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사전학

연구 동향

국어(학)사·계통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국어정책·사회언어학
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
여론과 쟁점
남북의 규범어와
≪겨레말큰사전≫
국립국어원 동향
  Ⅲ.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단행본>

강준만, 『대학생 글쓰기 특강: 글쓰기의 모든것: 글에 대한 욕망과 자신감을 불러일으킨다』, 인물과사상사 
김대행, 『문학교육 틀짜기』, 역락 
김대행 외,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상욱, 『국어교육의 재개념화와 문학교육』, 역락 
김수업, 『배달말 가르치기: 고치고 더한 국어교육의 길』, 나라말 
김승환, 『독서교육과 독서활동』, 강남대학교출판부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휘획득 전략: 학습전략 교육과정, 지식획득』, 교육과학사 
김인환, 『문학교육론』, 한국학술정보 
김재봉·선주원, 『초등 교사를 위한 글쓰기와 화법』, 형설출판사 
김정우, 『시 해석 교육론』, 태학사 
김주환, 『현장국어교육의 길잡이: 국어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나라말 
남민우, 『문학 교육의 역사와 성장의 시학』, 역락 
남민우, 『시 교육의 해체와 재구성: 여성시, 사이버시 그리고 텍스트 가치평가 활동 교육』, 역락 
대구신암초등학교, 『과정중심 쓰기 전략 적용을 통한 글쓰기 능력 신장』, 대구신암초등학교 
독서지도연구모임, 『창의적인 독서지도 77가지』, 해오름 
돈암어문학회 편,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 푸른사상사 
박대용, 『초등학생을 위한 독서지도방법』, 태일사 
박덕유, 『학교문법론의 이해』, 역락 
박태호·김기철·홍정표,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5』, 정인출판사 
박태호·김동환·경이호,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4』, 정인출판사 
박태호·류지춘·김종길·한예지,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2』, 정인출판사 
박태호·박대응·홍정표,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6』, 정인출판사 
박태호·박미옥·김종길,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1』, 정인출판사 
박태호·채은영·홍종선·경이호,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3』, 정인출판사 
방인태, 『자주적 한국어 교육론: 문화 생산의 원리와 방법』, 역락 
선주원, 『어린이 문학교육의 방법』, 박이정 
송현정, 『문법 교육의 이해와 실제』, 한국문화사 
신헌재·진선희, 『학습자 중심 시 교육론』, 박이정 
아침독서추진본부, 『대한민국 희망 1교시 아침독서: 중고등』, 청어람미디어 
아침독서추진본부, 『대한민국 희망 1교시 아침독서: 초등』, 청어람미디어 
우한용 외, 『인터넷 시대의 글쓰기와 표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윤여탁 외, 『국어교육 100년사, 1』, 서울대학교출판부 
윤여탁 외, 『국어교육 100년사, 2』, 서울대학교출판부 
이노국, 『어린이 글쓰기지도와 독서지도법』, 골드닷컴 
이대균, 『유아문학교육』, 공동체 
이영식, 『독서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학지사 
이충우, 『국어 문법의 교육과 연구』, 역락 
임영규·김양희·김동준·이민옥·예경순·노인석, 『독서는 힘이 세다: 독서교육법』, 다산북스 
정영주, 『신문활용교육과 논술』, 태일사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 
조일제, 창의성 개발을 위한 활동중심 독서지도법, 한국문화사 
주세형, 문법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확장, 역락 
천경록·박진남·백해경·진명숙·양서영,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독서 전략 지도, 교육과학사 
최규수, 대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의 실제, 보고사 
최지현, 문학교육과정론, 역락 
한국어문교육연구소·국어과교수학습연구소, 독서 교육 사전, 교학사 
허병두, 푸른 영혼을 위한 책읽기 교육, 청어람미디어 
허재영, 국어과 교과서와 교재 지도 연구, 한국문화사 
허재영,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 박이정 

<학위 논문>

강귀정, <훈민정음 단원의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강대훈, <교육 과정 내용이 교과서 대단원에 반영된 정도에 관한 연구: 중학교를 중심으로>,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강덕현,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국어과 단원 학습 연구: 고등학교 국어(상)을 중심으로>, 강원대 교육대학원(석사) 
강수희, <방송자료를 활용한 토론학습 방안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강인선, <동시확장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강준상, <초등학교 발음 교육 내용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강현주, <신문을 활용한 읽기-쓰기 지도 방안 연구: 브룸의 인지 발달 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강현화, <창의력 신장을 위한 글쓰기 평가방법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강호준, <중․고등학생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석사) 
고광옥, <사이시옷 교육방법론>, 세종대 교육대학원(석사) 
고유숙,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지식영역의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고종숙, <읽기 학습부진아를 위한 독서지도 프로그램 연구>,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고혜원, <중등학생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공윤정,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 개선 방안>,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권성란, <매체 언어의 국어과 수용 방향 고찰: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권영임, <추론적 읽기 전략 동영상 자료 활용 수업이 추론적 읽기 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기명숙, <구두작문과 자유쓰기가 설명적 텍스트 쓰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경은, <국어 지식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경기대 교육대학원(석사) 
김경하, <7차 중학교 국어의 어휘 연구>,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김경희,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에 대한 독서치료 방안 연구: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광필, <초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지각에 관한 연구>, 세명대 교육대학원(석사) 
김국태, <읽기 수업의 교수적 비계설정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박사) 
김길자, <국어 교육 수행평가 방법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남희, <오독분석법을 활용한 읽기 부진아 진단에 관한 연구>,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대조, <초등학교 학생의 고쳐쓰기 능력 증진을 위한 전체적 접근 전략지도의 효과>,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덕남, <중등교원을 위한 국어과 임용고사 문항분석>,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동희, <국어과 자기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되돌아보기'를 중심으로>,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령, <말놀이 활동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명숙, <국어교과서 ‘국어지식’ 영역의 내용 구조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경, <받아쓰기의 확산적 적용을 통한 저학년 아동의 쓰기 능력 신장>,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란, <높임법 지도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공주대 대학원(석사) 
김미림,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화법교육 연구>, 선문대 대학원(석사) 
김미성, <논증 도식 지도가 논설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김미숙, <이야기 구조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독해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정,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국어학습활동이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 및 성향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향, <의미 지도 그리기 활동이 이야기 글 독해에 미치는 효과 연구>,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미희, <청자 분석이 화자의 말하기 내용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민영, <우리말 신체어의 의미 확장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민중, <논설문의 논증 능력 증진을 위한 근거 제시 전략 지도 연구>,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민호, <불규칙 활용에 대한 고찰과 지도방안>,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상희, <국어 중복 표현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새롬, <중등 국어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의 효과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김선겸, <초등학교 국어과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선미, <‘낱말 형성법’ 지도방안 연구: 8학년을 중심으로>, 인제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선영, <중학교 국어지식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쓰기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선영, <학교 문법에서의 높임법 교육 연구: 제7차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선옥, <초등학교 독서교육의 실태 분석 연구-인천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성은, <담화 구조 학습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김성재, <국어교육에 있어 창의성 계발에 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성환, <중학교 국어과 읽기 평가 개선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성희, <세계의 자국어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영국, 미국, 프랑스,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소영, <제7차 중학교 교과서의 <듣기․말하기> 영역 분석>,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수경, <텍스트 의미 구조 표지 연구: 초등학교 교과서와 초등학생 작문을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석사) 
김수주, <‘다매체 시대의 언어활동’ 지도 방안: 10학년을 중심으로>, 인제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수희, <사고조직자 활용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신장 방안 연구: 중학생의 논설문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순애, <소집단별 주제 중심 독서활동에 관한 연구>,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시진, <상황 맥락을 활용한 어휘력 신장 효과의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신혜,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방법 구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연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국어교육 연계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연희㉡,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글에 대한 학생 흥미도 분석: 현행 제7차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영만, <매체를 활용한 읽기․쓰기 교육 방안 연구: 신문 사설․칼럼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박사) 
김영옥, <독서 능력 신장을 위한 독서 지도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영이, <교육방송 VOD 및 ICT를 활용한 자기표현능력 신장 방안: 중학교 말하기,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영인, <설화를 활용한 말하기․듣기 교육 방법 탐색>,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옥순, <학습일지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읽기 학습 양상 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옥희, <초등학생의 은어와 비속어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 편지글을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원관, <신문을 활용한 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군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김은주, <중학교 듣기․말하기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자영, <매체 교육의 수용 현황과 문제점: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활동> 학습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정란, <국어과 대화교육 내용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정은, <사고 구술을 활용한 읽기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정현, <쓰기 교육의 활성화 방안: 읽기와 매체의 통합 지도를 바탕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종윤, <국어과 교사의 평가 문식성에 대한 연구: 읽기 영역 평가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석사) 
