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 [砂] | <농업> ▶ 모래 | |
| 사가리 [下がり, さがり] | <생활외> ▶ 헛치기<당구> | |
| 사가리가타 [下がりかた, さがりかた] | <패션> ▶ 처진 어깨 | |
| 사각 [四角] | <행정> = 네모> | |
| 사각망목사 [四角網目篩] | <행정> ▶ 모눈체> | |
| 사각뿔깡 [- かん] | <패션> ▶ 사각뿔 고리 | |
| 사강 [死剛] | <법의학> ▶ 사망 후 경직 ※postmortem rigidity | |
| 사개 | <건축사> ▷사개(맞춤) ※a kind of joint | |
| 사거 [斜距] | <임업> ▶ 비탈 거리, 사거리 | |
| 사거 [絲鋸] | <임업> ▶ 실톱 | |
| 사게후리 [下げ振り] | <건설> ▶ 다림추 | |
| 사견 [司見] | <행정> ▶ 실습 조리사 | |
| 사견양잠 [絲繭養蠶] | <잠업> ▶ 실고치 누에치기 | |
| 사경 [砂耕] | <농업> ▶ 모래 가꾸기 | |
| 사계 [斯界] | <행정> ▶ 그/이 방면, 그/이 분야 | |
| 사고 다발 업체 [事故多發業體] | <행정> ▶ 사고 잦은 업체 | |
| 사고 다발 지역 [事故多發地域] | <행정> ▶ 사고 많은 곳, 사고 잦은 곳> | |
| 사고 조복 [事故照覆] | <행정> ▶ 사고 점검 보고> | |
| 사고 통지서 [事故通知書] | <행정> ▷(규정) 위반 통지서> | |
| 사고사 [事故死] | <법의학> ▷사고 사망, 사고사 ※accidental death | |
| 사고하다 [思考-] | <행정> = 생각하다> | |
| 사과 [絲瓜] | <농업> ▶ 수세미, 수세미외> | |
| 사구 [砂丘] | <임업> ▶ 모래 언덕 | |
| 사구간 [死區間] | <전철> ▷무전력 구간 | |
| 사구식재공 [砂丘植載工] | <임업> ▶ 해안 사지 조림 | |
| 사구울(타리) | <임업> ▶ 퇴사울 | |
| 사근접 [斜根椄] | <임업> ▶ 뿌리 엇접 | |
| 사기 [詐欺] | <행정> = 속임> | |
| 사기 표기 [詐欺表記] | <행정> = 속여 적기 | |
| 사기 행위 [詐欺行爲] | <행정> = 속임질 | |
| 사낭 [沙囊] | <행정> ▶ 모래주머니> | |
| 사도 [私道] | <행정> ▷사삿길, 사설 도로 | |
| 사도 개설 [私道開設] | <행정> ▷사삿길 신설, 사설 도로 신설 | |
| 사도미노리 | <행정> ▶ 동임(洞稔)벼> | |
| 사동 [舍棟] | <행정> ▶ 수용동> | |
| 사라 [皿, さら] | <식생활> ▶ 접시 | |
| 사라다 [←salad] | <생활외> ▶ 샐러드 | |
| 사라리맨 [←salaried man] | <생활외> ▶ 봉급 생활자, 샐러리맨 | |
| 사라사 [更紗, さらさ] | <패션> ▶ 납방염, 바티크 | |
| 사라시 [晒, さらし] | <미술> ▶ 바래기, 표백> | |
| 사란 [死卵] | <식생활> ▶ 곤달걀> | |
| 사려 [思慮] | <행정> ▶ 생각> | |
| 사력 [砂礫] | <행정> ▶ 자갈> | |
| 사력토 [砂礫土] | <임업> ▷자갈흙 | |
| 사령 [辭令] | <행정> ▶ 발령> | |
| 사례 [事例] | <행정> = 보기> | |
| 사롱 [蛇籠] | <임업> ▶ 돌망태 | |
| 사롱견 [死籠繭] | <잠업> ▶ 죽은고치 | |
| 사료 [飼料] | <행정> = 먹이> | |
| 사료 급여 [飼料給與] | <행정> ▷먹이주기> | |
| 사료 작물 [飼料作物] | <행정> ▷먹이 작물 | |
| 사료하다/되다 [思料-] | <행정> = 생각하다/되다 | |
| 사루마타 [猿股, さるまた] | <생활외> ▶ 속잠방이, 팬티 | |
| 사루비아 [salvia] | <생활외> ▶ 샐비어 | |
