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김문오(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우리가 글을 쓸 때에는 대개 글의 전반적 내용을 중심으로 단어와 문장을 엮어 나가게 되는데, 자칫하면 문장의 형식적 면, 특히 ‘접속의 형평성’을 놓치는 일이 생긴다.
문장을 구성하는 언어 단위에는 단어, 구, 절 등이 있다. ‘구(句)’란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절이나 문장의 일부분을 이루는 언어 단위를 말한다. ‘절(節)’이란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었으나 독립하여 쓰이지 못하고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쓰이는 언어 단위를 말한다. 가령 “하늘과 바다”는 그 전체가 하나의 명사구이며, “높은 하늘과 깊은 바다”는 ‘높은 하늘’이라는 명사구와 ‘깊은 바다’라는 명사구가 결합한 또 하나의 명사구이며, “하늘은 높고 바다는 깊다.”라는 문장은 ‘하늘은 높고’라는 절(선행절)과 ‘바다는 깊다’라는 절(후행절)이 결합한 접속문이다.
접속 구조에서 ‘구+구’, ‘절+절’의 접속은 접속 단위끼리의 형평성이 지켜진 것이지만 ‘구+절’, ‘절+구’의 접속은 접속 단위끼리의 형평성이 깨어진 것이다.
우선 접속 구조의 앞부분을 고쳐야 하는 예를 몇 개 제시하겠다.
1) |
|
사용 중에 궁금한 점이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
→ 궁금한 점이 있거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
|
|
|
|
|
|
‘이나’의 앞은 ‘구’(‘궁금한 점’)로 되어 있고 ‘이나’의 뒤는 ‘절’(‘기능이 발휘되지 않-’)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절’의 연결은 국어 문법을 어긴 것이다. 더구나 ‘사용 중에’라는 부사구는 그 뒤에 이와 호응할 서술어가 없다.
‘궁금한 점이나’를 ‘궁금한 점이 있거나’와 같이 절로 고치면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 |
|
|
|
|
2) |
|
부품 파손이나 손이 다칠 우려가 있습니다. |
|
|
→ 부품이 파손되거나 손이(또는 ‘손을’) 다칠 |
|
|
|
|
|
|
‘이나’의 앞은 ‘구’(‘부품 파손’)로 되어 있고 ‘이나’의 뒤는 ‘절’(‘손이 다칠’)로 되어 있다. ‘부품 파손이나’를 ‘절’로 고쳐
‘부품이 파손되거나’로 표현해야 한다. |
|
|
|
|
3) |
|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하시는 장애인 승객께서는 역무실 또는 매표 직원에게 문의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
|
→ 역무실 직원이나(또는 ‘역무실에 문의하거나’) 매표 직원에게 문의하여 |
|
|
|
|
|
|
원문은 대체적인 의미야 통하지만 문법을 어겼다. “[{장소 또는 사람}에게]”는 “[{사람이나 사람}에게]”로 고치거나 “
[{장소}에 어찌하거나+{사람}에게 어찌하다]”로 고쳐야 문법에 맞다. |
|
|
|
다음에는 접속 구조의 뒷부분을 고쳐야 하는 예를 몇 개 제시하겠다.
4) |
|
항공법 제77조 제2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232조의 규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예천공항 계기착륙시설(LLZ/DME, GP)을
신설하여 사용 개시를 고시합니다. |
|
|
→ 예천공항 계기 착륙 시설(LLZ/DME, GP)을 신설하여 사용을 개시하게 된 것을 |
|
|
|
|
|
|
위 예문에서는 연결 어미 ‘-어’를 경계로 앞부분은 목적어와 서술어를 가진 ‘절’의 형태로 되어 있고 뒷부분은 ‘사용 개시’라는 명사구로 되어
있어서 접속의 형평성이 깨어졌다. ‘절+구’ 표현은 ‘절+절’ 구조로 고쳐야 접속의 형평성이 지켜진다. 명사구 ‘사용 개시’에서 ‘개시’는
명사일 뿐, 서술어가 될 수 없다. 서술어를 가진 ‘절’이 되려면 ‘을 개시하게 된 것’(또는 ‘개시함’)처럼 ‘개시하다’라는 서술어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 |
|
|
|
|
5) |
|
가끔 호스가 꺾이거나 심하게 눌려 있지 않나 호스를 끼워 조인 연결 부위가 헐거워지거나 이상이 없는가 살피고
의심스러운 곳이 있으면 비눗물을 발라 확인하여 주세요. |
|
|
→ 헐거워지거나 이상이 생기지 않았는지(또는 ‘헐거워졌는지, 이상이 생겼는지’) |
|
|
|
|
|
|
원문처럼 ‘이상이 없는가’를 쓰면 ‘헐거워지-’와 호응할 성분(‘-지 않았는지’)을 찾을 수 없으므로 ‘이상이 없는가’를 ‘이상이
생기지 않았는지’로 고쳐야 한다. 한편 ‘연결 부위에 헐거워짐이나 이상이 없는가’로 다듬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앞의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덜 자연스럽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