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芽] | <농업> ▶ 눈, 싹, <임업> ▶ 눈 |
| 아 [蛾] | <잠업> ▶ 나방 |
| 아가리 [口緣部] | <고고학> ▷ 입술, 아가리 ※mouth |
| 아가리가타 [上り肩, あがりがだ] | <패션> ▶ 솟은 어깨 |
| 아게 [揚, あげ] | <식생활> ▶ 튀김 |
| 아고병 [芽枯病] | <행정> ▶ 눈마름병 |
| 아고쿠세 [顎癖, あごくせ] | <봉제> ▶ 목둘레선 줄임, 목둘레선 다트 |
| 아교 [阿膠] | <미술> = 갖풀, 아교 |
| 아국 [我國] | <행정> ▶ 우리나라 |
| 아군 [我軍] | <행정> ▷ 우리 군(대) |
| 아나고 [穴子, あなご] | <행정> ▶ 붕장어, 바다 장어 |
| 아나고 튀김 [穴子-] | <식생활> ▶ 붕장어 튀김 |
| 아나반 [穴板, あなばん] | <행정> <건설> ▶ 구멍 철판 |
| 아나이토 [穴糸, あないと] | <봉제> ▶ 단춧구멍실 |
| 아나카가리 [穴縢り] | <봉제> ▶ 단춧구멍 박기 |
| 아네 | <행정> ▶ 날개 |
| 아다프트 [←adaptation] | <행정> ▶ 각색 |
| 아동 [兒童] | <행정> = 어린이 |
| 아동 학대 [兒童 虐待] | <법의학> ▷ 어린이 학대 ※child abuse |
| 아두 골반 불균형 [兒頭 骨盤 不均衡] | <법의학> ▶ 머리 골반 불균형 ※cephalopelvic disproportion |
| 아듀 [프.adieu] | <언론> ▶ 안녕 ¶“아듀 시드니 … 아테네서 만납시다” |
| 아라쓰나기 [荒繫, あらつなぎ] | <신문> ▶ 대충 편집 |
| 아라이 [洗, あらい] | <행정> ▶ 설거지 |
| 아라이다시 [洗い出し, あらい-] | <건설> ▶ 씻(어내)기 |
| 아라이바 [洗場, あらいば] | <건설> ▶ 개수대 |
| 아라이자리 [洗い砂利, あらい-] | <건설> ▶ 씻은 자갈 |
| 아라이통 [洗桶, あらい-] | <건설> ▶ 설거지통 |
| 아로마 다이어트 [aroma diet] | <언론> ▶ 향기 건강법 ¶아로마 다이어트는 좋은 향기를 맡아 신경을 안정시키고 몸을 건강하게 하는 자연 요법이다. |
| 아로마 세러피 [aroma-therapy] | <언론> ▶ 향기 요법 |
| 아류 [亞流] | <행정> = 버금무리 |
| 아르 누보 [프.art nouveau] | <패션> ▷ 신예술(新藝術) |
| 아르바이트 [독.Arbeit] | <생활외> = 부업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영역이 점차 확대되었다. |
| 아마가키 [甘柹, あまがき] | <행정> ▶ 단감 |
| 아마다레 [雨垂れ] | <신문> ▶ 느낌표 |
| 아마모노 [甘物, あまもの] | <연극> ▶ 애정극 |
| 아마부타 [雨蓋, あまぶた] | <패션> ▶ (호주머니) 덮개, <봉제> ▶ 겉덮개 |
| 아마추어 [amateur] | <생활외> = 비전문가 ¶그는 늘 아마추어 수준에서 말하였다. |
| 아메리칸 캐주얼 [american casual] | <패션> ▷ 미국풍 캐주얼 |
| 아메리칸 트러디셔널 [american traditional] | <패션> ▷ 전통 미국풍 |
| 아메리칸 트러디셔널 캐주얼 [american traditional casual] | <패션> ▷ 전통 미국풍 캐주얼 |
| 아메리칸 트위스트 서브 [american twist serve] | <테니스> ▷ 미국식 회전 메김 |
| 아메리칸 포메이션 [american formation] | <테니스> ▷ 미국식 복식 진형 |
| 아메토라 [アメトラ] | <패션> ▶ 전통 미국풍 |
| 아미 [網, あみ] | <행정> ▶ (쇠)그물 |
| 아미 룩 [army look] | <패션> ▶ (육)군복풍 |
| 아미메 [網目, あみめ] | <신문> ▶ 그물눈 |
| 아미후루이 [網ふるい] | <건설> ▶ 망체, 그물체 |
| 아바라킨 [肋筋, あばらきん] | <건설> ▶ 늑근, 스터럽(stirrup) |
| 아바타 [산.avatar] | <언론> ▶ (가상) 분신 |
| 아방가르드 [프.avant garde] | <패션> ▷ 전위(파), <언론> ▶ 전위(前衛) ¶1970년대 자유의 갈증을 풀어 주던 ‘물 좀 주소’의 가수 ○○○ 씨는 여전히 전위, 곧 아방가르드의 사명에 매달려 산다. |
| 아방가르드 시어터 [프.avant-garde theatre] | <연극> ▶ 전위 연극 |
| 아베크 [프.avec] | <행정> ▶ (남녀) 동반 |
| 아베크족 [프.avec族] | <생활외> ▷ 연인, (남녀) 동반 ¶한강 시민공원에는 아베크족이 많았다. |
| 아부라게 [油揚, あぶらげ] | <행정> ▶ 유부 |
| 아비트라지 [arbitrage] | <언론> ▶ 차익 거래 ¶아비트라지를 노린 전문 트레이더들이 벌떼처럼 굿모닝 주식을 사 모으기 시작했다. |
| 아사자 [餓死者] | <행정> ▷ 굶어 죽은 사람 |
| 아사천 [麻-] | <미술> ▶ 삼베천 |
| 아삽 [芽揷] | <행정> <임업> ▶ 눈꽂이 |
| 아상블라주 [프.assemblage] | <미술> ▷ 집성 |
| 아세이 [←assembly] | <전기> ▷ 뭉치, 조립체(組立體) |
| 아소트 [assortment] | <봉제> ▷ 구색갖추기 |
| 아스베스토스 [asbestos] | <행정> ▶ 석면 |
| 아스팔트 [asphalt] | <행정> = 포장도로 |
| 아시 [足, あし] | <행정> ▶ 삼각대 |
| 아시바 [足場, あしば] | <건설> ▶ 발판, 비계 |
| 아시바 마루타 [足場丸太, あしばまるた] | <건설> ▶ 비계목 |
| 아시바 볼트 (←보드) [あしぱ bolt] | <전기> ▶ 발판 볼트 |
| 아시바이타 [足場板, あしばいた] | <건설> ▶ 발판널 |
| 아시아게 [足上げ] | <행정> ▶ 올림수 |
| 아시쿠비마와리 [足首回り] | <봉제> ▶ 발목 둘레 |
| 아야 [綾, あや] | <패션> ▶ 능(직) |
| 아연실색 [啞然失色] | <정치> ▷ 크게 놀람 |
| 아연즙 [亞鉛葺] | <행정> ▶ 함석지붕 |
| 아오쿠 [靑] | <미술> ▶ (녹색) 광약 |
| 아와세 [合せ] | <행정> ▶ 채기 <낚시> |
| 아와세누이 [合わせ縫い, あわせぬい] | <패션> ▶ 맞춰박기, 합봉, <봉제> ▶ 맞춰박기 |
| 아우터 로터 모터 [outer rotor motor] | <전기> ▷ 외전형(外轉形) 전동기 |
| 아우트라인 [outline] | <행정> ▶ 윤곽, 테두리, <미술> ▷ 윤곽선, <패션> ▷ 윤곽선, 외형선 |
| 아우트라인법 [outline法] | <미술> ▷ 돋보이기 |
| 아우트라인 스티치 [outline stitch] | <패션> ▶ 윤곽선/외형선 땀 |
| 아웃 [out] | <배드민턴> ▷ 줄/선 밖 |
| 아웃 글라이드 패스 [out glide pass] | <핸드볼> ▶ 바깥쪽 주기 |
| 아웃 사이드 [out side] | <볼링> ▶ 바깥 굴리기 |
| 아웃사이더[outsider] | <생활외> ▶ 문외한, 국외자 ¶더욱 무서운 건 법의 아웃사이더들이었다. <언론> ▷ 국외자, 주변인, 베돌이, 겉돌이 ¶‘고독한 아웃사이더’를 자처하며 문학의 울타리에만 안주하지 않고 ··· ¶최근 스스로를 아웃사이더로 지칭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
| 아웃사이드 스키 [outside ski] | <스키> ▶ 바깥 스키 |
| 아웃사이드 에이전시 [outside agency] | <골프> ▶ 국외자 |
| 아웃사이드 에징 [outside edging] | <스키> ▷ 바깥 모서리 세우기 |
| 아웃사이드 포켓 [outside pocket] | <패션> ▶ 겉주머니 |
| 아웃사이즈 [outsize] | <패션> ▶ 특대형 |
| 아웃소싱 [outsourcing] | <경제> ▶ 외주, 외부 용역, 외부조달, <금융> ▶ 외부 용역, 외주 |
| 아웃소싱 업체 [outsourcing 業體] | <언론> ▶ 외주 업체(外注業體) ¶대전·충남북 지역에 벤처 창업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대형 아웃소싱 업체들의 진출이 잇따르고 있다. |
| 아웃 앤드 인 [out and in] | <볼링> ▶ 활 구르기 |
| 아웃 에지 [out edge] | <스케이트> ▶ 바깥쪽 날, <스키> ▷ 바깥 모서리 |
| 아웃 오브 레인지 [out of range] | <볼링> ▶ 고장 |
| 아웃 오브 포지션 [out of position] | <배구> ▷ 자리 반칙 |
| 아웃 오브 플레이 [out of play] | <축구> ▶ 경기 중단 |
| 아웃 오브 바운즈 (플레이) [out of bounds (play)] | <농구> ▶ 줄/선 바깥 공격, <골프> ▶ 경기 금지 구역 |
| 아웃 웨어 [out wear] | <패션> ▶ 겉옷, <언론> ▶ 야외복 ¶직장에서 비즈니스 캐주얼(→간이 사무복)로, 레저를 즐길 땐 아웃웨어로 ‘코로스 코디’하려는 …. |
| 아웃 코스 [out course] | <골프> ▷ 전반 코스 |
| 아웃 (포켓) [out pocket] | <패션> ▶ 붙임 주머니 |
| 아웃 플레이스먼트 [out-placement] | <언론> ▶ 재취업 상담 (업무) ¶아웃플레이스먼트는 구조 조정 중인 기업들이 컨설팅 업체와 계약을 맺고, 해고 대상자들의 재취업이나 창업을 지원하는 업무를 말한다. |
| 아워글라스 실루엣 [hourglass silhouette] | <패션> ▷ 모래시계 (윤곽)선/(외형)선 |
| 아이노리 [相乘, あいのり] | <행정> ▶ 승합, 합승 |
| 아이노코 [間子, あいのこ] | <행정> ▶ 혼혈아 |
| 아이더블유에스 [IWS] | <패션> ▷ 국제 양모 사무국 |
| 아이덴티티 [identity] | <생활외> ▶ 일체감, 정체성 ¶한민족으로서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 |
| 아이디어 [idea] | <행정> <생활외> ▷ 생각, 착안, 착상, 고안 ¶참신한 아이디어로 색다른 겨울 장식을 해 보자. |
| 아이러니 [irony] | <생활외> ▷ 이율배반, 역설, 모순 ¶그 사람이 그런 말을 한 것은 아이러니이다. <행정> ▶ 야릇함, 얄궂음 |
| 아이러니컬하다 [ironical-] | <생활외> ▶ 역설적이다, 모순적이다 ¶매우 아이러니컬한 이야기이다. |
| 아이론 [アイロン, iron] | <행정> <패션> ▶ 다리미, 머리 인두 |
| 아이론 시아게 [アイロン 仕上げ, アイロンしあげ] | <패션> ▶ 다림질 마무리 |
| 아이바 [合端, あいば] | <건설> ▶ 맞댐면, 접합면 |
| 아이보리 (色) [ivory (色)] | <패션> <언론> ▶ 상아색 ¶색상은 아이보리가 거의 주종이나 아이보리에 아주 엷은 분홍의 살구 빛이나··· |
| 아이섀도 [eye shadow] | <행정> ▶ 눈(꺼풀) 화장 |
| 아이쇼핑 [eye shopping] | <생활외> <패션> ▶ 눈요기 ¶너무 비싸니까 아이쇼핑이나 하자. |
| 아이스 링크 [ice rink] | <생활외> ▷ 빙상/얼음 경기장 ¶아이스 링크에서 열린 경기 |
| 아이스박스 [icebox] | <행정> ▶ 얼음 상자 |
| 아이스반 [독.Eisbahn] | <스키> ▶ (경사) 빙판 |
| 아이싱 [icing] | <언론> ▶ 얼음찜질 ¶4일(이하 한국 시각) 15승을 거둔 박찬호는 경기 후 아이싱만 마치고는 샤워도 미룬 채 인터뷰에 응했다. |
| 아이언 클럽 [iron club] | <골프> ▷ 쇠채 |
| 아이언 플레이 [iron play] | <골프> ▶ 쇠채 경기 |
| 아이지루시 [合標, あいじるし] | <패션> <봉제> ▶ 실표뜨기, 겹뜨기 |
| 아이쿠치 [匕首, あいくち] | <행정> ▶ 비수 |
| 아이큐 [I.Q] | <생활외> <행정> ▷ 지능 지수 ¶그 아이는 아이큐가 높은 것 같다. |
| 아이테 [相手, あいて] | <행정> ▶ 상대(자), 적수 |
| 아이템 [item] | <생활외> <경제> <행정> ▷ 항목, 종목 ¶다른 아이템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언론> ▷ 소재, 품목 ¶올 여름 인기 아이템인 원피스에 후드 달린 점퍼 …. <패션> ▷ (옷)종류, (옷)품목 |
| 아일릿 스티치 [eyelet stitch] | <패션> ▶ 새눈 구멍수 |
| 아자 [啞者] | <행정> ▶ 벙어리 |
| 아접 [芽接] | <임업> <행정> ▶ 눈접 |
| 아조 돌연변이 [芽條突然變異] | <임업> ▶ 눈 돌연변이 |
| 아주(지역) [亞洲] | <행정> ▷ 아시아 (지역) |
| 아주지 [亞主枝] | <농업> ▶ 버금가지 |
| 아지 [ꝧ, あじ] | <행정> ▶ 전갱이, 매가리 |
| 아지찌개 [ꝧ-] | <식생활> ▶ 전갱이 찌개 |
| 아지트 [러.agitpunkt] | <생활외> ▷ 소굴, 거점 ¶사기범 일당이 아지트로 활용한 서초동 관선 빌딩 3층 |
| 아집 [我執] | <행정> ▷ 제 고집 |
| 아충 [蚜蟲] | <농업> ▶ 진딧물 |
| 아측 [我側] | <행정> ▶ 우리 측 |
| 아치 벤드 [arch bend] | <스키> ▷ 중앙 휨대 |
| 아치형 천장 [穹隆狀天障] | <고고학> ▷ 반원통 천장 ※arch-shaped ceiling |
| 아카 [赤, あか] | <패션> ▶ 빨강, 적(색) |
| 아카노리 [赤乘, あかのり] | <행정> ▶ 빨강치기 |
| 아카다시 [赤出汁, あかだしじる] | <식생활> ▶ 된장국 |
| 아카데믹하다 [academic-] | <생활외> ▶ 학문적이다, 학술적이다 ¶그의 작품은 아카데믹하고 세련되었다. <언론> ▶ 학구적이다 ¶미국에서 가장 아카데믹한 정치인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 |
| 아카렌가 [赤煉瓦, あかれんが] | <행정> <건설> ▶ 붉은 벽돌, 빨강 벽돌 |
| 아카반 [赤番, あかばん] | <행정> ▶ 붉은 번호 |
| 아카보 [赤帽, あけぼう] | <행정> ▶ 짐꾼, 짐 나름이 |
| 아카지 [赤字, あかじ] | <행정> ▶ 손해, 결손, 적자, <신문> ▶ 교정지 <인쇄> |
| 아카징키 (←아까징끼) [←赤丁幾, 독.Tinktur] | <행정> <미술> ▶ 머큐로크롬, 빨간약 |
| 아케이드 [arcade] | <행정> ▷ 연쇄 상가, 연립 상가 |
| 아코디언 플리츠 [accordion pleats] | <패션> ▷ 아코디언 주름 |
| 아쿠아 [aqua] | <패션> ▶ 물색 |
| 아크 [arc] | <행정> ▶ 불꽃 방전 |
| 아크릴 물감 [acrylic-] | <미술> = 합성수지 물감 |
| 아키 [明き, あき] | <패션> <봉제> ▶ (앞)트기, (앞)트임 |
| 아키미세 [明き見せ] | <봉제> ▶ 민트기, 민트임 |
| 아키바레(←아끼바레) [秋晴, あきばれ] | <행정> ▶ 추청(秋晴)벼 |
| 아키포스타 [空poster] | <행정> ▶ 거두 광고지 |
| 아키히카리 [秋光, あきひかり] | <행정> ▶ 추광(秋光)벼 |
| 아타라시 (←아다라시) [新し] | <행정> ▶ 새것 |
| 아타리 (←아다리) [当, あたり] | <행정> ▶ 적중, 수 단수 <바둑> |
| 아타마 (←아다마) [頭, あたま] | <행정> ▶ 머리 |
| 아타치 [アタッチ, ←attach collar] | <패션> ▶ 붙임/탈착 칼라 |
| 아테 [当, あて] | <미술> ▶ 덧댐 |
| 아테(누노) [当布, あてぬの] | <패션> <봉제> ▶ 보강천 |
| 아테반 [当て盤] | <건설> ▶ 리벳 홀더, 받침판 |
| 아토마와시 (←아다마시) [後廻, あとまわし] | <행정> ▶ 미룸 |
| 아토토리 (←아도도리) [後取り] | <행정> ▶ 떨이 |
| 아토특구 | <연극> ▶ 막간 거리(굿) |
| 아트 [art] | <생활외> ▶ 예술, 기술 ¶여기저기 모아 놓은 아트 감각의 소품들. <패션> ▷ 예술 |
| 아트 모드 [art mode] | <패션> ▷ 예술 양식 |
| 아트 시어터 [art theatre] | <연극> ▶ 예술 극장 |
| 아트 웨어 [art wear] | <패션> ▷ 예술 의상 |
| 아틀리에 [프. atelier] | <미술> ▷ 제작실, <패션> ▷ 작업실, 제작실 |
| 아티스트 [artist] | <생활외> ▶ 예술가 ¶최고의 재능을 가진 원숙한 아티스트이다. |
| 아티스틱 디렉터 [artistic director] | <연극> ▶ 예술 감독 |
| 아티큘레이션 [articulation] | <연극> ▶ 발성 |
| 아파레루 [アパレル] | <패션> ▶ 의복, 어패럴 |
| 아포 [독.Apostroph] | <신문> ▶ 앞작은 따옴표 |
| 아푸이에 [프.appuyer] | <승마> ▷ 빗긴 걸음 |
| 아프간 (←아후간) [アフガン] | <패션> ▶ 수(手)편물, 손뜨개 |
| 아프터 서비스 [after service] | <행정> ▶ 사후 관리/봉사 |
| 악 [萼] | <임업> ▶ 꽃받침 |
| 악사 [樂士] | <행정> ▷ 연주자 |
| 악성루머 [惡性rumour] | <정치> ▶ (질)나쁜 (뜬)소문 |
| 악센트 [accent] | <미술> ▷ 강세<서양화> |
| 악습 [惡習] | <행정> ▷ 나쁜 버릇 |
| 악운 [惡運] | <행정> = 나쁜 운수 |
| 악의 [惡意] | <행정> = 해칠 마음 |
| 악천후 [惡天候] | <행정> = 거친 날씨 |
| 악취 [惡臭] | <행정> = 나쁜 냄새 |
| 악편 [萼片] | <임업> ▶ 꽃받침 (조각) |
| 악화되다 [惡化-] | <행정> ▷ 더욱 나빠지다 |
| 안 [眼] | <축산> ▶ 눈 |
| 안검 [眼瞼] | <행정> ▶ 눈꺼풀 |
| 안구 [眼球] | <행정> = 눈알 |
| 안내 데스크 [-desk] | <언론> ▶ 안내(접수)대 |
| 안내원 [案內員] | <행정> = 알리는 사람 |
| 안단테 [andante] | <행정> = 느리게 |
| 안대 [眼帶] | <행정> = 눈가리개 |
| 안료 [顔料] | <행정> ▶ 물감 |
| 안면 [顔面] | <행정> ▷ 얼굴 |
| 안면부 [顔面部] | <행정> ▶ 얼굴 |
| 안배 [按排] | <행정> ▷ 알맞게 배치함 |
| 안벽 [岸壁] | <행정> ▶ 부두벽 |
| 안분하다 [按分-] | <금융> ▷ 적절히 나누다, <행정> ▷ (똑같이) 나누다 |
| 안상 색전(증) [鞍狀 塞栓(症)] | <법의학> ▶ 안장 색전(증) ※saddle embolism |
| 안상 전자 [鞍狀 栓子] | <법의학> ▶ 안장 색전 ※saddle embolic |
| 안슈템멘 [독.Anstemmen] | <스키> ▶ 산 쪽 (스키 뒤) 넓히기 |
| 안인 [贋印] | <행정> ▶ 위조한 도장 |
| 안장가리개 [鞍輪] | <고고학> ▷ 안장 뒤턱 ※saddle bow |
| 안전벨트 [安全belt] | <생활외> ▷ 안전띠 ¶모두 안전벨트를 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
| 안점기 [眼點期] | <축산> ▶ 점 보일 때 |
| 안젠리스 [あんぜんりつ] | <전기> ▶ 안전율(安全率) |
| 안젠카주 [あんぜんかじゅう] | <전기> ▶ 안전하중(安全荷重) |
| 안출 [案出] | <행정> ▶ 생각해 냄 |
| 안침식 [岸浸蝕] | <임업> ▶ 하안 침식 |
| 안콘 (스트럭티드) [アンコンストラクティド, unconstruced] | <패션> ▶ 비구축적 |
| 안티사이트 [anti-site] | <언론> ▶ 반대 사이트 ¶그런데 3집 음반을 내고 나서 안티사이트들이 생겨나자 클릭-B 멤버들은 적잖이 당황하고 있다. |
| 안티플레이 [anti-play] | <연극> ▶ 반극(反劇) |
| 안팎뗀석기 [兩面石器] | <고고학> ▷ 양면석기 ※bifacial chipped stone tool |
| 알랑방귀 | <행정> ▶ 아첨 |
| 알레고리 [allegory] | <연극> ▷ 우의(寓意) |
| 알레르기 [독.Allergie] | <생활외> ▷ 과민/거부 반응 ¶고양이 알레르기인 아이들에게 맞는 처방이다. |
| 알리바이 [alibi] | <생활외> <행정> ▷ 현장 부재 (증명) ¶네가 무죄라면 알리바이를 대라. |
| 알선하다 [斡旋-] | <행정> = 주선하다, 마련하다 |
| 알줄 [naked wire] | <전기> ▷ 민전선, 알(몸)전선 |
| 알트네터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 <전기> ▷ 교류 발전기(交流發電機) |
| 알파인 콤비네이션 [alpine combination] | <스키> ▷ 산악 복합 경기 |
| 알파인 (레이스) [alpine (races)] | <스키> ▷ 산악 경기 |
| 알펜 스키 [alpen ski] | <스키> ▷ 산오름 스키 |
| 알피 [RP, repurchase agreement] | <금융> ▶ 환매채 |
| 암 [arm] | <전기> ▷ 완목, 완금 |
| 암 라인 [arm line] | <볼링> ▶ 팔 동작선 |
| 암 렝스 [arm length] | <패션> ▶ 소매 길이 |
| 암각화 [巖刻畵] | <고고학> ▷ 바위 그림, 암각화 ※rock art, petroglyph |
| 암거 [暗渠] | <행정> ▶ 속도랑, 수멍 |
| 암거공 [暗渠工] | <임업> ▶ 속도랑 내기 |
| 암거배수 [暗渠排水] | <임업> ▷ 속도랑 배수 |
| 암메터 [ammeter] | <전기> ▷ 전류계(電流計) |
| 암반 굴착 [岩盤掘鑿] | <임업> ▷ 암반 터파기/땅파기 |
| 암반 녹화공 [岩盤綠化工] | <임업> ▶ 암반 녹화 공법 |
| 암발아 종자 [暗發芽種子] | <농업> ▶ 그늘받이씨 |
| 암붕 [岩崩] | <임업> ▶ 암석 붕괴 |
| 암산 [岩山] | <행정> = 바위산 |
| 암석 [岩石] | <행정> = 바위 |
| 암설 [岩屑] | <임업> ▶ 돌 부스러기, 너덜 |
| 암수 [暗數] | <행정> ▷ 속임수 |
| 암적색 유동성 [暗赤色 流動性] | <법의학> ▷ 검붉은색 흐름 성질 ※darked red fluidity |
| 암최청 [暗催靑] | <축산> ▶ 어둠알깨기 |
| 암홀 [armhole] | <패션> ▷ 진동 |
| 암홀 둘레 [armhole -] | <패션> ▷ 진동 (둘레) |
| 압궤 [壓潰] | <농업> ▶ 눌러 으깨기 |
| 압날하다 [押捺-] | <행정> ▶ (도장을) 찍다 |
| 압류 [押留] | <행정> ▷ 잡아 둠 |
| 압맥 [壓麥] | <식생활> <행정> ▶ 납작 보리 |
| 압박성 표피 박탈 [壓迫性 表皮 剝脫] | <법의학> ▷ 눌린 피부 벗겨짐 ※imprint excoriation |
| 압박흔 [壓迫痕] | <법의학> ▶ 눌린 자국 ※surface imprint |
| 압사 [壓死] | <행정> ▷ 깔려 죽음 |
| 압성토공 [押盛土工] | <임업> ▶ 누름 흙 쌓기 |
| 압송 [押送] | <행정> ▷ 호송 |
| 압수 [押收] | <행정> ▷ 거둬 감 |
| 압슈템멘 [독.abstemmen] | <스키> ▶ 계곡 쪽(스키 뒤)넓히기 |
| 압승하다 [壓勝-] | <행정> ▷ 가볍게 이기다 |
| 압압 [押壓] | <행정> ▶ 누름, 눌림 |
| 압인대 [押印臺] | <행정> ▶ 도장 찍는 곳 |
| 압인문 [押印紋] | <미술> ▷ 누름 무늬 |
| 압전 [壓展] | <행정> ▶ 눌러펴기 |
| 압정 [押釘] | <행정> ▷ 납작못, 누름 못 |
| 압조법 [壓條法] | <임업> ▶ 휘묻이 |
| 압착 [押着] | <행정> ▶ 눌러 붙임 |
| 압착성 질식사 [壓搾性 窒息死] | <법의학> ▶ 몸 눌림 질식사 ※crushing asphyxia |
| 압축하다 [壓縮-] | <금융> ▷ 줄이다, 요약하다 |
| 압출법 [押出法] | <미술사> ▷ 누름기법, 압출법 |
| 압편도 [壓扁度] | <행정> ▶ 눌림새 |
| 앗사리 [あっさり] | <행정> ▶ 깨끗이, 산뜻이, 깔끔히 |
| 앙견 [仰見] | <행정> ▶ 우러러 봄 |
| 앙결재 [仰決栽] | <행정> ▶ 결재 바람 |
| 앙고재 [仰高栽] | <행정> ▶ 결재 바람 |
| 앙꼬 (←안코) [餡子, あんこ] | <식생활> ▶ 팥소 |
| 앙꼬모치 (←안코모치) [餡子餠, あんこもち] | <식생활> ▶ 찹쌀떡 |
| 앙꼬빵 [餡子-, あんこ-] | <식생활> ▶ 팥(소)빵 |
| 앙등 [昻騰] | <행정> ▶ 오름 |
| 앙등하다 [昻騰-] | <행정> ▶ 오르다 |
| 앙망하다 [仰望-] | <행정> ▷ 바랍니다 |
| 앙상블 [프.ensemble] | <생활외> ▷ 조화 ¶92년 송년 음악회의 멋진 앙상블이 기억에 남아 있다. <언론> ▷ 합주단 ¶‘세종 …’은 이제 세계 음악계가 주목하는 다국적 앙상블로··· |
| 앙양하다 [昻揚-] | <행정> ▷ 높이다 |
| 앙원하다 [仰願-] | <행정> ▶ 원하다, 바랍니다 |
| 앙청하다 [仰請-] | <행정> ▶ 청하다, 바랍니다 |
| 앙축하나이다 [仰祝-] | <행정> ▷ 축하합니다 |
| 앙케트 [프.enquête] | <행정> ▷ 질문, 설문 조사, 여론 조사, <생활외> ▷ 설문 (조사) ¶앙케트 조사 나왔습니다. |
| 앙코르 [프.encore] | <생활외> ▷ 재청 ¶엄선한 작품을 앙코르 방송한다. |
| 앙코르송 [프.encore song] | <생활외> ▷ 재청곡 ¶앙코르 송 후에도 박수가 끊이질 않았다. |
| 앙투카 코트 [프.en-tout-car court] | <테니스> ▷ 벽돌 코트 |
| 앞가리개 [前輪] | <고고학> ▷ 앞턱 ※frontal saddle bow |
| 앞칸 [前室] | <고고학> ▷ 앞방 ※antechamber |
| 애국 [愛國] | <행정> = 나라 사랑 |
| 애너다이징 [anodizing] | <미술> ▷ 전해 착색법 |
| 애널리스트 [analyst] | <언론> ▶ (증시) 분석가 ¶작년 이후 코스닥을 평가하는 애널리스트들은 한두 번 망신을 당한 게 아니다. |
| 애니메이션 [animation] | <언론> ▷ 만화영화 |
| 애니메이터 [animater] | <언론> ▷ 만화영화가 ¶장편 애니메이션 <백사전>에 애니메이터로 참여했고. |
| 애드 [←advertise-ment] | <언론> ▶ 광고 |
| 애드리브 [ad lib] | <생활외> ▶ 즉흥성 ¶애드리브에 강하다는 것은 IQ가 높다는 얘기와도 같다. <언론> ▶ 즉흥 대사, 즉흥 연기, 즉흥 연주 ¶연기 초보지만 애드리브는 자신 있죠. |
| 애드벌룬 [ad balloon] | <언론> = 광고 풍선, 광고 기구 ¶1일 오전 7시에는 안양 6동 현충탑에서 새천년 희망 함성 지르기, 애드벌룬 염원집 날리기도 열린다. <행정> ▶ (광고) 풍선, 기구(氣球), <생활외> ▷ (광고) 풍선/기구(氣球) ¶하늘 높이 애드벌룬이 떠 있다. |
| 애드 코트 [ad court] | <테니스> ▶ 왼쪽 코트 |
| 애로 [隘路] | <행정> ▷ 어려움, 곤란 |
| 애림 [愛林] | <행정> ▶ 나무 사랑 |
| 애매모호하다 [曖昧模糊-] | <행정> ▷ 확실하지 않다 |
| 애버리지 [average] | <행정> ▶ 평균 |
| 애버리지 골퍼 [average golfer] | <골프> ▷ 보통 골프인 |
| 애사 [哀事] | <행정> ▶ 궂은 일 |
| 애스베스터스 커튼 [asbestos curtain] | <연극> ▶ 방화막 |
| 애슬레틱 숄더 [athletic shoulder] | <패션> ▶ 파인 어깨 |
| 애슬레틱 셔츠 [athletic shirt] | <패션> ▶ 운동 셔츠 |
| 애시 그레이 [ash gray] | <패션> ▶ 잿빛, 회색 |
| 애시 블루 [ash blue] | <패션> ▶ 회청색 |
| 애용 [愛用] | <행정> = 즐겨 씀 |
| 애자 [碍子] | <전기> ▶ 뚱딴지 |
| 애트머스피어 [atmosphere] | <연극> ▶ 분위기 |
| 애프터서비스 [after service, A/S] | <행정> ▶ 사후 관리/봉사, <생활외> ▷ 뒷관리, 뒷봉사, 뒷손질, 뒷수리, 사후 관리/봉사 ¶저희 회사는 모든 애프터서비스를 책임집니다. |
| 애프터피스 [afterpiece] | <연극> ▶ 막후 여흥 |
| 애플 샌드위치 [apple sandwich] | <식생활> ▶ 사과 샌드위치 |
| 액 [額] | <행정> ▶ 금액 |
| 액면대로 [額面-] | <행정> = 적힌 대로, 말대로 |
| 액비 [液肥] | <농업> ▶ 물거름 |
| 액사 [扼死] | <법의학> ▶ 손 졸림사 ※manual stranguation |
| 액세서리 [accessory, アクセサリ] | <패션>, <생활외> <행정> ▷ 장식물, 노리개, 치렛감 ¶예쁜 액세서리 등을 선물해서 저를 감격하게 합니다. <언론> ▷ 장식물, 노리개, 치렛감, 장신구, 장식품 ¶16~23세가 쓰거나 만든 옷, 신발, 가방, 액세서리 등을 취급한다. |
| 액세스 [access] | <행정> ▶ 접근 |
| 액션 [action] | <생활외> ▷ 동작 ¶강한 액션을 보여 주는 무대극이다. <연극> ▷ 연기 동작 |
| 액션 모드 [action mode] | <패션> ▷ 활동 양식 |
| 액션 큐 [action cue] | <연극> ▷ (연기) 동작 큐 |
| 액션 드라마 [action drama] | <생활외> ▷ 활극 ¶액션드라마는 자칫 폭력성으로 얼룩질 수 있다. |
| 액션 페인팅 [action painting] | <미술> ▷ 행위 그림/예술 |
| 액아 [液芽] | <행정> ▶ 겨드랑눈 |
| 액와 [腋窩] | <행정> ▶ 겨드랑이 |
| 액자 프레임 [額子 frame] | <미술> ▶ 그림틀 |
| 액적 [液滴] | <행정> ▶ 액체 방울 |
| 액제 [液劑] | <행정> ▶ 물약 |
| 액체 비료 [液體肥料] | <농업> ▷ 물거름 |
| 액추에이터 [actuator] | <전기> ▷ 작동기(作動器) |
| 액터 매니저 [actor manager] | <연극> ▷ 배우 단장 |