김지선,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 연구: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자기점검'과 ‘보충․심화'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영, <문학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지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 1학년 2학기 <<능동적으로 읽기>> 단원의 학습 과제 분석>,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진경, <논술 능력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진주, <읽기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창국,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 관련 교사 인식 검증>,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창욱, <‘국어'와 ‘생활 국어’ 교과서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경성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충근, <북한 소학교 4학년 국어교과서 분석>, 춘천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태연, <초인지 전략과 동기 전략을 이용한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태옥, <초등 국어과에서 정의적 영역 요소의 변천에 따른 지도 방향>, 서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해영, <소집단 토론을 통한 논술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현미, <국어과 교과서 그래픽 자료 유형 및 내용에 대한 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현주, <국어 청자대우법의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형복,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부산대 대학원(박사) 
김혜경, <국어 교육에서의 매체 텍스트 활용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혜미, <중학교 글쓰기 수행평가 사례 연구: 교사 태도와 논술문 쓰기 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혜정㉡, <말하기․듣기 수업대화에 나타난 피드백 양상 분석>,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혜정㉢, <국어 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효숙㉠, <읽기와 연계한 독서 감상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통합적 관점의 작문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효숙㉡, <학교 독서의 현황과 효율적인 독서 지도 방안: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희선, <탐구학습과 협동학습의 혼합모형에 의한 맞춤법 지도 방안 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희자, <정신지체 특수학교 국어과 교과교육 운영 실태>, 대구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희정, <드라마 매체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감상문 쓰기를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나근화, <신문을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지도 방안>,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나미경, <언어사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활동에 관한 반성적 실천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남경란, <반성적 쓰기를 통한 쓰기 능력 향상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남경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독서프로그램이 독해력과 수학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남민우, <텍스트 가치평가 활동을 위한 시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남연숙, <통신매체를 활용한 청각장애학생의 국어능력 신장 방안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석사) 
남은아, <영화 자료를 활용한 교과수업 방안: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교과를 중심으로>,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남은주, <다매체를 활용한 읽기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남의경, <국어 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의 수용 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남효진, <활동학습의 지도 방안 연구: 교육연극 방법을 중심으로>, 부산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류미영, <쓰기에서 자기 조정을 위한 주제 활용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류보라,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제재의 교육적 적합성 연구: 제7차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목경균, <남한․북한․중국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비교 연구>,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문경은, <육하원칙 요소를 활용한 추론적 읽기 지도 방안 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문명환, <독서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독서 과목 평가의 개선 방안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문미란, <독서클럽 활동이 읽기 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문영숙, <교실수업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과 듣기평가 방법 연구>, 춘천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문진숙, <성서를 통한 국어교육의 방안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문혜영, <도시형 대안학교의 국어과 통합교육과정 사례 연구: 서울,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민지현, <고등학교 ‘국어 생활’ 교과서 비교 분석: 검인정 4종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경애, <중국 조선족의 조선어문연구: 초급중학교를 중심으로>,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경옥, <국어지식 교육의 대안 모색을 위한 고찰: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고분, <용언활용표를 이용한 용언활용 지도 방법 연구: 초등학교 4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광숙, <텔레비전 뉴스 텍스트의 국어 교육적 접근>,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광용, <국어과 현시적 교수-학습 모형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박기원, <광고언어를 활용한 이해력 신장교육에 대한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명우, <제7차 작문 교과서의 ‘작문의 실제’ 단원 구성 방안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미영, <국어 지식 영역에서 국어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 국어의 변화를 고려한 훈민정음 교수․학습 원리를 중심으로>, 성신여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미자, <초등학생의 맞춤법 오류실태분석과 지도방안>, 세명대 교육대학원(석사) 
박병삼, <미적 체험 활동을 통한 창의적 글쓰기 지도 방안>,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상미,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말하기․듣기 교육 비교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선영,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성미, <국어 불규칙 활용의 종합적 논의: 학교문법의 관점에서>, 경남대 대학원(석사) 
박숙현, <그림 읽기를 통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지도 방안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유미, <학습부진아의 문자해득 지도법 연구: 도서 벽지 복식 학급 아동을 중심으로>,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유민, <교과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독서 지도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은경, <제7차 중․고등학교 국어 지식 교육의 연계성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인환, <초등학생의 통신언어 실태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울산 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울산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재현, <설득 담화의 내용 조직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박사) 
박정미, <학급 웹사이트의 게시판 기능을 활용한 국어과 학습 효과 분석>, 강원대 정보과학대학원(석사) 
박정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상관성 연구 및 타당도 분석: 2005학년도 언어 영역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정진, <국어 수업의 질문활동 양상 연구>, 고려대 대학원(박사) 
박종숙, <도․농 지역 독서 실태 비교 연구: 전주와 부안 지역을 대상으로>,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주득,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 프로그램 구안 및 반응 양상에 관한 연구>,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주화,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석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주희, <‘영화 읽기’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지언, <중학생의 띄어쓰기 사용 실태 연구: 3학년 학생의 글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박진용, <텍스트 의미 구조의 읽기 교수․학습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박사) 
박진우, <배경지식 활성화를 통한 읽기 지도 방안 연구: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철현,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지도가 실업계 고등학생의 읽기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박현표, <학교 독서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박혜련, <토론 연극(Forum Theatre)을 통한 토론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박혜례나,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박혜숙, <사이버공간에서의 저학년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백석대 정보기술대학원(석사) 
방지민, <중등과정 생활국어교과의 교육 연극 활용방안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배설아, <사이시옷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배정희, <‘개인 상황맥락'을 반영한 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춘천교대 교육대학원(석사) 
배해남, <고등학생의 독서 경향에 대한 실태 분석 및 실질적 독서 지도 방안>, 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백미령,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의 계통 기술에 대하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백정운, <내용 생성을 위한 동료 협의가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변경애, <중심내용찾기 지도방법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변지현, <중등학교 국어지식 교육의 연계성 연구: ‘공통과정'과 ‘선택과정'의 연계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부종철,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논술교육 연구>,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서기문, <독서요법을 활용한 독서지도 방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서명애, <찬반 대립 토론법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술문 쓰기 능력 신장 방안>,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서명옥㉡, <국어교육을 통한 통일교육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순복, <문법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7차 국어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및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심미,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중학생 국어능력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 대학원(석사) 
서영은, <국어 관용어 지도 방법 연구: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현대소설에 나타난 국어 관용어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영이,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영희,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윤대, <협동학습이 논설문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윤정, <총체적 언어 접근법과 발음중심 교수법을 병행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배재대 대학원(석사) 