| 사류 [射流] | <임업> ▶ 급류 | |
| 사리 [砂利] | <생활외> ▶ 자갈 | |
| 사리 [私利] | <행정> ▷개인 이익 | |
| 사리 부설 [砂利敷設] | <행정> ▶ 자갈 깔기> | |
| 사리도 [砂利道] | <임업> ▶ 자갈길 | |
| 사망 [死亡] | <법의학> ▷사망, 죽음 ※death | |
| 사망 [絲網] | <농업> ▶ 실그물 | |
| 사망력 [死亡歷] | <법의학> ▷사망 경과 ※history of death | |
| 사매매 [私賣買] | <행정> ▶ 뒷거래> | |
| 사면 [四眠] | <축산> ▶ 넉잠, 사면잠 | |
| 사면 [斜面] | <임업> ▷비탈(면) | |
| 사면 보호 [斜面保護] | <행정> ▶ 비탈 보호 | |
| 사면 보호공 [斜面保護工] | <임업> ▶ 비탈(면) 보호 공사 | |
| 사면 붕괴 [斜面崩壞] | <임업> ▷비탈(면) 붕괴 | |
| 사면 수로공 [斜面水路工] | <임업> ▶ 비탈수로내기, 비탈도랑내기 | |
| 사면 안정공 [斜面安定工] | <임업> ▶ 비탈 안정 공법 | |
| 사면 유토공 [斜面留土工] | <임업> ▶ 비탈 흙막이 | |
| 사면 장석공 [斜面長石工] | <임업> ▶ 비탈돌 붙이기 | |
| 사면 침식 [斜面浸蝕] | <임업> ▷비탈(면) 침식 | |
| 사면 토류공 [斜面土留工] | <임업> ▶ 비탈 흙막이 | |
| 사면 파종공 [斜面播種工] | <임업> ▶ 비탈 씨뿌리기 | |
| 사면 피복공 [斜面被覆工] | <임업> ▶ 비탈 덮기 | |
| 사면 혼파공 [斜面混播工] | <임업> ▶ 비탈씨 섞어 뿌리기 | |
| 사명 [使命] | <행정> = 맡은 일 | |
| 사무 분장 [事務分掌] | <행정> ▶ 업무 분담 | |
| 사무라이 [侍, さむらい] | <생활외> ▷일본 (봉건 시대) 무사 | |
| 사물함 [私物函] | <행정> ▷개인 물건 보관함> | |
| 사미 [死米] | <행정> ▶ 죽은 쌀> | |
| 사반세기 [4半世紀] | <행정> ▶ 사분세기(四分世紀) | |
| 사방 [舍房] | <행정> ▶ 수용실> | |
| 사방지 [砂防地] | <행정> ▶ 모래막이 지역 | |
| 사백미 [死白米] | <행정> ▶ 죽은 흰쌀> | |
| 사별법 [篩別法] | <행정> ▶ 체질법> | |
| 사보텐 [サボテン] | <생활외> ▶ 선인장 | |
| 사보타주 [sabotage] | <경제> ▶ 태업(怠業)> | |
| 사복공 [砂伏工] | <임업> ▶ 모래 덮기> | |
| 사부 [師父] | <행정> = 스승> | |
| 사분 [篩粉] | <행정> ▶ 가루> | |
| 사브리나 팬츠 [sabrina pants] | <패션> ▷맘보 바지 | |
| 사비 [私費] | <정치> ▷개인 비용/돈 | |
| 사비도메 [錆止め] | <행정> ▶ 녹막이> | |
| 사비도메누리 [錆止塗り] | <건설> ▶ 녹막이칠 | |
| 사비료 작물 [飼肥料作物] | <농업> ▶ 먹이거름 작물 | |
| 사사 [舍飼] | <행정> ▶ 가둬 기르기> | |
| 사사건건 [事事件件] | <행정> = 일마다> | |
| 사사오입 [四捨五入] | <경제> ▶ 반올림 | |
| 사삼 [沙蔘] | <행정> ▶ 더덕> | |
| 사상 [仕上] | <행정> ▶ 마무리, 끝손질> | |
| 사석 [捨石] | <임업> ▷막(논)돌 | |
| 사석 [飼石] | <임업> ▶ 굄돌 | |
| 사석공 [捨石工] | <임업> ▶ 막돌 놓기 | |
| 사석수로 [捨石水路] | <임업> ▷막(논) 돌수로, 막(논) 돌도랑 | |
| 사석수로공 [捨石水路工] | <임업> ▶ 막(논)돌 수로내기, 막(논)돌 도랑내기 | |
| 사선 [斜線] | <정치> ▷빗금 | |
| 사성휴 [四盛畦] | <농업> ▶ 네가옷지기 | |
| 사소한 일 [些少-] | <행정> = 하찮은 일 | |