| 액티브 스트리트 웨어 [active street wear] | <패션> ▷ 거리 활동복 |
| 액팅 매니저 [acting manager] | <연극> ▶ 단장보 |
| 액팅 에디션 [acting edition] | <연극> ▶ 상연 극본 |
| 액흔 [扼痕] | <법의학> ▶ 손 졸림 자국 ※throttling mark |
| 앤드 [and] | <언론> ▶ 그리고 |
| 앤드로지너스 룩 [androgynous look] | <패션> ▷ 양성풍 |
| 앤드마크 [and mark] | <신문> ▶ 및 표, 앤드 표 |
| 앤빌 [anvil] | <미술> ▶ 모루 |
| 앤태거니스트 [antagonist] | <연극> ▶ 대립 인물 |
| 앤티시페이션 [anticipation] | <배드민턴> <테니스> ▶ 예측 |
| 앤티크 [antique] | <패션> ▷ 고풍스러운 |
| 앤티크 프린트 [antique print] | <패션> ▷ 고풍 프린트 |
| 앨리 [alley] | <테니스> ▷ 옆줄 사이 지역 |
| 앨범 [album] | <언론> ▷ (음악) 음반 ¶새 앨범 ‘마음에 남긴 메모’ 속지 첫 장엔 이렇게 적혀 있다. <행정> ▷ 사진첩 |
| 앰부시 마케팅 [ambush marketing] | <언론> ▶ 간접 판촉 ¶올림픽 기간 내내 스포츠 경기 장면을 내보내는 간접 광고 등 집요한 ‘앰부쉬(→앰부시) 마케팅’을 통해 성공을 거둔 것으로 유명하다. |
| 앰뷸런스 [ambulance] | <생활외> <행정> ▷ 구급차 ¶병원 앰뷸런스가 급하게 지나가고 있었다. |
| 앰프 [←amplifier] | <행정> ▶ 확성기, 증폭기 |
| 앰플 라인 [ample line] | <패션> ▷ 풍성 라인 |
| 앰플 스타일 [ample style] | <패션> ▷ 풍성 양식 |
| 앰플 팬츠 [ample pants] | <패션> ▷ 풍성 바지 |
| 앱스트랙트 [abstract] | <패션> ▶ 추상(적) |
| 앱스트랙트 디자인 [abstract design] | <패션> ▶ 추상 디자인 |
| 앱스트랙트 아트 [abstract art] | <패션> ▶ 추상 미술 |
| 앱스트랙트 컷 [abstract cut] | <패션> ▶ 추상 재단 |
| 앵귤레이션 [angulation] | <스키> ▷ 구부림 자세 |
| 앵글 [angle] | <미술> ▷ ㄱ(기역)(자) 철판, <볼링> ▶ 각도, <언론> ▷ 시각, 촬영 각도 ¶장면 전환이 다이내믹하지(→역동적이지) 못하다는 약점 말이다. 앵글이 단조로워 그런 것이다. |
| 앵글 발리 [angle volley] | <테니스> ▷ 예각 바로치기 |
| 앵글 오브 슈팅 [angle of shooting] | <사격> ▶ 사격 각도 |
| 앵미 [←惡米] | <행정> = 붉은쌀 |
| 앵속 [罌粟] | <행정> ▶ 양귀비 |
| 앵커 [anchor] | <생활외> ▷ 뉴스 진행자 ¶방송 앵커들의 발음이 문제가 될 수 있다. |
| 앵커맨 [anchor man] | <볼링> ▶ 최종 투구자 |
| 앵클 개더 팬츠 [ankle gather pants] | <패션> ▷ 발목 개더/주름 바지 |
| 앵클 렝스 [ankle length] | <패션> ▶ 발목 길이 |
| 앵클부츠 [ankle boots] | <패션> ▶ 발목 부츠 |
| 앵클 워머 [ankle warmer] | <패션> ▷ 발목 덮개, 발목 토시 |
| 앵클 팬츠 [ankle pants] | <패션> ▷ 발목 바지 |
| 앵클링 [ankling] | <사이클> ▶ 발목 동작 |
| 앵포르멜 [프.informel] | <미술> ▶ 비정형 미술 |
| 야간 [夜間] | <행정> = 밤 |
| 야건초 [野乾草] | <행정> ▶ 말린 풀 |
| 야경 [夜景] | <행정> ▷ 밤 경치 |
| 야계 [野溪] | <행정> ▶ 시내 |
| 야구치 [矢口] | <행정> ▶ 첫머리 |
| 야근 [夜勤] | <행정> ▷ 밤일 |
| 야기되다 [惹起-] | <행정> = 생기다 |
| 야기하다 [惹起-] | <행정> = 일으키다 |
| 야나기 [柳, あなぎ] | <미술> ▶ 버드나무, 버들 |
| 야네 [屋根, やね] | <건설> ▶ 지붕 |
| 야네부키 [屋根葺, やねぶき] | <건설> ▶ 지붕이기 |
| 야도 [夜盜] | <행정> ▶ 도둑 |
| 야도아 [夜盜蛾] | <잠업> ▶ 도둑나방 |
| 야도충 [夜盜蟲] | <잠업> ▶ 도둑나방 |
| 야디지 마크 [yardage mark] | <골프> ▶ 거리 표지(판) |
| 야디지 포스트 [yardage post] | <골프> ▶ 홀 소개판 (표지) |
| 야리카타 [遣形, やりかた] | <건설> ▶ 겨냥 틀 |
| 야리나오시 [遣り直し] | <건설> ▶ 다시하기, 고쳐하기 |
| 야리쿠리 [遺繰, やりくり] | <행정> ▶ 둘러대기, 꾸며대기 |
| 야마 [山, やま] | <건설> ▶ ①산, 두둑, 무더기 ②사태(沙汰), <미술> ▶ (톱)날끝<목공예>, 나사등<금속 공예>, <신문> ▶ 중간막이, <행정> ▶ 무더기, 날 |
| 야마도메 [山止め] | <건설> ▶ 흙막이 |
| 야마모리 [山盛り] | <행정> ▶ 고봉 |
| 야마스나 [山砂, やますな] | <건설> ▶ 산모래 |
| 야마시 [山師, やまし] | <행정> ▶ 속임수, 사기 |
| 야마시꾼 [山師-] | <행정> ▶ 사기꾼 |
| 야마자리 [山砂利, やまじゃり] | <건설> ▶ 산자갈 |
| 야마파렌 [山-, 독.-parenthese] | <신문> ▶ 터진 세모 |
| 야마하기 [山接ぎ] | <봉제> ▶ 세모천 (대기) |
| 야맹증 [夜盲症] | <행정> ▷ 밤소경(병) |
| 야미 [闇, やみ] | <행정> ▶ 뒷거래 |
| 야생 조수 [野生鳥獸] | <행정> ▶ 들짐승 |
| 야생초 [野生草] | <행정> = 들풀 |
| 야생화 [野生花] | <행정> = 들꽃 |
| 야서 [野鼠] | <행정> ▶ 들쥐 |
| 야수 [野獸] | <행정> = 들짐승 |
| 야스리 [鑢, やすり] | <행정> <건설> <미술> ▶ 줄 |
| 야스리방 [鑢-] | <건설> ▶ 줄판 |
| 야식 [夜食] | <식생활> <행정> ▷ 밤참 |
| 야업 [野業] | <임업> ▶ 바깥일, 외업 |
| 야유회 [野遊會] | <행정> = 들놀이 |
| 야이타 [矢板, やいた] | <건설> ▶ 널말뚝<토목>, 흙막이널<건축> |
| 야잠 [野蠶] | <잠업> ▶ 산누에 |
| 야잠견 [野蠶繭] | <잠업> ▶ 산누에고치 |
| 야장 [野帳] | <행정> ▶ 관측 기록부 |
| 야조 [野鳥] | <행정> ▷ 들새 |
| 야지 [野次, 彌次, やじ] | <행정> ▶ 야유 |
| 야지루시 [矢印, やじるし] | <신문> ▶ 화살표 |
| 야질 [刃-] | <미술> ▶ 쐐기질 |
| 야철지 [冶鐵址] | <고고학> ▷ 야철터 ※ironworks site |
| 야초 [野帳, やちょう] | <건설> ▶ 측량 장부, 야장, <행정> ▷ 들풀 |
| 야쿠모노 [約物, やくもの] | <신문> ▶ 약물 |
| 야키(←야끼) [燒き] | <미술> <식생활> ▶ 담금질, <행정> ▶ 구이 |
| 야키니쿠 [燒肉, やきにく] | <식생활> ▶ 불고기 |
| 야키다시 [燒出し] | <행정> ▶ 더굽기 |
| 야키마시 [燒增し] | <행정> ▶ 더뽑기 |
| 야키만두 (←야끼만두) [燒饅頭, やきまんじゅう] | <식생활> ▶ 군만두 |
| 야키메시 [燒飯, やきめし] | <식생활> ▶ 볶음밥 |
| 야키쓰케 [燒付, やきつけ] | <신문> ▶ 굽기 |
| 야키이모 (←야끼이모) [燒芋, やきいも] | <식생활> ▶ 군고구마 |
| 야토 [野兎] | <행정> ▷ 산토끼 |
| 약 [約] | <행정> = 남짓, -쯤 |
| 약 [葯] | <행정> ▶ 꽃밥 |
| 약간 [若干] | <행정> = 조금 |
| 약기(할 것) [略記-] | <행정> ▷ 줄여씀/줄여 쓸 것 |
| 약목 [若木] | <임업> ▶ 어린 나무 |
| 약밥 [藥-] | <민속> ▷ 약밥, 약식 |
| 약빈계 [若牝鷄] | <축산> ▶ 햇암탉 |
| 약산성토양 [弱酸性土壤] | <농업> ▶ 약한 산성 흙 |
| 약손가락 | <행정> ▷ 넷째 손가락 |
| 약숙 [若熟] | <농업> ▶ 덜 익음 |
| 약어 [略語] | <행정> ▷ 준말 |
| 약염기성 [弱鹽基性] | <농업> ▷ 약한 알카리성 |
| 약욕 [藥浴] | <행정> ▶ 약물 목욕 |
| 약웅계 [若雄鷄] | <축산> ▶ 햇수탉 |
| 약정 [約定] | <행정> ▶ 정함 |
| 약제 살포 [藥劑撒布] | <행정> ▷ 약 뿌림 |
| 약지 [弱枝] | <행정> ▶ 약한 가지 |
| 약지 [藥指] | <행정> ▶ 넷째 손가락 |
| 약취하다 [掠取-] | <행정> ▶ 빼앗다, 앗아 데려가다 |
| 약토 [若兎] | <축산> ▶ 어린 토끼 |
| 약하다 [略-] | <행정> ▶ 줄이다 |
| 얀 [yarn] | <패션> ▷ (꼰)실, 사 |
| 얀 콤비네이션 [yarn combination] | <패션> ▶ 실교직 |
| 얀 세버런스 [yarn severance] | <봉제> ▷ (천)올 끊기기 |
| 얏토코 [鋏] | <미술> ▶ (벼림)집게 |
| 양가 [養家] | <행정> = 양자간 집 |
| 양각 [陽刻] | <미술> = 돋을새김 |
| 양감증 [痒感症] | <축산> ▶ 가려움증 |
| 양갱 [羊羹] | <식생활> ▷ 단팥묵 |
| 양건 [陽乾] | <행정> ▶ 볕(에) 말리기 |
| 양건 예금 [兩建預金] | <행정> ▶ 구속성 예금 |
| 양계 [讓啓] | <정치> ▶ 삼가 알림 |
| 양계 [養鷄] | <행정> = 닭치기 |
| 양날 돌도끼 [兩刃石斧] | <고고학> ▷ 양면 돌도끼 ※bifacial stone axe |
| 양단 [兩端] | <행정> ▷ 양끝 |
| 양도 [讓渡] | <행정> = 넘겨주기 |
| 양도양수 [讓渡讓受] | <행정> ▷ 주고받음 |
| 양도하다 [讓渡-] | <행정> = 넘겨주다 |
| 양돈 [養豚] | <행정> = 돼지치기 |
| 양두 [羊痘] | <축산> ▶ 양마마 |
| 양란 [兩欄] | <정치> ▶ 두 칸 |
| 양료 [養料] | <임업> ▶ 양분 |
| 양료 순환 [養料循環] | <임업> ▶ 양분 순환 |
| 양륙하다 [揚陸-] | <행정> ▶ (뱃짐을) 풀다/부리다 |
| 양마 [洋麻] | <임업> ▶ 양삼 |
| 양맥 [洋麥] | <농업> ▶ 호밀 |
| 양면편침 | <미술> ▷ 고리바늘 |
| 양모 [羊毛] | <행정> ▷ 양털 |
| 양묘 [揚錨] | <행정> ▶ 닻 올림 |
| 양묘 [養苗] | <행정> ▶ 모 기르기 |
| 양묘 육성 [養苗育成] | <행정> ▶ 좋은 모 기르기 |
| 양복지 [洋服地] | <행정> ▶ 양복감 |
| 양봉 [養蜂] | <행정> = 벌치기 |
| 양사 [羊舍] | <축산> ▶ 양우리 |
| 양산 [量産] | <행정> = 대량 생산 |
| 양상 [揚床] | <농업> ▶ 돋움 모판 |
| 양상지 [兩上肢] | <축산> ▶ 두팔 |
| 양생 [養生] | <건설> ▶ 굳히기 |
| 양설 [兩說] | <정치> = 두 (가지) 설 |
| 양성공 [養成工] | <행정> ▶ 수련 사원 |
| 양성화 [陽性化] | <정치> = 합법화 |
| 양수 [兩手] | <행정> ▶ 두 손, 두 팔 |
| 양수 [讓受] | <행정> ▶ 넘겨받음 |
| 양수 [陽樹] | <임업> ▶ 양지나무 |
| 양수기 [揚水機] | <행정> = 물푸개, 무자위 |
| 양수도 [讓受渡] | <행정> ▷ 양도, 양수 |
| 양수소 [揚水所] | <행정> ▶ 양수장 |
| 양수언 [陽樹堰] | <임업> ▶ 양수 봇둑, 양수 웨어 |
| 양수하다 [讓受-] | <행정> ▶ 넘겨받다 |
| 양식 [樣式] | <행정> ▷ 서식 |
| 양안 [兩岸] | <행정> ▶ 양쪽 언덕 |
| 양안 [兩眼] | <행정> ▶ 두 눈 |
| 양어 [養魚] | <행정> = 고기 기르기 |
| 양여 [讓與] | <행정> ▶ 넘겨줌 |
| 양여하다 [讓與-] | <행정> ▶ 넘겨주다 |
| 양열물 [釀熱物] | <임업> ▶ 열낼감 |
| 양유 [羊乳] | <행정> ▶ 양젖 |
| 양육 [羊肉] | <축산> ▷ 양고기 |
| 양육하다 [養育-] | <행정> = 기르다 |
| 양자 [陽子] | <행정> ▶ 양성자 |
| 양잠 [養蠶] | <행정> = 누에치기 |
| 양·적하 [揚·積荷] | <행정> ▶ 내림‧쌓음 |
| 양절 [兩切] | <행정> ▶ 막궐련 |
| 양접 [揚椄] | <임업> ▶ 딴자리접 |
| 양정 [量定] | <행정> ▶ 형량 결정, 양을 정함 |
| 양족 [兩足] | <행정> ▶ 두 발, 두 다리 |
| 양지간 [兩地間] | <행정> ▶ 두 곳 사이 |
| 양지하다 [諒知-] | <행정> ▷ 살피다, 그리 알다, 이해하다 |
| 양찰하다 [諒察-] | <행정> ▶ 살피다, 그리 알다 |
| 양체 [兩替] | <경제> ▶ 환전, (외국) 돈 바꾸기 |
| 양측 [兩側] | <행정> ▷ 양쪽 |
| 양치식물 [羊齒植物] | <행정> ▷ 고사리 식물 |
| 양태 [樣態] | <정치> = 모습, 상태, 양상 |
| 양토 [壤土] | <농업> ▶ 참흙 |
| 양 트기 | <패션> ▶ (양) 옆트임, (양) 옆트기 |
| 양편 [兩便] | <행정> ▷ 두 편 |
| 양하 [揚荷] | <행정> ▶ 짐나르기 |
| 양하지 [兩下肢] | <축산> ▶ 두다리 |
| 양해하기 바랍니다 | <행정> ▷ 그리 아시기 바랍니다 |
| 양형 [量刑] | <행정> ▶ 형량 결정 |
| 양화 [洋畵] | <행정> ▶ 서양화 |
| 어게인스트 윈드 [against wind] | <골프> ▶ 앞바람 |
| 어구 [漁具] | <행정> ▷ 고기잡이 연모 |
| 어군 [魚群] | <행정> ▷ 고기 떼 |
| 어깨 달린 도끼 [有肩銅斧] | <고고학> ▷ 어깨도끼 ※bronze axe with shoulder |
| 어깨싱 [- 芯] | <패션> ▶ 어깨심 |
| 어닝 시즌 [earnings season] | <언론> ▶ 실적 발표 기간 ¶한국 주식 시장이 본격적인 어닝 시즌에 돌입했다. |
| 어닝스 서프라이즈 [earnings surprise] | <언론> ▶ 실적 급등 ¶대부분 업종들이 전년 동기 대비 실적 호전 폭은 컸지만 어닝스 서프라이즈가 러시를 이루었던 1분기에 비하면 실적 증가세가 주춤해진 상태. |
| 어덜트 [adult] | <패션> ▶ 성인 (패션 시장) |
| 어도 [魚道] | <행정> ▶ 물고기 길 |
| 어드레스 [address] | <골프> <볼링> ▷ 준비 (자세) |
| 어드바이스 [advice] | <생활외> ▶ 조언, 충고, 도움말 ¶정성껏 어드바이스해 줍니다. |
| 어드밴티지 [advantage] | <테니스> ▷ 선취점 |
| 어드밴티지 룰 [advantage rule] | <축구> <하키> <핸드볼> ▷ 공격수 편익 규정 |
| 어드벤처 [adventure] | <생활외> ▶ 모험 ¶어드벤처 게임이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다. |
| 어로 [漁撈] | <행정> ▶ 고기잡이 |
| 어린 사슴 무늬 | <패션> ▶ 홀치기(염) |
| 어망 [漁網] | <행정> = 고기 그물 |
| 어망목 [漁網目] | <행정> ▶ 그물코, 그물눈 |
| 어법 [語法] | <행정> = 말법 |
| 어분 [魚粉] | <행정> ▶ 생선가루, 고깃가루 |
| 어비 [魚肥] | <행정> ▶ 생선거름 |
| 어사 [語辭] | <행정> ▶ 말씨 |
| 어사이드 [aside] | <연극> ▶ 방백(傍白) |
| 어선 [漁船] | <행정> = 고깃배 |
| 어센딩 블로 [ascending blow] | <골프> ▷ 올려치기 |
| 어셈블리 [assembly] | <전기> ▷ 뭉치, 조립체(組立體), <행정> ▶ 조립(품), 새것, 짜맞추기 |
| 어소트(먼트) [assortment] | <패션> ▶ 구색 갖추기 |
| 어스트린전트 로션 [astringent lotion] | <행정> ▶ 화장수, 수렴 화장수 |
| 어시머트리 [asymmetry] | <패션> ▶ 비대칭 |
| 어시머트리컬 프런트 [asymmetrical front] | <패션> ▶ 비대칭 앞여밈 |
| 어시스턴트 디렉터 [assistant director] | <연극> ▶ 조연출 |
| 어시스턴트 스타터 [assistant starter] | <스케이트> ▶ (출발) 보조 임원 |
| 어시스턴트 (레퍼리) [assistant (referee)] | <축구> ▶ 부심 |
| 어시스트 [assist] | <농구> <핸드볼> ▶ 도움 (주기), <생활외> ▶ 도움 ¶어시스트를 받아 득점에 성공하였다. |
| 어원 [語源] | <행정> = 말밑 |
| 어유 [魚油] | <행정> ▶ 물고기 기름 |
| 어젠다 (←아젠다) [agenda] | <언론> ▶ 의제 ¶어떤 내용과 형식으로 끌어갈 것인지에 대한 전체적인 방향과 주요 아젠다(→어젠다)를 설정하는 작업이다. |
| 어조 [語調] | <행정> ▷ 말투 |
| 어타이어 [attire] | <패션> ▶ 성장(盛裝) |
| 어태치 칼라 [attached collar] | <패션> ▷ 붙임/탈착 칼라 |
| 어택 [attack] | <배구> ▶ 공격, <핸드볼> ▷ 적극 방어 |
| 어택 라인 [attack line] | <배구> ▶ 공격(제한)선 |
| 어택 존 [attack zone] | <배구> ▶ 공격 지역 |
| 어테스트 [attest] | <골프> ▶ (최종) 타수 확인 |
| 어패럴 [apparel] | <패션> ▷ 의복, 의류, <행정> ▶ 기성복 |
| 어패럴 디자인 [apparel design] | <패션> ▷ 의복 디자인 |
| 어패럴 메이커 [apparel maker] | <패션> ▷ 의복 제조업, 의류 업체 |
| 어패럴 산업 [apparel 産業] | <패션> ▷ 의류 산업 |
| 어퍼 미들 프라이스 [upper middle price] | <패션> ▶ 중고가 |
| 어퍼 베터 존 [upper better zone] | <패션> ▶ 상고가 |
| 어퍼 포풀러 존 [upper popular zone] | <패션> ▶ 중저가 |
| 어퍼넌트 [opponent] | <골프> ▶ 상대(자) |
| 어펜스 [offense] | <핸드볼> ▶ 공격 |
| 어펜시브파울 [offensive foul] | <농구> ▶ 공격 반칙 |
| 어폐 [語弊] | <정치> = 잘못 |
| 어프로치 샷 [approach shot] | <골프> ▷ 붙이기, <테니스> ▷ 전진 타구 |
| 어프로치 퍼트 [approach putt] | <골프> ▶ 붙이기 퍼트 |
| 어프로치 플레이 [approach play] | <골프> ▶ 붙이기(법) |
| 어필 [appeal] | <농구> ▶ 항의, <행정> ▶ 호소, 항의, 이의 제기 |
| 어필하다 [appeal-] | <언론> <생활외> ▶ 호소하다, 항의하다, 이의 제기하다 ¶○○○ 코치는 ○○화재 ○○○의 왼쪽 강타가 아웃이라고 어필했으나 길슨은 손을 들어 터치 아웃임을 시인했다. ¶마음에 어필하는 힘을 가졌다. |
| 어획 [漁獲] | <행정> ▷ 고기잡이 |
| 어획고 [漁獲高] | <행정> ▶ 어획량 |
| 억류 [抑留] | <정치> = 잡아 둠, 가둠 |
| 억제 [抑制] | <행정> = 누르다 |
| 언 [堰] | <임업> ▶ (봇)둑, 웨어 |
| 언더 가먼트 [under garment] | <패션> ▶ 속옷 |
| 언더그라운드 [underground] | <생활외> ▶ 장외, 지하 ¶언더그라운드 가수들의 공연이 펼쳐진다. |
| 언더글레이즈 [underglaze] | <미술> ▶ 밑그림 |
| 언더라인 [underline] | <행정> ▶ 밑줄 |
| 언더 블라우스 [under blouse] | <패션> ▶ 속 블라우스 |
| 언더셔츠 [under shirt] | <패션> ▶ 속셔츠, 속옷 |
| 언더스로 [under throw] | <핸드볼> ▷ 아래로 던지기 |
| 언더 스커트 [under skirt] | <패션> ▶ 속치마 |
| 언더스터디 [understudy] | <연극> ▷ 대기 배우 |
| 언더스핀 [under spin] | <테니스> ▷ 밑깎기, 역회전 |
| 언더웨어 [under wear] | <패션> ▶ 속옷 |
| 언더 커팅 [under cutting] | <임업> ▶ 홈파기, <하키> ▷ 끊어(쳐) 날리기, <연극> ▶ 내려깎기, <행정> ▶ 홈파기 |
| 언더 클러빙 [under clubbing] | <골프> ▶ 짧은 채 잡기 |
| 언더테이블 머니 [undertable money] | <생활외> ▶ 뒷돈 ¶상당액의 언더테이블 머니를 받았다고 한다. |
| 언더 파 [under par] | <골프> ▷ 기준타 이하, 이하타 |
| 언더패스 [under pass] | <핸드볼> ▷ 아래로 주기 |
| 언더 퍼 [under fur] | <패션> ▶ 솜털 |
| 언더 핸드 슛 [under hand shoot] | <농구> ▶ 올려넣기 |
| 언더핸드 스트로크 [underhand stroke] | <배드민턴> ▶ 올려치기 |
| 언더 핸드 패스 [under hand pass] | <배구> ▶ 팔뚝 연결 |
| 언더 핸디캡 [under handicap] | <골프> ▷ 기준타 적용 경기 |
| 언도 [言渡] | <행정> ▶ 선고 |
| 언듈레이션 [undulation] | <골프> ▶ 기복(起伏) |
| 언로더 [unloader] | <행정> ▶ 짐부림틀 |
| 언밸런스 (←언바란스) [unbalanced] | <패션> <생활외> ▶ 불균형, 부조화 ¶옷차림이 언밸런스를 이루고 있다. |
| 언밸런스 (←언바란스) 스커트 [unbalanced skirt] | <패션> ▶ 불균형 치마 |
| 언밸런스 (←언바란스) 체크 패턴 [unbalanced check pattern] | <패션> ▶ 불균형 체크 무늬 |
| 언변 [言辯] | <행정> = 말재주, 말솜씨 |
| 언사 [言辭] | <행정> = 말, 말씨 |
| 언심퍼세틱 캐릭터 [unsympathetic character] | <연극> ▶ 비동정적 인물 |
| 언어도단 [言語道斷] | <정치> = 말이 안 됨 |
| 언이븐 헴라인 [uneven hemline] | <패션> ▶ 불규칙 밑단 |
| 언제 [堰堤] | <임업> ▶ 댐, 둑 |
| 언제공 [堰堤工] | <임업> ▶ 댐 쌓기, 둑 쌓기 |
| 언지법 [偃枝法] | <행정> ▶ 휘묻이 |
| 언컨스트럭트(←언컨) [了ゾコソ, unconstructed] | <패션> ▷ 비구축(적) |
| 언컨스트럭트 슈트 [unconstructed suit] | <패션> ▷ 비구축(적) 슈트 |
| 언컨스트럭트 재킷 [unconstructed jacket] | <패션> ▷ 비구축(적) 재킷 |
| 언컨스트럭티브 웨어 [unconstructive wear] | <패션> ▶ 비구축복 |
| 언콕 [uncock] | <골프> ▶ 손목 풀기 |
| 언플레이어블 [unplayable] | <골프> ▶ 경기 불능 |
| 언필칭 [言必稱] | <행정> ▶ 말할 때마다 |
| 얼라인먼트 [alignment] | <골프> ▶ 정렬 |
| 얼리 아메리칸 룩 [early american look] | <패션> ▶ (미국) 개척 시대풍 |
| 얼리 어답터족 [early adopter族] | <언론> ▶ 신제품광 ¶얼리 어답터족이란 멀쩡한 제품이 있는데도 “신제품이라면 일단 사고 본다”는 원칙에 충실한 소비자 층. |
| 얼자 [蘖子] | <임업> ▶ 새끼 가지 |
| 얽기 기슭매기 | <임업> ▶ 바자 기슭막이 |
| 얽기 흙매기 | <임업> ▶ 바자 흙막이 |
| 엄금 [嚴禁] | <행정> ▷ 하지 말 것 |
| 엄단하다 [嚴斷-] | <행정> ▶ 엄하게 다스리다 |
| 엄동 [嚴冬] | <행정> ▷ 한겨울 |
| 엄벌에 처하다 [嚴罰-處-] | <행정> ▶ 벌하다, 엄하게 다스리다 |
| 엄브렐러 스커트 [umbrella skirt] | <패션> ▶ 우산 치마 |
| 엄브렐러 플리츠 [umbrella pleats] | <패션> ▶ 우산 주름 |
| 엄선 [嚴選] | <행정> ▷ 가려 뽑음 |
| 엄수 [嚴守] | <정치> ▷ 꼭 지킴 |
| 엄수할 것 [嚴守-] | <행정> ▶ 꼭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
| 엄정 [嚴正] | <행정> ▷ 엄격하고 바름 |
| 엄중문책하다 [嚴重問責-] | <행정> ▶ (엄중히) 책임을 묻다 |
| 엄책 [嚴責] | <행정> ▶ 엄하게 꾸짖음 |
| 엄폐하다 [掩蔽-] | <행정> ▷ 덮다, 숨기다, 가리다 |
| 업 [up] | <골프> ▷ 승 |
| 업 다운 [up down] | <스키> ▷ 위아래 움직이기 |
| 업 라이트 [up right] | <연극> ▶ (무대) 오른쪽 뒤 |
| 업 레프트 [up left] | <연극> ▶ (무대) 왼쪽 뒤 |
| 업 센터 [up center] | <연극> ▶ (무대) 중앙 뒤 |
| 업스타일 [up style] | <패션> ▷ 올린머리, 업(up) 양식 |
| 업 스트림 [up stream] | <패션> ▷ 윗(단계) 흐름 |
| 업 투 데이트 [up to date] | <패션> ▶ 최신 |
| 업 힐 [up hill] | <스키> ▶ 산 쪽 |
| 업 힐 스키 [up hill ski] | <스키> ▶ 산 쪽 스키 |
| 업그레이드 [upgrade] | <생활외> ▶ 상승, 개선, 승급 ¶PC의업그레이드에 관한 한 전적으로 인텔이 주도하고 있다. <언론> ▷ 상향(조정), 향상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효율적인 관리 반드시 필요. |
| 업데이트 [update] | <언론> ▶ 갱신 ¶약 85%의 응답자들은 뉴스 업데이트가 신속한 사이트를 자주 보게 된다고 …. <행정> ▷ 수정 자료, 갱신 |
| 업라이트 라이 [upright lie] | <골프> ▶ 수직성(채) 각도 |
| 업라이트 스윙 [upright swing] | <골프> ▶ 수직 휘두르기 |
| 업로딩 [uploading] | <언론> ▶ 올리기, 올려주기 ¶주파수를 알고 나면 해당 전파에 자신의 신호를 얹을 수 있는 업로딩을 하면 되는데, 업로딩 장비는 시장에서 얼마든지 살 수 있다. |
| 업스트럭션 [obstruction] | <골프> ▶ 인공 장애물, <하키> ▶ 진로 방해 |
| 업저버빌리티 [observability] | <전기> ▷ 가관측성(可觀側性) |
| 업황 [業況] | <금융> ▷ 사업 현황, <행정> ▶ 업무 현황 |
| 업힐 라이 [uphill lie] | <골프> ▶ 오르막 상태 |
| 에그 샌드위치 [egg sandwich] | <식생활> ▶ 계란 샌드위치 |
| 에나멜 컬러 [enamel color] | <패션> ▶ 에나멜 색 |
| 에너지 축적 시간 [-蓄積時間] | <전기> ▷ 공급 시간(供給時間) ※stored energy time |
| 에너지 회복 시간 [-回復時間] | <전기> ▷ 보충 시간(補充時間), (에너지) 복원 시간(-復元時間) ※restored energy time |
| 에노구 (←에누꾸) [繪の具, えのぐ] | <미술> ▶ 그림물감 |
| 에노드 [anode] | <전기> ▷ 양극(陽極) |
| 에듀케이셔널 시어터 [educational theatre] | <연극> ▶ 교육 연극 |
| 에듀테인먼트 [edutainment] | <언론> ▶ 놀이식 교육 ¶게임으로 학습 효과를 높이는 에듀테인먼트 소프트웨어가 속속 출시되고 있다. |
| 에드워드 스타일 [エドワㅡド スタイル] | <패션> ▶ 에드워드 양식 |
| 에드워드 자켓 [エドワㅡドジャケット] | <패션> ▶ 에드워드 재킷 |
| 에디터 [editor] | <행정> ▶ 편집자, 편집기 |
| 에러 [error] | <생활외> ▷ 잘못, 실책, 실수 ¶연이은 에러가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
| 에로 [←erotic] | <생활외> ▷ 선정(적) |
| 에로틱하다 [erotic-] | <생활외> ▶ 선정적이다 ¶에로틱하지만 결코 음란하지 않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
| 에리 [襟, えり] | <봉제> <행정> <패션> ▶ (옷)깃 |
| 에리가자리 [襟飾り, えりかざり] | <패션> ▶ 깃상침 |
| 에리구리 [襟刳り, えりぐり] | <패션> <봉제> ▶ 목둘레선 |
| 에리나시 [襟なし, えリなし] | <패션> <봉제> ▶ 민깃 |
| 에리도마리 [襟止り] | <봉제> ▶ 깃끝 |
| 에리마쓰리 [襟まつり, えりまつり] | <패션> <봉제> ▶ 깃감침 |
| 에리마키 [襟卷き, えリまき] | <패션> ▶ 목도리 |
| 에리선 [襟 -] | <패션> ▶ 목둘레선 |
| 에리쓰케 [襟付け, えりつけ] | <패션> <봉제> ▶ 깃달기 |
| 에리아시 [襟足, えりあし] | <패션> <봉제> ▶ 깃띠 |
| 에리오모테 [襟表, えりおもて] | <패션> <봉제> ▶ 겉깃(감) |
| 에리오사에 [襟押え, えりおさえ] | <패션> <봉제> ▶ 깃단 눌러박기 |
| 에리우라 [襟裏, えりうら] | <패션> <봉제> ▶ 밑깃(감), 깃뒷(감) |
| 에리즈리 [衿吊, えりづり] | <패션> <봉제> ▶ 걸고리 |
| 에리지누이 [襟地縫い] | <봉제> ▶ 깃판박기 |
| 에리코시 [襟腰, えりこし] | <패션> <봉제> ▶ 깃운두 |
| 에리코시센 [襟腰線, えりこしせん] | <패션> ▶ 깃운두선 |
| 에리키자미 [襟きざみ, えりきざみ] | <패션> <봉제> ▶ 깃아귀 |
| 에리하시 [襟端, えりはし] | <패션> <봉제> ▶ 깃끝 |
| 에리후세 [襟伏せ] | <봉제> ▶ 깃 눌러 박기 |
| 에뮬레이터 [emulator] | <행정> ▷ 모방기 |
| 에벌루션 [evolution] | <전기> ▷ 진화(進化) |
| 에보슈 [프.ebauche] | <미술> = 대충 그림 |
| 에비후라이 [蝦フライ, えびフライ, -fry] | <식생활> ▶ 새우튀김 |
| 에세이 [essay] | <생활외> <행정> ▷ 수필, 논문 ¶삶을 주제로 한 에세이들이 서점가를 주도하고 있다. |
