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어휘 이야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 표기
국어 순화
국어의 발음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간접 높임(2)
이병규(李炳圭) / 국립국어원
   지난 호(통권 제84호)에서는 한국어에 말하는 사람이 어떤 대상에 대하여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방법이 크게 세 가지가 있음을 보았다. 상대 높임법,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이 그것이다. 주체 높임법에는 직접 높임과 간접 높임이 있다는 것 역시 지난 호에서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간접 높임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상황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한다.
   간접 높임은 높여야 할 주체의 신체의 일부, 소유물, 생활의 필수적 조건이나 밀접한 관련이 되는 사물을 높임으로써 주체를 간접적으로 높이는 방법을 말한다.
(1) ㄱ. 그분머리는 하얗게 {세셨다.(○)/세었다.(×)}
ㄴ. 우리 할아버지께서는 귀가 참 {밝으셔요.(○)/밝아요.(×)}
ㄷ. 할아버지수염은 매우 {기다.(○)/길다.(×)}
ㄹ. 선생님의 손은 참 {예쁘다.(○)/예쁘다.(×)}
   일반적으로 (1)의 ‘머리, 귀, 수염, 손’은 모두 존대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그런데 ‘머리, 귀, 수염, 손’을 소유하고 있는 ‘그분, 우리 할아버지, 할아버지, 선생님’은 모두 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높여야 할 대상이다. 일반적으로는 높임의 대상이 아니나 (1)에서처럼 높여야 할 대상의 소유물로 해석되면서 문장에서 주어의 구실을 할 경우는 서술어에 ‘-(으)시-’를 붙여 주어를 간접적으로 높인다.
   아래 (2)는 (1)과 조금 다른 경우이다.
(2) ㄱ. 그분살림이 {넉넉하다.(○)/넉넉하다.(×)}
ㄴ. 선생님께서도 감기가 {드셨다.(○)/들었다.(×)}
ㄷ. 아버님은 돈이 {없으시다.(○)/없다.(×)}
ㄹ. 할아버지는 나이 어린 손자가 {있으시다.(○)/있다.(×)}
   (1)의 ‘머리, 귀, 수염, 손’은 모두 높여야 할 대상의 신체의 일부이지만 ‘살림, 감기, 돈, 손자’는 신체의 일부가 아니다. 신체의 일부가 아니어도 이들은 말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존대의 대상이 되는 ‘그분, 선생님, 아버님, 할아버지’의 소유물로 해석된다. 이 경우도 서술어에 ‘-(으)시-’를 붙여 주어를 간접적으로 높인다.
   이처럼 높임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신체의 일부이거나 그 사람이 소유한 물건이 주어로 쓰일 때에는 반드시 서술어에 ‘-(으)시-’를 붙여 존대 표현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으)시-’를 붙이지 않으면 모두 틀린 문장이 된다. 그런데 (3)과 (4)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3) ㄱ. 선생님께서는 에서 버스 정류장이 멀어서 불편하시겠어요.
ㄴ. 선생님께서는 댁에서 버스 정류장이 머셔서 불편하시겠어요.
(4) ㄱ. 선생님께서는 하시는 일이 잘 되었으면 좋겠어요
ㄴ. 선생님께서는 하시는 일이 잘 되셨으면 좋겠어요
   (3ㄱ)의 ‘멀다’와 (4ㄱ)의 ‘되다’는 ‘-(으)시-’가 붙지 않고 (3ㄴ)의 ‘멀다’와 (4ㄴ)의 ‘되다’는 ‘-(으)시-’가 붙는다. (3)과 (4) 각각의 문장에서 ‘멀다’, ‘되다’의 주체로 쓰이는 ‘일’과 ‘버스 정류장’은 높여야 할 대상 ‘선생님’의 신체의 한 부분도, 소유물도 아니다. 다시 말하면 ‘일’, ‘버스 정류장’은 (1), (2)의 경우와 달리 간접 존대에서 필수적으로 ‘-(으)시-’를 동반하는 말이 아니다. 간접 존대를 하든 하지 않든 틀린 말이 아니라는 것이다. (3ㄴ), (4ㄴ)과 같이 간접 존대 표현은 화자가 ‘선생님’에 대해 더 친밀한 감정과 더 높은 관심을 표시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 특히 (3ㄴ)에서와 같은 간접 존대 표현은 화자가 ‘버스 정류장이 멀다’는 사실을 존대의 대상인 ‘선생님’의 생활과 관계가 깊은, ‘선생님’과 관계되는 특수한 사실로 파악할 때 사용한다. 반면에 (3ㄱ)은 말하는 사람이 시장이 멀면 불편하다는 것을 일반적인 사실로 보고 특별히 ‘선생님’과 관계되는 일로 보지 않을 때 사용한다.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