| 사손 [社損] | <행정> ▶ 회사 손해 | |
| 사술 [詐術] | <행정> ▶ 속임수> | |
| 사시 [指し] | <생활외> ▶ 손찜, <행정> ▶ 가리키기, 가리킴> | |
| 사시가네 [差し金] | <건설> ▶ 미레자, 곱자, 곡척, <미술> ▶ 곱자> | |
| 사시미 [刺身] | <식생활> ▶ 생선회 | |
| 사시카에 [差え替え] | <신문> ▶ 갈아꽂이 | |
| 사시코미 [差し込み] | <전기> <미술> ▶ 꽂개집, 콘센트 <패션> ▶ 끼워넣기 | |
| 사시키 [揷木, さしき] | <생활외> ▶ 꺾꽂이 | |
| 사시킨 [差筋, さしきん] | <건설> ▶ 삽입근 | |
| 사안 [事案] | <행정> = 사건 내용, 일의 내용> | |
| 사양 [仕樣] | <생활외> ▶ 설명(서), 품목 | |
| 사양 [飼養] | <행정> ▶ 치기, 기르기> | |
| 사양서 [仕樣書] | <생활외> ▶ 설명서, 시방서 | |
| 사양토 [砂壤土] | <행정> ▶ 모래 참흙> | |
| 사역 집배 [使役集配] | <행정> ▶ 위탁 집배 | |
| 사역수 [使役手] | <행정> ▶ 사역원> | |
| 사역시키다 [使役-] | <행정> ▶ 일 시키다 | |
| 사열 [査閱] | <행정> = 조사, 검문> | |
| 사와리 [觸り] | <생활외> ▶ 촉감 | |
| 사용 [使用] | <행정> = 씀, 부림> | |
| 사용 불가 [使用不可] | <행정> = 쓸 수 없음> | |
| 사용하다 [使用-] | <행정> = 쓰다> | |
| 사우나탕 [sauna 湯] | <생활외> ▷증기 목욕탕, 찜탕 ¶사우나탕에 가는 것이 꼭 건강증진에 좋다고만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 |
| 사워 애플 [sour apple] | <볼링> ▷복판핀치기 | |
| 사원 [寺院] | <행정> = 절> | |
| 사위 [四圍] | <임업> ▶ 넷 에움> | |
| 사위 [詐僞] | <행정> ▶ 거짓> | |
| 사위등재 [詐僞登載] | <정치> ▶ 거짓 기재 | |
| 사유 [事由] | <행정> = 까닭> | |
| 사유 [私有] | <행정> ▷개인 소유 | |
| (사유가) 해소되다 [解消-] | <행정> ▷(사유가) 없어지다 | |
| 사유재산 [私有財産] | <임업> = 개인 재산 | |
| 사육 [飼育] | <행정> = 기르기, 치기> | |
| 사의 [謝意] | <행정> = 고마운 뜻 | |
| 사의 [辭意] | <행정> = 사직할 뜻, 사퇴할 뜻> | |
| 사이 [才] | <건설> <미술> ▶ 재 <목재 치수 단위> | |
| 사이닝 보너스 [signing bonus] | <언론> ▶ 계약 상여금, 격려금 ¶마라톤 협상 끝에 사이닝 보너스 10억 원에, 연봉 2억 원의 파격적인 조건으로 팀 잔류를 결정했다. | |
| 사이테키 제어 [さいてき 制御] | <전기> ▶ 최적 제어(最適制御) | |
| 사이드 [side] | <행정> ▶ 옆, 곁> | |
| 사이드 라이팅 [side lighting] | <연극> ▶ 측면 조명 | |
| 사이드 라인 [side line] | <핸드볼> <배드민턴> <테니스> ▶ 옆줄 | |
| 사이드 롤링 [side rolling] | <볼링> ▷가로돌리기 | |
| 사이드 벙커 [side bunker] | <골프> ▷(그린) 주변 벙커 | |
| 사이드 벤츠 [side vents] | <패션> ▶ 옆트임 | |
| 사이드 보더 [side border] | <스키> ▶ 가장자리 | |
| 사이드 블로 [side blow] | <골프> ▶ 옆치기 | |
| 사이드 비즈니스 [side business] | <생활외> ▶ 부업 ¶서민들의 사이드 비즈니스 열기도 대단했다. | |
| 사이드 스로 [side throw] | <핸드볼> ▶ 옆으로 던지기 | |