| 에스닉 [ethnic] | <패션> ▶ 민속(복), 민속(풍) |
| 에스닉 룩 [ethnic look] | <패션> ▶ 민속풍 |
| 에스오에스 [SOS] | <행정> = 위험 신호, 조난 신호, 구급 신호 |
| 에스오피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행정> ▶ 운영 예규 |
| 에스컬레이터 [escalator] | <생활외> ▷ 자동계단 ¶이쪽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주십시오. |
| 에스코트 [escort] | <언론> ▶ 호위 ¶경찰관은 친절하게 앞장서서 에스코트를 해 줬고, ○ 감독은 무사히 숙소까지 도착. |
| 에스키스 [프.esquisse] | <미술> = 모양잡이(조각), 초벌 그림(서양화) |
| 에스테틱 디스턴스 [esthetic distance] | <연극> ▶ 미적(美的) 거리 |
| 에스티메이션 [estimation] | <전기> ▷ 추정(推定) |
| 에스프리 [프.esprit] | <행정> ▷ 마음, 슬기 |
| 에어 클리너 [air cleaner] | <행정> = 공기 거르개, 공기 청정기 |
| 에어 펌프 [air pump] | <행정> ▶ 공기 펌프 |
| 에어 호스 [air hose] | <행정> ▷ 공기 호스 |
| 에어라이터 [air lighter] | <언론> ▶ 풍선등 |
| 에어라인 디스턴스 [airline distance] | <골프> ▶ 수평 거리 |
| 에어로빅 슈즈 [aerobics shoes] | <패션> ▶ 에어로빅 신발 |
| 에어리어 [area] | <축구> ▷ 지역 |
| 에어리얼 스키 [aerial ski] | <스키> ▶ 공중 돌기 경기 |
| 에어컨 [←air conditioner] | <행정> ▷ 냉난방기, 공기 조절기 |
| 에이(A) 매치 [A match] | <언론> ▶ 국가 간 경주 ¶앞으로 우루과이와의 A 매치 등 중요 경기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히딩크의 ‘자유 분방함’이 국민 감정에 거슬리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
| 에이(A) 보드 [A board] | <언론> ▶ A자형 광고판 ¶바람으로 추풍낙엽처럼 쓰러진 월드컵 경기장의 A 보드를 일으켜 세우느라 한바탕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
| 에이급 [A級] | <언론> ▷ 1(등)급 ¶1층 A급 점포인 경우 월 1억 원대의 매출을 올리는 곳이 허다하다. |
| 에이밍 [aiming] | <사격> ▶ (정)조준 |
| 에이비 (←에비) 에이터 룩 [aviator look] | <패션> ▶ 조종사풍 |
| 에이스 [ace] | <생활외> ▷ 최고의 ¶이것은 에이스 상품이다. <생활외> ▷ 기둥 투수 ¶롯데에는 완투 능력을 갖춘 3명의 에이스가 버티고 있다. <테니스> ▷ 메김 득점 |
| 에이아르에스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 <언론> ▷ 자동 응답 시스템 ¶각종 아이디어 작품 현상 공모와 신문이나 ARS를 통한 사은 대축제 퀴즈 공모 등이 줄을 잇고 있다. |
| 에이에스 [A/S (←after service)] | <생활외> ▶ 뒷관리, 뒷봉사, 뒷손질, 뒤 수리, 사후 관리/봉사 ¶복사기가 고장났으면 에이에스를 받아야지. |
| 에이저 [←ager] | <언론> ▶ 세대 ¶밀레니엄 에이저가 뜬다. |
| 에이전시 [agency] | <언론> ▶ 대행사 ¶미국 내에서는 이런 모델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에이전시가 상당수 있어, 패러디 마케팅을 원할 경우 이 회사들을 이용한다. |
| 에이전트 [agent] | <언론> ▶ 대리인, 대행인 ¶프로 농구에도 본격적인 에이전트 시대가 열렸다. <행정> ▷ 대리점, 대리상 |
| 에이지 콘테스트 [age contest] | <골프> ▶ 나이별 경기 |
| 에이징 [aging] | <전기> ▷ 경년 변화(經年變化), 경시 변화(經時變化) |
| 에이트 [eight] | <스케이트> ▶ 8자형(그리기) |
| 에이프런 [apron] | <골프> ▶ 그린 둘레, <생활외> <패션> ▶ 앞치마 ¶에이프런을 두른 모습이 잘 어울린다. <행정> ▶ 앞치마, (부두)뜰 |
| 에이프런 드레스 [apron dress] | <패션> ▷ 앞치마(형) 옷 |
| 에이프런 스타일 [apron style] | <패션> ▷ 앞치마형 |
| 에일리어네이션 이펙트 [alienation effect] | <연극> ▶ 이화(異化) 효과 |
| 에지 [edge] | <골프> ▶ 그린 가장자리, <스케이트> ▷ 스케이트날 끝 부분, <스키> ▷ 모서리, <패션> ▶ 가장자리 |
| 에지 사펀 [edge sharpen] | <스케이트> ▷ 날 갈개 |
| 에지 피니시 [edge finish] | <봉제> ▶ 깃박기 |
| 에징 [edging] | <스키> ▷ 모서리 세우기 |
| 에칭 [etching] | <전기> ▷ 식각(법) (蝕刻) |
| 에코 [echo] | <생활외> ▶ 메아리, 반향 ¶육성과 마이크 에코의 조화 |
| 에콜 [프.école] | <미술> ▷ (유)파 |
| 에콜드파리 [프.école de Paris] | <미술> ▷ 파리파 |
| 에티켓 [프.étiquette] | <생활외> ▶ 예절, 예의, 품위 ¶사회 생활의 에티켓을 항상 지켜야 한다. <언론> ▷ 예절 ¶에티켓 갖춘 차세대 ‘컴’ 멀지 않았다. |
| 에폴레트 [프.épaulette] | <패션> ▶ 견장, 어깨장식 |
| 에프 사이즈 [Free size] | <패션> ▶ 에프(F) 치수, 자유 치수 |
| 에프롱 [apron] | <패션> ▶ 앞치마, (부두)뜰<해운> |
| 에프알엔 [FRN, floating rate note] | <금융> ▶ 변동 금리 채권 |
| 에프와이 [FY. fiscal year.] | <행정> ▶ 회계연도 |
| 에피소드 [episode] | <생활외> ▷ 일화 ¶재미있고 시사적인 에피소드를 풍부히 수록하고 있다. |
| 에픽 시어터 [epic theatre] | <연극> ▶ 서사 연극 |
| 에필로그 [epilogue] | <행정> ▶ 끝, 맺음말 |
| 엑기스 (←에키스) [네.extract] | <생활외> ▶ 진액 ¶은행잎 엑기스를 뽑아서 만들고 있다. |
| 엑소더스 [exodus] | <언론> ▶ 탈출, 대이동 ¶자녀 교육, 새 삶 찾아 ‘엑소더스’ |
| 엑스 사이즈 [X size] | <패션> ▷ 엑스(X) 치수 |
| 엑스 사이튜 [ex situ] | <임업> ▶ 현지 밖, 현지 외 |
| 엑스터시 [ecstasy] | <생활외> ▶ 황홀감 ¶슬픔과 고독과 기쁨을 붉게 태우며 엑스터시로 끌어 올렸다. |
| 엑스테리어 [exterior] | <언론> ▶ 옥외 조경 ¶○○ 건설은 요사이 ‘인테리어(→실내 장식)’에 이어 ‘엑스테리어’라는 모토를 내걸고 있다. 아파트 내부뿐 아니라 건물 바깥의 단지도 차별화하겠다는 뜻이다. |
| 엑스트라 [extra] | <생활외> ▷ 조역, 곁다리, 곁들이 ¶그는 엑스트라 배우로만 활동하고 있다. |
| 엑스트라 홀 [extra hole] | <골프> ▶ 연장전 홀 |
| 엑스퍼지션 [exposition] | <연극> ▶ 도입부 |
| 엔고 [円高] | <경제> ▷ 엔화 강세, 엔화 상승 |
| 엔드 [end] | <축구> ▷ 진영 |
| 엔드라인 [end line] | <농구> <배구> ▶ 끝줄 |
| 엔마 | <미술> ▶ 뽑집게 |
| 엔빌로프 드레스 [envelope dress] | <패션> ▷ 봉투(형) 옷 |
| 엔실리지 [ensilage] | <행정> ▶ 담근 먹이 |
| 엔조이하다 [enjoy-] | <행정> ▶ 즐기다 |
| 엔지 [N.G. ←no good] | <행정> ▷ 잘못 촬영됨/찍음, 다시 |
| 엔지니어 [engineer] | <행정> ▷ 기사, 기술자 |
| 엔지니어링 [engineering] | <행정> ▶ 공학 |
| 엔코 (←엥꼬) [えんこ] | <행정> ▶ 떨어짐, 바닥(남) |
| 엔터테인먼트 [entertainment] | <언론> ▶ 연예, 오락 ¶대형 업체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에 서 있다. |
| 엔토쓰 [煙突, えんとつ] | <건설> ▶ 굴뚝, 연돌 |
| 엔트리 [entry] | <생활외> ▶ 참가자 (명단) ¶엔트리를 마감 시간이 다 되어서 제출했다. <언론> ▶ 참가자 명단, (출전) 선수 명단 ¶○○○ 대표 팀에서 탈락 위기, ○○○ 감독 골드컵 엔트리 18명에서 제외. <테니스> ▶ 참가 선수 |
| 엔트리 (넘버) [entry (number)] | <야구> ▷ 선발 선수 |
| 엘 사이즈 [L size] | <패션> ▷ 엘(L)치수, 대형치수 |
| 엘레강스 [프.élégance] | <패션> ▷ 우아, 고상 |
| 엘리건트 [elegant] | <패션> ▷ 우아한, 고상한 |
| 엘리멘터리 스쿨 피겨 [elementary school figure] | <스케이트> ▶ 기본 종목 |
| 엘리베이터 [elevator] | <생활외> ▷ (자동) 승강기 ¶엘리베이터 운행 중에는 장난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엘리베이터 스테이지 [elevator stage] | <연극> ▶ 승강 무대 |
| 엘리베이터 오퍼레이터 [elevator operator] | <행정> ▶ 승강기 안내(원) |
| 엘리트 [elite] | <생활외> <언론> <정치> ▷ 우수-, 정예 ¶엘리트 사원들이 회사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정보통신부 엘리트 관리들이 벤처 기업으로 향하고 있다. |
| 엘보 [elbow] | <미술> ▶ 기역자 대롱/파이프 |
| 엘시 [L/C, letter of credit] | <금융> ▶ 신용장 |
| 엘시 오픈 [L/C open] | <행정> ▶ 신용장 개설 |
| 엘엘 사이즈 [LL(←large large) size] | <패션> ▷ 초대형 치수 |
| 엠 사이즈 [M(←medium) size] | <패션> ▷ 엠(M) 치수, 중치수 |
| 엠디 [MD(←merchandiser)] | <패션> ▷ 상품 기획가 |
| 엠보싱 가공 [embossing finish] | <패션> ▷ 요철 가공 |
| 엠블럼 [emblem] | <패션> <언론> ▷ 상징(표) ¶신세기 빅스는 창단식과 함께 마스코트와 엠블럼도 확정했다. |
| 엠아르엠 [M.R.M.] | <신문> ▶ 압착기 |
| 엠 앤드 에이 [M&A(←merge(s) and acquisition(s))] | <언론> ▶ 인수 합병 ¶국제, 신동아, 대한화재 등 중소형 손해 보험사들이 M&A가능성이 높으며···. |
| 엠티 [MT] | <생활외> ▶ 수련 모임 ¶젊은 날의 고뇌를 함께 나누며엠티(MT)도 같이 다녔어요. |
| 엠티비 [MTB(←mountain bicycle)] | <언론> ▶ 산악자전거 ¶○○ 씨가 MTB를 시작한 것은 지난해 8월. |
| 엠퍼시 [empathy] | <연극> ▶ 동화(감), 감정이입 |
| 엠퍼시스 [emphasis] | <연극> ▶ 강조 |
| 엥게지(링) [engagement (ring)] | <미술> ▶ 반달 반지 |
| 엥게지(반지) [斑指] | <행정> ▶ 약혼(반지) |
| 여 [餘] | <행정> = 쯤, 남짓 |
| 여가 [餘暇] | <행정> ▷ 겨를, 틈 |
| 여과 [濾過] | <행정> ▷ 거르기 |
| 여과대 [濾過臺] | <행정> ▷ 거름틀 |
| 여과지 [濾過紙] | <행정> ▷ 거름종이 |
| 여과하다 [濾過-] | <행정> ▷ 거르다, 걸러 내다 |
| 여구 검사 [旅具檢査] | <행정> ▶ (여행자) 짐 검사 |
| 여굴 [餘掘] | <임업> ▶ 더 파기 |
| 여덟 가지 방울 [八珠鈴] | <고고학> ▷ 팔주방울 ※shaman tool with eight bells |
| 여두 [濾斗] | <행정> ▶ 깔때기 |
| (여러 가지) 설 [說] | <행정> = (각, 여러 가지의) 의견 |
| 여러 꼭지 거울 [多擊面] | <고고학> ▷ (두) 꼭지 거울 ※mirror with two knobs |
| 여러 널식 [多槨式] | <고고학> ▷ 여러덧널식, 다곽식 ※multiple coffin type |
| 여러 칸 무덤 [多室墳] | <고고학> ▷ 여러 방 무덤 ※tomb with several rooms |
| 여력 [餘力] | <행정> = 남은 힘 |
| 여로 [旅路] | <행정> = 여행길 |
| 여망 [輿望] | <행정> = 기대, 바람 |
| 여명 [黎明] | <행정> ▷ 새벽 |
| 여반장 [如反掌] | <행정> = 아주 쉬움 |
| 여백 [餘白] | <행정> = 빈자리 |
| 여부 [與否] | <행정> ▷ 그런지 아닌지 |
| 여분 [餘分] | <행정> ▷ 나머지 |
| 여비 [旅費] | <행정> ▷ 노자 |
| 여사여사하다 [如斯如斯-] | <행정> ▶ 이러이러하다 |
| 여사하다 [如斯-] | <행정> ▶ 이와 같다 |
| 여생 [餘生] | <정치> = 남은 생애 |
| 여성토[餘成土] | <행정> ▶ 더돋기 흙 |
| 여수 [餘水] | <행정> ▶ 나머지 물 |
| 여수로 [餘水路] | <임업> ▶ 무넘기 |
| 여수토 [餘水吐] | <임업> ▶ 무넘기 |
| 여액 [濾液] | <행정> ▶ 거른 물 |
| 여왕봉 [女王蜂] | <잠업> ▷ 여왕벌 |
| 여입 결의 [戾入決議] | <행정> ▶ 회수 결정 |
| 여입금 [戾入金] | <행정> ▶ 회수금 |
| 여입하다 [戾入-] | <행정> ▶ 도로 넣다 |
| 여정 [旅程] | <행정> = 여행 일정 |
| 여조 [旅鳥] | <임업> ▶ 나그네 새 |
| 여죄 [餘罪] | <행정> ▷ 그 밖의 죄 |
| 여척 [餘尺] | <행정> ▶ 덤자 |
| 여타의 [餘他-] | <행정> ▷ 그 나머지의, 그 밖의, 다른 |
| 여파 [餘波] | <행정> ▷ 남은 영향 |
| 여하간 [如何間] | <행정> ▷ 어쨌든 |
| 여하한 [如何-] | <행정> ▷ 어떠한 |
| 여하히 [如何-] | <행정> ▷ 어떻게, 아무리 |
| 여행하다 [勵行-] | <행정> ▶ 힘쓰다, 힘쓰게 하다 |
| 여히 [如-] | <행정> ▶ 같이 |
| 역(용)우 [役用牛] | <축산> ▶ 일소 |
| 역과 [轢過] | <법의학> ▷ 차에 깔림 ※runover |
| 역과 손상 [轢過 損傷] | <법의학> ▶ 차에 깔림 손상 ※runover injury |
| 역과하다 [轢過-] | <행정> ▶ 치고 가다 |
| 역군 [役軍] | <행정> = 일꾼 |
| 역대 [歷代] | <행정> = 지난 대 |
| 역독 버니어 [逆讀 vernier] | <임업> ▶ 역버니어 |
| 역량 [力量] | <행정> = 힘 |
| 역무수 [驛務手] | <행정> ▶ (철도) 역무원 |
| 역부족 [力不足] | <행정> = 힘이 부침, 힘이 모자람 |
| 역사하다 [轢死-] | <행정> ▶ (차에) 치여 죽다 |
| 역서 [譯書] | <행정> = 번역한 책 |
| 역석 [逆石] | <임업> ▶ 뒤집힌 돌 |
| 역설하다 [力說-] | <행정> = 힘주어 말하다 |
| 역시 [亦是] | <행정> = 또한 |
| 역연하다 [歷然-] | <행정> ▶ 뚜렷하다 |
| 역영 [力泳] | <행정> ▷ 힘껏 헤엄침 |
| 역원 무배치역 [驛員無配置驛] | <행정> ▷ 역원 없는 역 |
| 역임 [歷任] | <정치> = 거침, 지냄 |
| 역전 [驛前] | <행정> = 역 앞 |
| 역전 통보 [驛傳通報] | <행정> ▷ 역 사이 전달 |
| 역전기 [逆轉機] | <전철> ▷ 전후진 제어기 |
| 역종천 [逆從川] | <임업> ▶ 역향 하천 |
| 역지 [力枝] | <행정> ▶ 으뜸 가지, 우죽 |
| 역축 [役畜] | <축산> ▶ 일 가축 |
| 역 플래시 오버 [逆 flash over] | <전기> ▷ 역 섬락(逆閃絡) |
| 역할 [役割] | <행정> = 소임, 구실, 할 일 |
| 역행 (운전) [力行運轉, powering] | <전철> ▷ 동력 운전 |
| 역행 침식 [逆行浸蝕] | <임업> ▷ 후퇴 침식 |
| 역화 [逆火] | <임업> ▶ 맞불 |
| 역환 [逆換] | <행정> ▶ 은행 자금 |
| 연 [淵] | <임업> ▶ (연)못 |
| 연 [筵] | <임업> ▶ 거적 |
| 연가 [撚架, transposition] | <전기> ▷ 위치 바꿈(位置-), 교차(交叉) |
| 연간 조상 수확법 [年間條桑收穫法] | <잠업> ▶ 연간 가지 뽕 거두기 |
| 연간조상육 [年間條桑育] | <잠업> ▶ 연간 가지 뽕치기 |
| 연거리 [延距離] | <행정> ▷ 총 거리 |
| 연건 [聯乾] | <행정> ▶ 줄말리기, 이어말리기 |
| 연결기 [連結器] | <전기> ▶ 접속기(接續器) |
| 연계하여 [連繫-] | <행정> = 이어, 함께, 아울러 |
| 연고 [緣故] | <행정> = 까닭, 인연 |
| 연고로 [然故-] | <행정> = 그러므로, 그러한 까닭으로 |
| 연곡 [撚曲] | <행정> ▶ 실 꼬임 |
| 연구기 [燕口期] | <행정> ▶ 잎 펼 때 |
| 연궐련 [軟卷煙] | <농업> ▶ 무른 담배 |
| 연귀 [燕口] | <건축사> ▷ 연귀 (맞춤) ※miter joint |
| 연근 [蓮根] | <농업> = 연 뿌리 |
| 연기 [連記] | <정치> ▷ 잇따라 적음/씀 |
| 연기하다 [延期-] | <행정> = 미루다 |
| 연납 보험료 [年納 保險料] | <금융> ▷ 연납 보험료(해마다 내는 보험료) |
| 연년이 [年年-] | <행정> ▷ 해마다 |
| 연단 [緣端] | <행정> ▶ 가장자리, 끝 |
| 연대 [年代] | <행정> = 연대 |
| 연대 [連帶] | <행정> = 공동 |
| 연대 채무 [連帶債務] | <행정> ▷ 함께 갚을 채무 |
| 연도 [沿道] | <행정> ▷ 길가, 길옆 |
| 연도 [羡道] | <고고학> ▷ 무덤 안길, 연도 ※tomb entrance passage |
| 연돌 [煙突] | <미술> ▷ 불길, <행정> ▶ 굴뚝 |
| 연력 [燃力] | <임업> ▶ 타는 힘 |
| 연령 [年齡] | <금융> <행정> ▷ 나이 |
| 연료 [燃料] | <행정> = 땔감 |
| (연료) 탱크 [(燃料) tank] | <언론> ▶ (연료)통 |
| 연루 [連累] | <정치> ▷ 관련 |
| 연륜 [年輪] | <행정> ▶ 나이테 |
| 연륜폭 [年輪幅] | <임업> ▷ 나이테 너비 |
| 연마하다 [硏磨-] | <행정> ▷ 갈고 닦다 |
| 연맥 [燕麥] | <농업> ▶ 귀리 |
| 연면적 [延面積] | <행정> ▶ 전체 면적, 합친 면적, 총면적 |
| 연명 [連名] | <금융> ▷ 공동 이름 |
| 연반 [硯盤] | <미술> ▷ 벼루바닥 |
| 연발 [延發] | <행정> = 늦떠남 |
| 연변 [硯邊] | <미술> ▷ 벼루전 |
| 연부 [緣部] | <행정> ▶ 가장자리 |
| 연부병 [軟腐病] | <농업> ▶ 무름병 |
| 연불 수출 [延拂輸出] | <경제> ▶ 외상 수출 |
| 연사 [燃絲] | <미술> ▷ 꼬인 실 |
| 연사 [練飼] | <축산> ▶ 이겨 먹이기 |
| 연산 [年産] | <행정> = 한 해 생산 |
| 연상 [年上] | <행정> = 손위 |
| 연상 [練床] | <농업> ▶ 이긴 모판 |
| 연생 보험 [聯生 保險] | <금융> ▶ 다수 생명 보험 |
| 연서 [連署] | <행정> ▷ 이름 이어 씀 |
| 연석 [硯石] | <행정> ▷ 벼룻돌 |
| 연석 [緣石] | <임업> ▶ 갓돌 |
| 연소 [延燒] | <행정> ▷ 번지어 탐 |
| 연소 [燃燒] | <행정> = 불에 탐 |
| 연소재 [燃燒滓] | <행정> ▶ 재 |
| 연소 조건 [燃燒條件] | <임업> = 불에 타는 조건 |
| 연소화 [年少化] | <행정> = (나이가) 어려짐 |
| 연쇄 [連鎖] | <행정> ▶ (쇠)사슬, 잇단 |
| 연수 [軟水] | <행정> ▶ 단물 |
| 연승 [延繩] | <행정> ▶ 주낙 |
| 연연하다 [戀戀-] | <정치> ▷ 미련을 두다 |
| 연와 [煉瓦] | <행정> ▶ 벽돌 |
| 연와조 [煉瓦造] | <행정> ▷ 벽돌로 된 구조 |
| 연월수 [延月數] | <행정> ▷ 총 월수 |
| 연유 [緣由] | <행정> ▷ 까닭 |
| 연이나 [然-] | <행정> ▶ 그러나 |
| 연이면 [然-] | <행정> ▶ 그러면, 그러하면 |
| 연이법 [緣餌法] | <축산> ▶ 반죽 먹이 |
| 연인원 [延人員] | <행정> = 총 인원 |
| 연일 [連日] | <행정> ▷ 날마다 |
| 연작 [連作] | <행정> ▶ 이어짓기 |
| 연장 [延長] | <행정> ▷ 길이, 총 길이, 전체 길이 |
| 연장 [練張] | <임업> ▶ 찰붙임 |
| 연장공 [筵張工] | <임업> ▶ 거적 덮기 |
| 연장석 [練張石] | <임업> ▶ 찰붙임돌 |
| 연장수로 [練張水路] | <임업> ▶ 찰붙임수로, 찰붙임도랑 |
| 연장하다 [延長-] | <행정> = (시간, 길이 따위를) 늘리다 |
| 연접된 [連接-] | <행정> ▷ (연)이어진, 접한, 서로 맞닿은 |
| 연접속 [撚接續, twist joint twisting joint] | <전기> ▷ 꼬임 연결(-連結) |
| 연조직 출혈 [軟組織 出血] | <법의학> ▶ 물렁조직 출혈 ※soft fissue bleeding |
| 연중 [年中] | <행정> = 그 해 동안 |
| 연지 [硯池] | <미술> ▷ 벼루못 |
| 연지급수입 [延支給收入] | <경제> ▶ 외상 수입 |
| 연직사진 [鉛直寫眞] | <임업> ▶ 수직 사진 |
| 연직유속곡선 [鉛直流速曲線] | <임업> ▶ 수직 유속 곡선 |
| 연질도기 [瓦質土器] | <고고학> ▷ 와질 토기 ※soft stoneware |
| 연질버섯 [軟質-] | <임업> ▷ 연한 버섯 |
| 연착 [延着] | <행정> ▷ 늦도착 |
| 연착하다 [延着-] | <행정> = 늦게 도착하다 |
| 연찬하다 [硏鑽-] | <행정> ▷ 깊이 연구하다 |
| 연철하다 [連綴-] | <행정> ▶ 잇달아 (함께) 꿰매다, 이어쓰다 |
| 연체 이자 [延滯利子] | <행정> ▷ 기한 넘긴 이자 |
| 연초 [煙草] | <행정> ▶ 담배 |
| 연초 종자 [煙草種子] | <행정> ▶ 담배 씨 |
| 연축 [練築] | <임업> ▶ 찰 쌓기 |
| 연축근고공 [練築根固工] | <임업> ▶ 찰 쌓기 밑막이 |
| 연축댐 [練築 dam] | <임업> ▶ 찰 쌓기 댐 |
| 연축매설공 [練築埋設工] | <임업> ▶ 찰 쌓기 땅속 흙막이 |
| 연축보곡공 [練築保谷工] | <임업> ▶ 찰 쌓기 골막이 |
| 연축보상공 [練築保床工] | <임업> ▶ 찰 쌓기 바닥막이 |
| 연축토류공 [練築土留工] | <임업> ▶ 찰 쌓기 흙막이 |
| 연출하다 [連出-] | <행정> ▶ 데려오다, 데려가다<교도소> |
| 연패하다 [連敗-] | <행정> ▷ 내리 지다 |
| 연패하다 [連覇-] | <행정> ▷ 내리 이기다 |
| 연하 [嚥下] | <축산> ▶ 삼킴 |
| 연하 [年下] | <행정> = 손아래 (사람), 나이 아래 |
| 연하 장애 [嚥下障碍] | <행정> ▶ 삼키지 못함 |
| 연해류 [沿海流] | <임업> ▶ 연안류 |
| 연혁 [沿革] | <행정> ▷ 내력 |
| 연호 [連呼] | <정치> ▷ (구호를) 연이어 외침 |
| 연화 [軟化] | <법의학> ▷ 연화, 액화, 융해 ※malaxation, synchysis |
| 연화병 [軟化病] | <행정> ▶ 무름병 |
| 연화 재배 [軟化栽培] | <농업> ▶ 연하게 가꾸기 |
| 연후에 [然後-] | <행정> ▷ 한 뒤에, 그런 뒤에 |
| 열강 [列强] | <행정> = 강한 나라들 |
| 열과 [裂果] | <임업> ▶ 열매 터짐, 터진 열매 |
| 열구 [裂球] | <축산> ▶ 통 터짐, 알 터짐, 터진 알 |
| 열근 [裂根] | <임업> ▶ 뿌리 터짐, 터진 뿌리 |
| 열기 [列記] | <정치> ▷ 나열 (기록) |
| 열대 과수 [熱帶果樹] | <행정> ▶ 열대 과일 나무 |
| 열대강우림 [熱帶降雨林] | <임업> ▶ 열대 우림 |
| 열독하다 [閱讀-] | <행정> ▶ 읽다 |
| 열등 [劣等] | <행정> = 뒤진 |
| 열람에 공하다 [閱覽-] | <행정> ▷ 보도록 하다, 보이도록 하다 |
| 열람하다 [閱覽-] | <행정> ▷ 훑어보다 |
| 열석자 [列席者] | <행정> ▶ 참석자 |
| 열석하다 [列席-] | <행정> ▶ 줄지어 앉다, 참석하다 |
| 열소자 [熱消磁] | <전기> ▷ 열 자성 제거(熱磁性除去) ※thermal demagnetization, thermal conditioning |
| 열손립 [熱損粒] | <행정> ▶ 뜬 알 |
| 열식간벌 [列式間伐] | <행정> ▶ 줄 솎아 베기 |
| 열악하다 [劣惡-] | <행정> ▶ 나쁘다, 좋지 않다, 뒤떨어지다 |
| 열엽 [裂葉] | <임업> ▶ 갈래 잎 |
| 열원 [列員] | <행정> ▶ 줄선 사람 |
| 열전자, 핫일렉트론 [熱電子, hot electron] | <전기> ▷ 고온전자(高溫電子) |
| 열창 [裂創] | <법의학> ▷ 찢긴 상처 ※lacerated wound |
| 열흔 [裂痕] | <행정> ▶ 갈라진 자국 |
| 염가 [廉價] | <행정> ▷ 싼값, 헐값 |
| 염기성 [鹽基性] | <농업> ▶ 알카리성 |
| 염기포화도 [鹽基飽和度] | <농업> ▶ 알카리 포화도 |
| 염두에 두어 [念頭-] | <행정> = 마음에 두어 |
| 염료 [染料] | <행정> ▷ 물감 |
| 염료 작물 [染料作物] | <농업> ▷ 물감 작물 |
| 염류 농도 [鹽類濃度] | <농업> ▷ 소금기 농도 |
| 염류 토양 [鹽類土壤] | <농업> ▷ 소금기 흙 |
| 염서 [炎署] | <행정> ▶ 불볕 더위 |
| 염수선 [鹽水選] | <농업> ▶ 소금물 가리기 |
| 염안 [鹽安] | <농업> ▶ 염화암모니아 |
| 염원 [念願] | <정치> = 바람, 소원 |
| 염장 [鹽藏] | <행정> ▶ 소금저장, 소금절임 |
| 염장무 무침 [鹽藏-] | <식생활> ▶ 짠지 무침 |
| 염장미역 [鹽藏-] | <행정> <식생활> ▷ 간미역 |
| 염증 [厭症] | <행정> = 싫증 |
| 염지 [鹽漬] | <농업> ▶ 소금 절임 |
| 염화가리 [鹽化加里] | <농업> ▶ 염화칼리 |
| 염회 [捻回] | <전기> ▶ 꼬임, 비틀림 |
| 엽 [葉] | <임업> ▶ 잎 |
| 엽구 [獵具] | <행정> ▶ 사냥 도구 |
| 엽구 [獵區] | <임업> ▷ 사냥 구역 |
| 엽권 [葉卷] | <임업> ▶ 잎말림 |
| 엽권병 [葉卷病] | <임업> ▶ 잎말이병 |
| 엽권충 [葉卷蟲] | <임업> ▶ 잎말이 나방 |
| 엽기 [獵期] | <임업> <행정> ▶ 사냥철 |
| 엽기적 [獵奇的] | <행정> ▷ 괴기적 |
| 엽령 [葉齡] | <임업> ▶ 잎 나이 |
| 엽면시비 [葉面施肥] | <행정> ▶ 잎에 거름주기 |
| 엽면적 [葉面積] | <임업> ▶ 잎 넓이 |
| 엽병 [葉柄] | <임업> ▶ 잎자루, 잎꼭지 |
| 엽비 [葉碑] | <임업> ▶ 응애 |
| 엽삽 [葉揷] | <임업> ▶ 잎꽂이 |
| 엽서 [葉序] | <임업> ▶ 잎 차례 |
| 엽선 [葉先] | <행정> ▶ 잎끝 |
| 엽설 [葉舌] | <임업> ▶ 잎혀 |
| 엽속삽 [葉束揷] | <임업> ▶ 잎다발꽂이 |
| 엽신 [葉身] | <임업> ▶ 잎몸, <행정> ▶ 잎새 |
| 엽아 [葉芽] | <임업> ▶ 잎눈 |
| 엽아삽 [葉芽揷] | <임업> ▶ 잎눈 꺾꽂이 |
| 엽연 [葉緣] | <임업> ▶ 잎가, 잎 가장자리 |
| 엽연초 [葉煙草, ←tabaco] | <행정> ▶ 잎담배 |
| 엽육 [葉肉] | <임업> ▶ 잎살 |
| 엽이 [葉耳] | <임업> ▶ 잎귀 |
| 엽장 [獵場] | <행정> ▶ 사냥터 |
| 엽저 [葉底] | <임업> ▶ 잎밑 |
| 엽적상 [葉積箱] | <행정> ▶ 잎 담는 통, 잎 쌓기 통 |
| 엽전 [葉展] | <행정> ▶ 잎 펴기 |
| 엽진병 [葉振病] | <행정> ▶ 잎 떨림병 |
| 엽질 [葉質] | <행정> ▶ 잎 바탕 |
| 엽채류 [葉菜類] | <임업> ▶ 잎채소류, 잎채소붙이 |
| 엽초 [葉鞘] | <임업> ▶ 잎집 |
| 엽폭 [葉幅] | <임업> ▶ 잎 너비 |
| 영 [young] | <패션> ▷ 젊은 (세대) |
| 영견 [營繭] | <잠업> ▶ 고치짓기 |
| 영년 작물 [永年作物] | <농업> ▶ 오래살이 작물 |
| 영달 [令達] | <행정> ▷ 내려 보냄 |
| 영달 [榮達] | <정치> ▷ 출세 |
| 영득 [領得] | <행정> ▶ 제 것 삼음 |
| 영락 [瓔珞] | <고고학> ▷ 달개, 영락 ※spangle, <미술사> ▷ 달개, 영락 ※bead-necklace |
| 영림 [營林] | <임업> = 산림 경영 |
| 영림 계획 [營林計劃] | <임업> = 산림 (경영) 계획 |
| 영묘화 [←翎毛畵] | <미술사> ▷ 깃털 짐승 그림, 영모화 ※picture of bird and animal |
| 영선 [營繕] | <행정> ▷ 수리 |
| 영세민 [零細民] | <행정> ▷ 저소득 주민 |
| 영소 [營巢] | <임업> ▷ 집 짓기 |
| 영송 [迎送] | <행정> ▶ 맞고 배웅하기 |
| 영아 [嬰兒] | <행정> ▷ 젖먹이, 갓난아기 |
| 영아살 [嬰兒殺] | <법의학> ▶ 영아 살해 ※infanticide |
| 영양화 [營養化] | <임업> ▷ 무기화(無機化) |
| 영어 [囹圄] | <행정> ▷ 감옥 |
| 영위하다 [營爲-] | <행정> = 경영하다, 하다, 행하다 |
| 영일 [寧日] | <행정> ▷ 편한 날, 편할 날 |
| 영입 [迎入] | <정치> ▷ 맞아들임 |
| 영장 [令狀] | <행정> ▶ 명령서 |
| 영차 [盈車] | <행정> ▶ 실은 차 |
| 영치 [領置] | <행정> ▷ 잡아 둠 |