서일오, <국어과 말하기 영역의 태도 교육 개선 방안>,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정연, <쓰기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신념 및 유치원에서의 쓰기 지도 실태>,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정원,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서정임,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작문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성시정, <어휘력 신장을 위한 사전 찾기 사례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성옥정, <교과서의 속담 분석과 그 지도 방안>,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성용근, <효율적인 고등학교 어휘 지도 방안 연구-읽기 자료와 어휘 지도 관점의 비교를 통하여>,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성찬호, <고등학교 국어교과 읽기수업의 독해력향상 TAI협동학습 모형 개발과 효과성 검증: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를 중심으로>,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성필숙, <고등학교 국어생활 교과서 분석: 단원 구성 양상을 중심으로>,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소성룡, <매체 언어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손경미, <비문법적인 문장 분석을 통한 올바른 문장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부산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손병출, <남북한 국어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의 내용 비교>, 경남대 대학원(박사) 
손영선, <논술지도의 방안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관동대 교육대학원(석사) 
손영은,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황순원의 「소나기」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손은영, <읽기․쓰기의 통합지도를 통한 읽기능력 신장 방안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송강숙, <설명문 쓰기 과정 양상 연구: 초등학교 3, 5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송무아, <논술 텍스트의 구조 분석 및 단락 형성 방안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송미아, <소그룹과 가정에서의 독서지도를 통한 독서습관의 형성 방안 연구>, 제주대 대학원(석사) 
송미영, <중세국어 대우법의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송의련, <쓰기 전 과정 전략 지도가 쓰기 능력 수준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태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논술 교육 방법론 연구>, 세종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희원,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나타난 국어지식영역 연구: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신미경, <7차 <문법> 교과서와 <국어생활> 교과서의 비교연구: 표준어와 맞춤법 교육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신미영,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사례 연구: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신상팔, <탐구활동을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신선미, <효과적인 국어 관용어 지도방안 연구: 8학년 심화 학습을 중심으로>, 인제대 교육대학원(석사) 
신연순,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전에’ 활동의 적절성 연구: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신연희,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신정민, <비판적 사고 함양을 위한 통합 교과형 논술 지도법 연구: 함축과 숨은 전제, 재정의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교육대학원(석사) 
신종숙, <독서신문 제작 과정과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신현순, <인성함양을 위한 독서지도 방안 연구: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신현주, <중학교 ‘국어 지식’ 영역 분석: 제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심은숙, <전남 지역 도농통합시 초등학생들의 쓰기 실태와 개선 방안>,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심현미, <강원지역 고등학생들의 고유어 인지 실태 및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선옥, <중학생 구어 표현 양상과 지도 방안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연진, <국어과 매체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연희, <국어 관용어 지도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영희, <설득적 텍스트 생산 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쓰기 연계 지도 방안>, 상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안희숙, <비언어적 표현활동이 말하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제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양경화, <독서교육을 위한 웹 시스템 구축 및 활용>,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양소영, <국어과 내적 통합에 관한 메타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양승만, <문화 생산을 위한 독해 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염혜정, <작문 수행평가의 실태와 개선방안: 수도권지역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염혜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오명희, <인지적 도제 활성화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중학생의 글쓰기 능력 신장 방법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오미선, <제 7차 교육과정상 국어지식 내용 구성 연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오정석, <독서 노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독서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오정훈, <연결성과 통일성 지도를 통한 논술 쓰기 능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오찬세, <과학고등학생 논술문의 수준별 양상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오화영, <과정 중심 글쓰기에서 자기 조정 전략과 상호 평가 전략의 효과 비교>,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우영실, <동화 읽기 지도가 학습부진 아동의 읽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청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우화영, <수행평가에서의 상호평가지 활용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원경미, <요리활동을 통한 유아의 언어 양상에 관한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원선희, <독서지도를 통한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신장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원지희, <후일담 쓰기를 통한 읽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유기라, <중학교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유승애, <아동의 문단 형성 능력 발달 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유정희,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읽기 교과서 구성 방안>,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유환수, <중학교 독서지도의 심화 방안 연구>, 순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유희숙, <정신지체 학생의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제 7차 정신지체 학교 고등부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윤경자, <비판적 읽기의 지도 방안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윤기숙, <중학교 국어 교과서 ‘읽기 전에'에 관한 연구: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1학년 국어 교과서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윤다운, <바꿔말하기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윤미옥,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어과 사고력 신장 방안: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 소재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윤선숙,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방법 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윤인구, <글 없는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한 이야기 구성력 신장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윤혜정, <웹 기반 쓰기 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쓰기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 특수교육대학원(석사) 
이강명, <WBI(Web Based Instruction)를 활용한 중학교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사이버모듬일기'(www.modumilgi. com) 학습 모형을 적용한 글쓰기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강현, <단계적 글쓰기 학습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문장 표현력 신장 방안>,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명, <국어과 쓰기영역 교과서 분석과 개발 방향 모색: 10학년, 작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미, <중등 국어교과의 매체교육 실태와 수용 방안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미, <초등학생의 독서 성향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독서 지도의 방향>,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아,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가요의 국어교육 활용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음악 교과서 수록곡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경은,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이규순, <과정 중심 논술 지도 방안: 텍스트 논술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이금주, <사고구술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독해 양상 분석>, 광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기연, <어휘 교육 내용 설계를 위한 낯선 어휘의 의미 처리 양상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이기종, <반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교육방법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기호,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 신장>, 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남희, <‘글쓰기 실제’ 지도 방안 연구: 대화주의 작문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동숙, <통합학습 방법을 적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강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명숙, <토의학습을 통한 비판적 읽기 지도 연구: 초등학교 4학년 읽기를 중심으로>, 덕성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미란, <구조분석을 통한 설명적 텍스트의 이해과정에 대한 연구>,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미현, <인터넷 신문을 활용한 논술 지도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미혜, <이야기 구성하기가 쓰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민영㉠, <토의를 통한 독서교육 방안 연구: 7학년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민영㉡, <효과적인 읽기 학습을 위한 텍스트의 도식조직화 방안: 중학교 <국어> 교과서 설명문을 중심으로>, 계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민주, <중․고등학교 국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 유형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병준, <중학교 협동 작문 지도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상헌, <세계통합이 국어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 대학원(석사) 