| 사이드 스텝 [side step] | <농구> <핸드볼> ▶ 옆걸음, <테니스> ▶ 옆뛰기 | |
| 사이드 스텝 클라이밍 [side step climbing] | <스키> ▶ 계단식 오르기 | |
| 사이드 스핀 [side spin] | <테니스> ▶ 옆회전 | |
| 사이드 슬립 [side slip] | <스키> ▶ 옆 미끄러지기 | |
| 사이드 아밍 [side arming] | <볼링> ▷옆팔짓 | |
| 사이드 아웃 [side out] | <농구> ▷옆줄 벗어나기, <배구> ▶ 메김권 교체 | |
| 사이드 암 [side arm] | <야구> ▶ 옆던지기 | |
| 사이드 암 스트로크 [sidearm stroke] | <배드민턴> ▶ 옆쪽(에서) 치기 | |
| 사이드 어택커 [side attacker] | <언론> ▶ 측면 공격수 ¶심재원과 김태영은 사이드 어택커로 변신, 공격력에 힘을 더해야 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 |
| 사이드 엘리베이션 [side elevation] | <연극> ▶ 옆 입면도 | |
| 사이드 와이즈 크로스 [sidewise cross] | <연극> ▶ 나선 이동 | |
| 사이드카 [sidecar] | <언론> ▶ 호위 차량 ¶사이드카의 선도를 받아 부시 대통령 일행을 태운 30여 대의 차량만이 이동했다. | |
| 사이드 컷 [side cut] | <스키> ▷스키 중앙 휨 부분 | |
| 사이드 킥 [side kick] | <축구> ▶ 옆차기 | |
| 사이드 파트너 [side partner] | <골프> ▶ 한 짝 | |
| 사이드 패스 [side pass] | <핸드볼> ▶ 옆으로 주기 | |
| 사이드 폴 슛 [side fall shoot] | <핸드볼> ▶ 몸 날려 쏘기 | |
| 사이드 피치 [side pitch] | <볼링> ▷옆 경사각 | |
| 사이드 힐 라이 [side hill lie] | <골프> ▶ 비탈 (상태) | |
| 사이렌 [siren] | <행정> = 경보, 경적> | |
| 사이멀테이니어스 세팅 [simultaneous setting] | <연극> ▶ 동시 무대 장치 | |
| 사이바라 [細腹, さいばら] | <봉제> ▶ 옆길 | |
| 사이버 [cyber] | <언론> ▷가상 (공간) ¶사이버 간첩과 안보. | |
| 사이버론 [cyber loan] | <언론> ▶ 사이버 대출 ¶‘사이버론’을 이용할 경우에는 금리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 |
| 사이버 머니 [cyber money] | <언론> ▶ 전자 화폐 ¶사이버 머니를 상품권이나 현금, 순금 등으로 교환해 주거나 경품을 거는 등 도박으로 변질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사이비 [似而非] | <행정> ▷가짜, 겉비슷> | |
| 사이세키 [碎石, さいせき] | <건설> ▶ 부순 돌, 쇄석 | |
| 사이세키바 [採石場, さいせきば] | <건설> ▶ 채석장 | |
| 사이안산 [靑酸] | <법의학> ▶ 시안산, 청산 ※hydrocyanic acid | |
| 사이즈 [size] | <생활외> <패션> = 크기, 치수 ¶사이즈도 중형, 대형, 특대형의 세 가지가 있다. | |
| 사이컬로지컬 리얼리즘 [psychological realism] | <연극> ▶ 심리적 사실주의 | |
| 사이클 드라마 [cycle drama] | <연극> ▷순환극 | |
| 사이클 [cycle] | <생활외> ▷자전거 ¶사이클을 타다 넘어져 다리에 부상을 입었다. | |
| 사이클 [cycle] | <생활외> ▷주파수, 주기 ¶사이클을 잘 맞추어야 방송이 제대로 들리지요. | |
| 사이클러래머 [cyclorama] | <연극> ▷하늘막 | |
