경일로 다시 태어난 한글날: 훈민정음 해례본의 겉과 속”,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김진규, “참 놀라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나라사랑 111, 외솔회 
리의도, “한글날의 유래와 발자취”, 나라사랑 111, 외솔회 
성낙수, “<훈민정음>의 창제 동기에 대하여”, 나라사랑 111, 외솔회 
이병운, “국경일로 다시 태어난 한글날: 한글과 정보화”, 새국어생활 16-3, 국립국어원 
천갑녕, “훈민정음, 글자의 제작 과정”, 한글새소식 411, 한글학회 
허재영, “계몽 운동과 문자 보급 자료 소개 (2) -일제 강점기 농민 단체의 계몽 운동-”, 한글새소식 409, 한글학회 
허재영, “계몽 운동과 문자 보급 자료 소개 (3)”, 한글새소식 412, 한글학회 
허재영, “계몽 운동과 문자 보급 자료 소개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 권일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 
홍현보, “‘신미대사 한글 창제설’에 관하여”, 한글새소식 411, 한글학회 
홍현보, “2000년 전 우리말”, 한글새소식 408,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