| 영치금 [領置金] | <행정> ▷ 맡긴 돈 |
| 영치물 [領置物] | <행정> ▷ 맡긴 물건 |
| 영치품 [領置品] | <행정> ▷ 맡긴 물건 |
| 영치하다 [領置-] | <행정> ▷ 잡아 두다 |
| 영 패션 [young fashion] | <패션> ▷ 젊은이 패션 |
| 영합 [迎合] | <행정> ▷ 받아들임 |
| 영화 [潁花] | <임업> ▶ 이삭 꽃 |
| 영화 [迎火] | <임업> ▶ 맞불 |
| 영화분화기 [潁花分化期] | <임업> ▶ 이삭 꽃 생길 때 |
| 옆맥 [葉脈] | <임업> ▶ 잎줄기 |
| 옆맥편 [葉脈片] | <임업> ▶ 잎줄기 조각 |
| 예건 [豫乾] | <농업> ▷ 예비 건조 |
| 예견하다 [豫見-] | <행정> = 미리 알다 |
| 예고하다 [豫告-] | <행정> = 미리 알리다 |
| 예기 손상 [銳器 損傷] | <법의학> ▷ 예기 상처 ※sharp force injury |
| 예기치 못하다 [豫期-] | <행정> ▷ 예상하지 못하다 |
| 예납하다 [豫納-] | <행정> ▷ 미리 내다, 미리 납부하다 |
| 예년값 [例年-] | <행정> ▷ 평년값 |
| 예도 [刈倒] | <행정> ▶ 베어 넘김, 베기 |
| 예랭 [豫冷] | <농업> ▷ 예비 냉장 |
| 예리하다 [銳利-] | <행정> = 날카롭다 |
| 예망 [曳網] | <행정> ▶ 끌줄, 끌그물 |
| 예매하다 [豫賣-] | <행정> = 미리 팔다 |
| 예보 [豫報] | <행정> = 미리 알림 |
| 예불기 [刈拂機] | <행정> ▶ 풀깎개 |
| 예비 간벌 [豫備間伐] | <행정> ▶ 미리 솎아베기 |
| 예비쇄 [-鎖] | <행정> ▶ 보조 고리 |
| 예삭 [曳索] | <행정> ▶ 끌바 |
| 예새 [木刀] | <고고학> ▷ 나무칼, 예새 ※wooden knife |
| 예선 [曳船] | <행정> ▶ 끌배 |
| 예속 [隸屬] | <행정> ▷ 소속 |
| 예속되다 [隸屬-] | <행정> ▷ 매이다, 딸리다 |
| 예승조 [曳繩釣] | <행정> ▶ 끌낚시 |
| 예시 [例示] | <행정> = 보기, 보이기 |
| 예에 의한다 [例-] | <행정> ▷ 보기에 따른다 |
| 예의검토 [銳意檢討] | <행정> ▷ 세밀히/자세히 검토, 세밀한/자세한 검토 |
| 예의주시 [銳意注視] | <행정> ▷ 잘 살핌 |
| 예인하다 [曳引-] | <행정> ▷ 끌다 |
| 예정 폐질률 [豫定 廢疾率] | <금융> ▶ 예정 1급 장해율 |
| 예찰 [豫察] | <행정> ▶ 미리살피기 |
| 예초 [刈草] | <행정> ▶ 풀베기 |
| 예초기 [刈草機] | <농업> ▶ 풀베개 |
| 예취 [刈取] | <행정> ▶ 베기 |
| 예취기 [刈取機] | <농업> ▶ 베개 |
| 예측 불허 [豫測不許] | <행정> = 짐작 못함 |
| 예치 [豫置] | <정치> ▷ 맡김, 예금 |
| 예치 한도 [豫置限度] | <행정> ▷ 예금 한도 |
| 예치금 [豫置金] | <행정> ▷ 맡은 돈, 맡긴 돈 |
| 예컨대 [例-] | <행정> = 이를테면 |
| 예폭 [刈幅] | <행정> ▶ 벨 너비 |
| 예하 기관 [隸下機關] | <행정> ▷ 딸린 기관, 소속 기관 |
| 옐로카드 [yellow card] | <배구> ▶ 노란 딱지, 황색 카드, <언론> ▷ 경고 쪽지 ¶옐로카드는 남녀 구분, 편의 용품 비치, 배수·급수 상태, 냄새, 온수 공급 등 20여 항목을 평가하여 발급된다. |
| 옛 무덤 [古墳] | <고고학> ▷ 고분 ※tumulus |
| 오 (←오르) [oar] | <행정> ▶ 노 |
| 오가네 [大矩, おおがね] | <건설> ▶ 큰직각자 |
| 오가미아와세 [拜み合せ, おがみあわせ] | <패션> <봉제> ▶ 맞여밈 |
| 오가미히다 [拜み襞, おがみひだ] | <패션> <봉제> ▶ 안주름, 맞주름 |
| 오간지 [オㅡガンジ, organdy] | <패션> ▶ 오건디 |
| 오결부 [誤結付] | <행정> ▶ 잘못 끼움 |
| 오구 [烏口] | <건설> ▶ 먹줄펜 |
| 오구미 [大組, おおぐみ] | <신문> ▶ 판짜기 |
| 오구분 [誤區分] | <행정> ▶ 잘못 나눔 |
| 오기 [誤記] | <행정> = 잘못 적음, 잘못 씀 |
| 오기 정정 [誤記訂正] | <행정> ▷ 바르게 고쳐 씀 |
| 오기하다 [誤記-] | <행정> = 잘못 적다, 잘못 쓰다 |
| 오너 [hono(u)r] | <골프> ▷ 선타권, 선타자 |
| 오너 [owner] | <생활외> <행정> <패션> ▷ 소유주 ¶재벌 그룹의 오너가 재벌 해체를 주장했다. <언론> ▶ 소유주 ¶재벌 그룹의 오너가 재벌 해체를 주장했다. |
| 오너 드라이버 [owner driver] | <언론> <행정> ▶ 손수 운전자 ¶혼자 운전하는 오너 드라이버의 경우 연료 탱크(→연료통)에 연료를 가득 채워서··· <생활외> ▶ 손수 운전자 ¶1980년대 이후 오너드라이버가 늘고 있다. |
| 오너 드라이브 [owner drive] | <행정> ▶ 손수 운전 |
| 오너먼트 스티치 [ornament stitch] | <봉제> ▷ 장식 박기 |
| 오니 [鬼, おに] | <행정> ▶ 술래 |
| 오니 [汚泥] | <행정> ▶ 더러운 흙 |
| 오니 핀 [鬼-, おに pin] | <행정> ▶ 술래핀 |
| 오다마 [大玉, おおだま] | <행정> ▶ 큰 알, 큰 치 |
| 오더 (←오다) [order] | <행정> ▶ 지시, 청구, 주문 |
| 오더메이드 [オㅡダㅡ, order made] | <패션> ▶ 주문, 주문복 |
| 오뎅 [おでん] | <식생활> <행정> ▶ 꼬치 (안주) |
| 오도리 [踊, おどり] | <식생활> ▶ 산새우 |
| 오도리바 [踊り場] | <건설> ▶ 층계참, 계단참 |
| 오도하다 [誤導-] | <행정> ▷ 잘못 이끌다 |
| 오독 [誤讀] | <행정> ▶ 잘못 읽기 |
| 오 드 투알레트 [프.eau de toilette] | <패션> ▷ 화장수 |
| 오 드 파르푕 [프.eau de parfum] | <패션> ▷ 향수 |
| 오디션 [audition] | <생활외> ▷ (실연) 심사/검사 ¶엄격한 오디션을 거쳐 앨범 제작을 결정하게 되었다. <언론> ▶ 심사(審査), 검사(檢査), 실연 검사(實演檢査), 실연 심사(實演審査) ¶미래의 스타를 꿈꾸는 네티즌이 인터넷 오디션으로 몰리고 있다. <연극> ▷ 선발 심사 |
| 오디언스 [audience] | <생활외> ▶ 시청자, 청취자, 청중 |
| 오디언스 리스폰스 [audience response] | <연극> ▶ 관객 반응 |
| 오디오 [audio] | <행정> ▶ 음향 기기 |
| 오디토리엄 [auditorium] | <연극> ▶ 관객석 |
| 오렌지색 [orange色] | <행정> ▶ 주홍색 |
| 오로시돈야 [御問屋, おろしどんや] | <패션> ▶ 도매상 |
| 오류 [誤謬] | <행정> ▷ 잘못 |
| 오류 정정 [誤謬訂正] | <행정> ▷ (틀린 것) 고침 |
| 오류발신증 [誤謬發信證] | <행정> ▷ 사고발신증 |
| 오르간 [organ] | <행정> ▷ 풍금 |
| 오르피슴 [프.orphisme] | <미술> = 오르페우스 입체파 |
| 오리마게뎃킨 [折曲げ鐵筋] | <건설> ▶ 절곡 철근, 굽힘 철근 |
| 오리메 [折り目, おりめ] | <패션> <봉제> ▶ 접음선, 접금 |
| 오리벤토 [折り弁當] | <행정> ▶ 나무 도시락 |
| 오리시로 [折り代, おりしろ] | <패션> <봉제> ▶ 옷단, 접단 |
| 오리에리 [折り襟, おりえり] | <패션> <봉제> ▶ 접깃 |
| 오리엔탈 드레스 [oriental dress] | <패션> ▶ 동양풍 드레스/옷 |
| 오리엔탈 스타일 [oriental style] | <패션> ▶ 동양풍 양식 |
| 오리엔탈리즘 [orientalism] | <패션> ▶ 동양주의 |
| 오리엔테이션 [orientation] | <생활외> <행정> ▶ 예비 교육, 안내 (교육) ¶오리엔테이션을 마치고 임명장을 받았다. |
| 오리엔트 엽 라인 [-葉-] | <임업> ▶ 오리엔트 잎 공정 |
| 오리자쿠 [折り尺] | <미술> <건설> ▶ 접(이)자 |
| 오리지널 [original] | <생활외> ▶ 본, 원본, 독창적 ¶오리지널 음반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패션> ▶ 독창적, 진품(眞品), <행정> ▶ 원본, 독창성 |
| 오리지널 약 [original 藥] | <언론> ▶ 원본약 ¶마크 존슨 다국적 의약 산업 협회 회장은 최근 오리지널약 값이 카피약(→복제약)에 비해 너무 비싸므로 내려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
| 오리카에시 [折返し, おりかえし] | <패션> <봉제> ▶ 단접기 |
| 오리 토기 [鴨形土器] | <고고학> ▷ 오리 모양 토기 ※duck-shaped vessel |
| 오리후세누이 [折り伏せ縫い, おりふせぬい] | <패션> ▶ 쌈솔 |
| 오마루 [大丸, おおまる] | <패션> ▶ 큰 굴림 |
| 오마와시 [大廻, おまわし] | <행정> ▶ 크게 돌리기<당구> |
| 오모 [汚毛] | <축산> ▶ 더러운 털 |
| 오모카지 [面舵, おもかじ] | <행정> ▶ 우회전, 오른돌이 |
| 오모테 [表, おもて] | <패션> <봉제> ▶ 겉(감) |
| 오모테아미 [表編み, おもてあみ] | <패션> ▶ 겉뜨기 |
| 오모테에리 [表襟, おもてえり] | <패션> ▶ 겉깃 |
| 오모테지 [表地, おもてじ] | <패션> <봉제> ▶ 겉감 |
| 오목날 [內灣刃] | <고고학> ▷ 오목날 ※concave edge |
| 오물 [汚物] | <행정> ▷ 더러운 물건, 쓰레기 |
| 오물 투기 [汚物投棄] | <행정> ▶ 쓰레기 버리기 |
| 오물륜 [汚物輪] | <법의학> ▶ 오물 고리 ※filtering or filthy ring |
| 오바 [大羽, おおば] | <식생활> <행정> <농업> ▶ 큰 멸치 |
| 오바리 [大梁, おおばり] | <건설> ▶ 큰보 |
| 오바코 [大箱, おおばこ] | <행정> ▶ 큰 상자 |
| 오방떡 [大判] | <식생활> ▶ 왕풀빵 |
| 오배달 [誤配達] | <행정> ▷ 잘못 배달 |
| 오버 [over] | <언론> ▶ 과장 ¶홍콩 영화 특유의 ‘오버’가 없어 반갑고, 사랑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작품이다. |
| 오버 (←오바) (코트) [オㅡバㅡ·コㅡト, ←overcoat] | <패션> ▶ 외투, 겉옷, 오버코트 |
| 오버 (←오바) [over] | <행정> ▶ 한도넘기, 초과 |
| 오버 네트 [over net] | <배구> ▶ 그물넘기(반칙) |
| 오버 더 네트 [over the net] | <배드민턴> ▶ 그물넘기 반칙 |
| 오버 드리블 [over dribble] | <농구> ▶ 몰기 위반 |
| 오버 라인 [over line] | <사이클> ▶ 줄/선 반칙 |
| 오버래핑 그립 [overlapping grip] | <골프> ▷ 겹쳐 쥐기(법) |
| 오버로크 [オㅡバㅡロック, overlock] | <패션> <봉제> ▶ 휘갑(치기), 푸서 박기/박음 |
| 오버로크 스티치 [overlock stitch] | <미술> = 푸서 박음 |
| 오버롤(즈) [overalls] | <패션> ▶ 가슴 바지 |
| 오버 부킹 [over booking] | <행정> ▷ 초과 예약 |
| 오버슈즈 [overshoes] | <패션> ▷ 덧신발 |
| 오버 슛 [over shoot] | <핸드볼> ▷ 위로 쏘기 |
| 오버 스윙 [over swing] | <골프> ▷ 너무 휘두르기 |
| 오버 스커트 [over skirt] | <패션> ▷ 겉치마 |
| 오버 스텝 (파울) [over step(foul)] | <핸드볼> ▷ 걷기 반칙 |
| 오버 스핀 [over spin] | <골프> ▶ 순회전 |
| 오버 암 슛 [over arm shoot] | <핸드볼> ▶ 어깨 위로 쏘기 |
| 오버 앤드 언더 배럴 [over and under barrel] | <사격> ▶ 쌍대 |
| 오버 웨이스트 [over waist] | <배드민턴> ▶ 허리 위 반칙 |
| 오버 웨이트 [over weight] | <언론> ▶ 과다 보유 ¶외국인의 보유 주식 가운데 ○○ 전자가 오버 웨이트됐지만 최근 상당히 해소됐다. |
| 오버 클러빙 [over clubbing] | <골프> ▶ 긴 채 잡기 |
| 오버타임 [overtime] | <농구> ▶ 공격 시간 초과, <핸드볼> ▶ 시간 초과 |
| 오버 파 [over par] | <골프> ▷ 기준타 이상, 이상타 |
| 오버 페인팅 [over painting] | <연극> ▶ 덧칠 |
| 오버 펜스 [over fence] | <야구> ▷ 담(장) 넘김 |
| 오버핸드 [overhand] | <배드민턴> ▶ 손목 위 반칙 |
| 오버 핸드 서브 [over hand serve] | <배구> ▷ 정면 메김 |
| 오버 핸드 패스 [over hand pass] | <배구> ▷ (머리 위에서) 공보내기 |
| 오버행 [overhang] | <언론> ▶ 물량 부담 ¶이 사장은 ○○텔레콤과의 지분 맞교환 문제에 대해 “오버행 문제 해소와 현금이 묶여 있다는 점에서 상호 지분 맞교환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라며…. |
| 오버헤드 스트로크 [overhead stroke] | <배드민턴> ▶ 머리 위(에서) 치기 |
| 오버헤드킥 [overhead kick] | <언론> ▶ 뒤넘겨차기 ¶기계 체조 선수들이 흉내낼 법한 유연한 발리슛(→공중차기), 시저스킥(→가위차기), 오버헤드킥을 마음대로 구사하며,··· |
| 오버헤드패스 [overhead pass] | <농구> ▶ 머리 위에서 주기 |
| 오버홀 [overhaul] | <행정> ▶ 재생 수리 |
| 오벌 [誤伐] | <행정> ▶ 잘못 베기 |
| 오보 [誤報] | <행정> = 틀린 보도 |
| 오본 (←오봉) [御盆] | <식생활> ▶ 쟁반 |
| 오브제 [프.objet] | <미술> = 객체, <패션> ▷ 물체, 대상, <행정> ▶ 물체, 객체 |
| 오블리거터리 신 [obligatory scene] | <연극> ▶ 필수 장면 |
| 오비 [帶, おび] | <패션> <봉제> ▶ 허리단, (허리)띠 |
| 오비 [OB] | <골프> ▶ 경기 금지 구역 |
| 오비 벨트 [帶 belt, おび belt] | <패션> ▶ 허리 (가로)띠 |
| 오비노코 [帶鋸, おびのこ] | <미술> ▶ 띠톱 |
| 오비우라 [帶裏, おびぬら] | <봉제> ▶ 허리안(감) |
| 오비키 [大引き] | <건설> ▶ 멍에 |
| 오비킨 [帶筋, おびきん] | <건설> ▶ 띠철근, 대근, 후프(hoop) |
| 오사마리 [納まり] | <건설> ▶ 아무림, 맞물림 |
| 오사마리 [收まり] | <미술> ▶ 끝맺음, 마감, 마무리 |
| 오사마리 [後] | <행정> ▶ 끝맺음, 결말 |
| 오사에 [押え, おさえ] | <패션> <봉제> ▶ 노루발, <건설> ▶ 누름 |
| 오사에 공구리 [押え コンクリㅡト, -concrete] | <건설> ▶ 누름 콘크리트 |
| 오사에보 [押え棒] | <봉제> ▶ 노루발대 |
| 오삽 [大-] | <행정> ▶ 큰 삽 |
| 오서독스 (←오소독스) [orthodox] | <패션> ▶ 전통적, 정통적 |
| 오서라이즈드 엄파이어 [authorized umpire] | <사이클> ▶ (공인) 심판원 |
| 오소라 | <행정> ▶ 대창(大蒼) 벼 |
| 오손 [汚損] | <행정> ▶ 더럽힘, 망가짐 |
| 오손립 [汚損粒] | <행정> ▶ 더러워진 알 |
| 오송 [誤送] | <행정> ▶ 잘못 보냄 |
| 오쇄 [誤刷] | <정치> ▷ 잘못 인쇄 |
| 오수 [午睡] | <행정> ▷ 낮잠 |
| 오수 [汚水] | <행정> ▶ 구정물, 더러운 물 |
| 오스트레일리안 포메이션 [australian formation] | <테니스> ▷ 호주식 대형 |
| 오승 [誤乘] | <행정> ▶ 잘못 타기 |
| 오시 [押, おし] | <행정> ▶ 밀어치기<당구> |
| 오시다시쓰미 [押し出し積み] | <건설> ▶ 내 쌓기 |
| 오시이레 [押し入れ] | <건설> ▶ 반침(半寢) |
| 오시코미 [押し込み] | <미술> ▶ 누르기 |
| 오시키 [定置網] | <행정> ▶ 붙박이 그물 |
| 오시핀 [押 pin, おし-] | <행정> ▶ 압정, 누름핀, 납작못 |
| 오신하다 [誤信-] | <행정> ▶ 잘못 믿다 |
| 오실레이션 [oscillation] | <전기> ▷ 진동(振動) |
| 오액 [汚液] | <행정> ▶ 더러운 액체 |
| 오야 [親] | <미술> <행정> ▶ ①우두머리, 두목 ②계주 |
| 오야 미터 [おやmeter] | <행정> ▶ 주계(량)기 |
| 오야 밸브 [おや valve] | <행정> ▶ 어미 마개, 중심 밸브 |
| 오야가타 [親方, おやかた] | <건설> ▶ 우두머리 |
| 오야붕 [親分, おやぶん] | <행정> ▶ 우두머리, 책임자, 두목 |
| 오야 조차 | <행정> ▶ 본부 구내원 <철도> |
| 오야지 [親爺, おやじ] | <미술> <건설> <행정> ▶ 우두머리, 책임자, 공두(工頭) |
| 오야코돔 (←오야코돈부리) [親子丼] | <식생활> ▶ 닭고기 덮밥 |
| 오어 [or] | <언론> ▶ 또는 |
| 오에스 [OS] | <행정> ▶ 운영 체계 |
| 오에스티 [O.S.T. (original sound track)] | <언론> ▶ 삽입 음반, 삽입 음악 ¶○○○ TV 수목 드라마 ‘신화’ O.S.T.가 발매됐다. |
| 오에이 [←office automation] | <행정> ▶ 사무 자동화 |
| 오에이 기기 [O.A. 機器] | <행정> ▶ 사무 자동화 기기 |
| 오염견 [汚染繭] | <잠업> ▷ 물든 고치 |
| 오염시키다 [汚染-] | <행정> = 더럽히다 |
| 오구미 [大組, おおぐみ] | <행정> ▶ 판짜기 |
| 오다마 [大玉, おおだま] | <행정> ▶ 큰알, 큰치 |
| 오마와시 [大廻し] | <행정> ▶ 크게 돌리기 |
| 오바코 [大箱子, おおばこ] | <행정> ▶ 큰 상자 |
| 오수리 | <행정> ▶ 큰 수리, 대수리 |
| 오시키 [定置網] | <농업> ▶ 붙박이 그물 |
| 오욕한 [汚辱-] | <행정> ▷ 더럽히고 욕되게 한 |
| 오이루 [←oil] | <행정> ▶ 기름, 오일 |
| 오이루 캉 [←oil can] | <행정> ▶ 기름통 |
| 오이리 [大入, おおいり] | <행정> ▶ 만원 사례 |
| 오이코미 [追込み] | <신문> ▶ 줄잇기 |
| 오이코시 [追い越し, おいこし] | <건설> <행정> ▶ 앞지르기 |
| 오인하다 [誤認-] | <행정> ▷ 잘못 알다 |
| 오일 [oil] | <행정> ▶ 기름 |
| 오일 쇼크 [oil shock] | <경제> <언론> ▶ 석유 파동, 유가 파동 ¶끝없는 고(高)유가 ‘3차 오일 쇼크’ 오나. |
| 오자 [誤字] | <행정> = 틀린 (글)자 |
| 오자미 | <행정> ▶ 놀이주머니 |
| 오지 [奧地] | <행정> ▷ 두메 (산골) |
| 오차 [お茶, おちゃ] | <식생활> <행정> ▶ 차 |
| 오착 우편물 [誤着郵便物] | <행정> ▶ 잘못 온 우편물 |
| 오찬 [午餐] | <행정> ▷ 점심 (모임) |
| 오촬 [誤撮] | <행정> ▶ 잘못 찍음 |
| 오치후다 [落札, おちふだ] | <행정> ▶ 물주표 |
| 오카네 (←오까네) [お金, おかね] | <경제> ▶ 돈 |
| 오카타테 [おかたて] | <행정> ▶ 배담이 |
| 오케 [桶, おけ] | <미술> ▶ (나무)통 |
| 오케도리 [權現網] | <행정> ▶ 위훑이 그물 |
| 오코시 (←오꼬시) [おこし, 粔·興] | <식생활> ▶ 밥풀과자 |
| 오쿠 [奧, おく] | <미술> ▶ 안길이 |
| 오쿠리 [送り, おくり] | <패션> <봉제> ▶ (재봉틀) 톱니(판), <신문> ▶ 줄잇기, <행정> ▶ 넘김, 옮김 |
| 오쿠마쓰리 [奧纏, おくまつり] | <패션> <봉제> ▶ 속감침 |
| 오키아이 [沖合い] | <행정> ▶ 장삿배 |
| 오키지쓰케 [置き仕付け] | <봉제> ▶ 놓음 시침질 |
| 오탁 [汚濁] | <행정> ▷ 더러움 |
| 오테 (←오데) [大手, おおて] | <경제> ▶ 큰 장수, <행정> ▶ 큰 거래인, 큰 장수 |
| 오토 레이스 [auto race] | <언론> ▶ 자동차 경주 ¶경마, 경륜, 오토 레이스 등 경주 가운데 지난해 매출액 1조 5, 000억 엔(장외 발매 포함)으로 경마에 이어 매출 2위를 기록했고, ··· |
| 오토 캠핑 [auto camping] | <언론> ▶ 자동차 야영 ¶올 여름에 오토 캠핑을 떠나 보는 것은 어떨까? |
| 오토마티슴 [프.automatisme] | <미술> ▷ 자동 기법 |
| 오토메이션 [automation] | <행정> ▶ 자동(화) |
| 오토시 [おとし] | <행정> ▶ 저속 촬영, 느린 찍기 |
| 오토시미싱 [落しミシン] | <봉제> ▶ 숨겨박기 |
| 오토시아나 [落し穴] | <봉제> ▶ 깃구멍, 깃눈 |
| 오토아와세 [おとあわせ] | <행정> ▶ 소리 맞춤 |
| 오토클레이브 [autoclave] | <행정> ▶ 멸균기 |
| 오토피더 [autofeeder] | <행정> ▶ 자동 투입기 |
| 오트 쿠튀르 [프.haute couture] | <패션> ▷ 고급 의상점 |
| 오티시 시장 [OTC-, over-the-counter market] | <금융> ▶ 장외 시장 |
| 오파 [offer] | <경제> ▷ 제공, 공급, 오퍼 |
| 오판 [誤判] | <행정> = 잘못 판단 |
| 오퍼레이터 [operator] | <행정> ▶ 조작원 |
| 오퍼상 [offer商] | <행정> ▷ 판매 알선업자, 판매 확약업자 |
| 오퍼짓 프롬프트 [opposite prompt] | <연극> ▶ (무대) 오른쪽 |
| 오페라 [opera] | <행정> = 가극(歌劇) |
| 오페라 백 [opera bag] | <패션> ▷ 오페라 (손)가방 |
| 오페라 해트 [opera hat] | <패션> ▶ 오페라 모자 |
| 오프 더 레코드 [off the record] | <언론> ▶ 비보도 (기자 회견) ¶다음날 프리드먼 씨는 오프 더 레코드를 전제로 이뤄진 이날 대화를 17일 게재될 자신의 칼럼에 그대로 전재할 수 있는지를 타진했다. |
| 오프 듀티 (웨어) [off duty wear] | <패션> ▶ 자유복 |
| 오프너 [opener] | <식생활> ▶ (병)따개 |
| 오프닝 [opening] | <언론> ▶ 개막 (공연) ¶지난번 ‘2000 브릿 어워드’ 무대에서는 메이와 테일러가 파이브와 함께 오프닝을 맡았고,··· |
| 오프셋 [offset] | <볼링> ▶ 불량 (핀) 세우기, <전기> ▷ 편차(偏差) |
| 오프시즌 [offseason] | <언론> ▶ 비(경기)철 ¶각 구단은 오프시즌 동안 선수들과 함께 동면에 들어가지 말고 다음 시즌을 대비한 재충전과 투자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
| 오픈 [open] | <행정> ▶ 열기, 테(두리 글자) |
| 오픈 사이트 [open sight] | <사격> ▶ 열린 가늠자 |
| 오픈 셔츠 [open shirt] | <패션> ▷ 앞 튼 셔츠 |
| 오픈 스탠스 [open stance] | <골프> <테니스> ▷ 열린 (발) 자세 |
| 오픈 스파이크 [open spike] | <배구> ▶ 고공 공격 |
| 오픈 스페이스 [open space] | <생활외> ▶ 빈 자리 |
| 오픈 심 [open seam] | <봉제> <패션> ▷ 가름솔 |
| 오픈 칼라 [open collar] | <패션> ▶ 앞 튼 칼라 |
| 오픈 코스 [open course] | <스케이트> ▶ 자유 주로, 열린 주로 |
| 오픈 페이스 [open face] | <골프> ▶ 열린 타면 |
| 오픈 프레임 [open frame] | <볼링> ▶ 실패회 |
| 오픈 마커 [open marker] | <봉제> = 온본 그리기 |
| 오픈 베타 [open beta] | <언론> ▶ 공개 시험 ¶25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 진출해 오픈베타 서비스를 진행 중인 A게임의 경우··· |
| 오픈하다 [open-] | <생활외> ▶ 개업하다 ¶맨 마지막에 오픈하여 고전을 면치 못했다. <언론> ▶ 열다, 개장하다, 개업하다, 개관하다, 개막하다 ¶○○ 리조트는 다른 스키장들보다 하루 앞선 3일 오후 6시부터 ‘알파 2’를 비롯한 4면의 슬로프를 오픈한다. |
| 오피니언 리더 층 [opinion leader 層] | <언론> ▶ 여론 주도층 ¶컬러 TV 세대가 주요 오피니언 리더 층으로 성장하면서 ··· |
| 오피서 칼라 [officer collar] | <패션> ▷ 사관 칼라 |
| 오피셜 볼 [official ball] | <골프> ▶ 공인구 |
| 오피셜 핸디캡 [official handicap] | <골프> ▷ 공식 기준타 차 |
| 오피스 레이디 [office lady] | <생활외> ▶ 직장 여성 ¶오피스 레이디 한 명이 눈길을 끌고 있다. |
| 오피스 빌딩 [office building] | <생활외> ▷ 사무용 건물 ¶이 거리에는 오피스 빌딩이 즐비하다. |
| 오피스텔 [office hotel] | <생활외> ▷ (주거) 겸용 사무실 ¶오피스텔 주위의 환경이 좋다. |
| 오한 [惡寒] | <행정> = 춥고 떨림 |
| 오합사 [五合絲] | <행정> ▶ 다섯겹실 |
| 옥개석 [屋蓋石] | <건축사> ▷ 지붕돌, 옥개석 ※roof stone |
| 옥견 [玉繭] | <잠업> ▶ 쌍고치 |
| 옥고 [獄苦] | <행정> = 옥살이 |
| 옥도정기 [沃度丁幾, ←독.Jodtinktur] | <행정> ▷ 요오드팅크 |
| 옥사 [獄死] | <행정> = 재소 중 사망 |
| 옥사 [玉絲] | <행정> ▶ 쌍고치실 |
| 옥상 [屋上] | <행정> = 지붕 위 |
| 옥쇄 [玉碎] | <행정> ▷ 모두 죽음 |
| 옥스퍼드 슈즈 [oxford shoes] | <패션> ▶ 옥스퍼드화 |
| 옥신석 [屋身石] | <건축사> ▷ 몸돌, 옥신석 ※main stone |
| 옥외 [屋外] | <행정> ▷ 바깥 |
| 옥외육 [屋外育] | <잠업> ▶ 한데치기 |
| 옥척 [屋脊] | <행정> ▶ 용마루 |
| 옥촉서 [屋蜀黍] | <농업> ▶ 옥수수 |
| 옥총 [玉蔥] | <농업> ▶ 양파 |
| 옥총승 [玉蔥蠅] | <농업> ▶ 고자리 파리 |
| 옥토 [沃土] | <농업> ▷ 기름진 땅 |
| 옥편 [玉篇] | <행정> = 한자 사전 |
| 온 더 노즈 [on the nose] | <볼링> ▶ 코치기 |
| 온 듀티 [on duty] | <패션> ▶ 근무(복) |
| 온듈바디 [ondule-] | <미술> ▷ 부채 바디 |
| 온디맨드 [on-demand] | <언론> ▶ 주문형 ¶이 교수는 “이 같은 국내 언론 환경에서 ○○○○ 미디어 연구소의 설립은 수용자 맞춤형 서비스, 즉 온디맨드 저널리즘 구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온라인 [on-line] | <생활외> = (공동) 전산망 ¶봉급은 온라인으로 들어오지요. |
| 온량 지수 [溫量指數] | <임업> ▷ 온난 지수 |
| 온리 숍 [only shop] | <패션> ▶ 대리점 |
| 온사이드 [onside] | <축구> ▶ 공격(가능) 지역 |
| 온수 [溫水] | <행정> ▷ 더운 물, 뜨거운 물 |
| 온수관개 [溫水灌漑] | <농업> ▷ 더운 물대 |
| 온욕법 [溫浴法] | <행정> ▷ 더운 물 담그기 |
| 올 라이트 [all right] | <행정> ▷ 출발 |
| 올 스퀘어 [all square] | <골프> ▶ 동점 |
| 올 코트 프레싱 [all court pressing] | <핸드볼> ▶ 전면 강압 수비 |
| 올 코트 플레이어 [all court player] | <테니스> ▷ 만능 선수 |
| 올누드 [all nude] | <언론> ▶ 알몸, 전라(全裸) ¶특히 고급 욕탕에서 목욕 중 테러 요원들에게 쫓기던 성룡이 이스탄불의 향료 시장을 지나가며 올누드로 그들과 싸우는 장면은 압권이다. |
| 올드 코미디 [old comedy] | <연극> ▶ 그리스 고희극 |
| 올드 패션 [old fashion] | <패션> ▷ 구식 |
| 올드미스 [old miss] | <행정> ▷ 노처녀 |
| 올라운드 플레이어 [all round player] | <언론> ▶ 만능 선수, 만능인 ¶4일 타계한 ○○○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국내 문화재계의 마지막 ‘올라운드 플레이어’였다. |
| 올베심리 | <민속> ▷ 올벼신미 |
| 올스톱 [all stop] | <언론> ▶ 전면 중단 ¶백혈병 환자들 골수 이식 올스톱. |
| 올오버 페인팅 [all over painting] | <미술> ▷ 균질 그림 |
| 올인원 [all-in-one] | <언론> ▶ 일체형 ¶올인원 다기능 머그컵. |
| 옴니버스 [omnibus] | <생활외> ▶ 엮음, 복합- ¶옴니버스형 영화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언론> ▷ 모음(집) ¶이번에는 신세대 탤런트 ○○○을 표지 모델로 기용한 클래식 옴니버스 앨범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
| 옵 아트 [op art] | <패션> ▷ 광학 미술 |
| 옵서버 [observer] | <생활외> <언론> <행정> ▷ 참관인 ¶환경을 걱정하는 국제 회의에 옵서버로 참관했다. ¶미국이 소수 병력의 옵서버 를 파견한다면 이는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
| 옵션 [option] | <언론> <경제> ▷ 선택 (품목), 선택권 ¶옵션 여부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 싼 것만 찾다 보면 낭패하기 쉽다. |