| 사이클론 [cyclone] | <행정> ▶ 회오리바람> | |
| 사이클링 트랙 [cycling track] | <사이클> ▶ (사이클) 경기장 | |
| 사이클링 히트 [cycling hit] | <야구> ▷고루치기 | |
| 사이키 [←psychedelic] | <생활외> ▷깜빡이 (조명) ¶디스코장에서 사이키 조명이 빙글빙글 돈다.> | |
| 사이키 스타일 [psyche style] | <패션> ▶ 사이키 (델릭) 양식 | |
| 사이트 라인 [sight line] | <연극> ▶ 시각선 | |
| 사이트 맵 [site map] | <언론> ▶ 사이트 지도 | |
| 사익 [私益] | <행정> = 개인 이익 | |
| 사인 [死因] | <행정> ▷죽은 원인 | |
| 사인 [私人] | <행정> = 사삿사람> | |
| 사인 [私印] | <정치> ▷개인 도장 | |
| 사인 [sign] | <생활외> <행정> ▷서명, 수결, 신호, 암호 ¶반드시 영수증에는 사인을 받아 두어야 한다. | |
| 사인 규명 [死因糾明] | <행정> ▷죽은 원인 밝힘> | |
| 사인 볼 [sign ball] | <행정> ▶ 표지등 | |
| 사인 불명 [死因 不明] | <법의학> ▷사인 불명, 사인 알 수 없음 ※unknown cause of death | |
| 사인 전구 [-電球, sign lamp] | <전기> ▶ 표시등(表示燈) | |
| 사일로 [silo] | <행정> ▶ 저장탑, 저장 창고 | |
| 사입 [仕入] | <생활외> ▶ 사(들이)기 | |
| 사입 가격 [仕入價格] | <행정> ▶ 살 값, 산 값> | |
| 사입부 [射入部] | <법의학> ▶ 총알 입구 ※entrance> | |
| 사입선 [仕入先] | <행정> ▶ 산 곳, 살 곳 | |
| 사입시 [仕入時] | <행정> ▶ 살 때 | |
| 사입하다 [仕入-] | <행정> ▶ 사들이다> | |
| 사자후 [獅子吼] | <행정> ▷열변> | |
| 사장 [砂場] | <행정> ▶ 모래판, 모래톱> | |
| 사장하다 [死藏-] | <행정> = 묵혀 두다, 썩혀 두다> | |
| 사재 [私財] | <행정> ▶ 개인 재산 | |
| 사저 [斜底] | <임업> ▶ 비탈밑 | |
| 사적 [私的] | <행정> = 개인적> | |
| 사적재 [私的財] | <임업> ▶ 사유재 | |
| 사전기 [死戰期] | <법의학> ▶ 임종기 ※agonal stage | |
| 사전에 [事前-] | <행정> = 미리> | |
| 사절 [死節] | <행정> ▶ (죽은) 옹이, 죽은 마디> | |
| 사절 [謝絶] | <행정> ▷받지 않음, 거절 | |
| 사접 [四接] | <임업> ▶ 넷붙임 | |
| 사접 [斜椄] | <임업> ▶ 엇접 | |
| 사정 [査定] | <행정> ▷심사 결정, 조사 결정> | |
| 사정 [査正] | <행정> ▷바로잡음> | |
| 사조 [飼槽] | <축산> ▶ 먹이통, 구유> | |
| 사조맥 [四條麥] | <농업> ▶ 네모 보리 | |
| 사족 [蛇足] | <행정> = 군더더기> | |
| 사주부 [司廚部] | <행정> ▶ 조리부> | |
| 사주하다 [使嗾-] | <행정> ▷부추기다> | |
| 사지 [死地] | <행정> = 위험한 곳 | |
| 사진가쿠 [寫眞額] | <행정> ▶ 사진틀> | |
| 사찰 [寺刹] | <행정> = 절> | |
| 사찰 [査察] | <행정> ▶ 조사, 살핌> | |
| 사채 [社債] | <행정> = 회사 빚 | |
| 사청 [死靑] | <행정> ▶ 진푸름> | |
| 사청미 [死靑米] | <행정> ▶ 죽은 푸른쌀> | |
| 사체 [死體] | <행정> ▷시체, 주검> | |
| 사체로 분만된 [死體-分娩-] | <행정> ▷죽어(서) 태어난 | |
| 사초 [莎草] | <행정> ▶ 잔디> | |