이상화, <국어 교육을 위한 문장 완성형 게임 개발>, 계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성건, <고등학생 논술문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수연,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의 ‘국어지식’ 영역 연구: 제7차 교육과정의 학년별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세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수진,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교과서 구성 방안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숙영, <국어 지식 영역의 검토 및 지도 방안: 초등학교 중학년을 중심으로>, 서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승영, <논술텍스트 쓰기 지도 내용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승철,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개선 방안>,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연희, <‘구조화’ 중심의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영란, <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과 「국어 생활」>,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영의, <대안학교의 국어교육 실태 연구>, 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영주㉠, <웹기반 독서 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독서 태도 형성 방안: 과정 중심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영주㉡, <유의어 지도 방법 연구: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우식, <읽기 지도의 효율화를 위한 수준별 수업 방안 연구>,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유신, <강남과 강북 학생들의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사용실태 비교 연구: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윤경, <통신 언어의 특징과 실천적 교육 방안>, 경성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윤정, <e-러닝 기반 초등 독서 교육 연구: 4~6학년을 중심으로>, 제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은영, <국어 교과서 재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이은주, <라디오극 제작을 활용한 총체적 국어교육 방안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임순,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재임, <전략적 읽기 지도를 통한 독해 능력의 향상 방안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정숙㉡, <‘국어지식’ 영역의 연계성 분석: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정희,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영역의 단원 배열 연구>, 공주대 대학원(석사) 
이종걸, <국어 교과서 분석․평가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명지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주영, <제7차 교육과정 구현으로서 중학교 교과서 작품 선정의 적절성 고찰>,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주철, <논쟁토론학습을 적용한 주장하는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지선, <국어 규범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학습자의 국어 오용 예방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석사) 
이지연, <문법 교과서의 비판적 검토: 제7차 문법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지혜, <인터넷 담화의 구비문학적 특성과 통합적 국어교육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춘화, <인터넷을 활용한 국어교육 방안 연구>, 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태연,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과 교과서의 연결성 연구: 「생활국어」 교과서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계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항준, <국어과 온라인 콘텐츠 유형설정방안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해진, <학교문법에서의 보어의 범위 연구>, 서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향연, <문맥을 이용한 국어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현숙, <토론 교육을 통한 중학생들의 언어 사용 능력 향상 방안>,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현정, <국어과 수준별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현주,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중학교 독서지도에 관한 연구>, 여수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형숙,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 지도에서 ICT 활용 교육의 효과>, 청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혜경, <중학교 듣기 교육의 실태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혜원, <제7차 중학교 교과서의 <국어지식> 영역 분석>,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화수, <중학교 국어과 학습일지 쓰기에 관한 현장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화중, <과제 해결 중심의 쓰기 지도 방법 연구>, 인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이희녕, <Meta-plan을 활용한 토의․토론 학습 모형 연구>, 부산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임성호,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읽기․쓰기 통합 지도 방안>,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임영숙,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석사) 
임용달, <논술 교육의 쓰기 영역 지도에 관한 연구: 소집단 활동과 연계한 논술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임정선, <학교문법에서 담화교육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임채희,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국어부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임화영,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교과서의 특성 및 개선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임효례, <한․중 국어 교과서 비교 연구>, 경상대 대학원(박사) 
장경순,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독서 토론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장기배, <과정중심 전략 지도가 독해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장기순, <현대국어 ‘사이시옷’ 교수-학습 방안>,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장미희, <놀이 담화의 교육적 효용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장수연, <초등교육 독서지도 방안 연구: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장은영, <제7차 국어과 쓰기 영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연구: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장은자, <단계별 독서 활동의 지도 방안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장정희, <독서 교육이 중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 교육대학원(석사) 
전난희, <국어지식영역의 국어에 대한 태도 연구: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심으로>, 공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전미선, <협동 학습을 통한 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전보영, <패러디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전영신, <탐구 학습 모형을 활용한 띄어쓰기 지도방안>, 경성대 교육대학원(석사) 
전희경, <교과서 편찬 기본 방향에 따른 국어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분석: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정다와, <설득하는 말하기 지도방법 연구: 비판적 읽기를 활용하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정미라, <중학교의 바람직한 음운 교육 방법론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상섭, <공감적 화법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박사) 
정선임, <댓글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 방안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성애, <내용 생성 협의가 논술문 쓰기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수연, <비판적 읽기 지도 내용 연구: 독해점검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승연, <고등학교 국어 지식 교육에 관한 연구-국어 교과서 영역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영희, <수업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의 비언어적 표현 양상 연구: 신체언어와 준 언어를 중심으로>,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유정, <국어지식 영역의 내용 재구성 방안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은숙㉠, <국어 영역의 통합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 지식 영역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은숙㉡, <쓰기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비계설정(Scaffolding) 양상 연구: 생활문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정재학, <중학생의 독서 실태 분석을 통한 아침독서 10분 운동의 효과 검증과 지도방법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정희, <학습자 중심 생각고리 방법이 국어과 학업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읽기를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지영㉠,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력 확대 방안: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정지영㉡, <국어 교과서의 통합적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정진화, <중학교 국어 지식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정해영, <매체언어 개발과 활용을 통한 국어 수업 개선 방안: 중학교 2학년 1학기 ‘3. 우리 고전의 맛과 멋'을 중심으로>,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제수현, <내용생성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교수-학습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조국선, <통신언어 교정 지도를 통한 규범적 쓰기 능력 향상 연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학교홈페이지 자유게시판 언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윤서, <비판적 문식성 향상을 위한 논증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윤옥, <쓰기 수행 과제 분석 연구: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아,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동영상 강의의 교수발화 분석>,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영, <신문을 활용한 논술 수업 지도 방안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은희, <중학생의 문장 실태와 교육 방안>, 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조인혜, <내용 생성과 조직화 전략을 통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향선, <인터넷 언어가 청소년 국어생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현아, <광고언어의 국어 교육적 활용 방안>, 연세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혜원, <협동학습 중심의 읽기 지도 방안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조혜진, <독서 클럽을 통한 독서 치료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주중연, <낭독 속도 지도 연구>,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진선주, <방언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진정아, <국어사 교수-학습 방법 연구: 고등국어(하)를 중심으로>,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진혜림, <듣기 교육에 관한 연구: 대학수학능력 시험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중앙대 교육대학원(석사) 
차윤정, <텔레비전 출연자의 말과 자막의 대응 양상>, 대구대 교육대학원(석사) 
천경순, <중학교 교과서의 ‘국어지식’ 영역 분석과 교수․학습방법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최귀헌, <매체 활용 말하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춘천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최명자, <도식 조직자(Graphic Organizer)를 활용한 이야기글 구조 지도 방안 연구>, 대구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최복자, <토론 교육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전남대 대학원(박사) 
최선미, <학습 부진아의 읽기 지도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성진,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원리’ 범주의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중학교 <생활국어> 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경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승숙, <통합적 쓰기 지도 방법 연구: 초등학교 2학년 전 교과를 중심으로>, 춘천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안나, <읽기 부진아의 특성 연구: 초등 6학년>,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은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높임법 연구: 제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주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듣기 평가의 적합성 연구: 질문지와 선택지 제시 방식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향순, <연행을 통한 말하기 교육 방법 연구>, 춘천교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희선, <방언 교육의 이해와 실제>, 전북대 교육대학원(석사) 