| 옵아트 [optical art] | <미술> ▷ 광학 |
| 옵티컬 [optical] | <생활외> ▶ 광학 녹음 |
| 옵티컬 일루전 [optical illusion] | <패션> ▶ 착시 |
| 옹벽 [擁壁] | <임업> ▷ 축대 벽 |
| 옹벽공 [擁壁工] | <임업> ▶ 축대 벽 쌓기 |
| 옹삼 [翁蔘] | <행정> ▶ 쪼그랑 삼 |
| 옹호 [擁護] | <행정> = 감쌈 |
| 와가 [瓦家] | <행정> ▶ 기와집 |
| 와당 [瓦當] | <건축사> ▷ 막새 ※roof-end tile, <고고학> ▷ 막새(기와) ※end tile |
| 와레즈 사이트 [warez site] | <언론> ▶ 불법 소프트웨어 사이트 ¶국내 최대 규모의 와레즈 사이트인 ‘날개 달기’와 …. |
| 와리 [割り] | <미술> ▶ 금, 틈새, <행정> ▶ 구문, 분배, 노늠 |
| 와리누이 [割縫い, わりぬい] | <패션> <봉제> ▶ 가름솔 |
| 와리미싱 [割ミシン, わりミシン] | <패션> <봉제> ▶ 쌍줄솔 |
| 와리바시 [割箸, わりばし] | <미술> <식생활> ▶ 나무젓가락 |
| 와리쓰케 (←와리쓰께) [割付, わりつけ] | <신문> ▶ 판매김, 레이아웃 |
| 와리이시 [割り石] | <행정> <건설> ▶ 깬돌 |
| 와리칸 (←와리깡) [割勘, わりかん] | <행정> ▶ 나눠내기, 추렴, 각자 부담 |
| 와사 [瓦斯] | <행정> ▶ 가스 |
| 와사비 [山葵, わさび] | <식생활> <행정> ▶ 고추냉이 |
| 와요 [瓦窯] | <건축사> ▷ 기왓가마 ※tile-kiln |
| 와우 [蝸牛] | <행정> ▶ 달팽이 |
| 와이로 [賄賂, わいろ] | <행정> ▶ 뇌물 |
| 와이어 [wire] | <행정> ▶ 철사, 쇠줄 |
| 와이어 랩 [wire wrap] | <전기> ▷ 권선 싸개(捲線-) |
| 와이어 로프 [wire rope] | <행정> ▶ 쇠밧줄 |
| 와이어 본딩 [wire bonding] | <전기> ▷ 세선(細線), 용접(鎔接) |
| 와이어 브러시 [wire brush] | <미술> ▶ 쇠솔 |
| 와이프 [wife] | <생활외> ▶ 처, 아내, 부인, 집사람, 안사람 ¶우리 와이프가 왔어. |
| 와인 [wine] | <언론> <식생활> ▶ 포도주 ¶김정일 국방 위원장이 김대중 대통령을 비롯한 남측 인사들에게 ‘원샷’을 제의한 술은 와인이었다. |
| 와인드 업 포지션 [wind up position] | <야구> ▶ 던지기 자세, 투구 준비 자세 |
| 와일드 카드 [wild card] | <언론> ▶ 예외 규정 ¶그러나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3명의 와일드 카드 제도를 시행하며 이미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의 승인을 받았다. |
| 와일드하다 [wild-] | <생활외> ▶ 거칠다, 거친 ¶와일드하면서 근육질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
| 와전 [瓦甎] | <건축사> ▷ 기와와 전벽돌, 와전 ※roof tile and brick |
| 와전류 [渦電流] | <전기> ▶ 맴돌이 전류 |
| 와전하다/되다 [訛傳-] | <행정> ▷ 잘못 전해지다 |
| 와중 [渦中] | <행정> = 소용돌이 속 |
| 와즙 [瓦葺] | <행정> ▶ 기와 지붕 |
| 와카마쓰 [若松, わかまつ] | <미술> ▶ 어린 솔 |
| 와쿠 [枠, わく] | <행정> ▶ 틀, <건설> ▶ 틀, 울거미, <미술> ▶ 틀, 밑틀 |
| 와쿠바리 [枠張り] | <미술> ▶ 천 씌우기 |
| 와키 [脇, わき] | <패션> <봉제> ▶ 옆솔(기) |
| 와키 사이바 [脇 さいば, わきさいば] | <패션> ▶ 옆길 |
| 와키 지퍼 [脇 zipper] | <패션> ▶ 옆솔기지퍼 |
| 와키누이 [脇縫い, わきぬい] | <패션> <봉제> ▶ 옆솔(기) 박기, 옆솔(기)박음 |
| 와키센 [脇線, わきせん] | <패션> ▶ 옆솔기선 |
| 와키아키 [脇明き] | <봉제> ▶ 옆(구리)트기, 옆(구리)트임 |
| 와키야쿠 [脇役, わきやく] | <연극> ▶ 조연 |
| 와키 주머니 [脇 -] | <패션> ▶ 옆솔기 주머니 |
| 와키 트임 [脇 -] | <패션> ▶ 옆솔기 트임 |
| 와타리 [渡り, わたり] | <패션> ▶ 앞뒤 중심선, <봉제> ▶ (허리) 도림 |
| 와타시마쓰리 [渡しまつり] | <봉제> ▶ 사다리 감침 |
| 와토 가운 [프.watteau gown] | <패션> ▶ 바토 가운 |
| 와트만지 [whatman紙] | <미술> = 삼종이 |
| 와트미터 [wattmeter] | <전기> ▷ 전력계(電力計) |
| 와플 클로스 [waffle cloth] | <패션> ▷ 벌집 직물, 봉소(蜂巢) 직물 |
| 와해 [瓦解] | <행정> = 무너짐 |
| 와허 [臥許] | <축산> ▶ 누워 쉬게 함 |
| 왁스 모델 [wax model] | <미술> ▷ 밀랍본 |
| 왁스 인젝터 [wax injector] | <미술> ▶ 밀랍 주입기 |
| 왁스 패턴 [wax pattern] | <미술> ▷ 밀랍본 |
| 왁싱 [waxing] | <스키> ▶ 왁스 입히기 |
| 완검 [完檢] | <행정> ▶ 모두 잡음 |
| 완결하다 [完結-] | <행정> = 끝내다 |
| 완관절 [腕關節] | <행정> ▶ 손목 관절 |
| 완교사 [腕絞死] | <법의학> ▶ 팔 졸림사 ※mugging or strangle-hold strangulation |
| 완구 [玩具] | <행정> = 장난감 |
| 완구점 [玩具店] | <행정> = 장난감 가게 |
| 완금 [腕金] | <행정> ▶ 어깨쇠 <전기>, 완철 <철도> |
| 완납하다 [完納-] | <행정> = 다 내다 |
| 완두상충 [豌豆象蟲] | <농업> ▶ 완두 바구미 |
| 완롱품 [玩弄品] | <행정> ▶ 장난감 |
| 완료 [完了] | <행정> = 끝냄, 마침 |
| 완만하다 [緩慢-] | <행정> = 느리다 |
| 완벽 [完璧] | <행정> = 흠 없음 |
| 완수하다 [完遂-] | <행정> = 이루다, 다하다 |
| 완숙 [完熟] | <행정> ▷ 다 익음, 무르익음 |
| 완숙과 [完熟果] | <임업> ▶ 익은 열매 |
| 완숙퇴비 [完熟堆肥] | <농업> ▶ 다 썩은 두엄 |
| 완연하다 [宛然-] | <행정> = 뚜렷하다, 또렷하다 |
| 완자(고리) [卍字] | <미술> ▷ 고리, 걸개 |
| 완장 [腕章] | <정치> ▷ 팔띠 |
| 완전 의사 [完全 縊死] | <법의학> ▶ 완전 목 맴 ※complete hanging |
| 완전벌채 [完全伐採] | <임업> ▶ 모두베기 |
| 완제하다 [完濟-] | <행정> ▶ 모두 (다) 갚다 |
| 완초 [莞草] | <행정> ▶ 왕골 |
| 완충물 [緩衝物] | <행정> ▶ 충격막이 |
| 완화성 [緩和性] | <행정> = 누그림성 |
| 완화시키다 [緩和-] | <행정> = 누그러뜨리다, 풀다 |
| 완효성 [緩效性] | <축산> ▶ 늦들음성 |
| 왓펜 [ワッペン, 독.Wappen] | <패션> ▶ 바펀 |
| 왔다리갔다리 | <행정> ▶ 왔다갔다 |
| 왕년 [往年] | <행정> = 지난 날, 한 때 |
| 왕래 [往來] | <행정> = 오감 |
| (왕래가) 빈번한 [頻繁-] | <행정> = (왕래가) 잦은 |
| 왕림하여 [枉臨-] | <행정> ▷ 오셔(서) |
| 왕봉 [王蜂] | <잠업> ▶ 여왕벌 |
| 왕신하는 [往信-] | <행정> ▶ 편지 보내는 |
| 왕왕 [往往] | <행정> = 가끔, 이따금 |
| 왕창 | <행정> ▶ 전부, 모두 |
| 왕태후궁 [王太后宮] | <건축사> ▷ 대비궁, 왕태후궁 ※queen dowager's household |
| 왕편 [往便] | <행정> ▶ 가는 편 |
| 왜 [歪] | <행정> ▶ 일그러짐 |
| 왜곡 선전 [歪曲宣傳] | <행정> ▷ 그릇 선전, 잘못 선전 |
| 왜그 더 독 [wag the dog] | <언론> ▶ 본말 전도 ¶최근과 같은 약세장에서는 현물 시장이 선물 시장에 따라 움직이는 ‘왝(→왜그)더독’ 현상도 자주 나타난다. |
| 왜글 [waggle] | <골프> ▷ 도움치기 |
| 왜림 [矮林] | <임업> = 작은 키 나무숲 |
| 외견상 [外見上] | <행정> ▷ 겉보기에 |
| 외경 [畏敬] | <행정> ▶ 깊은 존경 |
| 외관 [外觀] | <행정> ▷ 겉모습 |
| 외권엽 [外卷葉] | <임업> ▶ 겉마른 잎 |
| 외궤 [外櫃] | <농업> ▶ 묘상틀, 겉틀 |
| 외기 [外氣] | <행정> ▶ 바깥 공기 |
| 외널식 [單槨式] | <고고학> ▷ 홑덧널식 ※single coffin type |
| 외독 무덤 [單甕式甕棺] | <고고학> ▷ 홑독 무덤 ※single jar coffin |
| 외람되다 [猥濫-] | <정치> = 분에 넘치다 |
| 외래인 [外來人] | <행정> = 방문객 |
| 외래종 [外來種] | <임업> = 도입종 |
| 외면 [外面] | <행정> = 바깥쪽, 못본 체 |
| 외모 [外貌] | <행정> = 겉모습 |
| 외문 [外門] | <행정> ▶ 바깥문 |
| 외반경 [外返耕] | <농업> ▶ 바깥 돌아갈이 |
| 외봉투 [外封套] | <정치> ▶ 겉봉투 |
| 외부 [外部] | <행정> = 바깥쪽 |
| 외사면 [外斜面] | <임업> ▶ 바깥비탈 |
| 외소단 [外小段] | <임업> ▶ 바깥둑턱 |
| 외식 [外飾] | <행정> ▶ 겉치레 |
| 외안 [外顔] | <행정> ▶ 얼굴 |
| 외양 [外樣] | <행정> ▷ 겉모양, 겉보기 |
| 외역 [外役] | <행정> ▶ 외부 작업 |
| 외연 [外延] | <행정> ▷ 바깥 테두리 |
| 외오염견 [外汚染繭] | <행정> ▶ 겉 물든 고치 |
| 외인사 [外因死] | <법의학> ▷ 외인 사망, 외인사 ※unnatural death |
| 외자 도입 [外資導入] | <행정> ▷ 외국 자본 끌어오기 |
| 외적으로 [外的-] | <행정> = 밖으로 |
| 외주 정비 [外注整備] | <행정> ▶ (외부)업자 정비 |
| 외주연 [外周緣] | <행정> ▶ 바깥 둘레 |
| 외채 [外債] | <행정> = 외국 빚 |
| 외출 [外出] | <행정> = 나들이 |
| 외칸 무덤 [單室墳] | <고고학> ▷ 홑방 무덤 ※tomb with single room |
| 외포된 [畏怖-] | <행정> ▶ 두려운 |
| 외포심 [畏怖心] | <행정> ▶ 두려운 마음 |
| 외포하게 하다 [畏怖-] | <행정> ▶ 겁을 주다 |
| 외피 [外皮] | <행정> ▷ 겉껍질 |
| 외피복 [外皮覆] | <농업> ▶ 겉덮기, 겉덮개 |
| 외환 보유고 | <경제> ▶ 외환 보유액 |
| 요 [尿] | <행정> ▶ 오줌 |
| 요계표 [要計表] | <행정> ▶ 집계표 |
| 요고레 [汚れ] | <행정> ▶ 때(묻음) |
| 요구 | <행정> = 갈고리 |
| 요구 [凹溝] | <행정> ▶ 홈 |
| 요금 [料金] | <행정> ▷ 값 |
| 요금 전납 [料金全納] | <행정> ▷ 요금 다 냄, 요금 완납 |
| 요는 [要-] | <행정> ▷ 요점은, 중요한 것은 |
| 요다시 [用足し] | <경제> ▶ 용달 |
| 요대 [腰帶] | <행정> ▶ 허리띠 |
| 요대체 [要代替] | <행정> ▶ 대체 바람 |
| 요동 [搖動] | <행정> ▷ 흔들림 |
| 요람 [要覽] | <행정> = 간추린 글 |
| 요로에 [要路-] | <행정> ▷ 기관에 |
| 요마비 [腰痲痺] | <행정> ▶ 허리 마비 |
| 요망 [要望] | <행정> ▷ 바람 |
| 요모리 [余盛り] | <건설> ▶ 덤돋우기, 더돋기 |
| 요목 [要目] | <정치> ▷ 주요/중요 항목 |
| 요비링 [呼び鈴-ring] | <전기> <건설> ▶ 초인종(招人鐘) |
| 요비셍 [よびせん] | <전기> ▶ 예비선(豫備線) |
| 요사 [寮舍] | <행정> ▶ 생활관 |
| 요설 [凹設] | <행정> ▶ 오목하게 만들기 |
| 요세가타 [寄型, よせかた] | <미술> ▶ 쪽틀 |
| 요세타마 [寄球, よせたま] | <행정> ▶ 모으기<당구> |
| 요식 [要式] | <행정> ▷ 격식 |
| 요실금 [尿失禁] | <행정> ▶ 오줌 흘리기 |
| 요쓰와리 [四割り] | <미술> ▶ (네가닥) 물림쇠 |
| 요역지 [要役地] | <행정> ▶ 편익 받는 땅 |
| 요오구 [よおく] | <행정> ▶ 갈고리 |
| 요칸 [洋羹, ようかん] | <행정> ▶ 단묵 |
| 요원 [遼遠] | <정치> ▷ 멂, 까마득(함) |
| 요의빈삭 [尿意頻數] | <행정> ▶ 오줌 자주 마려움 |
| 요장 [寮長] | <행정> ▶ 생활관(관)장 |
| 요절병 [腰折病] | <축산> ▶ 잘록병 |
| 요주의 [要注意] | <행정> ▷ 주의하(십)시오 |
| 요지 [楊枝] | <식생활> <행정> ▶ 이쑤시개 |
| 요지 [窯址] | <미술> ▷ 가마터 |
| 요지 [要旨] | <금융> ▷ 주요 내용 |
| 요지부동 [搖之不動] | <정치> ▷ 꿋꿋한, 흔들리지/움직이지 않는 |
| 요지준 [要支準] | <경제> ▶ 필요 지급 준비금 |
| 요척 [要尺] | <패션> ▶ (옷감) 소요량 |
| 요철 [凹凸] | <행정> ▷ 오목볼록 |
| 요체 [要諦] | <정치> ▷ 핵심 |
| 요추 [腰椎] | <금융> ▷ 허리등뼈, 요추 |
| 요코 (←요꼬) [橫, よこ] | <패션> ▶ 가로, 씨실, <건설> ▶ 가로, 옆, <미술> ▶ 가로(붙이기/붙임)<한국화>, 가로<목공예>, <봉제> ▶ 가로 |
| 요코구미 [橫組, よこぐみ] | <신문> ▶ 가로짜기 |
| 요코도리 [よこどり] | <행정> ▶ 가로채기, 새치기 |
| 요코마키 [橫卷, よこまき] | <행정> ▶ 가로말이 |
| 요코메 [橫目, よこめ] | <행정> ▶ 가로결 |
| 요코비키 [橫引, よこびき] | <행정> ▶ 옆끌기 |
| 요코시마 [橫縞, よこしま] | <패션> ▶ 가로 줄무늬 |
| 요코에리 [橫襟, よこえり] | <패션> ▶ 가로깃 |
| 요코헨케이 [橫変形, よこへんけい] | <신문> ▶ 가로변체 |
| 요쿄쿠 [ようきょく] | <전기> ▶ 양극(陽極) |
| 요크 [ヨㅡク, yoke] | <패션> ▶ 바대, <봉제> = 바대 |
| 요크 스커트 [yoke skirt] | <패션> ▶ 바대 치마, 요크 치마 |
| 요판 [凹版] | <행정> ▶ 오목판 |
| 요하는 [要-] | <행정> ▷ 필요로 하는 |
| 요함 [要-] | <행정> ▷ 필요함, 바람 |
| 욕구 [欲求] | <행정> = 바람 |
| 욕장용 [浴場用] | <행정> ▶ 목욕탕 물 |
| 욕조수 [浴槽水] | <행정> ▶ 목욕물 |
| 욘부 [四分] | <미술> ▶ 너푼, 12mm |
| 용 [蛹] | <임업> ▶ 번데기 |
| 용건 [用件] | <행정> = 볼일 |
| 용기 [容器] | <행정> ▷ 그릇 |
| 용납하다 [容納-] | <정치> = 받아들이다 |
| 용달 [用達] | <행정> ▷ 심부름 |
| 용도 [用途] | <행정> = 쓰이는 곳 |
| 용두 [龍頭] | <건축사> ▷ 용머리, 용두 ※dragon's head-shaped roof |
| 용량 [容量] | <행정> = 들이 |
| 용례 [用例] | <행정> ▷ 보기 |
| 용무 [用務] | <행정> = 볼일 |
| 용법 [用法] | <행정> = 쓰는 법 |
| 용선 [傭船] | <행정> ▷ 셋배 |
| 용수로 [用水路] | <행정> ▶ 물대는 길 |
| 용수원 [用水源] | <행정> ▶ 물 끌 곳 |
| 용수할 [用水-] | <행정> ▶ 물 쓸 |
| 용어 [用語] | <행정> = 쓰는 말 |
| 용융되는 [溶融-] | <행정> ▶ 녹는 |
| 용의 [容儀] | <행정> ▷ 몸가짐 |
| 용의 [容疑] | <행정> = 의심 감 |
| 용의주도하다 [用意周到-] | <행정> ▷ (맘 준비가) 빈틈없다 |
| 용이하게 [容易-] | <행정> ▷ 쉽게 |
| 용인 [傭人] | <행정> ▷ 고용인 |
| 용적 [容積] | <행정> ▷ 부피 |
| 용접공 [鎔接工] | <행정> ▷ 용접 기사 |
| 용제 [溶劑] | <행정> = 녹는 약 |
| 용중량 [容重量] | <행정> ▶ 부피 무게 |
| 용지 [用紙] | <행정> = 종이 |
| 용착 [溶着] | <행정> ▶ 녹여 붙임 |
| 용출 [溶出] | <행정> ▶ 녹아 나옴 |
| 용출하다 [湧出-] | <행정> ▶ (물이) 솟아 나오다 |
| 용탈 [溶脫] | <농업> ▶ 녹아 빠짐 |
| 용탈층 [溶脫層] | <농업> ▶ 녹아 내린 흙 |
| 우 [愚] | <행정> ▶ 어리석음 |
| 우 [牛] | <축산> ▶ 소 |
| 우가이 [嗽, うがい] | <행정> ▶ 목가심 |
| 우각 [牛角] | <행정> ▶ 소뿔 |
| 우거 [愚擧] | <정치> ▶ 어리석은 짓 |
| 우격침식 [雨擊浸蝕] | <임업> ▶ 빗방울/빗물 침식 |
| 우결핵 [牛結核] | <축산> ▶ 소 결핵 |
| 우계 [雨季] | <농업> ▶ 우기 |
| 우고 [雨高] | <임업> ▶ 강우량 |
| 우권 [郵券] | <행정> ▶ 우표 |
| 우금 [于今] | <행정> ▷ 지금까지 |
| 우기(에) [雨期] | <행정> = 비철(에) |
| 우나기 [鰻] | <식생활> <행정> ▶ (뱀)장어 |
| 우는 [又-] | <행정> ▶ 또는 |
| 우니 [雲丹] | <식생활> ▶ 성게젓 |
| 우데 [腕, うで] | <패션> <봉제> ▶ 틀머리, 팔, <미술> ▶ (반지) 고리 |
| 우동 [饂飩, うどん] | <식생활> ▶ 가락국수 |
| 우동 [隅棟] | <건축사> ▷ 추녀마루 ※hip |
| 우동다마 [うどん玉] | <식생활> ▶ (국수)사리 |
| 우든 클럽 [wooden club] | <골프> ▶ 나무채 |
| 우라 [裏, うら] | <봉제> <행정> ▶ 안(감) |
| 우라(지) [裏地, うらじ] | <패션> ▶ 안감 |
| 우라가에(시) (←우라까) [裏返し, うらがえし] | <패션> ▶ 뒤집(어짓)기 |
| 우라가키 [裏書, うらがき] | <행정> ▶ 뒷보증, 배서 |
| 우라게이 [裏罫, うらけい] | <신문> ▶ 뒤친줄 |
| 우라고미 | <행정> ▶ 뒤채움 |
| 우라(마와시) [裏廻し] | <행정> ▶ 뒤돌리기 <당구> |
| 우라아미 [裏編み, うらあみ] | <패션> ▶ 안뜨기 |
| 우라야키 [裏燒き] | <신문> ▶ 뒤굽기 |
| 우라에리 [裏襟, うらえり] | <패션> <봉제> ▶ 밑깃 |
| 우라우치 [裏打ち, うらうち] | <패션> ▶ 덧댄 안감, <미술> ▶ 뒷배접 |
| 우라지 [裏地, うらじ] | <봉제> ▶ 안감 |
| 우라카에시 [裏返し] | <봉제> ▶ 뒤집어 짓기 |
| 우라코메이시 [裏込め石] | <건설> ▶ 뒤채움돌 |
| 우라코미 [裏込み] | <건설> ▶ 뒤채움 |
| 우라 포켓토 [裏ポケット, うらポケット] | <패션> ▶ 안주머니 |
| 우란 [右欄] | <행정> ▶ 우측 난 |
| 우량 [雨量] | <임업> ▶ 강우량 |
| 우량목 [優良木] | <행정> = 좋은 나무 |
| 우량 종자 [優良種子] | <농업> ▷ 좋은 씨앗 |
| 우려 [憂慮] | <행정> = 근심, 걱정 |
| 우롱 [愚弄)] | <정치> ▷ 놀림 |
| 우리도메 [賣り止め, うりどめ] | <행정> ▶ 그만 팔기 |
| 우리와타시 [賣渡, うりわたし] | <행정> ▶ 팔아 넘김 |
| 우마 [馬, うま] | <패션> ▶ 소매/어깨 다림질대, <건설> ▶ 발돋움, 말 |
| 우마노리 [馬乘り, うまのり] | <패션> <봉제> ▶ 뒤트기, 뒷트임 |
| 우마킨 [馬筋, うまきん] | <행정> ▶ 받침 철근 |
| 우매 [愚昧] | <행정> ▷ 어리석음 |
| 우먼 파워 [woman power] | <언론> ▶ 여성세, 여성 세력 ¶벤처 업계에 우먼 파워가 거세지고 있다. |
| 우메모도시 [埋戾, うめもどし] | <건설> ▶ 되메우기 |
| 우메보시 [梅于, うめぼし] | <식생활> ▶ 매실(절이) |
| 우메코미 스위치 [うめこみ switch] | <전기> ▶ 매입형 스위치(買入形 switch) |
| 우메쿠사 [埋草, うめぐさ] | <신문> ▶ 땜기사, 채움기사 |
| 우메타테 [埋立, うめたて] | <건설> ▶ 메우기 |
| 우모 [羽毛, うもう] | <행정> ▶ 깃털 |
| 우발 [偶發] | <행정> ▷ 우연 발생 |
| 우범 지대 [虞犯地帶] | <행정> ▷ 범죄 우려 지대 |
| 우복 [雨服] | <행정> ▶ 비옷 |
| 우사 [牛舍] | <행정> ▶ 외양간 |
| 우생 [友生] | <행정> ▶ 벗 |
| 우석 [隅石] | <임업> ▶ 귓돌 |
| 우선 [于先] | <정치> = 먼저 |
| 우송하다 [郵送-] | <행정> ▷ 우편으로 부치다 |
| 우수 [雨水] | <행정> ▶ 빗물 |
| 우수 무지 [右手拇指] | <행정> ▶ 오른엄지 |
| 우수 배제 [雨水排除] | <행정> ▶ 빗물 빼기 |
| 우수기 [薄着, うすぎ] | <패션> ▶ 얇게 입기 |
| 우수침식 [雨水浸蝕] | <임업> ▶ 빗물 침식 |
| 우승 [牛蠅] | <축산> ▶ 쇠파리 |
| 우시로미(고로) [後ろ身頃, うしろみごろ] | <패션> <봉제> ▶ 뒷길 |
| 우시로아키 [後ろ明き, うしろあき] | <패션> <봉제> ▶ 뒤트기, 뒤트임 |
| 우식 [雨蝕] | <임업> ▶ 빗물 침식 |
| 우심하다 [尤甚-] | <행정> ▶ (몹시) 심하다 |
| 우안 [右岸] | <행정> ▶ 오른쪽 둑 |
| 우연 [右撚] | <패션> ▶ 에스(S)자 꼬임 |
| 우와가타 [上型, うわがた] | <미술> ▶ 겉틀 |
| 우와기 [上着·上衣, うわぎ] | <패션> <행정> <봉제> ▶ 윗도리, 상의, (양복) 저고리 |
| 우와기다케 [上着丈, うわぎだけ] | <봉제> ▶ 웃옷 길이, 상의 길이 |
| 우와누리 [上塗, うわぬり] | <건설> ▶ 웃바름(칠), 정벌바름(칠) |
| 우와마에 (←우아마에) [上前, うわまえ] | <패션> <봉제> ▶ 겉자락 |
| 우와마키 [上卷き] | <미술> ▶ 마무리천 |
| 우와스리 [上擦り] | <미술> ▶ 구슬밀이<한국화> |
| 우와에리 [上襟, うわえり] | <패션> <봉제> ▶ 윗깃 |
| 우육 [牛肉] | <식생활> ▷ 쇠고기 |
| 우의 [雨衣] | <행정> ▷ 비옷 |
| 우의제 [雨衣堤] | <임업> ▶ 날갯둑 |
| 우인 [友人] | <행정> ▷ 친구 |
| 우장 [雨裝] | <행정> ▶ 비옷 |
| 우적 [雨滴] | <임업> ▶ 빗방울 |
| 우주 [隅柱] | <건축사> ▷ 귀기둥, 모서리 기둥 ※corner column, corner pillar |
| 우지 [牛脂] | <식생활> ▷ 쇠기름 |
| 우차 [雨差] | <임업> ▶ 우연 오차 |
| 우천 순연 [雨天順延] | <행정> ▷ 비오면 그 다음날/주(로 연기) |
| 우천시 [雨天時] | <행정> ▷ 비올 때 |
| 우체료 [郵遞料] | <행정> = 우편 요금 |
| 우체통 [郵遞筒] | <행정> = 우편함, 우체함 |
| 우측 상단 [右側上端] | <행정> ▶ 오른쪽 위(끝) |
| 우측단 [右側端] | <행정> ▶ 오른쪽 가장자리 |
| 우치노리 [內法, うちのり] | <건설> ▶ 안목, 안치수 |
| 우치다이 [うちたい] | <건설> ▶ 밀판 |
| 우치마키 [內卷, うちまき] | <행정> ▶ 안말이 |
| 우치바케 [打刷毛, うちばけ] | <미술> ▶ 다짐귀얄 |
| 우치소데 [內袖, うちそで] | <패션> <봉제> ▶ 밑소매 |
| 우치쓰기 [打繼ぎ] | <건설> ▶ 이어치기 |
| 우치쓰기메 [打繼ぎ目] | <건설> ▶ 시공 이음 |
| 우치아와세 (←우치아미) [打合わせ, うちあわせ] | <패션> <봉제> ▶ 여밈 |
| 우치아이센 [打合い線, うちあいせん] | <패션> ▶ 여밈선 |
| 우치에리 [內襟, うちえり] | <패션> ▶ 안칼라 |
| 우치카기 [打鉤, うちかぎ] | <행정> ▶ 갈고리 ¶고기 찍는 갈고리 |
| 우치카에 [打ち替え] | <신문> ▶ 갈아넣기 |
| 우치코미 [打込み] | <건설> ▶ (콘크리트) 치기 |
| 우치히다 [內襞, うちひだ] | <봉제> ▶ 안주름 |
| 우케오이 [請負, うけおい] | <건설> ▶ 도급(都給) |
| 우케토리 [請取り] | <건설> ▶ 도맡기 |
| 우쿠츠케 (←오쿠쯔께) [奧付, うくつけ] | <행정> ▶ 판권(장) |
| 우키 (←우끼) [浮, うき] | <행정> ▶ 찌, 띄우개, 튜브 |
| 우키바리 [浮張り] | <미술> ▶ 뜰배접 |
| 우키이시 [浮き石] | <건설> ▶ (들)뜬돌 |
| 우키치 [浮地, うきち] | <미술> ▶ 뜰종이 |
| 우타세 [うたせ] | <행정> ▶ 밑훑이 그물, 저인망 |
| (우표, 인지를) 첩용하다 [貼用-] | <행정> ▶ (우표, 인지를) 붙이다 |
| 우편 금제품 [郵便禁製品] | <행정> ▷ 우편 금지품, 우편 제한품 |
| 우편 요금 계기 [郵便料金計器] | <행정> = 요금 표시기 |
| 우편낭 [郵便囊] | <행정> ▷ 우편물 자루 |
| 우편낭 기표지 [郵便囊記表紙] | <행정> ▷ 우편 자루 표지 |
| 우편낭 동태 감사 [郵便囊-] | <행정> ▷ 우편 자루 운용 조사 |
| 우편배달부 | <행정> ▶ 집배원 |
| 우편 본인표 [郵便本人表] | <행정> = 받는 이 확인증 |
| 우편 업무 집행중 [郵便業務執行中] | <행정> ▷ 우편 업무 중 |
| 우편의 용하기에 공 위하여 | <행정> ▶ 우편 업무를 돕기 위하여 |
| 우편함 [郵便函] | <행정> = 우체통, 우체함 |
| 우피 [牛皮] | <행정> ▶ 소가죽, 쇠가죽 |
| 우현 [右舷] | <행정> ▷ 우측 뱃전, 오른쪽 뱃전 |
| 우화 [羽化] | <행정> ▶ 날개돋이 |
| 우화 성충 [羽化成蟲] | <행정> ▶ 날개 돋은/있는 엄지벌레 |
| 우회수로 [迂廻水路] | <농업> ▶ 돌림 도랑 |
| 우회하다 [迂廻-] | <행정> = 돌아(서) 가다 |
| 운두준 [雲頭齧] | <미술사> ▷ 운두준법 ※cumulated cloud-like texture strokes |
| 운무 [雲霧] | <행정> = 구름과 안개 |
| 운선법 [暈渲法] | <미술> ▷ 바림(법) |
| 운속계 [雲速計] | <임업> ▷ 구름 관측기 |
| 운송하다 [運送-] | <행정> ▷ 실어/태워 나르다 |
| 운염 [暈染] | <미술사> ▷ 바림질, 운염법 |
| 운용 [運用] | <행정> ▷ 활용, 이용 |
| 운위하다 [云謂-] | <행정> ▷ 이르다, 말하다 |
| 운임 [運賃] | <행정> ▷ 찻삯, 짐삯 |
| 운임 징구 [運賃徵求] | <행정> ▶ 운임걷기 |
| 운재 [運材] | <행정> ▷ 재목 나르기 |
| 운재로 [運材路] | <행정> = 나무 운반길 |
| 운전 사령실 [運轉司令室] | <행정> ▷ 운전 통제실 |
| 운전 지조 [運轉知照] | <행정> ▶ 운전 통보 <철도> |
| 운전수 [運轉手] | <행정> ▶ 운전(기)사 |
| 운집 [雲集] | <정치> ▷ 떼지어/많이 모임 |
| 운짱 [運-] | <행정> ▶ 운전 기사, 운전사 |
| 운형병 [雲形病] | <농업> ▶ 구름무늬병 |
| 운휴 차량 [運休車輛] | <행정> ▶ 쉬는 차 |
| 운휴할 때 [運休-] | <행정> ▶ 차가 쉴 때 |
| 울 마크 [wool mark] | <패션> ▷ 모 표시 |
| 울 블렌드 마크 [wool blend mark] | <패션> ▷ 모 혼방 표시 |
| 울 워스 [wool worth] | <볼링> ▶ ⑤⑩번 퍼진핀 |
| 울 자바라 [wool 蛇腹] | <패션> ▶ 울 장식끈 |
| 울른 서지 [woolen serge] | <패션> ▷ 방모서지 |
| 울짱 [木柵] | <고고학> ▷ 나무울(타리) ※wooden barricade(fence) |
| 울트라 머린 [ultra marine] | <패션> ▶ 군청색 |
| 울트라 모던 [ultra modern] | <패션> ▶ 초현대(적), 초현대적 패션 감각 |
| 울트라 미니 [ultra mini] | <패션> ▶ 초미니 |
| 울폐 [鬱閉] | <행정> ▶ 우거져 막힘 |
| 울폐도 [鬱閉度] | <임업> ▷ 우거진 정도 |
| 울혈성 심부전(증) [鬱血性 心不全(症)] | <법의학> ▶ 울혈 심장 기능 상실 ※congestive heart failure |
| 웅계 [雄鷄] | <축산> ▶ 수탉 |
| 웅변한다 [雄辯-] | <행정> ▷ 잘 말해 준다 |
| 웅성불임 [雄性不稔] | <축산> ▶ 고자성 |
| 웅수 [雄穗] | <농업> ▶ 숫이삭 |
| 웅예 [雄蕊] | <임업> ▶ 수술 |
| 웅지 [雄志] | <행정> ▷ 큰 뜻 |
| 웅추 [雄雛] | <축산> ▶ 수평아리 |
| 웅충 [雄蟲] | <농업> ▶ 수벌레 |
| 웅화 [雄花] | <임업> ▶ 수꽃 |
| 워닝 [warning] | <배드민턴> ▶ 경고 |
| 워드 마크 [word mark] | <언론> ▶ 글자 상징 ¶문자체도 각이 진 영문 워드 마크를 채택해 자신감 있고 절제된 이미지를 표현했다. |
| 워드 프로세서 [word processor] | <행정> ▷ 문서 작성기 |
| 워밍 샷 [warming shot] | <사격> ▶ 예열 사격 |
| 워밍업 [warming-up] | <생활외> ▶ 준비 (운동), 몸풀기 ¶수영 전에는 반드시 워밍업 운동을 한다. |
| 워셔블 슈트 [washable suit] | <패션> ▶ 물빨래 옷, 물빨래 양복 |
| 워셔블 타이 [washable tie] | <패션> ▶ 물빨래 (넥)타이 |
| 워셔블 컬러 [washable colour] | <미술> ▶ 불변 염색 |
| 워스티드 (얀) [worsted yarn] | <패션> ▶ 소모사, 소모직물 |
| 워시 아웃 [wash out] | <볼링> ▶ 코 남기 |
| 워시 앤드 웨어 [wash and wear] | <패션> ▶ 민다림질(옷) |
| 워커 (←워카) [walkers] | <패션> ▶ 군화 |
| 워크 [walk] | <승마> ▶ 걷기, 평보 |
| 워크 라이트 [work light] | <연극> ▶ 작업등 |
| 워크 아웃 [work out] | <경제> ▷ 기업 개선 작업, 군살빼기 |