| 사총 [絲蔥] | <농업> ▶ 실파 | |
| 사출법 [射出法] | <임업> ▷방사법(放射法) | |
| 사취 [詐取] | <행정> ▶ 속여 빼앗음 | |
| 사칭하다 [詐稱-] | <행정> ▶ 속이다, 속여 말하다 | |
| 사카마키 [逆卷き] | <건설> ▶ 역라이닝(-lining) | |
| 사카즈키 [さかずき] | <행정> ▶ 술잔> | |
| 사칸 [左官, さかん] | <행정> ▶ 미장이> | |
| 사쿠라 [櫻, さくら] | <생활외> ▶ ①벚꽃, 벚나무 ②사기꾼, 야바위꾼 | |
| 사쿠리 [決り·刳り, さくり] | <건설> <미술> ▶ 홈파기 | |
| 사쿠지 [削字, さくじ] | <신문> ▶ 쪽자 | |
| 사키 [先] | <미술> ▶ 귀두겁 <한국화>> | |
| 사키도리 [先取り] | <행정> ▶ 미리빼기> | |
| 사키타마 [先球, さきたま] | <생활외> ▶ 앞공 | |
| 사타마와리 [さたまわり] | <생활외> ▶ 하체부 | |
| 사태아 [死胎兒] | <행정> ▶ 죽은 태아 | |
| 사텐 [サテン, satin] | <패션> ▶ 수자직 | |
| 사텐 스텟치 [サテン ステッチ] | <패션> ▶ 새틴 땀 | |
| 사토 [捨土] | <임업> ▷흙버리기 | |
| 사토 [砂土] | <행정> ▶ 모래흙> | |
| 사토장 [捨土場] | <행정> ▶ 흙 버리는 곳 | |
| 사행 [射倖] | <행정> ▷요행을 바람 | |
| 사행심 [射倖心] | <행정> ▷요행심> | |
| 사행천 [蛇行川] | <임업> = 곡류(曲流) | |
| 사후 검사 [死後檢査] | <법의학> ▷사망 후 검사 ※postmortem examination | |
| 사후 분해 [死後分解] | <법의학> ▶ 사망 후 절단 ※dismemberment | |
| 사후 손괴 [死後損壞] | <법의학> ▶ 사망 후 파괴 ※postmortem injury | |
| 사후 손상 [死後損傷] | <법의학> ▷사망 후 손상 ※postmortem injury | |
| 삭 [蒴] | <행정> ▶ 다래 | |
| 삭간 출혈 [索間出血] | <법의학> ▶ 끈 사이 출혈 ※intradernal hemorrhage between ligatures | |
| 삭감하다 [削減-] | <행정> = 깎다, 줄이다 | |
| 삭구 [索溝] | <법의학> ▶ 끈 고랑 ※furrow or groove | |
| 삭도 [索道] | <행정> ▶ 밧줄, 하늘 찻길, 하늘차> | |
| 삭도집재 [索道集材] | <임업> ▷삭도 (통)나무 모아 쌓기 | |
| 삭상물 [索狀物] | <법의학> ▶ 끈 ※ligature | |
| 삭선하다 [削線-] | <정치> ▶ 지우다 | |
| 삭스 [socks] | <패션> ▶ 양말 | |
| 삭스 가터 [socks garter] | <패션> ▷양말대님 | |
| 삭아접 [削芽椄] | <임업> ▶ 깎기눈접 | |
| 삭연 출혈 [索緣出血] | <법의학> ▶ 끈 가장자리 출혈 ※intradernal hemorrhage beside ligature | |
| 삭정 [削整] | <행정> ▶ 깎음> | |
| 삭제 [削蹄] | <축산> ▶ (발)굽깎기 | |
| 삭제하다 [削除-] | <행정> = 지우다, 없애다> | |
| 삭토 [削土] | <행정> ▶ 흙깎기> | |
| 삭흔 [索痕] | <법의학> ▶ 끈 자국 ※ligature mark | |
| 산가쿠 (←산가꾸) [三角, さんかく] | <생활외> ▶ 세모 | |
| 산간오지 [山間奧地] | <행정> = 두메산골> | |
| 산견 [散見] | <행정> ▷여기저기 보임, 드물게 보임> | |
| 산과앵도 [酸果櫻桃] | <식생활> ▶ 신 앵두 | |
| 산도 교정 [酸度矯正] | <농업> ▷산성(도) 교정 | |
| 산란 [産卵] | <임업> = 알낳기 | |
| 산록 [山麓] | <임업> ▷산기슭 | |