표은주, <중학교 국어지식 영역의 내용 체계 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석사) 
하기란, <중학교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석사) 
한광희, <중학교 독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요구 분석>,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한기현, <다중지능 독서 프로그램이 독서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숙희, <입문기 기초 문식성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영환, <듣기와 보기를 연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애니메이션 보기를 중심으로>, 전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유경, <설명하는 글 구조 중심의 고쳐쓰기 지도 방안>, 공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정희, <초등학생의 쓰기 과제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경인교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지연, <제7차 문법 교과서 분석: 문제점과 개선방안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한지효,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독서 태도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허수진, <중등학교 논술지도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허영희, <광고언어를 활용한 중학국어 수업 방안>,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허윤미, <다매체를 활용한 토의․토론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과목을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석사) 
허은주, <쓰기 전 말하기가 쓰기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현빈, <어휘 평가 문항 분석: 대학수학능력시험 어휘문항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홍정은, <광고 언어를 활용한 국어 지식 교육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홍지은, <PC 통신 언어의 사용 실태와 교과 지도 방안: 중학생을 대상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홍진희, <고등학교 국어 국정교과서와 대안교과서의 비교 연구: <고등국어>와 <우리말우리글>을 중심으로>, 군산대 교육대학원(석사) 
홍현숙, <대학생의 독서 태도와 전략 활용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 교육대학원(석사) 
홍현정, <대화식 읽기 교수 전략 개발 연구: 설득적 텍스트의 중심 생각 찾기 수업을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석사) 
황경림, <창의력 신장을 위한 말하기 교수․학습 방안>, 부산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선경, <중학교에서의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지도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선희, <중학교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낱말과 형태소 단원을 중심으로>, 군산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성현, <중학생의 작문에 나타난 한글 맞춤법 오류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2학년 학생의 글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수경, <실업계 고등학생의 독서 치료 방법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원희, <초등학교에서의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 지도 실행 연구>, 청주교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정미, <국어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 
황진옥, <읽기․쓰기 통합 논증텍스트 교육 방안: 통합논술교육의 기초적 접근>, 경기대 국제문화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가경신, “읽기 능력과 읽기 인지 변인과의 상관”,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강영기, “독서매뉴얼 개발과 독서교육”, 백록어문 22, 백록어문학회 
고선아, “이야기 스키마 활성화를 통한 이야기 창작지도 방안 연구”,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고창운, “활동 중심 교육연극 활용을 통한 말하기 지도 방안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곽재용, “마음 수련을 통한 국어교육적 태도 형성”,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구진령, “교육연극을 통한 독서교육 방법 연구”,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권순긍,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지향과 방법: “환상성”과 “상호소통성”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1, 반교어문학회 
권순희, “국어 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권순희,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 모색: 호주의 언어 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권순희, “문화 텍스트적 관점의 번역 동화 이해 교육”,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권순희·서명옥㉠, “창의적 표현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과의 교수 학습 전략 방안: 문화 텍스트적 관점에서의 번역 동화 이해와 감상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권연희, “상호작용적 포트폴리오 프로그램 적용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권혁준, “목표 중심 단원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초등학교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기명숙, “구두작문과 자유쓰기가 설명적 텍스트 쓰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근호, “이야기판과 서사적 정체성의 역학 관계: MBC FM 라디오 여성시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김남돈, “學習者 말뭉치에 기반한 國語知識의 計量的 硏究 方案”,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남희, “오독분석법을 활용한 읽기 부진아 진단에 관한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대조, “초등학교 학생들의 고쳐쓰기 능력 증진을 위한 전체적 접근 전략 지도의 효과”,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대행, “국어생활, 국어문화, 국어교육”,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김대희, “리터러시 槪念의 擴張에 관한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1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도남, “共주관 구성 읽기 교육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김도남, “독자의 緣起的 관념 구성 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도남, “읽기 주체의 관념 구성 교육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김도남, “정서 함양 읽기 교육 방향”,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김도남, “초등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도남, “초등학교 현장의 독서 문화 비판”,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김도남, “필자의 관념 완성 쓰기 교육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김도남, “해석 공동체의 개념 탐구: 읽기 교육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김동준, “독서인증제를 통한 독서교육 평가”, 백록어문 22, 백록어문학회 
김두루한, “중등학교의 신문 활용 논술 교육”, 한글새소식 407, 한글학회 
김미혜, “문학교육에서 지식의 재개념화를 위한 연구”,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김미혜, “수사학적 지식의 교육 내용 연구: 현대시 텍스트의 설의적 표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김병구, “논술과 작문 교육의 관계 정립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김봉순, “읽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김상수·송향근,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김상욱,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상욱, “문학교육 연구방법론의 확장과 그 실제: 서사 텍스트의 표현 능력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상욱, “문학을 통한 국어교육의 재개념화”,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선겸, “초등학교 국어과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 전자게시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선민, “수리·과학적 문제해결과 언어”,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김선배, “교과서 문학 영역에 제시된 질문의 양상 탐색: 반응중심학습법으로 설계된 차시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선배, “반응중심학습법의 현장 적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선정, “‘읽기 중심의 쓰기’ 모형 실행 연구: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김선정, “高等學生들의 글쓰기 事例 연구 -自己 表現的 쓰기와 協議하기를 통한 쓰기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1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선정, “국어교사의 쓰기 교수 전문성 준거 설정 기초 연구: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3, 한국작문학회 
김성진㉠,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희곡 교재 지도 방안 연구: 연극 놀이를 중심으로”,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김성진㉡, “서사이론과 읽기 교육의 소통을 위한 시론”,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소영, “건의문 쓰기의 지도 방안 연구”, 우리말연구 19, 우리말학회 
김소영, “연설의 담화 유형적 특성과 평가의 방향”,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김수연·하대현, “텍스트 종류와 Cattell-Horn-Carroll(CHC) 인지요인과의 관계”,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김순애, “소집단별 주제 중심 독서활동의 효과”,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양희, “북한의 서사 교육”,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연희, “서부경남 지역에서의 지역화 교육 실천 사례”,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김용석, ““학교문법"의 정체성에 대하여”,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김유범, “중세국어 문법 교육과 언해본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새얼어문논집 18, 새얼어문학회 
김유범, “중세국어 문법의 효과적 교육을 위한 모색”,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김윤옥, “공식적 말하기 교육내용 고찰”,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윤옥, “상호주관적 화법의 특성 연구”,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김은경, “조선시대(朝鮮時代) 독서(讀書) 방법론(方法論) 연구(硏究)”, 한문고전연구 13, 한국한문고전학회 
김인경, “논쟁의 불일치 조정 방안”,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정우, “시 이해를 위한 시 창작교육의 방향과 내용”,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정우, “학습자 중심의 문학사교육 연구: 정지용의 시론을 예로 하여”,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김정자,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쓰기>영역 내용 검토”, 작문연구 3, 한국작문학회 
김정자, “쓰기 ‘과정’의 초점화를 통한 쓰기 지도 방안: 수정하기와 출판하기 과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김중신, “서사 장르의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한 제언: 작품의 축약과 도식화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진규·안주호,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과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진영, “이미지 표현 활동을 적용한 동화 지도방안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차진, “어문 정책과 어문 교육 정책의 협력 방안 모색”, 교과서연구 48, 한국교과서연구재단 