| 워크북 [workbook] | <언론> ▶ 익힘책 ¶다음 단계에서는 숫자 놀이·짝짓기·숨은 그림 찾기 등 다양한 놀이가 들어 있는 ‘워크북’을 활용한다. |
| 워크셰어링 [work sharing] | <언론> ▶ 일자리 나누기 ¶조합원 약 75만 명의 전기 연합은 ‘워크셰어링’ 도입과 임금 감소분 보전을 위한 사원의 부업 자유화를 제안했다. |
| 워크숍 [workshop] | <생활외> <정치> ▷ 공동 연수/수련 ¶주요 행사에는 도예인들의 워크숍도 있다. |
| 워크아웃 [workout] | <언론> ▷ 기업 개선 작업 ¶지난해 64개 워크아웃 대상 업체의 자구 노력이 극도로 부진. |
| 워크 오버 [W/O, work over] | <배드민턴> ▶ 부전승 |
| 워크 홀릭 [work holic] | <언론> ▶ 일 중독자, 일벌레 ¶이들은 주로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일하기 때문에 ‘워크홀릭’이라는 핀잔을 듣기 일쑤이다. |
| 워킹 드로잉 [working drawing] | <연극> ▶ 작업도 |
| 워킹머신 [walking machine] | <언론> ▶ 달리기틀 ¶○○○ 사장이 ‘철인’이 되기까지는 지난 20년 넘게 아무리 늦게 귀가해도 집에서 1시간 정도 워킹머신과 줄넘기, 아령 체조 등 운동을 거른 적이 없는 치열한 자기 통제가 있었다. |
| 워킹 볼 [working ball] | <볼링> ▶ 산 회전공 |
| 워킹 슈즈 [walking shoes] | <패션> ▷ 산책화 |
| 워킹 슈트 [walking suit] | <패션> ▷ 산책복 |
| 워터 마킹 [water marking] | <언론> ▶ (전산) 파수꾼, (전산) 지킴이 ¶너 해커(→전산 헤살꾼)냐? 나 워터 마킹이야! |
| 워터 해저드 [water hazard] | <골프> ▷ 물 장애물 |
| 워터 스크린 [water screen] | <언론> ▶ 수막 영상 ¶행사 기간 내내 동굴과 인간을 주제로 한 멀티퍼포먼스 공연과 워터스크린 쇼 등이 준비돼 있으며…. |
| 워터 프런트 [water front] | <언론> ▶ 물가, 수변 ¶강북 강변을 워터프런트의 도시로 만들고 동서의 강북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과 나란한 강북 대로를 만들고··· |
| 워터 해저드 [water hazard] | <언론> ▶ (물) 웅덩이 ¶또 ○○○는 … 지난 1998년 한 대회에서 워터 해저드에 빠진 볼을 극적으로 살려내는 투혼으로··· |
| 워퍼 [warper] | <미술> ▶ 날틀 |
| 워퍼콤 [warper comb] | <미술> ▶ 날(실)빗 |
| 워프 [warp] | <미술> ▶ 날(실) |
| 워프페이스 기법 [warpface 技法] | <미술> ▶ 날이랑 짜기 |
| 워피지 [wharfage] | <행정> ▶ 부두 사용료 |
| 워핑 [warping] | <미술> ▶ (실)날기 |
| 원거리 [遠距離] | <행정> ▷ 먼 거리 |
| 원경 [原莖] | <임업> ▶ 원줄기 |
| 원고초행 [原稿初行] | <정치> ▶ (원고) 첫줄 |
| 원곡선 [圓曲線] | <임업> ▷ 단곡선 |
| 원구 [元口] | <행정> ▶ 밑동부리 |
| 원금 [元金] | <경제> = 본전, 본밑 |
| 원기둥 [圓柱] | <건축사> ▷ 두리기둥 ※column |
| 원단 [元旦] | <행정> ▷ 설날, 새해 아침 |
| 원동기 장치 [原動機 裝置] | <금융> ▶ 이륜 자동차/삼륜 자동차 |
| 원동력 [原動力] | <행정> = 밑거름 |
| 원래 [元來] | <행정> = 본디, 본래 |
| 원룸 [one-room] | <언론> ▶ 통집, 통방집, 튼방집 ¶원룸 주택 관리 맡겨만 주세요. |
| 원 마일 웨어 [one mile wear] | <패션> ▶ 동네옷 |
| 원망 [願望] | <행정> ▷ 소원, 바람 |
| 원 맨 대시 [one man dash] | <핸드볼> ▶ 단독 돌진 |
| 원맨쇼 [one-man show] | <언론> ▷ 독무대 ¶○○ 제런 콥 ‘원맨쇼’ 3위 굳히기 돌입. |
| 원목 [原木] | <행정> = 통나무 |
| 원무 [園務] | <행정> = 원의 업무 |
| 원물 [原物] | <행정> ▶ 본디 것, 바탕 것 |
| 원 바이 원 [one by one] | <패션> ▶ 한 줄 고무뜨기 |
| 원발성 쇼크 [原發性 shock] | <법의학> ▶ 미주 신경 충격 ※vagogenic shock |
| 원방 [遠方] | <행정> ▶ 먼 거리 |
| 원방 신호기 [遠方信號機] | <전철> ▷ 예고 신호기 |
| 원 베이스 히트 [one base hit] | <야구> ▶ 단타 |
| 원본 [元本] | <행정> ▶ 원금 |
| 원본 [原本] | <행정> = 본디 책, 본디 문서 |
| 원 볼 투 섬 [one ball two some] | <골프> ▷ 2인 1구법 |
| 원 사이드 게임 [one side game] | <야구> ▶ 일방 경기 |
| 원 사이즈 셔츠 [one size shirt] | <패션> ▶ 한 치수 셔츠 |
| 원상 [原狀] | <행정> ▷ 원래 상태, 본디 상태 |
| 원상 병명 [原傷病名] | <행정> ▶ 본디 다친 병 |
| 원상 회복하다 [原狀回復-] | <행정> = 먼저대로 하다 |
| 원색 [原色] | <행정> = 바탕색, 원색 |
| 원샷 플레이 [one shot play] | <농구> ▶ 마지막 공격 |
| 원샷 홀 [one shot hole] | <골프> ▷ 짧은 홀 |
| 원수 [員數] | <행정> ▶ 사람 수 |
| 원스 백 [once back] | <스케이트> ▶ 손잡기 |
| 원 스톱 [one stop] | <언론> ▶ 한 자리 ¶건물 안에 들어선 고객은 그 안에서 먹고 마시고 쇼핑하는 ‘원 스톱’ 구매 형태를 보이는 위락 공원이다. |
| 원스톱 리빙 [one-stop living] | <언론> ▶ 자족형 거주 ¶시공사인 ○○물산 건설 부문은 타워 팰리스가 완전한 의미의 ‘원스톱 리빙’이 가능한 생활 공간이라고 말한다. |
| 원 신호 [原信號, ←raw signal] | <전기> ▷ 원시 신호(原始信號) |
| 원아 [園兒] | <행정> ▷ 유치원 아동 |
| 원야 [原野] | <행정> ▶ 버덩 |
| 원야토 [原野土] | <행정> ▶ 생흙 |
| 원인 [原因] | <행정> = 까닭 |
| 원정 [遠程] | <행정> ▶ 먼 길 |
| 원조 [元祖] | <행정> = 첫조상 |
| 원조 요구 [援助要求] | <정치> ▷ 도움 요청 |
| 원족 [遠足] | <행정> ▶ 소풍 |
| 원주 [元柱] | <임업> ▶ 앞기둥 |
| 원주 [圓柱] | <행정> ▶ 둥근 기둥 |
| 원책 [垣柵] | <행정> ▶ 울타리 |
| 원천 [源泉] | <행정> ▷ 샘(물), 근원지 |
| 원추형 [圓錐形] | <행정> ▷ 원뿔꼴 |
| 원칙하에 [原則下-] | <행정> ▷ 원칙 아래 |
| 원컨대 [願-] | <행정> ▷ 바라건대 |
| 원통형 그릇받침 [圓筒形器臺] | <고고학> ▷ 원통 모양 그릇받침 ※cylindrical pottery stand |
| 원 풋 에이트 [one foot eight] | <스케이트> ▶ 외발 8자형(그리기) |
| 원 핸드 패스 [one hand pass] | <핸드볼> ▶ 한 손(으로) 주기 |
| 원형화단 [圓形花壇] | <임업> ▶ 둥근꽃밭 |
| 원 히트 원 런 [one hit one run] | <야구> ▶ 1 안타 1 득점 |
| 월 앤드 레일즈 [wall and rails] | <승마> ▶ 장벽 횡목 (장애물) |
| 월경 [越境] | <행정> ▷ 경계넘기, 국경넘기 |
| 월과 [越瓜] | <농업> ▶ 김치오이 |
| 월구 [越區] | <행정> ▶ 구역을 넘음 |
| 월권 [越權] | <행정> ▷ 권한 침범 |
| 월년생 [越年生] | <축산> ▶ 두해살이 |
| 월담하여 [越-] | <행정> ▷ 담을 넘어 |
| 월동 [越冬] | <행정> = 겨울나기 |
| 월등 [越等] | <행정> = 훨씬 |
| 월류 [越流] | <임업> ▷ 무넘이, <행정> ▶ 넘쳐 흐름 |
| 월류수 [越流水] | <임업> ▶ 넘친물 |
| 월류언 [越流堰] | <임업> ▶ 무넘이 봇둑, 월류 웨어 |
| 월류제 [越流堤] | <임업> ▶ 무넘깃둑 |
| 월번 [越番] | <정치> ▶ (번호) 건너뜀 |
| 월부 [月賦] | <경제> ▷ 달붓기 |
| 월부금 [月賦金] | <경제> ▷ 달돈 |
| 월수고 [越水高] | <임업> ▶ 무넘이 수심, 월류 수심 |
| 월수로 [越水路] | <임업> ▶ 무넘이 |
| 월편 [越便] | <행정> ▶ 건너편 |
| 월하장 [越夏場] | <행정> ▶ 여름 날 곳 |
| 월할 계산 [月割 計算] | <금융> ▷ 월 단위 계산 |
| 월행낭 [越-] | <행정> ▷ 중계 우편 자루 |
| 웜 컬러 [warm color] | <패션> ▶ 따뜻한 색 |
| 왜건 스테이지 [wagon stage] | <연극> ▶ 구동 무대 |
| 웨더 올 코트 [weather all coat] | <패션> ▶ 전천후 코트 |
| 웨더링 [wedering] | <스키> ▶ 연속 평행 회전 |
| 웨딩 [wedding] | <언론> ▶ 결혼 ¶지난 7일 서울 창경궁에서 웨딩 사진을 촬영하는 등 본격적인 결혼 준비에 들어갔다. |
| 웨딩 드레스 [wedding dress] | <패션> <생활외> ▶ 혼례복, 신부 예복 ¶웨딩드레스가 밀집해 있는 신촌 상가. |
| 웨딩 마치 [wedding march] | <언론> ▷ 결혼 행진곡 ¶오는 22일 웨딩마치를 울리게 될 김현경, 박경수 커플(→부부). |
| 웨딩 컨설팅 업체 [wedding consulting 業體] | <언론> ▶ 결혼식 상담 업체, 결혼식 상담 회사 ¶직장 동료의 소개로 한 웨딩 컨설팅 업체를 이용해 결혼 준비를 하고 있다. |
| 웨딩 플래너 [wedding planner] | <언론> ▶ 결혼 설계사 ¶9일부터 방송하는 ‘쿨’에서 웨딩 플래너로 일하며 공부하는, 똑똑하고 자존심 강한 여대생 역으로 안방 극장에 돌아온다. |
| 웨스턴 그립 [western grip] | <테니스> ▷ (미국) 서부식 잡기/손잡이법 |
| 웨스턴 부츠 [western boots] | <패션> ▶ (미) 서부 장화 |
| 웨스턴 스타일 [western style] | <패션> ▶ (미) 서부 양식 |
| 웨어 [wear] | <패션> ▶ 옷, -복(服) |
| 웨어러블 [wearable] | <패션> ▶ 착용 가능(한) |
| 웨이브 [wave] | <생활외> ▶ (물결) 주름 ¶바깥쪽으로 웨이브를 만들어 복고 분위기로 연출했다. |
| 웨이스트 [waist] | <패션> ▶ 허리, 셔츠 웨이스트 |
| 웨이스트 라인 [waist line] | <패션> ▶ 허리(둘레)선 |
| 웨이스트코트 [waistcoat] | <패션> ▶ 조끼, 겉옷 |
| 웨이트 [weight] | <전기> ▷ 가중치(加重値) |
| 웨이트 시프트 [weight shift] | <골프> ▶ 체중 이동 |
| 웨이트 트레이닝 [weight training] | <언론> ▶ 근력 (강화) 훈련 ¶웨이트 트레이닝과 함께 순발력을 키우는 데는 도움이 된다는 말을 듣고 자동차 경주 전자 게임을 하면서 감각을 키워 나가고 있어요. |
| 웨이팅 [waiting] | <야구> ▷ 다짐 준비 |
| 웨이팅 서클 [waiting circle] | <야구> ▶ 타자 대기석 |
| 웨잉 컨베이어 [weighing conveyor] | <생활외> ▶ 연속 계중기 |
| 웨지 [wedge] | <골프> ▷ 붙이기채 |
| 웨프트 [weft] | <미술> ▶ 씨(실) |
| 웰 드레서 [well dresser] | <패션> ▶ 옷멋쟁이 |
| 웰메이드 플레이 [well-made play] | <연극> ▶ 잘 꾸며진 극 |
| 웰트심 [welt seam] | <봉제> ▷ 뉨솔 |
| 웰트 포켓 [welt pocket] | <봉제> ▶ 홑입술주머니 |
| 위격 검사 [違格檢査] | <행정> ▶ 규격 검사 |
| 위계 [僞計] | <행정> ▷ 속임수 |
| 위계 [爲計] | <행정> ▶ 할 계획 |
| 위계 질서 [位階秩序] | <행정> ▷ 상하 질서 |
| 위계를 한 자 [僞計-] | <행정> ▷ 거짓 계략을 꾸민 자 |
| 위구 [危懼] | <행정> ▶ 두려움, 무서움 |
| 위규 [違規] | <행정> ▶ 규정 위반 |
| 위그 [wig] | <패션> ▶ 가발 |
| 위기 [委寄] | <행정> ▶ 맡김 |
| 위기하여 [委寄-] | <행정> ▶ 맡기어 |
| 위너 [winner] | <배드민턴> ▶ 승자 |
| 위닝 샷 [winning shot] | <언론> <테니스> ▷ 승부타, 결정타, 승부구 <야구> ¶이 날 샘프러스는 64개의 에러로 자멸했고 위닝 샷에서도 24-41로 블랑코에 뒤졌다. |
| 위닝 히트 [winning hit] | <야구> ▶ 결정타, 승리타 |
| 위드드로 [withdraw] | <배드민턴> ▶ 기권패 |
| 위락 [慰樂] | <행정> ▷ 놀이 |
| 위반하다 [違反-] | <행정> = 어기다 |
| 위배하다 [違背-] | <행정> = 어기다 |
| 위법 [違法] | <행정> = 법을 어김 |
| 위법자 [違法者] | <행정> = (법을) 어긴 사람 |
| 위빙 [weaving] | <미술> ▶ (철사) 뜨개질 |
| 위사 [緯絲] | <미술> ▷ 씨(실) |
| 위산 [違算] | <행정> ▶ 계산이 틀림, 틀린 계산 |
| 위석묘 [圍石墓] | <고고학> ▷ 돌돌림 무덤, 위석묘 ※stone-circle tomb |
| 위시하다 [爲始-] | <행정> ▷ 비롯하다 |
| 위식인 [僞飾-] | <행정> ▶ 거짓 꾸민, 거짓인 |
| 위심재 [僞心材] | <행정> ▶ 헛속 나무 |
| 위약종 | <임업> ▶ 취약종(脆弱種) |
| 위연륜 [僞年輪] | <행정> ▶ 헛나이테 |
| 위요 [圍繞] | <행정> ▶ 둘러쌈 |
| 위인 [爲人] | <행정> ▷ 사람 (됨됨이), 사람됨 |
| 위임 [委任] | <행정> = 맡김 |
| 위임신 [僞姙娠] | <축산> ▶ 헛배기 |
| 위장 의사 [僞裝 縊死] | <법의학> ▶ 거짓 목 맴 ※camouflage hanging |
| 위조 [萎凋] | <임업> ▶ 시듦 |
| 위조점 [萎凋點] | <임업> ▶ 시듦점 |
| 위조하다 [僞造-] | <행정> = 속여 만들다 |
| 위증 [僞證] | <행정> = 거짓 증언 |
| 위체 [かわせ] | <행정> ▶ 환 |
| 위촉 [委囑] | <행정> ▷ 맡김 |
| 위촉하다 [委囑-] | <행정> = 맡기다 |
| 위치한 [位置-] | <행정> = (···에) 자리잡은, (···에) 있는 |
| 위크 사이드 [weak side] | <농구> ▶ 공 없는 지역 |
| 위탁 증거금 [委託證據金] | <행정> ▷ 위탁 보증금 |
| 위탁하다 [委託-] | <행정> = 맡기다 |
| 위트 [wit] | <생활외> ▷ 재치, 기지 ¶위트에 찬 언변으로 인기를 모으는 김씨. |
| 위페이지 [wharfage] | <행정> ▶ 부두 사용료 |
| 위해 [危害] | <행정> ▷ 위태롭고 해로운/움 |
| 위해물 [危害物] | <행정> = 해로운 물건 |
| (위험) 개소 [(危險)個所] | <행정> ▶ (위험한) 곳, (‧‧) 군데 |
| 위험 고지서 [危險 告知書] | <금융> ▶ 위험 설명서 |
| 위험 상당치 [危險 相當値] | <금융> ▶ 해당 위험 값 |
| 윈드 브레이크 [wind break] | <언론> ▶ 바람막이옷 ¶바람이 불 땐 바람막이 점퍼인 ‘윈드 블레이크’(→브레이크)를 준비한다. |
| 윈드 서핑 웨어 [wind surfing wear] | <패션> ▶ 윈드 서핑복 |
| 윈드 재킷 [wind jacket] | <패션> ▶ 방풍 재킷, 바람막이옷, 바람막이 재킷 |
| 윈드 점퍼 [wind jumper] | <패션> ▶ 방풍/바람막이 점퍼 |
| 윈드 크러스트 [wind crust] | <스키> ▶ 강풍 빙판 |
| 윈윈 전략 [win-win 戰略] | <언론> ▶ 상생(相生) 전략, 상승(相勝) 전략 ¶노사 문제 ‘윈윈 전략’으로 풀어라. |
| 윈치맨 [winchman] | <행정> = 자아틀 조종사 <항만> |
| 윈치방 [←winch方] | <건설> ▶ 기중기 조종원 |
| 윈터 룰 [winter rule] | <골프> ▶ 동계 규칙 |
| 윈터 코트 [winter coat] | <패션> ▶ 겨울 외투/코트 |
| 윔블던 오픈 [wimbledon open] | <테니스> ▷ 영국 오픈 테니스 대회 |
| 윗돌 [上石] | <고고학> ▷ 덮개돌 ※cap stone |
| 윙 [wing] | <핸드볼> ▶ 날개 |
| 윙 너트 [wing nut] | <사이클> ▶ 조임/나비 나사 |
| 윙 슛 [wing shoot] | <핸드볼> ▶ 옆에서 쏘기 |
| 윙 칼라 [wing collar] | <언론> ▶ 날갯깃 ¶셔츠 슈트(→남방 정장) 에 활용되는 셔츠는 넥타이를 매지 않고 입는 윙 칼라나 둥근 칼라(→깃)가 적당하며 체크 또는 줄무늬가 들어간 남방류···, <패션> ▶ 날개(옷)깃 |
| 윙백 [wing back] | <언론> ▶ 측면 수비수 ¶심재원과 김태영은 양 윙백 역할을 담당하면서 공격 때는 사이드어택커(→측면 공격수)로 변신. |
| 유 [乳] | <행정> ▷ 젖 |
| 유 [柚] | <농업> ▶ 유자 |
| 유 분리 장치 [油分離裝置] | <행정> ▶ 기름 분리 장치 |
| 유(용)우 [乳(用)牛] | <행정> ▶ 젖소 |
| 유가 [油價] | <행정> ▷ 기름값 |
| 유가로 [有價-] | <정치> ▶ 돈 받고 |
| 유각삼 [有脚蔘] | <행정> ▶ 다리삼 |
| 유간 [遊間] | <행정> ▶ 간격 <철도> |
| 유개 [有蓋] | <행정> ▶ 덮개, 뚜껑 |
| 유개차 [有蓋車] | <정치> = 뚜껑 (있는) 차, 덮개 (있는) 차 |
| 유거 [流去] | <임업> ▶ 유출 |
| 유거계수 [流去係數] | <임업> ▶ 유출계수 |
| 유경 접목 [幼莖椄木] | <행정> ▶ 애줄기접 |
| 유고 [諭告] | <행정> ▶ 알려줌, 타이름 |
| 유고시 [有故時] | <행정> = 사고가 있을 때 |
| 유관 기관 [有關機關] | <행정> ▷ 관계 기관 |
| 유관속 식물 [有管束植物] | <임업> ▷ 관다발 식물, 관속 식물 |
| 유근 [幼根] | <임업> ▷ 어린뿌리 |
| 유급직원 [有給職員] | <정치> ▷ 보수 지급 직원 |
| 유기 문서 [有期文書] | <행정> ▶ 기한 문서 |
| 유기하다 [遺棄-] | <행정> ▷ 내버리다 |
| 유년 [幼年] | <행정> ▷ 어린 시절 |
| 유념하다 [留念-] | <행정> ▷ 마음에 두다 |
| 유니섹스 [unisex] | <생활외> <패션> ▶ 남녀 겸용 ¶유니섹스 바지가 요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
| 유니섹스 모드 [unisex mode] | <패션> ▷ 남녀 겸용 양식 |
| 유니티 [unity] | <연극> <패션> ▶ 통일(성) |
| 유니폼 [uniform] | <패션> = 제복, <행정> ▷ 제복, 선수복, 단체복 |
| 유닛 [unit] | <언론> ▶ 전시방 ¶모델하우스(→본보기집)를 찾았다면 덜렁 유니트(→유닛)로 들어가지 말라고 충고한다. |
| 유닛 변전소 [-變電所, unit substation] | <전기> ▷ 단위 변전소(單位變電所) |
| 유닛 세팅 [unit setting] | <연극> ▶ 다용도 장치 |
| 유달 시간 [流達時間] | <임업> ▶ 도달 시간 |
| 유당 [乳糖] | <행정> ▷ 젖당 |
| 유대재배 [有袋栽培] | <농업> ▷ 봉지 재배 |
| 유도 [油桃] | <임업> ▶ 민복숭아 |
| 유도 표지판 [誘導標識板] | <행정> ▶ 안내 표지판 |
| 유도제 | <임업> ▶ 가름둑 |
| 유도하다 [誘導-] | <행정> ▷ 이끌다 |
| 유러피안 캐주얼 [european casual] | <패션> ▶ 유럽풍 캐주얼 |
| 유러피안 트러디셔널 [european traditional] | <패션> ▷ 전통 유럽풍 |
| 유로공 [流路工] | <임업> ▶ 계간 수로 내기, 계간 도랑 내기 |
| 유로침식 [流路浸蝕] | <임업> ▶ 하천침식 |
| 유료 작물 [油料作物] | <농업> ▶ 기름감 작물 |
| 유루 [遺漏] | <정치> <행정> ▶ 빠짐 |
| 유루미 [弛み] | <행정> ▶ 느슨(함) |
| 유루없이 [遺漏-] | <행정> ▶ 빠짐없이 |
| 유류 [遺留] | <전철> ▷ (부분) 남김 |
| 유류한 [遺留-] | <행정> ▶ 남겨 놓은 |
| 유리 [有利] | <행정> = 이로움 |
| 유리수 [遊離水] | <임업> ▷ 자유수 |
| 유린하다 [蹂躪-] | <행정> ▷ 짓밟다 |
| 유머 [humour] | <생활외> = 익살, 해학, 우스개 ¶유머가 풍부한 이야기로 모든 이들을 즐겁게 해 준다. |
| 유머 센스 [humour sense] | <생활외> ▶ 익살기, 유머 감각 ¶그를 유머 센스가 있는 사람이라 생각했다. |
| 유묘 [幼苗] | <행정> ▷ 어린 모 |
| 유무 [有無] | <행정> = 있는지 없는지 |
| 유물 모듬새 [遺物組合] | <고고학> ▷ 유물 조합 ※assemblage |
| 유박 [油粕] | <농업> ▶ 깻묵 |
| 유발하다 [誘發-] | <행정> = 자아내다 |
| 유벌 [流筏] | <행정> ▶ 뗏목 |
| 유병 [瘤病] | <임업> ▶ 혹병 |
| 유보하다 [留保-] | <행정> = 미루어 두다 |
| 유봉 [幼蜂] | <잠업> ▶ 새끼 벌, 애벌 |
| 유비누키 [指貫き, ゆびぬき] | <패션> ▶ 골무 |
| 유비와 [指輪·指環, ゆびわ] | <패션> ▶ 반지, 가락지 |
| 유빙 [流氷] | <행정> =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 |
| 유사하다 [類似-] | <행정> = 비슷하다 |
| 유산 [硫酸] | <행정> ▶ 황산 |
| 유산 발효 [乳酸醱酵] | <행정> ▷ 젖산 띄우기 |
| 유산가리 [硫酸加里] | <농업> ▶ 황산칼리 |
| 유산균 [乳酸菌] | <행정> ▷ 젖산균 |
| 유산망간 [硫酸manganese] | <농업> ▶ 황산망간 |
| 유상 [濡桑] | <잠업> ▶ 물뽕 |
| 유서하다 [宥恕-] | <행정> ▶ 용서하다 |
| 유선 [乳腺] | <축산> ▶ 젖줄 |
| 유선 [遊船] | <행정> ▶ 놀잇배 |
| 유선 보고 [有線報告] | <행정> ▶ 전화 보고 |
| 유송시간 [流送時間] | <임업> ▶ 도달 시간 |
| 유수 [幼獸] | <임업> ▷ 어린짐승, 새끼 |
| 유수 [幼穗] | <행정> ▶ 어린 이삭 |
| 유수 [流水] | <행정> ▷ 흐르는 물 |
| 유수 탱크 [溜水-] | <행정> ▷ 물받이 탱크 |
| 유수분화기 [幼穗分化期] | <농업> ▶ 이삭 생길 때 |
| 유수정리 [留數定理] | <전기> ▷ 나머지 정리(-定理) ※remainder theorem |
| 유수평균심 [流水平均深] | <임업> ▶ 경심(徑深) |
| 유수한 [有數-] | <행정> ▶ 두드러진 |
| 유수형성기 [幼穗形成期] | <농업> ▶ 배동받이 때 |
| 유숙 [乳熟] | <축산> ▶ 젖익음 |
| 유실물 [遺失物] | <행정> ▷ 잃어 버린 물건 |
| 유실하다 [遺失-] | <행정> ▷ 잃어 버리다 |
| 유아 [乳兒] | <행정> = 젖먹이 |
| 유아 [幼兒] | <행정> = 어린 아이 |
| 유아 [幼芽] | <행정> ▶ 어린 싹 |
| 유아등 [誘蛾燈] | <임업> ▷ 벌레잡이 등 |
| 유아신장구 [幼芽伸長球] | <행정> ▶ 싹난 알 |
| 유안 [硫安] | <행정> ▶ 황산암모니아 |
| 유압 [油壓] | <행정> ▷ 기름 압력 |
| 유약 [釉藥] | <미술> = 잿물 |
| 유언비어 [流言蜚語] | <행정> = 헛소문, 뜬소문 |
| 유연묵 [油煙墨] | <미술> ▷ 기름먹 |
| 유엽 [幼葉] | <행정> ▶ 어린 잎 |
| 유예 [猶豫] | <행정> = 미룸 |
| 유용하다 [流用-] | <행정> = 돌려 쓰다 |
| 유우 [幼牛] | <축산> ▶ (햇)송아지 |
| 유의하다 [留意-] | <행정> = 마음에 두다 |
| 유익비 [有益費] | <행정> ▷ 이로운 비용 |
| 유인 [誘因] | <법의학> ▷ 유발 요인 ※inducing factor |
| 유인물 [油印物] | <행정> ▷ 등사물, 인쇄물 |
| 유인제 [誘引劑] | <행정> ▶ 꾐약 |
| 유인하다 [誘引-] | <행정> = 꾀어 내다 |
| 유일 [唯一] | <행정> = 오직 하나 |
| 유입하다 [流入-] | <행정> ▷ 흘러 들다 |
| 유입흔 [流入痕] | <법의학> ▷ (전류) 들자국 ※entrance mark |
| 유자격자 [有資格者] | <행정> ▷ 자격 있는 사람 |
| 유자망 [流刺網] | <행정> ▶ 흘림걸그물 |
| 유자수림 [有刺樹林] | <임업> ▶ 가시(나무)숲 |
| 유저 [user] | <행정> ▶ 사용자 |
| 유전스 빌 [usance bill] | <경제> ▷ 기한부 어음 |
| 유조 [幼鳥] | <임업> ▷ 어린새 |
| 유조 [留鳥] | <임업> ▷ 텃새 |
| 유종 [油種] | <행정> ▶ 기름 종류 |
| 유종의 미 [有終-美] | <행정> = 훌륭한 끝맺음 |
| 유즙 [乳汁] | <행정> ▶ 액체, 젖, 즙 |
| 유증 [遺贈] | <행정> ▶ 유언 증여 |
| 유증 우편낭 | <행정> ▷ 등기 우편 자루 |
| 유지 [乳脂] | <축산> ▶ 젖기름 |
| 유지 [油紙] | <행정> ▷ 기름종이 |
| 유지 [油脂] | <행정> ▷ 기름 |
| 유지 [溜池] | <행정> ▶ (연)못, 웅덩이, 둠벙 |
| 유지 [留止] | <행정> ▷ 정지, 멈추게 함, 금지시킴 |
| 유지 [維持] | <행정> = 이어감 |
| 유지 [遺志] | <행정> = 남긴 뜻 |
| 유지근 [幼支根] | <행정> ▶ 어린 갈림 뿌리 |
| 유착 [癒着] | <행정> ▷ 엉겨붙기/엉겨붙음, <법의학> ▶ 부착, 붙음 ※adhesion, synechia |
| 유창 [油倉] | <행정> ▷ 기름 창고 |
| 유첨 [有添] | <행정> ▶ 붙임 |
| 유추 [幼雛] | <축산> ▶ (햇)병아리 |
| 유추사료 [幼雛飼料] | <축산> ▶ (햇)병아리 먹이 |
| 유축 [幼畜] | <축산> ▶ 어린 가축 |
| 유출률 [流出率] | <임업> ▷ 유출 계수 |
| 유출하다 [流出-] | <행정> = 흘러 나오다, 흘러 나가다 |
| 유출흔 [流出痕] | <법의학> ▷ (전류) 날자국 ※exit mark |
| 유충 [幼蟲] | <행정> = 애벌레 |
| 유충 포살 [幼蟲捕殺] | <행정> ▶ 애벌레 잡기 |
| 유치 [幼雉] | <임업> ▷ 어린 꿩, 새끼 꿩 |
| 유치 [誘致] | <행정> = 붙들어 둠, 보관 |
| 유치 증서 [留置證書] | <행정> ▶ 보관 증서 |
| 유치목 [誘致木] | <임업> ▶ 유인목(誘引木) |
| 유치선 [留置線] | <전철> ▷ 주차선 |
| 유카 [床, ゆか] | <건설> ▶ 바닥 |
| 유카아가리 [床上がり] | <봉제> ▶ 치마 끝높이 |
| 유키 [裄, ゆき] | <패션> ▶ 화장 |
| 유탄포 [湯湯婆, ゆたんぽ] | <행정> ▶ 자라통 |
| 유탈 [遺脫] | <행정> ▶ 빠뜨림 |
| 유탈하다 [遺脫-] | <행정> ▶ 빠뜨리다, 빠지다 |
| 유턴 [U-turn] | <언론> = 되돌(리)기, 선회 ¶뮤추얼 펀드 자금 채권 시장으로 U턴도. |
| 유토 [幼兎] | <축산> ▶ 어린 토끼 |
| 유토곡선 [流土曲線] | <임업> ▷ 토량곡선(土量曲線) |
| 유토공 [留土工] | <임업> ▶ 흙막이 |
| 유토리 (←유도리) [ゆとり] | <패션> <봉제> ▶ 늘품, 여유분, <행정> ▶ 융통, 여유 |
| 유통 [油筒] | <미술> ▷ 기름 종지 |
| 유통 콤플렉스 [流通 complex] | <언론> ▶ 유통 단지 ¶광주○○○백화점은 이번 기업 공개로 조달한 자금으로 백화점 옆의 부지를 사들여 유통 콤플렉스를 만들 계획이다. |
| 유틸리티 [utility] | <언론> ▶ 공익 (사업) ¶에너지·유틸리티·금융 등 10개의 경제 분야로 분류하고 있다. |
| 유포하다 [流布-] | <행정> ▷ 퍼뜨리다 |
| 유피에스 [U.P.S.] | <행정> ▷ 무정전 전원 장치 |
| 유하다 [有-] | <행정> ▷ 있다 |
| 유한 [有限] | <전기> ▶ 경계(境界) |
| 유할 시 [有(時)] | <행정> ▶ 있을 때 |
| 유합 [癒合] | <임업> ▶ 아묾 |
| 유해 조수 [有害鳥獸] | <임업> ▷ 해로운 짐승 |
| 유해하다 [有害-] | <행정> ▷ 해롭다 |
| 유혜 [油鞋] | <민속> ▷ 진신 |
| 유황 [硫黃] | <행정> = 황 |
| 유효경 비율 [有效莖比率] | <임업> ▶ 참줄기 비율 |
| 유효분얼 최성기 [有效分蘖最盛期] | <축산> ▶ 참새끼치기 최성기 |
| 유효분얼 한계기 [有效分蘖限界期] | <축산> ▶ 참새끼치기 한계기 |
| 유효분지수 [有效分枝穗] | <농업> ▶ 참가지 수 |
| 유효수수 [有效穗數] | <농업> ▶ 참이삭 수 |
| 유효장 [有效場] | <전철> ▷ 유효 길이 |
| 유효적으로 [有效的-] | <행정> ▷ 효과있게 |
| 유휴 노동력 [遊休勞動力] | <행정> = 노는 일손 |
| 유휴시간 [遊休時間] | <정치> ▷ 쉬는 시간 |
| 유휴지 [遊休地] | <행정> ▷ 노는 땅 |
| 유희 [遊戱] | <행정> ▷ 놀이 |
| 육 [肉] | <식생활> ▶ 고기, 살코기, <행정> ▷ (살)고기 |
| 육각축 [六角築] | <임업> ▶ 육모 쌓기, 벌집 쌓기 |
| 육계 [肉髻] | <미술사> ▷ 살상투, 육계 ※protrusion on the top of Buddha |
| 육계 [肉鷄] | <축산> ▶ 고기닭 |
| 육교 [陸橋] | <행정> ▷ 구름다리 |
| 육도 [陸稻] | <행정> ▶ 밭벼 |
| 육돈 [肉豚] | <축산> ▷ 살퇘지 |
| 육로 전송료 [陸路傳送料] | <행정> ▷ 육로 전송 운송료 |
| 육림 [育林] | <행정> ▷ 수풀/나무 가꾸기 |