| 산리 [山李] | <임업> ▶ 산자두 | |
| 산림 순찰 [山林巡察] | <행정> ▷숲돌보기, 산돌아보기> | |
| 산림금융 [山林金融] | <임업> ▶ 임업 금융 | |
| 산림생산물 [山林生産物] | <임업> ▶ 임산물 | |
| 산림소득세 [山林所得稅] | <임업> ▶ 임업 소득세 | |
| 산림조합 [山林組合] | <임업> ▶ 임업 협동 조합 | |
| 산림조합법 [山林組合法] | <임업> ▶ 임업 협동 조합법 | |
| 산림조합중앙회 [山林組合中央會] | <임업> ▶ 임업 협동 조합 중앙회 | |
| 산막 [産幕] | <민속> ▷해산막 | |
| 산물 [散物] | <행정> ▶ 흩어진 짐 | |
| 산미 [山彌] | <건축사> ▷살미 ※bracket | |
| 산바시 [棧橋, さんばし] | <건설> ▶ 발판, 잔교> | |
| 산복 [山腹] | <임업> ▶ 산비탈, 산허리 | |
| 산복수로공 [山腹水路工] | <임업> ▶ 산비탈 수로내기, 산비탈 도랑내기 | |
| 산복적석공 [山腹積石工] | <임업> ▶ 산비탈돌 쌓기 | |
| 산복조타복공 [山腹粗朶覆工] | <임업> ▶ 산비탈 섶덮기 | |
| 산복축석공 [山腹築石工] | <임업> ▶ 산비탈돌 쌓기 | |
| 산복편책공 [山腹編柵工] | <임업> ▶ 산비탈 바자얽기 | |
| 산부 [三分] | <미술> ▶ 서푼, 9mm> | |
| 산사 [山砂] | <임업> ▶ 산모래 | |
| 산상 [山桑] | <잠업> ▶ 산뽕 | |
| 산성우 [酸性雨] | <임업> ▶ 산성비 | |
| 산성토양 [酸性土壤] | <농업> ▷산성 흙 | |
| 산소 결핍 [酸素 缺乏] | <법의학> ▷산소 부족 ※oxygen deprivation | |
| 산슨 [三寸, さんずん] | <미술> ▶ 세 치, 9cm> | |
| 산슨 가쿠 [三寸角, さんずん-] | <미술> ▶ 세 치 각> | |
| 산슨각 [三寸角, さんずん-] | <건설> ▶ 세 치(9cm) 각재 | |
| 산식 [散植] | <농업> ▶ 흩어심기 | |
| 산야 [山野] | <행정> = 산과 들 | |
| 산약 [山藥] | <임업> ▶ 마 | |
| 산양 [山羊] | <행정> ▶ 염소> | |
| 산양유 [山羊乳] | <행정> ▶ 염소젖> | |
| 산업비림 [産業備林] | <임업> ▷산업용 비축림 | |
| 산우 [山芋] | <임업> ▶ 마 | |
| 산울타리 [生籬] | <임업> ▶ 생울타리 | |
| 산원가격 [山元價格] | <임업> ▶ 산지 가격(産地價格), 목재 생산지값 | |
| 산유 [産乳] | <축산> ▷젖내기 | |
| 산육량 [産肉量] | <축산> ▷고기 생산량 | |
| 산입하다 [算入-] | <금융> <정치> <경제> ▷포함하다, 셈에 넣다 | |
| 산자수 [産仔數] | <농업> ▶ (낳은) 새끼수 | |
| 산재하다 [散在-] | <행정> ▷흩어져 있다 | |
| 산적 [山積] | <행정> ▷치 쌓기 | |
| 산적한 [山積-] | <행정> ▷산더미 같은> | |
| 산정 [山頂] | <임업> ▷산꼭대기 | |
| 산정 [算定] | <행정> ▷셈, 계산> | |
| 산정하다 [算定-] | <행정> ▷셈하다, 계산하다> | |
| 산주 [山主] | <임업> ▷산 임자, 산림 소유자 | |
| 산지 [山芝] | <임업> ▶ 산떼 | |
| 산지집재 [山地集材] | <행정> = 나무 쌓기> | |
| 산채 [山菜] | <임업> = 산나물 | |
| 산출하다 [算出-] | <행정> = 계산해 내다 | |
| 산치기 | <행정> ▷세모 재기> | |
| 산파 [散播] | <농업> ▷흩어 뿌리기, 노가리> | |
| 산파공 [散播工] | <임업> ▶ 흩어 뿌리기 | |
| 산포 [散布] | <행정> ▶ 흩어져 퍼짐 | |
| 산하 [傘下] | <행정> ▷딸림> | |
| 산하 기관 [傘下機關] | <행정> ▷딸림 기관 | |