김창원, “다중언어 사회의 언어문화현상을 통해 본 21세기 언어문화교육의 방향: 싱가포르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김창원, “문학교육의 성격과 문학 교과서의 지향: 제7차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점검과 논의”,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김창원, “예술교육에서의 언어의 문제”,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김태숙, “시의 구성요소에 따른 낭송 활동 중심의 시 교육 연구”,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김혜영, “사범대학교 국어과의 교사교육체제와 지향점”,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김혜정㉠, “‘교과 독서’의 수업 적용 원리”,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김혜정㉠, “말하기․듣기 수업 대화에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양상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혜정㉠, “외국의 초등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김혜정㉡, “읽기 교육 방법론에 대한 재고”,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김호정,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나근화, “신문을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지도 방안”,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남가영, “국어 인식활동의 경험적 속성”,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남민우, “‘사이버-청소년문학’의 문학교육적 의미 연구”,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노명완·박창균, “읽기 평가틀에 대한 비교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9-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노명희, “한자어 문법 단위와 한자어 교육”,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노철, “시 교육에서 이미지․비유의 교육과정과 교재의 설계 방향”,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도애경, “대학 작문 교육의 전략적 접근”,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류성기, “말하기 교육 효율화를 위한 동기 유발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류수열, “<關東別曲>의 교재사적 맥락”,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류수열, “문학 지식의 교육적 구도”,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류수열, “문학교육과정의 경험 범주 내용 구성을 위한 시론”,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문금현, “한국어 명사 ‘눈’의 교육 방안”, 한국어의미학 21, 한국어의미학회 
문영진, “아이러니와 아이러니 서사의 읽기 문제”,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민병곤, “말하기·듣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민병곤, “텍스트 중심 말하기 교육 내용 구성의 전제와 함축”,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민현미, “국어과 ‘그려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민현식,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과 문법 교육의 과제”,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민현식, “국어교육에서의 지도력(리더십) 교육 시론”,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민현식, “사범대 문법 교육과정의 구성과 문법 교육의 개선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박권수, “이공계 과학글쓰기 교육을 위한 강의 모형: 연세대학교의 「과학글쓰기」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2, 한국작문학회 
박대응, “학생 수준차를 고려한 과정중심 쓰기 지도 방안 연구: 교사의 비계 설정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미정, “전기문 쓰기의 지도 모형 연구”, 국어교과교육연구 11, 국어교과교육학회 
박미정, “전기문 쓰기의 지도 요소 연구”, 작문연구 2, 한국작문학회 
박세영, “대학국어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 대학의 자국어 교육 현황과 문제점”, 강남어문 16, 강남대 국어국문학과 
박세욱·한건우·이은경·이영준, “미니홈페이지를 통한 글쓰기 교육이 작문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2-4, 한국교원대 교육연구원 
박수자, “언어 영재를 위한 논리적 독서 지도”,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수자, “추론적 읽기 지도의 내용 연구”,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박숙현, “그림 읽기를 통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지도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23, 한국어문교육학회 
박영목, “검정 도서로서의 국어 교과서 개선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박영목, “전략적 과정 중심 읽기 지도 방안”,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박영민, “고등학교 작문 과목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작문연구 3, 한국작문학회 
박영민, “교원 양성 대학의 작문 교육 프로그램 구성 방안”, 작문연구 2, 한국작문학회 
박영민, “국어교과서 기능의 변화와 단원 구성 방안”, 한국어문교육 15,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박영민, “반성적 쓰기를 활용한 작문 평가 방안”,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영민, “쓰기 교육에서 지식의 범주와 교육 내용의 구조”,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박영민, “중학생 읽기 동기의 구성 요인”,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박영민, “중학생의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박영민·김종백·우은실, “반성적 쓰기 활동이 학생필자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12-1, 안암교육학회 
박영민·최숙기,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과서 단원 개발을 위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박유미, “학습 부진아의 문자해득 지도 방안”,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박유민, “교과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독서 지도 연구”,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박윤우, “‘이야기시’의 화자 분석과 시의 해석 방법”,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박인기, “국어교육과 타 교과교육의 상호성”,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박인기, “존재 정체감을 높이는 교사재교육과 국어과 지식의 활용 잠재력”, 교육논총 26-1, 경인교대 초등교육연구소 
박인기, “특수 영역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인희, “작문 교육에서 컴퓨터의 위상”,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재현, “설득 화법 교육을 위한 텍스트 연결 표현의 의미기능 연구”, 텍스트언어학 2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재현, “어휘 교육 내용 체계화를 위한 어휘어미의 가치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정진, “국어 수업의 수준별․주체별 질문활동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정진, “國語 授業의 言語活動 樣相 硏究”,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정진, “수업 담화에서의 질문활동 구조”,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박정진, “실증주의적 관점의 독서 평가 방법”, 한국어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박창균, “말하기․듣기 수업의 참여구조 양상 연구: 초등학교 4학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현정, “‘낯설게하기’ 쓰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형우, “국어 교육에서의 중세국어 문법 교육”,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박형우, “국어 지식 교육 내용의 변천 연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박형우, “국어교육에서의 한글 교육”,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박혜영, “중등학교 독서 문화 비판”,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박호관·이정복, “고등학생들의 비규범적 통신 언어 사용과 국어 교육의 과제”, 어문연구 50, 어문연구학회 
방인태, “도덕적(道德的) 인간(人間) 육성(育成)과 국어(國語) 능력(能力)”,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방인태, “新 國語科 敎育課程의 개선 방향”, 어문연구 1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배설아, “사이시옷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비교문화연구 18, 부산외대 비교문화연구소 
배소영,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배수찬, “근대 초기의 작문교육 환경 연구: 國語敎授法(1912)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백광호, “漢字能力試驗과 讀解力의 비교 연구: 初等學生을 대상으로”, 어문연구 1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변화영, “하근찬 소설에 나타난 식민교육담론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7, 현대문학이론학회 
봉하창, “반응중심 학습법을 적용한 시조 지도 방안 연구: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서덕현, “수업 현장의 교사 화계에 대한 연구”,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서명희, “시조 교육에서 태도의 개념: 태도의 두 가지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서명희, “시조 수용 태도 교육 연구를 위한 <오우가> 읽기: 절차로서의 태도를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교육 11,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서명희·조희정, “초등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2): 건국 과도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 구비 전승 제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서수현, “글쓰기에서의 내용 지식에 대한 개념 규정”,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서유경, “귀신 등장 이야기의 문화적 변화와 문학교육: <귀신이 산다>와 <시실리 2km>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서유경, “향유 문화의 관점에서 본 「옹고집전」의 교육적 의미”,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서정혁, “대학의 교양교육과 글쓰기 교육”,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서주형, “초등학생의 대용 표현 사용 실태와 그 지도 방향”,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서혁, “국어과 수업 설계와 교수․학습 모형 적용의 원리”,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서혁, “새로운 국어 교과서 개발의 방향: 중학교 ‘쓰기’영역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3, 한국작문학회 
서현석, ““인격적 지식"을 위한 국어 수업의 현상 탐구”,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서현석, “초등 말하기 수업의 내용과 방법”,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선주원, “‘타자’의 서사적 기능과 서사교육의 내용”,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선주원, “비평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소설 교육: 교육대학생의 비평적 에세이 쓰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선주원, “여가적 읽기를 위한 어린이 문학교육 내용 연구: 문학 생활화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선주원, “작중인물의 정체성을 활용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내용 연구: 청소년 소설에 형상화된 정체성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선주원, “패러디를 활용한 어린이 문학 교육”,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성숙자, “비판적 책읽기 지도 방안”, 우리말연구 18, 우리말학회 
손경미, “비문법적인 문장 분석을 통한 올바른 문장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송문석, “독서교육평가의 과제”, 백록어문 22, 백록어문학회 
송현정,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신명선, “개화기 국어 생활 연구: 독립신문 광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신명선, “통합적 문법 교육에 관한 담론 분석”,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신선경,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작문연구 2, 한국작문학회 
신수자, “국어과 설화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국어교과교육연구 11, 국어교과교육학회 
신승용, “문법 교과서 ‘어휘’ 대단원의 비판적 검토”, 어문학 93, 한국어문학회 
신승용, “문법敎科書 內容 記述上의 몇 問題와 改善 方向”,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신원기, “설화의 교재화 양상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의 ‘내용’영역과 고등학교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신원기,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신지영, “국어 음운론 지식의 교과서 수용 실태와 문제점: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신지현·최영환, “교과 문식성을 통한 국어과와 타 교과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신헌재, “문학 교육과정 내용 선정을 위한 대안적 연구 방향”,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심보경, “대학생의 글쓰기 실태조사와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39, 국어교육학회 
심영택,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에 관한 교육적 의미 연구”, 논문집 11, 청주교대 교육대학원 
심치열,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고전소설 교육의 현황과 문제: <박씨전>을 중심으로”,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 돈암어문학회 