| 육림의 날 [育林-] | <행정> ▷ 수풀/나무 가꾸는 날 |
| 육묘 [育苗] | <행정> ▶ 모기르기 |
| 육묘대 [育苗垈] | <농업> ▶ 밭모판 |
| 육묘상 [育苗床] | <농업> ▶ 못자리 |
| 육상 [陸上] | <행정> = 뭍 |
| 육서 동물 [陸棲動物] | <임업> ▷ 뭍살이 동물 |
| 육아 [育兒] | <행정> = 아기 기르기, 아기 키우기 |
| 육안으로 [肉眼-] | <행정> ▷ 눈으로 |
| 육옥근 [陸屋根] | <행정> ▶ 평판 지붕 |
| 육용 종계 [肉用種鷄] | <행정> ▶ 고기용 씨닭 |
| 육용 증기 보일러 [陸用-] | <행정> ▶ 육지용 증기 보일러 |
| 육용강재용 | <행정> ▶ 증기용 |
| 육우 [肉牛] | <행정> ▶ 고기소 |
| 육운 [陸運] | <임업> ▷ 육상 운재(陸上運材) |
| 육위 [六圍] | <임업> ▶ 여섯에움 |
| 육추 [育雛] | <임업> ▶ 새끼 기르기, 병아리 기르기 |
| 육후부 [肉厚部] | <행정> ▶ 두꺼운 데 |
| 윤곽 [輪廓] | <행정> = 테두리 |
| 윤번 [輪番] | <행정> = 차례 돌림 |
| 윤벌 [輪伐] | <행정> ▷ 돌림베기, 돌려베기 |
| 윤벌기 [輪伐期] | <행정> ▷ 돌림베기 주기 |
| 윤생 [輪生] | <임업> ▶ 돌려나기 |
| 윤생화 [輪生花] | <농업> ▷ 바퀴모양꽃 |
| 윤작 [輪作] | <농업> ▷ 돌려짓기 |
| 윤중제 [輪中堤] | <임업> ▶ 둘렛 둑, 섬둑 |
| 윤척 [輪尺] | <행정> ▷ 지름자, 캘리퍼스(calipers) |
| 윤 플랜지 [輪 flange] | <전철> ▷ 차 바퀴 턱 |
| 윤필 [潤筆] | <미술사> ▷ 젖은 붓질, 윤필 |
| 윤허 [允許] | <행정> ▶ 허락, 허가 |
| 윤화 [輪禍] | <행정> ▷ 차 사고 |
| 윤환 방목 [輪換放牧] | <행정> ▶ 옮겨 먹이기, 옮겨 놓아 먹이기 |
| 윤환채초 [輪換採草] | <농업> <행정> ▶ 옮겨 풀베기 |
| 율 [栗] | <임업> ▶ 밤 |
| 율목 [栗木] | <행정> ▷ 밤나무 |
| 율석 [栗石] | <행정> ▶ 호박돌, 막돌 <건축> |
| 융기 부분 [隆起部分] | <행정> ▷ 솟은 부분 |
| 융기문 토기 [隆起紋土器] | <고고학> ▷ 덧무늬 토기 ※pottery with appique decoration |
| 융통 [融通] | <행정> = 변통 |
| 으뜸덧널 [主槨] | <고고학> ▷ 주곽 ※main chamber |
| 은니 [銀泥] | <미술> ▷ 은물 |
| 은닉 재산 [隱匿財産] | <행정> ▷ 숨긴 재산 |
| 은닉하다 [隱匿-] | <행정> ▷ 감추다, 숨기다 |
| 은박액자 [銀箔額子] | <미술> = 은박틀 |
| 은비 [隱庇] | <행정> ▶ 숨김 |
| 은신 [隱身] | <행정> = 숨음 |
| 은아 [隱芽] | <임업> ▶ 숨은 눈 |
| 은연 [隱然] | <행정> ▷ 슬그머니 |
| 은연중 [隱然中] | <행정> = 남이 모르는 동안 |
| 은폐 [隱蔽] | <행정> = 감춤, 가리어 숨김 |
| 은폐하다 [隱蔽-] | <행정> = 감추다, 숨기다 |
| 은피하다 [隱避-] | <행정> ▶ 피하다 |
| 음 [音] | <행정> ▷ 소리 |
| 음각 [陰刻] | <미술> = 오목새김 |
| 음건(법) [陰乾(法)] | <행정> ▶ 그늘 말리기 |
| 음곡 [音曲] | <행정> ▶ 음악 |
| 음모 [陰謀] | <행정> = 몰래 꾸밈 |
| 음성 기능 [音聲機能] | <행정> ▷ 소리 기능 |
| 음수 [陰樹] | <임업> ▶ 음지나무 |
| 음수량 [飮水量] | <축산> ▶ 물 먹는 양 |
| 음영 [陰影] | <행정> ▷ 그늘, 그림자 |
| 음용수 [飮用水] | <식생활> <행정> ▶ 마시는 물, 먹는 물 |
| 음용에 공하는 (물에) [-供-] | <행정> ▶ 마시는 (물에) |
| 음용유 [飮用乳] | <행정> ▶ 마시는 우유 |
| 음행 [淫行] | <행정> ▷ 음란한 짓 |
| 응결 [凝結] | <행정> ▷ 엉김 |
| 응난함 [應難-] | <행정> ▶ 대하기 어려움 |
| 응능 부담 [應能負擔] | <행정> ▶ 능력에 따른 부담 |
| 응답 [應答] | <행정> = 대답 |
| 응당 [應當] | <행정> = 마땅히 |
| 응당일 [應當日] | <행정> ▶ 그 날 |
| 응동 [應動] | <행정> ▶ 따라 움직임 |
| 응분 [應分] | <행정> ▷ 알맞음 |
| 응소 [應召] | <행정> ▶ 소집에 응함 |
| 응수 [鷹狩] | <민속> ▷ 매사냥 |
| 응신 [應信] | <행정> ▶ 회답 |
| 응집 [凝集] | <행정> = 엉김 |
| 응하다 [應-] | <행정> = 따르다 |
| 응하중 [應荷重] | <전철> ▷ 중량 감지기 |
| 의거하다 [依據-] | <금융> ▷ ~에 따르다 |
| 의거하여 [依據-] | <행정> = 따라서, 좇아서, 근거 삼아 |
| 의관 [衣冠] | <정치> ▷ 옷차림 |
| 의구심 [疑懼心] | <정치> = 의심 |
| 의낭 [衣囊] | <행정> ▶ 호주머니, 옷주머니 |
| 의당 [宜當] | <행정> = 마땅히 |
| 의뢰 [依賴] | <행정> = 맡김, 부탁 |
| 의뢰하다 [依賴-] | <행정> = 맡기다, 부탁하다 |
| 의료 부조 대상자 [醫療扶助對象者] | <행정> ▷ 의료 혜택 대상자 |
| 의료 수가 [醫療酬價] | <행정> ▶ 진료비, 치료비 |
| 의류 [衣類] | <행정> = 옷가지 |
| 의명 [依命] | <행정> ▷ 명에 따라 |
| 의미 [意味] | <행정> = 뜻 |
| 의법 조치 [依法措置] | <행정> ▷ 법에 따라 처리 |
| 의복 [衣服] | <행정> = 옷 |
| 의빈대 [擬牝臺] | <축산> ▶ 암틀 |
| 의사 [縊死] | <법의학> ▶ 목 맴 ※hanging |
| 의사 [意思] | <행정> = 생각, 마음, 뜻 |
| 의사 유전체 [擬似誘電體, artificial dielectrodic] | <전기> ▷ 인공 유전체(人工誘電體) |
| 의사 케이블 [擬似-, building-out cable] | <전기> ▷ 시험용 케이블(試驗用-) |
| 의아한 [疑訝-] | <행정> ▷ 의심스러운 |
| 의외 [意外] | <행정> = 뜻밖 |
| 의의 [意義] | <행정> = 뜻 |
| 의잠 [蟻蠶] | <잠업> ▶ 개미누에, 애누에 |
| 의장품 [艤裝品] | <행정> ▶ 선박 장비 |
| 의제 [擬制] | <행정> ▶ 여김, 간주하기 |
| 의중 [意中] | <행정> ▷ 마음속, 속마음 |
| 의하여 [依-] | <행정> ▷ 따라 |
| 의흔 [縊痕] | <법의학> ▶ 목 맨 자국 ※hanging mark |
| 이 [李] | <임업> ▶ 자두 |
| 이 [梨] | <임업> ▶ 배 |
| 이 [耳] | <미술> ▶ 귀 <염색 공예> |
| 이메일 [e-mail] | <언론> ▷ 전자 우편 |
| 이가일동 주택 [離家壹] | <행정> ▶ 외딴집 |
| 이가타 (←이가다) [鑄型, いがた] | <건설> ▶ 거푸집 |
| 이각 [耳殼] | <행정> ▶ 귓바퀴 |
| 이강 [以降] | <행정> ▶ 이후, 다음, 뒤 |
| 이개 [耳介] | <축산> ▶ 귓바퀴 |
| 이격 거리 [離隔距離] | <행정> ▶ 떨어진 거리, <전철> ▷ 벌림 거리 |
| 이견 [異見] | <행정> ▷ 다른 의견, 다른 견해 |
| 이계건 주택 [貳階建住宅] | <행정> ▶ 이층집 |
| 이관하다 [移管-] | <행정> ▷ 넘기다 |
| 이궁 [離宮] | <건축사> ▷ 별궁, 이궁 ※detached palace or imperial villa |
| 이그조틱 [exotic] | <패션> ▶ 이국풍 |
| 이글 [eagle] | <골프> = 이글 |
| 이기 시행 [移記施行] | <행정> ▷ 옮겨 적음 |
| 이기작 [二期作] | <농업> ▶ 두 번 짓기 |
| 이기하다 [移記-] | <행정> ▷ 옮겨 적다 |
| 이나리즈시 [稻荷鮨, いなりずし] | <식생활> ▶ 유부초밥 |
| 이내에 [以內-] | <행정> ▷ 안에 |
| 이너 [←프.bustier] | <패션> ▶ 뷔스티에, 속옷 |
| 이너 로터 모터 [inner rotor motor] | <전기> ▷ 내전형(內轉形-) 전동기 |
| 이너 부츠 [inner boots] | <스키> ▶ 안쪽 신발 |
| 이너 서클 [inner circle] | <언론> ▶ 패거리 ¶또한 고시 합격자들은 ‘동기(同期)’끼리 폐쇄적인 ‘이너 서클’을 형성해 개방적이고 공정한 행정 발전을 저해한다. |
| 이너 웨어 [inner wear] | <패션> ▶ 속옷 |
| 이너 커브 [inner curve] | <스케이트> ▶ 안쪽 곡선 |
| 이너 코스 [inner course] | <스케이트> ▶ 안쪽 길/주로 |
| 이노베이션 [innovation] | <언론> ▶ (기술) 혁신 ¶가격 정책, 원가 절감, 규모의 경제 등 고전적인 경쟁력 요인 외에 ‘이노베이션’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이노베이터 [innovator] | <패션> ▶ 혁신자 |
| 이누바시리 [犬走り, いぬばしり] | <건설> ▶ 소단, 중턱, 둑턱 |
| 이니셔티브 [initiative] | <생활외> ▶ 주도권 ¶월요일자 신문까지 제작하는 이니셔티브를 취했다. <언론> ▶ 주도권, 선제권 ¶부시 정부도 클린턴 시대만큼은 아니라 해도 남쪽의 이니셔티브에 의한 대북 유인 정책에 공감하고 지지를 나타냈다. |
| 이니셜 [initial] | <생활외> <언론> <패션> ▶ 머리글자 ¶단서가 될 만한 것은 겨우 영문 이니셜이었다. ¶쇼월터 감독은 “스무 살 풋내기 신인인 BK(김병현의 이니셜)가 보여준 눈부신 피칭이 다른 투수들에게 좋은 자극제가 된 것 같다”라고 말했다. |
| 이당 [飴糖] | <식생활> ▶ (검은)엿 |
| 이대소야아 [二帶小夜蛾] | <잠업> ▶ 벼애나방 |
| 이대식 [履帶式] | <임업> ▶ 무한궤도식 |
| 이데올로기 [독.Ideologie] | <행정> <생활외> = 이념 ¶신보수우익 이데올로기도 위기에 빠졌다. |
| 이도 [弛度] | <전기> ▷ 늘어짐, 처짐 (정도), <행정> ▶ 늘어지기 |
| 이도 [離島] | <행정> ▶ 외딴 섬 |
| 이도 정비 [弛度整備] | <행정> ▶ 늘어짐 정비, 늘어진 전선 정비 |
| 이동 [移動] | <행정> = 옮김 |
| 이동묘포 [移動苗圃] | <임업> ▷ 잠정 묘포 |
| 이동하다 [移動-] | <행정> = 옮기다 |
| 이디피에스국 기호 [E.D.P.S.-] | <행정> ▶ 전산국 기호 |
| 이레고미 [いれこみ] | <행정> ▶ 손님 부르기, 호객 |
| 이레반지 [入れ斑指] | <미술> ▶ 볼록 반지 |
| 이령림 [異齡林] | <임업> ▷ 다른 나이 숲 |
| 이례사태 [異例事態] | <전철> ▶ 돌발 상황 |
| 이례적인 [異例的-] | <행정> = 예상치 않은 |
| 이로모노 [色物, いろもの] | <행정> ▶ 색(깔) 있는 것, <식생활> ▶ 색(깔) 고기 |
| 이로미 [色見, いろみ] | <미술> ▶ 색보기<도자기 공예> |
| 이로즈리 [色刷, いろずり] | <신문> ▶ 색(깔) 인쇄 |
| 이류 증거서 [二類證據書] | <행정> ▷ 보관 증서 |
| 이리야배 | <행정> ▶ (멸치) 삶는 배 ※권현망에서 멸치 삶는 배 |
| 이마돌 [楣石] | <고고학> ▷ 이맛돌 ※headstone |
| 이(e) 마켓플레이스 [e-marketplace] | <언론> ▶ 전자 장터, 전자 상거래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장소를 마련해 주고 그 대가로 수수료를 챙긴다. 이른바 e 마켓플레이스다. |
| 이매저너티브 리얼리즘 [imaginative realism] | <연극> ▶ 상상적 사실주의 |
| 이머징 마켓 [emerging market] | <금융> <언론> ▶ 신흥 시장 ¶반면 현재 한국 주가는 선진국 시장의 약 절반 수준, 우리보다 못한 이머징 마켓의 약 80%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
| 이메일 [e-mail] | <언론> ▷ 전자 우편 |
| 이메일 그래버 [e-mail grabber] | <언론> ▶ 전자 우편 주소 추출기, 전자 우편 주소 수집기 ¶이메일 그래버는 인터넷 게시판을 검색해 글을 올린 사람들의 이메일(→전자 우편) 주소를 ‘자동 수집’하는 프로그램. |
| 이메일 리스트 [e-mail list] | <언론> ▶ 전자 우편 주소 목록 ¶이메일 마케팅(→전자 우편 판촉)이 번지면서 ‘이메일 리스트’를 상업적으로 대량 판매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 |
| 이메일 마케팅 [e-mail marketing] | <언론> ▶ 전자 우편 판촉 ¶이메일 마케팅이 번지면서 ‘이메일 리스트(→전자 우편 주소 목록)’를 상업적으로 대량 판매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 |
| 이메일 뱅킹 [e-mail banking] | <언론> ▶ 전자 우편 은행, 전자 우편 거래 ¶이메일 뱅킹, 휴대 전화 소액 결제와 같은 인터넷 금융 서비스의 수수료가 턱없이 비싸다. |
| 이면 [二眠] | <축산> ▶ 두 잠 |
| 이면 [裏面] | <행정> ▷ 속, 안, 뒤쪽 |
| 이면 도로 [裏面道路] | <행정> ▶ 뒷길 |
| 이모가로 [李某家-] | <행정> ▶ (이) 아무개 집으로 |
| 이모노 [鑄物, いもの] | <건설> ▶ 주물 |
| 이모메지 [芋目地, いもねじ] | <건설> ▶ 통줄눈, 통사춤 |
| 이모션 메모리 [emotion memory] | <연극> ▶ 정서 기억 |
| 이목 [餌木] | <행정> ▶ 먹이 나무 |
| 이미저리 [imagery] | <연극> ▷ 심상(心象) |
| 이미지 [image] | <미술> ▷ 영상, <생활외> ▷ 인상, 심상 ¶이미지 형성에 신경을 쓰고 있다. |
| 이미지 메이킹 [image making] | <언론> ▶ 이미지 만들기 ¶○○○ 회장의 특별한 관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 일부에서는 대권 도전을 염두에 둔 이미지 메이킹과 바닥 민심 훑기 차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
| 이미테이션 [imitation] | <생활외> <패션> ▶ 모조, 흉내, 모방 ¶나의 이미테이션이 가장 근사치에 가깝다. |
| 이미테이션 레더 [imitation leather] | <패션> ▶ 인조 가죽 |
| 이미테이션 모델 [imitation model] | <언론> ▶ 닮은꼴 모델 ¶흔히 ‘이미테이션 모델’로 불리는 이들을 미국 광고 업계에서는 임퍼스네이터라고 부른다. |
| 이미테이션 퍼 [imitation fur] | <패션> ▶ 인조 모피 |
| 이미테이션 프렌치심 [imitation french seam] | <봉제> ▷ 덧통솔 |
| 이바리 [鑄張り] | <미술> ▶ 비짐이 |
| 이박 [飴粕] | <식생활> ▶ 엿밥 |
| 이발 [裏拔] | <농업> ▶ 등때깔 |
| 이방인 [異邦人] | <행정> = 다른 나라 사람 |
| 이백 [裏白] | <농업> ▶ 등바램 |
| 이백삽병 [裏白澁病] | <농업> ▶ 뒷면 흰가루병 |
| 이번지 [二番枝] | <임업> ▶ 둘째 가지 |
| 이법 [裏法] | <행정> ▶ 뒷면 기울기 |
| 이베이전 존 [evasion zone] | <사이클> ▶ 회피/안전 지대 |
| 이벤트 [event] | <생활외> ▶ 사건, 행사 ¶이번 이벤트는 성공적이었다. <언론> <패션> ▷ (기획) 행사 ¶야외 무대에선 개장일 축하 이벤트인 뮤지컬 ‘난타’의 공연이 있으며 호텔 로비에선 시베리아 동물 사진전을 상설 전시한다. |
| 이병 [痢病] | <행정> ▶ 설사병 |
| 이병 [罹病] | <행정> ▶ 병 걸림 |
| 이병목 [罹病木] | <행정> ▶ 병든 나무 |
| 이병수 [罹病樹] | <행정> ▶ 병든 나무 |
| 이병자 [罹病者] | <행정> ▶ 병든 이, 앓는 이 |
| 이분가리 [二分刈] | <행정> ▶ 두푼 깎기 |
| 이분 [泥粉] | <행정> ▶ 담배 가루 |
| 이브닝 드레스 [evening dress] | <패션> ▷ 야회복 |
| 이브닝 백 [evening bag] | <패션> ▷ 야회 가방 |
| 이브닝 코트 [evening coat] | <패션> ▷ 야회 코트 |
| 이브닝스 빌 [evening's bill] | <연극> ▶ 상연 종목 |
| 이븐 [even] | <골프> ▷ 동점 |
| 이산가족 [離散家族] | <행정> = 헤어진 가족 |
| 이상 [以上] | <행정> = 이만, 끝 |
| 이상 [異常] | <법의학> ▷ 비정상, 이상 ※abnormality |
| 이상 반응 [異常 反應] | <법의학> ▷ 비정상 반응, 이상 반응 ※abnormality reaction |
| 이상 주행 [異常 走行] | <법의학> ▷ 비정상 주행, 이상 주행 ※disorder travel |
| 이상 탈의 [異常 脫衣] | <법의학> ▷ 비정상 탈의, 이상 탈의 ※paradoxical undressing |
| 이상침식 [異常浸蝕] | <임업> ▶ 가속 침식(加速浸蝕) |
| 이색적 [異色的] | <행정> = 색 다른 |
| 이서 [移書] | <행정> ▷ 옮겨 씀 |
| 이서 [裏書] | <행정> ▷ 뒷보증 |
| 이석 [離石] | <임업> ▶ 떨어진 돌 |
| 이석하다 [離席-] | <행정> ▷ 자리 뜨다 |
| 이선 [異線] | <행정> ▷ 다른 선 |
| 이선 진입 [異線 進入] | <전철> ▷ 타선 진입 |
| 이설 도로 [移設道路] | <행정> ▶ 옮긴 길 |
| 이성휴 [二盛畦] | <농업> ▶ 두가옷지기 |
| 이세 [いせ] | <봉제> ▶ 홈줄임, <패션> ▶ 여유분(줄임), 홈 줄임 |
| 이송하다 [移送-] | <행정> ▷ 보내다 |
| 이수 [蛦首] | <건축사> ▷ 용머리 장식, 이수 ※ornamental top in the form of hornless dragon for a stele, bell, stone post or bronze vessel |
| 이수하다 [履修-] | <행정> = 마치다, 밟다 |
| 이순 [二筍] | <행정> ▶ 곁순, 둘쨋순 |
| 이슈 [issue] | <생활외> ▷ 논쟁거리, 쟁점, 논점 ¶현재 부각되고 있는 국제적인 이슈도 다루었다. <언론> ▷ 쟁점, 논점, 관심사 ¶집중 추적 오늘의 이슈. |
| 이스케이프 루트 [escape route] | <스키> ▶ 안전로 |
| 이스턴 그립 [eastern grip] | <테니스> ▷ (미국) 동부식 잡기/손잡이법 |
| 이시메 [石目, いしめ] | <미술> ▶ 송곳정 |
| 이시메오리 [石目織, いしめおり] | <패션> ▶ 새눈 조직 |
| 이시쓰미 [石積み] | <건설> ▶ 돌 쌓기 |
| 이시와리 [石割り] | <건설> ▶ 돌나누기 |
| 이식 [利息] | <행정> ▶ 이자 |
| 이식 [移植] | <임업> ▷ 옮겨 심기 |
| 이식하다 [移植-] | <행정> ▷ 옮겨 심다 |
| 이앙 [移秧] | <농업> ▷ 모내기, 모심기 |
| 이앙기 [移秧期] | <행정> ▷ 모내기 때, 모내기 철 |
| 이앙기 [移秧機] | <농업> ▷ 모심개 |
| 이앙밀도 [移秧密度] | <농업> ▷ 모내기 뱀새 |
| 이앙하다 [移秧-] | <행정> ▷ 모내다 |
| 이야포 [二夜包] | <농업> ▶ 한밤 묵히기 |
| 이양하다 [移讓-] | <행정> ▷ (··에게) 넘기다 |
| 이어 머프 [ear muff] | <패션> ▷ 귀덮개 |
| 이어 드롭 [ear-drop] | <패션> ▶ 귀고리 |
| 이어링 [earring] | <패션> ▶ 귀고리 |
| 이에 반해 [-反-] | <행정> ▷ 이와 달리, 이와 반대로 |
| 이연 일수 [移延日數] | <행정> ▶ 늦어진 날 수 |
| 이완되다 [弛緩-] | <행정> ▷ 풀어지다, 느즈러지다, 늘어지다 |
| 이원 [利源] | <금융> ▶ 이익 원천 |
| 이월하다 [移越-] | <행정> ▷ 넘어가다, 넘기다 |
| 이유 [理由] | <행정> = 까닭 |
| 이유 [離乳] | <행정> ▷ 젖떼기 |
|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 <행정> ▷ 까닭이 어떠하든 |
| 이유기 [離乳期] | <행정> ▷ 젖 뗄 때 |
| 이의 [異議] | <행정> ▷ 다른 의견, 반대 의견 |
| 이임시 [離任時] | <행정> ▷ 떠날 때 |
| 이입 [移入] | <행정> ▷ 옮겨 옴 |
| 이입하다 [移入-] | <행정> ▷ 옮겨 넣다 |
| 이자 [利子] | <경제> = 길미, 변(리) |
| 이장 [泥匠] | <행정> ▶ 흙바르기, 미장이 |
| 이장 시간 [罹障時間] | <행정> ▶ 고장 시간 |
| 이재보상 [罹災報償] | <행정> ▷ 재해 보상 |
| 이재자 [罹災者] | <행정> ▷ 재해를 입은 사람/자 |
| 이적 [利敵] | <행정> = 적을 이롭게 함 |
| 이적 [移積] | <행정> ▷ 옮겨 쌓기 |
| 이적 [離籍] | <행정> ▷ 호적 빼기 |
| 이전적지 [移轉跡地] | <행정> ▶ 옛터, 떠난 자리 |
| 이전하다 [移轉-] | <행정> = 옮기다 |
| 이정표 [里程表] | <행정> = 길 안내판 |
| 이젤 [easel] | <미술> = 삼각대 |
| 이조대맥 [二條大麥] | <행정> ▶ 두줄보리, 맥주보리 |
| 이종 [異種] | <행정> ▷ 다른 곡식 |
| 이종곡립 [異種穀粒] | <행정> ▶ 딴 곡식알 |
| 이종피색립 [異種皮色粒] | <행정> ▶ 딴 색 알 |
| 이주 [梨酒] | <식생활> ▶ 배술 |
| 이중 [二重] | <행정> = 두 겹, 거듭 |
| 이중등재 [二重登載] | <정치> = 두 번 기록 |
| 이지 [二肢] | <행정> ▶ 두 팔 |
| 이지 아이롱 [easy iron] | <패션> ▶ 다리기 쉬움 |
| 이지 오더 [easy order] | <패션> ▶ 간이 주문(복) |
| 이지메 [いじめ] | <행정> ▶ (집단) 괴롭힘 |
| 이차 [利差] | <경제> <금융> ▷ 금리차(이) |
| 이차장 [二次葬] | <고고학> ▷ 두 벌 묻기, 이차장 ※secondary burial |
| 이첩하다 [移牒-] | <행정> ▷ 넘기다 |
| 이청 [裏靑] | <농업> ▶ 등푸름 |
| 이체 [移替] | <행정> ▷ 넘겨줌 |
| 이초누노 [銀杏布, いちょぬの] | <봉제> ▶ 은행잎천 |
| 이충 [裏充] | <임업> ▶ 뒤채움 |
| 이충력 [裏充礫] | <임업> ▶ 뒤채움 자갈 |
| 이취하다 [泥醉-] | <행정> ▶ 심하게 취하다 |
| 이층 [離層] | <임업> ▷ 떨켜 |
| 이치마이 [一枚] | <건설> ▶ 한 장 (쌓기) |
| 이치마이소데 [一枚袖, いちまいそで] | <패션> <봉제> ▶ 한 장 소매 |
| 이치부 (←이찌부) [一分] | <미술> ▶ 한 푼, 3mm |
| 이치부베니어 [一分-, -veneer] | <건설> ▶ 3mm 합판, 일푼 합판 |
| 이치하다 [移置-] | <행정> ▶ 옮기다, 옮기어 설치하다 |
| 이카 (←이까) [烏賊, いか] | <행정> ▶ 오징어 |
| 이(e)커머스 [e-commerce] | <언론> ▶ 전자 상거래 ¶e 커머스에 비해 무제한적(unlimited·unbounced), 포괄적(umbrella)이며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ubiquitous) 전자 상거래라는 의미의 u 커머스가 주목받고 있다. |
| 이코노마이저 [economizer] | <전기> ▷ 절탄기(截炭機) |
| 이코노미스트 [economist] | <언론> ▷ 경제 전문가 ¶증권사 이코노미스트들 논란 벌여. |
| 이코미 [鑄込み] | <미술> ▶ 붓기 |
| 이콘 [프.icone] | <패션> ▷ 아이콘, 성상 |
| 이콜로지 [ecology] | <패션> ▷ 생태학 |
| 이콜로지 룩 [ecology look] | <패션> ▷ 생태학풍 |
| 이클렉티시즘 [eclecticism] | <연극> ▶ 절충주의 |
| 이키 [いき] | <행정> ▶ 되살이 |
| 이키오이 [いきおい] | <행정> ▶ 오름세 ※관객이 불어나는 현상 |
| 이타 (←이다) [板, いた] | <건설> <미술> ▶ 널(빤지), 판(자) |
| 이타메 [板目, いため] | <미술> ▶ 무늬결 |
| 이타바 [板場, いたば] | <행정> ▶ 숙수 |
| 이타자이 [板材, いたざい] | <미술> ▶ 판재 |
| 이탈리언 팀 레이스 [italian team race] | <사이클> ▶ 올림픽 스프린트 |
| 이탈하다 [離脫-] | <행정> = 벗어나다 |
| 이타바 [板場, いたば] | <식생활> ▶ 조리사, 숙수 |
| 이토 [泥土] | <행정> ▶ 진흙, 질흙, 개흙, 갯벌 |
| 이토노코 [糸鋸, いとだい] | <미술> ▶ 실톱 |
| 이토다이 [糸台, いとだい] | <봉제> ▶ 실패꽂이 |
| 이토마사 [糸柾, いとまさ] | <미술> ▶ 실결 |
| 이토마키 [糸卷, いとまき] | <봉제> ▶ (밑)실감개 |
| 이토안나이 [糸案內, いとあんない] | <봉제> ▶ 실잡이 |
| 이토키리 [糸切り, いときり] | <패션> <봉제> ▶ 실끊개 |
| 이판 [異板] | <임업> ▷ 뒤판 |
| 이판암 [泥板岩] | <임업> ▷ 혈암(頁巖) |
| 이품종 [異品種] | <농업> ▶ 다른 품종 |
| 이하 동문 [以下同文] | <행정> ▷ (다음은) 위와 같음 |
| 이하 생략 [以下省略] | <행정> ▷ 이하 줄임 |
| 이하 여백 [以下餘白] | <행정> ▷ (아래) 빈 칸 |
| 이하선 [耳下腺] | <축산> ▷ 귀밑샘 |
| 이합집산 [離合集散] | <정치> ▷ 뭉치고 흩어짐 |
| 이행 [履行] | <행정> = 실제로 행함 |
| 이환 [罹患] | <행정> ▶ 병 걸림 |
| 이환되다 [罹患-] | <행정> ▶ 병에 걸리다 |
| 이후 [以後] | <행정> = 뒤, 다음 |
| 이희심식충 [梨姬心食蟲] | <잠업> ▶ 배명 나방 |
| 익년 [翌年] | <행정> ▷ 다음 해, 이듬해 |
| 익명 [匿名] | <행정> = 이름 숨기기 |
| 익벽 [翼壁] | <임업> ▶ 날개벽 |
| 익사반 [溺死斑] | <법의학> ▷ 익사 반점 ※paltauf’s patch |
| 익사폐 [溺死肺] | <법의학> ▷ 익사 허파 ※drowned lung |
| 익스체인지 [exchange] | <행정> ▷ 바꾸다 |
| 익스터널 리얼리즘 [external realism] | <연극> ▶ 외면적 사실주의 |
| 익스텐션 [extension] | <전기> ▷ 연장기(延長器) |
| 익스텐션 코드 [extension cord] | <전기> ▷ 연장전선(延長電線) |
| 익스트루더 [extruder] | <미술> ▶ 흙끈틀 |
| 익스트림 스포츠 [extreme sports] | <언론> ▶ 극한 스포츠 ¶스카이다이빙 등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고 이 장면을 불법 인터넷 방송과 비디오로 유통시킨다. |
| 익스페러멘털 시어터 [experimental theatre] | <연극> ▶ 실험 연극 |
| 익스프레셔니즘 [expressionism] | <연극> ▶ 표현주의 |
| 익스플로전 샷 [explosion shot] | <골프> ▶ 폭발치기 |
| 익월 [翌月] | <행정> ▷ 다음 달 |
| 익익일 [翌翌日] | <행정> ▶ 다음다음 날 |
| 익일 [翌日] | <금융> ▷ 다음 날, 이튿날 |
| 익일/월/년 [翌日/月/年] | <행정> ▷ 이튿날, 다음 날/달/해, 이듬해 |
| 익충 [益蟲] | <행정> ▷ 이로운 벌레 |
| 익형제 [翼形堤] | <임업> ▶ 날갯둑 |
| 인 [印] | <행정> ▶ 도장 |
| 인 [in] | <생활외> ▶ 안쪽 |
| 인 바운드 [in bound] | <골프> ▶ 경기 지역 |
| 인 스토어 머천다이징 [in store merchandising] | <패션> ▶ 매장 구성/배치 |
| 인 에지 [in edge] | <스케이트> ▶ 안쪽 스케이트날, <스키> ▷ 안 모서리 |
| 인 코스 [in course] | <골프> ▷ 후반 코스 |
| 인 플라이트 [in flight] | <야구> ▶ 뜬공 |
| 인 플레이 [in play] | <축구> ▶ 경기 진행 |
| 인가요율 [認可料率] | <행정> ▷ 인가한 요금률 |
| 인각 [籾殼] | <행정> ▶ 왕겨 |
| 인감 개인 [印鑑改印] | <행정> ▶ 인감 변경 |
| 인거인 [隣居人] | <행정> ▶ 이웃 사람 |
| 인경 [鱗莖] | <행정> ▶ 비늘 줄기 |
| 인계 [引繼] | <행정> = 넘겨줌 |
| 인계하다 [引繼-] | <행정> = 넘겨주다 |
| 인공 부화 [人工孵化] | <행정> = 인공 알깨기 |
| 인공 소상 [人工巢箱] | <행정> ▶ 인공 새집 |
| 인공 수정 [人工受精] | <행정> = 인공 정받이 |
| 인과 관계 [因果關係] | <행정> = 원인 결과 관계 |
| 인구수 [人口數] | <행정> = 사람 수 |
| 인근 [隣近] | <행정> = 가까운 이웃 |
| 인근 마을 [隣近-] | <행정> = 이웃 마을 |
| 인근 주민 [隣近住民] | <행정> = 이웃 사람 |
| 인근 해역 [隣近海域] | <행정> = 가까운 해역/바다 |
| 인기삭 [引寄索] | <임업> ▶ 당김줄 |
| 인낙 [認諾] | <행정> ▶ 받아들임 |
| 인낙 조서 [認諾調書] | <정치> ▷ 인정 조서 |
| 인내 [忍耐] | <행정> = 참을성 |
| 인내를 갖고 [忍耐-] | <행정> = 참고 |
| 인대 [籾垈] | <농업> ▶ 볏섬 |
| 인더비주얼 캐릭터 [individual character] | <연극> ▶ 개성적 인물 |
| 인더비주얼 타임 트라이얼 로드 레이스 [individual time style='display:none'> trial road race] | <사이클> ▶ 개인 도로 기록 경기 |