안숙현,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토의 중심의 글쓰기 교육”,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양명희, “보어와 학교문법”,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양명희·이영숙·정희창, “초등학교용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작문연구 2, 한국작문학회 
양승만, “문화 생산을 위한 독해 지도 방법 연구”,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양왕용, “문학 교수-학습 방법과 문학이론의 상관성: 초․중학교 제7차 ‘교육과정, 국어교과서,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연구 11, 국어교과교육학회 
양태식, “국어 지식의 성격과 지도 과제”,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양태식, “초등 학교에서의 맞춤법의 지도”, 한국어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엄해영·김지은㉠, “읽기 지도를 위한 협동적 접근의 재고찰”, 한국어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엄훈, “고전 논변 텍스트를 통한 문화 읽기”,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엄훈,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교육인류학연구 9-1, 한국교육인류학회 
엄훈, “적용적 개선을 통한 초등학생용 비형식적 읽기 검사 개발”, 논문집 11, 청주교대 교육대학원 
염은열, “기행가사의 ‘공간’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1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염은열, “쓰기 교과서의 “활동" 구성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염창권, “시적 발상과 창작 지도 원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오윤선, “理工系 大學生을 對象으로 한 글쓰기 敎授法의 方向”,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오정훈, “토박이말 지도 방안”, 배달말교육 27, 배달말교육학회 
왕문용, “국정 문법 교과서의 피동법 기술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우한용, “<文學創作敎育論> 강의 개설을 위한 구상”,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우한용, “국어교육학 정립의 도정과 전망”, 선청어문 34, 서울대 국어교육과 
우한용, “문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 심화선택과목 <문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유경·정은희,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의 접속부사 사용 특성”, 언어치료연구 15-2, 한국언어치료학회 
유동엽, “판별함수를 활용한 화법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자기소개대화를 매개로”,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유동엽, “화법교육 연구방법의 내용분석”,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유영희, “국어 교과서 현대시 제재와 해석의 다양성”,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 돈암어문학회 
유영희, “학습자의 현대시 감상 경향에 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유철상, “영향 개념의 문학교육적 함의와 그 적용 가능성”,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유혜령, “언어 구조의 다차원성과 학교문법의 연결어미 교육 내용”,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윤국한, “발음 학습의 개념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 15, 한국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윤금선, “해방 이후 독서 대중화 운동”,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윤금선, “희곡교육․교육연극의 연구 동향”,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윤영옥, “소라단 가는 길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교육적 가치”, 한국근대문학연구 14, 한국근대문학회 
윤영옥, “여성 패러디 소설과 문학 교육: <나무꾼과 선녀> 패러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57, 한국언어문학회 
윤준채,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 대화, 구성 공간, 그리고 탐구”,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윤준채, “읽기: 그 개념에 대한 은유적 이해”,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윤희원, “전환기의 국어 문제에 관한 사례 연구: 프랑스와 불가리아의 언어정책과 국어교육”,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이강엽·김상한, “설화 제재를 통한 듣기․말하기 지도의 한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경애·이채연, “인터넷 활용 국어 재량활동 교육과정 개발 시론”, 교육과학연구 11, 신라대 교육과학연구소 
이경연, “고등학교 입말 문학 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배달말교육 27, 배달말교육학회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과 전개 방식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이경화, “균형적 기초문식성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이관규,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의 상관관계: 문법 교육의 내용 선정 원리와 관련하여”,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이관규, “세계의 자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남호, “중등교사 임용시험 국어 문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이도영, “말하기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연구”,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이도영, “말하기 교육 목표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이도영,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이동배, “Analysi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Altered Jucheism Ideology”,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이동석, “효과적인 사이시옷 표기 교육”,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문규, “소통 능력 신장에 중점을 둔 말하기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이병규, “문법 영역의 내용 선정 방법 연구”,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이병민, “논술고사의 성격 및 타당성 고찰”,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이병승, “초등학생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쓰기 평가 연구”, 한국어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상일, “북한 교과서의 고전문학 작품 선정 원칙과 수록 체제”, 고전문학과 교육 1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이상태, “말소리의 정책과 교육”,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이상태, “사고력 함양의 모국어 교육”, 국어교육연구 39, 국어교육학회 
이석규, “국어과 수업 분석의 방법 연구”,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선웅, “第7次 敎育課程의 文法 敎科書와 敎師用 指導書 검토: ‘單語’와 ‘文章’ 單元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성연·정옥란, “북한 고등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성영, “국어 교과서를 구성하는 텍스트들의 유형”, 한국초등국어교육 3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성영, “읽기 교육의 마당 넓히기: 내용교과에서의 읽기 지도”,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이성영, “제7차 초등학교 ‘쓰기’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작문연구 3, 한국작문학회 
이성영, “KWL 모형의 국어교육적 가치”,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이성은·권성숙, “아동의 문학평가능력 향상을 위한 동화비평문 쓰기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세은, “초등학교 시조 창작 지도 방법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이수진, “초등 수준별 국어교과서의 개선 방안 연구”,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수희, “독자의 목적에 따른 요약하기 체계화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숙영, “국어 지식 영역의 검토 및 지도 방안: 초등학교 중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국어교육 15, 서울교대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이순영, “독서 동기와 몰입 독서의 영향에 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이순영,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이순영, “몰입 독서의 개념에 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이승구, “교과서 표기·표현 감수제 도입에 부쳐”, 교과서연구 48,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이아경, “바꿔 쓰기를 활용한 동화 감상 교육 방법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이연승, “장르 해체 현상을 활용한 시교육 방법 연구: 오규원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16, 한국시학회 
이영이, “초등학생 말하기의 대화 분석론적 연구”,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영호, “碑誌類 樣式을 활용한 傳記 쓰기 敎育 연구”,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은희·이현주, “한국어의 서술절 설정 연구: 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5, 한성대 한성어문학회 
이재기,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재기, “批判的 主體 형성을 위한 文識性 교육 원리 및 모형 探究”, 어문연구 1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재기,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독자”,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이재기, “쓰기 교육에서 학생 필자의 자리”,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재승, “국어 표현 교육의 방향: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재승,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재승·신헌재·임천택·전제응, “초등학생용 쓰기 동기 검사 도구 개발과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정기, “방언 학습을 위한 재량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정숙㉠, “쓰기 교수행위의 예술적 의미”,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정환, “가상공간과 시 교육”,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정환, “시조의 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종국, “국어 교과서에서의 이념 지향과 출판 정책”,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 돈암어문학회 
이창근,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 지식 영역 지도 내용 변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창덕·박창균, “말하기·듣기 敎科書 單元 構成 方案 연구: 談話類型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13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형래, “읽기 쓰기 통합 교수 학습 실행 연구: 초등학교 5학년 말하기․듣기․쓰기,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황직, “사회과학 글쓰기의 논리와 과제”, 작문연구 2, 한국작문학회 
이희녕, “메타플랜(Meta-plan)을 활용한 토의·토론 학습 모형 연구”,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임경순, “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철학적 기반 탐색: 국어교육의 개념과 관련하여”,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임경순, “듣기·말하기 單元 開發의 方向과 構成 試論”, 한국어문학연구 2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임경순, “총체적 언어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과 문학교육의 중요성”,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임규홍, ““담화문법 교육"에 대하여”,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임성규, “가난 체험을 통한 현실주의 동화 읽기의 방법 탐구: 김중미의 괭이부리말 아이들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임성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의 비판적 검토”,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임성규, “초등학교 글쓰기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작문연구 3, 한국작문학회 
임성규, “표현 어휘의 교육 방법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임정연,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통한 상호작용성 증진 연구”,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임지룡, “의미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임천택, “국어과 쓰기 평가 문항 작성의 실태와 개선 방안”,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임칠성, “국어과 도입 수업의 교육공학적 접근”, 국어교과교육연구 11, 국어교과교육학회 
임칠성, “중등 국어과 교과서 내용 개발 전략 소고”, 국어문학 41, 국어문학회 
임칠성, “통합 논술 첨삭 지도 방법 고찰”,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임효례, “한·중 국어교과서 영역별 교육 내용 비교 연구”, 배달말교육 27, 배달말교육학회 
임효례, “한·중 중학교 국어교과서 바탕글 비교 연구”,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장경희·권우진·김순자·김정선·김태경·이필영·전은진, “말하기 능력 평가에 관한 요구 조사 연구”, 한국언어문화 3, 한국언어문화학회 
장영희, “침묵의 유형과 교육적 의의”,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장윤희, “문법 내용의 국어 교과서 구현 방안 연구”,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전용호, “고종․순종시대 국어교과서의 서사유형 연구”, 어문논집 53, 민족어문학회 
전원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시 자료의 분석 연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전은주, “국어과 협동 학습에 관한 인식 조사”,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전은주, “화법교육 변천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정길남, “개화기 교과서의 종성표기와 어간 어미 분리표기에 관하여”, 국어교육연구 39, 국어교육학회 
정미숙,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수학습방안: 10학년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국어교과교육연구 11, 국어교과교육학회 
정상섭, “초등학생 일상대화의 문제점 고찰”,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정소영, “전래동화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의 창의성 신장 방안: 초등학교 3학년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정연희, “서술자, 시점을 통한 소설 감상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어문논집 53, 민족어문학회 
정우기, “초등학교 학생들의 시텍스트 수용 양상 연구: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1,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정재찬, “국어 수업 비평론”,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정재찬, “소통과 연대를 위한 국어교육”,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방향”,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재형, “논술 학습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정정순, “초등학교 쓰기 교육에서의 동시 창작 교육의 방향”,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정주리, “문법교과서의 내용 개발을 위한 연구: 중학교 <생활 국어> “음운과 음절" 단원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정주리, “중학교 <생활국어>에 나타난 문법영역 구성분석”, 이중언어학 30, 이중언어학회 
정현선, “미디어 소통의 관점에서 본 인터넷 공론장의 언어문화”,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정현선, “어린이 대상 영상 창작 교육의 국어 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 3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정현선·이미숙, “초등학교 저학년 문학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그림책 수업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정혜승, “교실 소통의 양상과 문제”,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정혜승, “국어과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논총 26-1, 경인교대 초등교육연구소 
정혜승, “읽기 태도 구인과 검사 도구의 요건”,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정혜승,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정혜승,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團員 構成의 방향”, 어문연구 13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조미숙, “반공주의와 국어교과서: 1차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의 선택과 배제 양상”,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조상우, “대중 문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싸이월드> (cyworld)와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7, 우리어문학회 
조윤형, “국어과 교육과정 해석의 상황과 양상 연구: 구전설화 제재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조재윤, “국어과 말하기·듣기 평가 실태 조사 연구”, 화법연구 9, 한국화법학회 
조재윤, “말하기 평가 방법간 신뢰도 분석 연구: 초등학생의 설득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조창규, “국어교과서의 관용표현에 대한 연구: 7차 국어교과서 관용표현의 빈도와 교과 내용 분석을 주로 하여”,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조효정, “논증 구조 익히기를 통한 주장하는 글쓰기 지도 연구”, 어문학교육 32, 한국어문교육학회 
조흥욱, “고전문학 교육방법에 대한 소론”, 어문학논총 특별호,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조희정, “고전 리터러시의 ‘시공간적 거리감’ 연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조희정, “심화 과목으로서의 고전 교육과정 개정 방향”,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조희정·서명희, “초등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1): 건국 과도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 문헌 제재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주강식, “비유적 표현을 통한 시 쓰기 지도 연구”,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주세형,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5, 국어교육학회 
주세형, “국어지식 영역의 규범성 패러다임: 창의성과 균형 잡기”,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주세형, “역대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매체 식별 교육 내용의 변천 양상과 국어교육사적 함의”, 국어국문학 143, 국어국문학회 
주세형, “역대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문법 교육 내용의 목표 표상성 변천 양상”,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진선희, “독서 성향면에서 본 어린이 독자”,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진선희, “학습독자에 대한 질적 연구 방법 고찰: 문학 반응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차혜영, “한국 현대소설의 정전화 과정 연구: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 돈암어문학회 
차호일, “독서교육의 관점 변화 및 지향점”, 한국민족문화 27,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차호일, “문제해결 중심의 설명문 독해 전략 연구: 고등학교 국어과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2, 한국국어교육학회 
천경록, “광주 지역 학습 부진아 교육 실태 조사”, 초등국어과교육 18 ,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천경록,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최경봉, “문법 교과서의 내용 체계상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어국문학 142, 국어국문학회 
최경봉, “표준어 정책과 교육의 현재적 의미”, 한국어학 31, 한국어학회 
최경희, “독서요법을 통한 아동의 인성지도 방안”, 청람어문교육 33, 청람어문교육학회 
최경희, “초등학교 쓰기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새국어교육 73, 한국국어교육학회 
최명환, “한국의 언어 문화와 글쓰기의 원리”, 국어교육 119, 한국어교육학회 
최미숙,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탐색”,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최미숙, “대화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최미숙, “제7차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점검”,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최복자, “토론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국어교과교육연구 11, 국어교과교육학회 
최선영, “즉흥극을 활용한 동화지도 연구”, 어문학교육 33, 한국어문교육학회 
최소영, “치료적 시문학 교육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시치료의 이해와 임상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영환, “상생언어 연구의 과제”, 국어교육 120, 한국어교육학회 
최영환, “초등학교 국어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최용기, “교과서의 국어 표기 감수 제도 도입과 대책”, 교과서연구 48,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최웅환,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시안에서의 매체 교육”, 국어교육연구 39, 국어교육학회 
최인자, “국어과 교사의 실천적 지식 성찰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성찰적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인자, “상생 화용 교육을 위한 소통의 중층적 기제 연구”, 국어국문학 144, 국어국문학회 
최인자, “청소년 문학 경험의 질적 이해를 위한 독서 맥락의 탐구”, 독서연구 16, 한국독서학회 
최지현, “국어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 모색”, 국어교육학연구 26, 국어교육학회 
최지현, “문학교사는 존재하는가: 문학교사에 대한 문학교육학 교수, 예비교사, 그리고 국어교사의 이해”,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지현, “중등학교 문학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과정용어 선정 및 범주화에 관한 연구(Ⅱ): 미국과 캐나다의 영어과 교육과정과 문학교육과정용어”,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지현·이충우·이정숙㉠, “언어영재성 판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1): 평가 준거 및 기준 산출을 위한 이론적 검토”,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최혜진, “고전시가교육과 문화콘텐츠”, 고전문학과 교육 11,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최호철, “고등학교 국어 문법 교과서 분석 연구: 체재와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33, 한국어학회 
최홍원, “‘엇디리’ 표현을 통해 본 고전문학교육의 가능성”, 고전문학과 교육 11,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최홍원, “놀이로서의 언어 교육 내용 연구: 상거래 담화를 중심으로”, 배달말교육 27, 배달말교육학회 
최홍원, “성찰적 사고의 문학교육적 구도: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를 대상으로”, 문학교육학 21, 한국문학교육학회 
하성란, “대학국어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강남대학교 ‘작문과 독서’ 강좌의 현황과 발전 방안”, 강남어문 16, 강남대 국어국문학과 
한귀은, ““비유”를 통한 자아 탐색하기, 그 통합적 교육 방안”, 국어교육 121, 한국어교육학회 
한귀은, “국어교과서의 영상 제작 활동 도입 방안”, 국어교육학연구 27, 국어교육학회 
한귀은, “소설과 텔레비전 드라마의 통합적 교육 방안: TV단막극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한귀은, “장소애․교육연극을 매개한 서사체 통합교육”, 배달말교육 27, 배달말교육학회 
한귀은, “텔레비전 드라마 교육에 대한 장르별 접근: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8종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배달말 38, 배달말학회 
한금윤, “대학에서 학제적 독서 교육의 실제와 전망”,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한명숙, “읽기 교육과정과 문학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한명숙, “초등 국어과 교과서 개발과 단원 구성 체재: 초등학생을 위한 다중 개발 체제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한창훈, “시가문학 장르의 교육과정 개정 방안”,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한창훈, “심화 선택 과목 ‘문학’교육의 내재적 가치”,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허재영, “교육과정기 이전의 작문 교재 변천사”, 한국어학 32, 한국어학회 
허재영, “국어과 교수 학습 이론 변천사”, 어문론총 44, 한국문학언어학회 
허재영, “국정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에서의 국어 지식 영역 변천”,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 돈암어문학회 
허재영, “독서 교육 연구사: 학교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허재영, “문법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이론 변천사”, 문법교육 4, 한국문법교육학회 
허재영, “쓰기 교육과정의 변천과 이론적 배경”, 한말연구 18, 한말연구학회 
황정현, “문화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아동문학”, 한국어교육 24, 한국어문교육학회 
황정현, “초등 국어과 교과서 구성의 방향과 원리: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4, 청람어문교육학회 
황정현, “희곡문학 장르의 교육과정 개정 방안”, 문학교육학 20, 한국문학교육학회 
황혜진, “<학원>의 심사평에 나타난 학생문예관 연구: <학원> (1954.1-1956.2)의 “학원문예상"과 “학원문단"을 대상으로”, 국어교육연구 1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황혜진, “서사 텍스트의 주제 진술 방식 연구”, 독서연구 15, 한국독서학회 
황혜진, “잡지 <少年>의 독자투고에 대한 어문교육사적 연구”, 고전문학과 교육 1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기타>

김두루한, “중등학교의 신문 활용 논술 교육”, 한글새소식 407, 한글학회 
김두루한, “훈민정음을 제대로 알자”, 한글새소식 409,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