| 인덱스 [index] | <생활외> ▷ 찾아보기 ¶인덱스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인덱스 펀드 [index fund] | <언론> ▶ 지수 연동형 기금 ¶삼성투신운용 ○○○ 팀장은 “인덱스 펀드가 점차 상장 지수 펀드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고 말했다. |
| 인도 [引渡] | <행정> = 건네줌 |
| 인도어 링크 [indoor rink] | <스케이트> ▶ 실내 스케이트장 |
| 인도어 테니스 [indoor tennis] | <테니스> ▷ 실내 테니스 |
| 인도하다 [引渡-] | <행정> ▷ 넘겨주다 |
| 인동 [隣洞] | <행정> ▶ 이웃 마을 |
| 인동 거리 [隣棟] | <행정> ▶ 이웃한 건물과의 거리 |
| 인동문양 [忍冬紋樣] | <미술사> ▷ 인동 무늬 ※honeysuckle patterns |
| 인두그림 [烙竹] | <민속> ▷ (대나무) 인두그림 |
| 인디 영화 [indie 映畵] | <언론> ▶ (저예산) 독립 영화 ¶랜드마크 극장의 캐리 존슨 부사장은 유례 없이 높은 예매율을 보인 이 영화를 ‘인디 영화의 스타워스’(→스타워즈)라고 불렀다. |
| 인디아 스타일 [india style] | <패션> ▶ 인도 양식 |
| 인디언 옐로 [indian yellow] | <패션> ▶ 인도황 |
| 인디케이터 [indicator] | <전기> ▷ 지시기(指示器), 지시계(指示計) |
| 인디펜던트 시어터 [independent theatre] | <연극> ▶ 독립 극장 |
| 인랜드 코스 [inland course] | <골프> ▶ 내륙 골프장 |
| 인려삭 [引戾索] | <임업> ▶ 되돌림줄 |
| 인로트 [inwrought] | <미술> ▶ 수놓기 |
| 인망 [引網] | <행정> ▶ 끌 그물 |
| 인멸하다 [湮滅-] | <행정> ▷ 없애다, 없애 버리다 |
| 인바이런멘털 시어터 [environmental theatre] | <연극> ▶ 환경 연극 |
| 인발 [引拔] | <미술> ▶ 뽑늘이 |
| 인발 명세서 [印撥-] | <행정> ▶ 날인 명세서 |
| 인방 [隣邦] | <행정> ▶ 이웃 나라 |
| 인버트 스커트 [inverted skirt] | <패션> ▷ 맞주름 치마 |
| 인보 [隣保] | <행정> ▶ 이웃돕기 |
| 인보이스 [invoice] | <행정> ▷ 송장, 보냄표 |
| 인부 [人夫] | <행정> ▷ 근로자 |
| 인부임 [人夫賃] | <행정> ▶ 품삯 |
| 인비 [人秘] | <행정> ▶ (인사) 비밀 |
| 인비테이션 매치 [invitation match] | <골프> ▶ 초청 경기 |
| 인비테이션 토너먼트 [invitation tournament] | <골프> ▶ 초청 경기 |
| 인사이드 [inside] | <볼링> ▶ 안자리 굴리기 |
| 인사이드 스키 [inside ski] | <스키> ▶ 안쪽 스키 |
| 인사이드 에징 [inside edging] | <스키> ▷ 안쪽 모서리 세우기 |
| 인사이튜 [in situ] | <임업> ▶ 현지 안, 현지 내 |
| 인삼 채굴 [人蔘採掘] | <행정> ▶ 인삼캐기 |
| 인삼박 [人蔘粕] | <행정> ▶ 인삼 찌꺼기 |
| 인상 [引上] | <행정> = 철수, 거둬들임, (값)올림 |
| 인상선 [引上線] | <전철> ▷ 정리선 |
| 인성 [靭性] | <행정> ▶ 질김새 |
| 인센티브 [incentive] | <경제> ▷ 보상/유인(책), <생활외> ▶ 유인책, 조성책 ¶정부는 각종 인센티브를 통해 기술 집약을 촉진하였다. <언론> ▷ 성과급, 유인책 ¶LA 다저스 ○○○의 2000년 연봉이 보장 금액 385만 달러와 인센티브 40만 달러를 포함해 총액 425만 달러로 전격 결정됐다. |
| 인쇄 봉서 [印刷封書] | <행정> ▷ 인쇄 봉함 편지 |
| 인수 [引受] | <행정> = 넘겨받음 |
| 인수서 [引受書] | <행정> ▷ 받음 확인서 |
| 인수증 [引受證] | <행정> ▷ 받음표 |
| 인수하다 [引受-] | <행정> = 넘겨받다 |
| 인수하다 [引水-] | <행정> ▶ 물을 끌어들이다 |
| 인스턴트 [instant] | <생활외> <행정> ▷ 즉석 (식품) ¶인스턴트 초밥의 특허권을 따내기도……. |
| 인스턴트 식품 [instant 食品] | <언론> <식생활> ▶ 즉석 식품 ¶“육류-인스턴트 식품 적게 드세요.” |
| 인스텝 [instep] | <볼링> ▶ 안쪽딛기 |
| 인스트럭터 [instructor] | <스키> ▶ 스키 지도자 |
| 인스피레이션 [inspiration] | <패션> ▶ 영감 |
| 인스트루먼트 스케줄 [instrument schedule] | <연극> ▶ 조명기 배치표 |
| 인시피언트 리얼리즘 [incipient realism] | <연극> ▶ 초기 사실주의 |
| 인식 불능하게 [認識不能-] | <행정> ▷ 알아볼 수 없게, 알 수 없게 |
| 인식하다 [認識-] | <행정> = 알다, 이해하다 |
| 인신 구속 [人身拘束] | <행정> ▷ 사람 가둠 |
| 인안 [燐安] | <농업> ▶ 인산암모니아 |
| 인양하다 [引揚-] | <행정> = 건져내다, 끌어올리다 |
| 인어 스커트 [人魚 skirt] | <패션> ▷ 인어 치마 |
| 인영 [印影] | <행정> ▶ 도장 자국 |
| 인예하여 [引曳-] | <행정> ▶ 끌어서 |
| 인용 [忍容] | <행정> ▶ 참아 견딤 |
| 인용하다 [引用-] | <행정> = 끌어 쓰다 |
| 인용하다 [認容-] | <행정> ▶ 인정하여 받아들이다 |
| 인우 보증 [隣友保證] | <행정> ▶ 이웃 보증 |
| 인육 [印肉] | <행정> ▶ 도장밥, 인주(印朱) |
| 인인 [認印] | <행정> ▶ 확인 도장 |
| 인인 [隣人] | <행정> ▶ 이웃 사람 |
| 인입 [引入] | <행정> ▶ 끌어들임 |
| 인입선 [引入線] | <행정> ▶ 끌어들임줄, 끌어들임선 |
| 인장 [印章] | <행정> ▷ 도장 |
| 인저리 [injury] | <배드민턴> ▶ 부상 |
| 인접주 [隣接株] | <임업> ▶ 옆그루 |
| 인접한 [隣接-] | <행정> = 가까운, 이웃한 |
| 인족 관계 [姻族關係] | <행정> ▶ 인척 관계 |
| 인주 [印朱] | <행정> = 도장밥 |
| 인준 [認准] | <정치> ▷ 승인 |
| 인줄 [人-] | <민속> ▷ 금줄, 인줄 |
| 인증 [認證] | <행정> ▷ 인정 증명 |
| 인지 [認知] | <행정> = 그리 여김 |
| 인지 [隣地] | <행정> ▶ 인접 지역, 이웃 땅 |
| 인지하는 바 [認知-] | <행정> = 아는 바 |
| 인체 활차 [引締滑車] | <임업> ▶ 죔도르래 |
| 인체삭 [引締索] | <임업> ▶ 죔줄 |
| 인초 [藺草] | <농업> ▶ 골풀 |
| 인축 [人畜] | <행정> ▶ 사람과 가축 |
| 인출 [引出] | <행정> ▷ (돈)찾음 |
| 인출하다 [引出-] | <행정> ▷ 찾다, 찾아가다 |
| 인출해 가다 [引出-] | <행정> = 찾아가다 |
| 인치키 [いんちき] | <행정> ▶ 속임수, 야바위 |
| 인치키바코 [いんちき箱] | <행정> ▶ 비규격 상자 |
| 인치하다 [引致-] | <행정> ▶ 끌어 오다 |
| 인콰이어리 [inquiry] | <생활외> ▶ 문의 ¶중국으로부터 철근 수입 인콰이어리가 폭증하였다. |
| 인큐베이터 [incubator] | <행정> = 배양기 |
| 인큐베이팅 펀드 [incubating fund] | <언론> ▶ 창업 보육 자금 ¶국제 자본 시장 진출을 지원할 ‘나스닥 IT 인큐베이팅 펀드’ 국내 업무 집행 조합원을 선정했다. |
| 인클라인드 플래시 [inclined flash] | <스키> ▶ 비탈 깃대 |
| 인터내셔널 [international] | <생활외> ▶ 국제(적) ¶인터내셔널 문제라 전문가가 필요하다. |
| 인터내셔널 챔피언십 [international championship] | <승마> ▶ 국제 승마 선수권 대회 |
| 인터널 리얼리즘 [internal realism] | <연극> ▶ 내면적 사실주의 |
| 인터넷 커뮤니티 [internet community] | <언론> ▶ 인터넷 동아리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공돌이’(공대 출신의 비속어)와 ‘과학도’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
| 인터랙티브 [interactive] | <언론> ▶ 양 방향, 쌍 방향 ¶영상물 속의 사람 이미지와 관객이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꾸며 디지털 시대 소통의 기능성을 모색한 파인 골드의 인터랙티브 설치 미술. |
| 인터로크 [interlock] | <봉제> = 푸서 두줄박기, 푸서 두줄박음, <패션> ▶ 양면 편성물 |
| 인터로크 기법 [interlock 技法] | <미술> = 짜잇기 |
| 인터로킹 그립 [interlocking grip] | <골프> ▶ 갈고리 쥐기(법) |
| 인터벌 [interval] | <배드민턴> ▶ 휴식 시간 |
| 인터벌 스피드 [interval speed] | <스키> ▶ 기문 간 속도 |
| 인터벌 타이밍 [interval timing] | <스키> ▶ 구간 활주 시간, 구간 통과 시간 |
| 인터뷰 [interview] | <생활외> ▷ 회견, 면접 ¶얼마전 한 시사 주간지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
| 인터셉트 [intercept] | <하키> <핸드볼> ▶ 가로채기 |
| 인터워드 린 [interward lean] | <스키> ▶ 안쪽 기울이기 |
| 인터체인지 [interchange] | <생활외> ▷ 입체 교차로 ¶올림픽 대로 화곡 인터체인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
| 인터클럽 매치 [interclub match] | <골프> ▶ 클럽 대항전 |
| 인터페이스 [interface] | <언론> ▶ 접속 (장치) ¶영화 곳곳에 등장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는 향후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 반응이라는 관점에서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
| 인터폰 [interphone] | <행정> ▷ 구내/내부 전화 |
| 인터피어 [interfere] | <농구> ▷ 골대 접촉, <배구> ▶ 경기 방해, <배드민턴> ▶ 방해 반칙, <사이클> ▶ 진로 방해, <핸드볼> ▶ 끼어들기 |
| 인턴 사원 [intern 社員] | <생활외> ▶ 실습 사원 ¶대학교 4학년 대상으로 인턴사원 모집 중이다. |
| 인테루 [inter(line)] | <신문> ▶ 인테르 |
| 인테르메치 [intermezzi] | <연극> ▶ 막간 여흥 |
| 인테리어 [interior] | <언론> ▷ 실내 장식 ¶중구 청계천 7, 8가의 황학동 벼룩 시장은 시장 규모나 상품의 구색 면에서 대표적인 중고 시장. 골동품부터 인테리어 소품까지 온갖 품목이 나와 있다. |
| 인텐셔널 베이스 온 볼즈 [intentional base on balls] | <야구> ▶ 볼 넷, 고의사구 |
| 인텐셔널 파울 [intentional foul] | <야구> ▶ 고의 반칙 |
| 인텔리 [←intelligentzia] | <생활외> ▶ 지식인, 지식층 |
| 인텔리전트하다 [intelligent-] | <생활외> ▶ 지적이다 |
| 인통선 [引通線] | <전철> ▷ 직통선 |
| 인트라넷 [intranet] | <언론> ▶ 내부 전산망 ¶○ 부회장은 인트라넷에 재미있는 내용을 많이 올리라고 주문하는가 하면…. |
| 인티파다 [intifada] | <언론> ▶ 무장 봉기, 무장 투쟁 ¶사건에 항의하다 이스라엘 군의 총격을 받아 1000여 명이 숨지자 1차 인티파다를 시작했다. |
| 인편 [鱗片] | <행정> ▶ 쪽 |
| 인포멀 웨어 [informal wear] | <패션> ▶ 준예복 |
| 인포메이션 [information] | <행정> ▶ 정보 |
| 인포이미징 [info-imaging] | <언론> ▶ 영상 정보 ¶그는 최근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 붐(→대유행)에 대해 ‘인포이미징’ 시대가 시작됐다고 했다. |
| 인프라 [infra-structure, infra] | <언론> ▷ 기간 시설, 기반 시설 ¶더욱이 이들 국가는 다가오는 21세기에 대비, ‘탈 석유 산업’을 선언하고 제조업 육성과 산업 인프라 구축에 경쟁적으로 나서는 등···, <경제> ▷ 기반 구조, 산업 기반 |
| 인프레 [inflation] | <행정> ▶ 인플레이션 |
| 인플레이션 [inflation] | <행정> = 물가 오름세 |
| 인플렉션 [inflection] | <연극> ▶ 억양 |
| 인플루엔자 [influenza] | <행정> ▷ 돌림 감기, 유행성 감기 |
| 인피 [人被] | <행정> ▶ 인적 피해, 사람 피해 |
| 인하 [引下] | <행정> = (값) 내림 |
| 인하 공용 [人荷共用] | <행정> ▶ 사람 짐 공동 사용 |
| 인하여 [因-] | <행정> = 말미암아, 때문에 |
| 인하우스 [in-house] | <언론> ▶ 계열사 ¶대기업의 인하우스가 많은 국내 광고 업계에 대해 그는 “한국의 독특한 상황에 대해 잘은 모른다”고 전제한 뒤…. |
| 인하하다 [引下-] | <행정> = 낮추다, 내리다 |
| 인허 [認許] | <행정> ▷ 인정하여 허락함 |
| 인허율 [認許率] | <경제> ▶ 인정 비율 |
| 인화문 [印花紋] | <미술> ▷ 찍은 무늬, <고고학> ▷ 도장 무늬 ※stamped design |
| 일개소 [一個所] | <행정> ▶ 한 군데 |
| 일거수 일투족 [一擧手一投足] | <행정> = 행동 하나하나 |
| 일거에 [一擧-] | <행정> = 단번에 |
| 일견 [一見] | <행정> = 언뜻 (보기에) |
| 일고 [一考] | <행정> ▶ 한 번 생각함 |
| 일고 [日雇] | <행정> ▶ 날품팔이 |
| 일공입 [一空叺] | <행정> ▶ 헌 가마니, 헌 자루 |
| 일과성 [一過性] | <행정> ▷ 일시적 |
| 일관 [一貫] | <행정> = 한결같음 |
| 일관 작업 [一貫作業] | <행정> ▷ 연결 작업 |
| 일괄 체결 [一括締結] | <행정> ▷ 한몫 묶음 <체신> |
| 일괄적으로 [一括的-] | <행정> = (한꺼번에) 몰아서, 한꺼번에 |
| 일괄하여 [一括-] | <행정> = 함께, 한꺼번에, 몰아서 |
| 일광 신호경 [mirror] | <행정> ▶ 신호 거울 |
| 일기 [日氣] | <행정> ▷ 날씨 |
| 일년생 [一年生] | <행정> ▷ 한해살이 |
| 일단 정지 [一旦停止] | <행정> ▷ 우선 멈춤 |
| 일동 [一同] | <행정> ▷ 모두 |
| 일람 정기 출급 [一覽定期出給] | <행정> ▷ 정한 날짜 내줌 |
| 일람 출급 [一覽出給] | <행정> ▷ 청구 즉시 곧 내줌 |
| 일람표 [一覽表] | <행정> ▷ 보기표 |
| 일러스트레이션 [illlustration] | <패션> <행정> <언론> ▶ 삽화, 도해, 도안 ¶만화가가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주목받기란 사실 쉬운 일이 아니다. |
| 일러스트레이터 [illustrator] | <패션> ▶ 삽화가, 도해자 |
| 일렉트로닉 뱅킹 [electronic banking] | <금융> ▶ 전자 금융 |
| 일렉트로포밍 [electroforming] | <미술> ▶ 전해 |
| 일련번호 [一連番號] | <행정> ▷ 줄번호 |
| 일루 [一縷] | <미술> ▷ 한 올 |
| 일루저니즘 [illusionism] | <연극> ▶ 환각주의 |
| 일류 [溢流] | <임업> ▶ 무넘이 |
| 일류 증거서 [一類證據書] | <행정> ▷ 현금 출납 증거서 |
| 일류댐 [溢流 dam] | <임업> ▶ 무넘이댐, 월류댐 |
| 일류웨어 [溢流 weir] | <임업> ▶ 무넘이 봇둑, 월류 웨어 |
| 일륫둑 [溢流-] | <임업> ▶ 무넘잇둑, 월륫둑 |
| 일리 [一理] | <행정> = 타당성, 그럴 만함 |
| 일리걸 디펜스 [illegal defense] | <농구> ▶ 부정 수비 |
| 일립소디얼 스포트라이트 [ellipsoidal spotlight] | <연극> ▶ 타원형 조명(기) |
| 일말 [一抹] | <행정> = 한 가닥 |
| 일면 [一眠] | <축산> ▶ 첫잠 |
| 일목요연하게 [一目瞭然-] | <행정> ▷ 분명하게 |
| 일몰시 [日沒時] | <행정> ▷ 해 질 때 |
| 일몰전 [日沒前] | <행정> ▷ 해 지기 전 |
| 일몰후 [日沒後] | <행정> ▷ 해 진 뒤 |
| 일반 [一般] | <행정> = 모두, 보통, 보통 사람들 |
| 일방이 [一方-] | <행정> ▷ 한쪽이 |
| 일배달 거리 [日配達距離] | <행정> ▶ 하루 배달 거리 |
| 일변도 [一邊倒] | <행정> ▷ 한쪽 쏠림 |
| 일변하다 [一變-] | <행정> ▷ 싹 변하다 |
| 일복 [日覆] | <행정> ▶ 해가림 |
| 일복 가설 [日覆架設] | <행정> ▶ 해가림 (설치) |
| 일본조 [一本釣] | <행정> ▶ 외줄 낚시 |
| 일부 [日賦] | <행정> ▷ 날붓기 |
| 일부 [日附] | <행정> ▶ 날짜 |
| 일부인 [日附印] | <행정> ▶ 날짜 도장 |
| 일사불란하게 [一絲不亂-] | <행정> ▷ 흐트러짐 없이, 일매지게 |
| 일산 방지 [逸散防止] | <행정> ▶ 분산 방지 |
| 일상 [日常] | <행정> = 늘 |
| 일상지 [一上肢] | <축산> ▶ 한(쪽) 발, <행정> ▶ 한(쪽) 팔 |
| 일석 [一夕] | <행정> ▷ 저녁 |
| 일석 점호 [日夕點呼] | <행정> ▷ 저녁 점호 |
| 일성잡종 [一性雜種] | <임업> ▷ 단성 잡종(單性雜種) |
| 일세기 [一世紀] | <행정> ▷ 백년 동안 |
| 일소 [日燒] | <임업> ▶ 볕데기 |
| 일소하다 [一掃-] | <행정> ▶ 없애다 |
| 일속으로 [一束-] | <행정> ▷ 한 묶음으로 |
| 일수 [一手] | <행정> ▶ 한(쪽) 손, 독점 |
| 일수 [日數] | <행정> ▷ 날수 |
| 일수 [溢水] | <행정> ▶ 물 넘침 |
| 일수 계산 [日數 計算] | <금융> ▷ 날짜 계산 |
| 일수입수 [一穗粒數] | <농업> ▶ 한 이삭 알 수 |
| 일시 [一時] | <행정> = 한때 |
| 일시 [日時] | <행정> ▷ 때 |
| 일시 유치 [一時留置] | <행정> ▷ 일시 보관 |
| 일시 정지 [一時停止] | <행정> ▷ 잠깐 섬, 우선 멈춤 |
| 일시소등 [一時消燈] | <행정> ▶ 잠시 등불을 끔 |
| 일신상 [一身上] | <행정> ▷ 본인 형편 |
| 일신상에 [一身上-] | <행정> ▷ 본인 형편에 |
| 일신하다 [一新-] | <행정> ▷ 말끔히 하다, 새롭게 하다 |
| 일실치 않도록 [逸失-] | <행정> ▷ 놓치지 않도록 |
| 일실하다 [逸失-] | <행정> ▷ 잃어 버리다 |
| 일안 [一眼] | <행정> ▶ 한쪽 눈 |
| 일약 [一躍] | <행정> = 단번에, 대번에 |
| 일어 [日語] | <행정> = 일본 말 |
| 일언 [一言] | <행정> ▷ 한마디 |
| 일언지하에 [一言之下-] | <행정> ▷ 한마디로 |
| 일용잡급 [日傭雜給] | <행정> ▶ 일용직 |
| 일원화 [一元化] | <행정> ▷ 하나 됨 |
| 일위 대가표 [一位代價表] | <행정> ▶ 단위 가격표 |
| 일응 [一應] | <행정> ▶ 한번, 우선, 일단 |
| 일익 [一翼] | <행정> = 한쪽 |
| 일익 [日益] | <행정> ▷ 날로 (더욱) |
| 일인당 [一人當] | <행정> = 한 사람 앞 |
| 일일 [日日] | <행정> = 하루하루 |
| 일임하다 [一任-] | <행정> = 맡기다 |
| 일자 스커트 [一字 skirt] | <패션> ▷ 일자 치마 |
| 일자줄눈 [一字-] | <임업> ▷ 통줄눈 |
| 일전 [日前] | <행정> ▷ 며칠 전 |
| 일전불사 [一戰不辭] | <행정> = 한판 싸움 |
| 일절 [一切] | <행정> = 통, 도무지 |
| 일제 [日除] | <임업> ▶ 해가림 |
| 일제 조사 [一齊調査] | <행정> ▷ 한꺼번에 알아보기 |
| 일제히 [一齊-] | <행정> = 한꺼번에 |
| 일조 [一助] | <행정> ▷ 도움 |
| 일조 [日照] | <행정> ▷ 볕 쬠 |
| 일조 점호 [日朝點呼] | <행정> ▷ 아침 점호 |
| 일조권 [日照權] | <행정> = 볕 쬠 권리 |
| 일족 [一足] | <행정> ▶ 한 켤레 |
| 일족오지 [一足五肢] | <행정> ▶ 한 발의 다섯 발가락 |
| 일종 [一種] | <행정> = 한 (가지) 종류 |
| 일차 [一次] | <행정> = 첫번 |
| 일착 [一着] | <행정> ▶ 한 벌 |
| 일천하여 [日淺-] | <행정> ▷ 시일이 짧아, 얼마 되지 않아 |
| 일체의 [一切-] | <행정> = 모든 것, 모두, 전부 |
| 일출 [日出] | <행정> = 해돋이, 해 뜸 |
| 일출시 [日出時] | <행정> ▷ 해 뜰 때 |
| 일출전 [日出前] | <행정> ▷ 해 뜨기 전 |
| 일치하다 [一致-] | <행정> = 들어맞다 |
| 일탈하다 [逸脫-] | <행정> ▷ 벗어나다 |
| 일하지 [一下肢] | <축산> ▶ 한다리 |
| 일할 계산 [日割計算] | <금융> ▷ 일 단위 계산, <행정> ▶ 날짜 계산 |
| 일혈점 [溢血點] | <법의학> ▶ 점 출혈 ※petechiaa |
| 일환으로 [一環-] | <행정> ▷ (···의) 하나로, (···의) 한 가지로 |
| 일후 [日後] | <행정> ▷ 앞으로 |
| 일후에는 [日後-] | <행정> ▷ 앞으로는 |
| 임간 [林間] | <행정> ▷ 숲속 |
| 임간방목 [林間放牧] | <임업> ▷ 숲속 놓아 먹이기 |
| 임간수련장 [林間修練場] | <임업> ▷ 숲속 수련장 |
| 임검 [臨檢] | <행정> ▷ 심사, 조사, 검사, 현장 검사 |
| 임계각 [臨界角] | <임업> ▷ 한계각 |
| 임계마찰력 [臨界摩擦力] | <임업> ▷ 한계 마찰력 |
| 임계물매 [臨界-] | <임업> ▷ 한계 물매 |
| 임금 [賃金] | <행정> = 품삯 |
| 임도 [林道] | <임업> = 산길, 산림 도로 |
| 임돈 [姙豚] | <행정> ▶ 새끼 밴 돼지 |
| 임령 [林齡] | <임업> ▷ 숲나이 |
| 임료 [賃料] | <행정> ▶ 임대료, 삯 |
| 임면 [任免] | <금융> ▷ 임명 또는 해임 |
| 임목무육 [林木撫育] | <행정> ▶ 숲 가꾸기 |
| 임무 [任務] | <행정> = 맡은 일 |
| 임박 [臨迫] | <정치> ▷ 닥침, 다가옴 |
| 임분 [林分] | <임업> ▷ 숲(몫) |
| 임브로카도 [이.imbrocado] | <미술> ▷ 장식띠 |
| 임사 [臨寫] | <미술> ▷ 베끼기, 베낌(그림), 모사 |
| 임석 [臨席] | <행정> ▷ 현장 참석 |
| 임신 [姙娠] | <축산> ▶ 새끼배기 |
| 임실 [稔實] | <행정> ▶ 씨 여묾 |
| 임실유 [荏實油] | <행정> ▶ 들기름 |
| 임야 [林野] | <행정> ▷ 산 |
| 임연부 [林緣部] | <임업> ▶ 숲가, 숲 가장자리 |
| 임의로 [任意-] | <행정> ▷ 마음대로 |
| 임장 [臨場] | <행정> ▶ 현장 참석 |
| 임지 [任地] | <행정> ▶ 근무지 |
| 임지비배 [林地肥培] | <임업> ▶ 임지 거름주기 |
| 임지순 [任地順] | <행정> ▶ 근무지 순서 |
| 임지시비 [林地施肥] | <임업> ▶ 임지 거름주기 |
| 임차 [賃借] | <행정> ▷ 세냄 |
| 임총 [林叢] | <행정> ▶ 숲 |
| 임치 [任置] | <행정> ▶ 맡겨 둠 |
| 임팩트 [impact] | <골프> <배드민턴> <야구> <테니스> ▷ 타격 (순간), 치는 순간, <행정> ▶ 충돌, 충격 |
| 임팩트하다 [impact-] | <생활외> ▶ 충격적이다 ¶가장 임팩트하고 드라마틱하고 강한 표현을 찾아야 한다. |
| 임페디먼트 프로그레스 [impediment progress] | <축구> ▶ 진로 방해 |
| 임프라비제이션 [improvisation] | <연극> ▶ 즉흥 (연기) |
| 임플란트 [implant] | <언론> ▶ 인공 치아 (이식) ¶서울대 보철과 ○○○ 교수는 윗니 또는 아랫니가 모두 없는 환자에게 하루 만에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데 성공했다고. |
| 임피던스 정합 [impedance matching] | <전기> ▷ 임피던스 맞춤 |
| 임피딩 [impeding] | <언론> ▶ 방해 ¶임피딩 반칙은 특히 선행 주자를 추월하려는 후발 주자에게 엄격히 적용된다. |
| 입 [入] | <행정> ▷ 들이 |
| 입 [粒] | <행정> ▶ 낟알 |
| 입절동작 [入切動作] | <전철> ▷ 잇고 끊음 동작 |
| 입간판 [立看板] | <정치> = 세움 간판 |
| 입거하다 [入渠-] | <행정> ▶ (배를) 독(dock)에 넣다 |
| 입계 [grain boundary] | <전기> ▷ 결정 (입자) 경계(結晶粒子境界) |
| 입고병 [立枯病] | <행정> ▶ 잘록병 |
| 입관자 [入館者] | <행정> = 이용자 |
| 입구 [入口] | <행정> = 들어가는 문, 들어가는 곳, 들어오는 곳, 어귀, 들목 |
| 입단구조 [粒團構造] | <농업> ▶ 떼알 구조 |
| 입도 [粒度] | <행정> ▶ 알 크기 |
| 입도선매 [立稻先賣] | <행정> ▷ (벼) 베기 전 팔기 |
| 입란 [入卵] | <축산> ▶ 알넣기 |
| 입모 [立毛] | <농업> ▶ 씨/뿌리 세우기 |
| 입모수 [立毛數] | <농업> ▶ 씨/뿌리 세운 수 |
| 입모율 [立毛率] | <농업> ▶ 씨/뿌리 세운 비율 |
| 입목 [立木] | <행정> ▷ 나무, 선나무 |
| 입목 [立目] | <임업> ▶ 세로줄눈 |
| 입목밀도 [立木密度] | <임업> = 선나무 밀도 |
| 입목벌채 [立木伐採] | <행정> ▶ 나무베기 |
| 입목재적 [立木材積] | <임업> = 선나무 부피/재적 |
| 입목죽 [立木竹] | <행정> ▶ 산 나무와 대 |
| 입목축적 [立木蓄積] | <임업> = 선 나무 축적 |
| 입묵 [入墨] | <축산> ▶ 먹물뜨기 |
| 입방미터 [立方 -meter] | <행정> ▶ 입방미터, 세제곱미터(m³) |
| 입보하다 [立保-] | <행정> ▶ 보증 서다 |
| 입상비료 [粒狀肥料] | <농업> ▶ 싸락 거름 |
| 입색 [粒色] | <농업> ▶ 낟알 색 |
| 입석 [笠石] | <임업> ▷ 갓돌 |
| 입설 [立設] | <행정> ▶ 세워 설치 |
| 입소 [入所] | <정치> ▷ 들어옴, 들어감 |
| 입수 [入穗] | <행정> ▶ 이삭 맺음 |
| 입수 [粒數] | <행정> ▶ 낟알 수 |
| 입식 [入殖] | <행정> ▶ 들여다 키움 |
| 입안하다 [立案-] | <행정> ▷ 안을 만들다/꾸미다/세우다 |
| 입양 [入養] | <행정> = 양자 들임 |
| 입욕 [入浴] | <행정> ▷ 목욕 |
| 입장 [立場] | <행정> ▷ 처지 |
| 입장 [粒長] | <행정> ▶ 알길이 |
| 입적 [立積] | <임업> ▶ 세워 쌓기 |
| 입적하다 [入籍-] | <행정> ▷ 호적에 올리다/넣다 |
| 입정 [入廷] | <행정> ▷ 법정에 들어감 |
| 입제 [粒劑] | <행정> ▶ 싸락 약 |
| 입중 [粒重] | <농업> ▶ (낟)알 무게 |
| 입증 작업 [立增作業] | <행정> ▶ 채움질 |
| 입증하다 [立證-] | <행정> = 증명하다 |
| 입지공 [立芝工] | <임업> ▶ 선떼붙이기 |
| 입직기 [叺織機] | <농업> ▶ 가마니틀 |
| 입질하다 [立質-] | <행정> ▶ 질권을 설정하다 |
| 입차 금지 [入車禁止] | <행정> ▶ 차 못 들어옴 |
| 입체 [立替] | <행정> ▶ 뀌어 줌 |
| 입체금 [立替金] | <행정> ▶ 대신 낸 돈 |
| 입체하다 [立替-] | <행정> ▷ 대신 내다 |
| 입추의 여지없이 | <행정> = 빈틈 없이, 빈자리 없이 |
| 입축 [立築] | <임업> ▶ 세워 쌓기 |
| 입출항계 [入出港屆] | <행정> ▶ 입출항 신고서 |
| 입출항계 제출 증명 [入出港屆] | <행정> ▶ 입출항 증명서 |
| 입큰귀때단지 [廣口小壺] | <고고학> ▷ 입큰작은단지 ※jar with wide mouth |
| 입하 [入荷] | <행정> ▷ 들어옴, 들여옴 |
| 입하되다 [入荷-] | <행정> ▷ 들어오다 |
| 입하하다 [入荷-] | <행정> ▷ 들여 오다 |
| 입화 [入火] | <행정> ▶ 불놓기 |
| 입화 [立火] | <임업> ▶ 불놓기 |
| 입환 | <행정> = 떼붙임 |
| 입환 [入換] | <전철> ▷ 차량 정리 (운전) |
| 입회 [立會] | <행정> ▷ 참여, 참관, 현장 출석 |
| 입회 서기 [立會書記] | <행정> ▷ 참여 주사 |
| 입회시키다 [入會-] | <행정> = 가입시키다 |
| 입회인 [立會人] | <행정> ▷ 가입자, 참여인 |
| 잇슨 [一寸] | <미술> ▶ 한치, 3cm |
| 잇파이 (←입빠이) [一杯, いっぱい] | <행정> <미술> ▶ 가득(히), 한껏, 많이, 가득들이 |
| 잇폰세리 [一本競り] | <행정> ▶ 단번치기 |
| 잉글리시 포메이션 [english formation] | <테니스> ▷ 영국식 대형 |
| 잉꼬 부부 [鸚哥夫婦] | <행정> = 원앙 부부 |
| 잉여 [剩餘] | <행정> ▷ 나머지 |
| 잉여 강우(량) [剩餘降雨量] | <임업> ▷ 초과 강우(량) |
| 잉여금 [剩餘金] | <정치> = 남은 금액/돈 |
| 잉킹 [inking] | <미술> ▷ 먹일 |
| 잉태 [孕胎] | <행정> ▷ 임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