| 산형화서 [繖形花序] | <농업> ▷우산꼴 꽃차례> | |
| 산화 [山火] | <임업> ▷산불 | |
| 산화 경망대 [山火警望臺] | <임업> ▷산불 망대 | |
| 산화 경방 [山火警防] | <임업> ▷산불 조심 | |
| (산화) 경방 기간 [山火警防期間] | <임업> ▷(산불) 조심 기간/철 | |
| 산화 경방탑 [山火警防塔] | <행정> ▶ 산불 망대 | |
| 산화염 [酸化焰] | <미술사> ▷산화 불꽃 ※oxidized firing | |
| 산화적지 [山火跡地] | <임업> ▷산불 (난) 자리 | |
| 산회하다 [散會-] | <행정> ▷(회의를) 파하다, 흩어지다 | |
| 산후 출혈 [産後 出血] | <법의학> ▷분만 후 출혈 ※postpartum hemorrhage | |
| 살목제 [殺木劑] | <임업> = 나무 죽이는 약 | |
| 살비제 [殺蜱劑] | <잠업> ▶ 응애약 | |
| 살사통 [撒沙筒] | <행정> ▶ 모래통> | |
| 살서제 [殺鼠劑] | <임업> ▶ 쥐약 | |
| 살수 [撒水] | <행정> ▶ 물 뿌림 | |
| 살수구 [撒水球] | <행정> ▶ 물 준 알 | |
| 살초제 [殺草劑] | <임업> ▶ 제초제 | |
| 살포 [撒布] | <행정> ▶ 뿌리기> | |
| 삼각형돌칼 [三角形石刀] | <고고학> ▷세모 돌칼 ※triangle stone knife | |
| 삼각활차 [三角滑車] | <임업> ▶ 삼각 도르래 | |
| 삼경 [蔘莖] | <행정> ▶ 삼 줄기 | |
| 삼마이 [三枚] | <생활외> ▶ 희극 배우 | |
| 삼면 [三眠] | <축산> ▶ 석잠 | |
| 삼면기사 [三面記事] | <생활외> ▷사회 기사, 도막 기사 | |
| 삼바이 [棧橋] | <생활외> ▶ 뜬다리, 선창 | |
| 삼선별 [蔘選別] | <행정> ▶ 삼고르기> | |
| (삼인)분 [三人分] | <행정> ▷(세 사람) 치> | |
| 삼접 [三接] | <임업> ▶ 셋붙임 | |
| 삼정박 [蔘精粕] | <행정> ▶ 삼 찌꺼기 | |
| 삼제 [芟除] | <행정> ▶ 베어 버림 | |
| 삽관술 [揷管術] | <법의학> ▷도관술, 삽관술 ※cannulation | |
| 삽목 [揷木] | <행정> ▶ 꺾꽂이> | |
| 삽목묘 [揷木苗] | <임업> ▷꺾꽂이모 | |
| 삽목상 [揷木床] | <행정> ▶ 꺾꽂이 모판 | |
| 삽미 [澁味] | <임업> ▶ 떫은 맛 | |
| 삽상 [揷床] | <행정> ▶ 꺾꽂이 모판 | |
| 삽설 [揷設] | <행정> ▶ 끼워넣기> | |
| 삽수 [揷穗] | <행정> ▶ 꺾꽂이 순 | |
| 삽시 [澁柹] | <임업> ▶ 떫은 감 | |
| 삽식 [揷植] | <행정> ▶ 꺾꽂이> | |
| 삽입 중계 [揷入中繼] | <행정> ▶ 끼워넣기 중계 | |
| 삽입하다 [揷入-] | <행정> ▷끼워넣다, 끼우다> | |
| 삽접 [揷椄] | <임업> ▶ 꽂이접 | |
| 삽착 [揷着] | <행정> ▶ 끼워 붙임 | |
| 삽탈 [揷脫] | <행정> ▶ 끼우고 떼기 | |
| 삽화 [揷畵] | <행정> = 곁그림> | |
| 삿갓집 | <건축사> ▷삿갓집, 사모집 ※pyramidal roof> | |
| 삿보도[support] | <건설> ▶ 받침대, 지주, 동바리> | |
| 삿카 [サッカㅡ, seersucker] | <패션> ▶ 시어서커 | |
| 상 [床] | <농업> ▶ 모판 | |
| 상가 [喪家] | <행정> = 초상집> | |
| 상개각충 [桑介殼蟲] | <잠업> ▶ 뽕깍지 벌레 | |
| 상거한 [相距-] | <행정> ▷떨어진> | |
| 상견례하다 [相見禮-] | <행정> ▷첫인사를 나누다 | |
| 상견하다 [相見-] | <행정> ▷마주보다> | |
| 상계 [相計] | <행정> ▷엇셈<민법>, 맞계산 | |
| 상계 관세 [相計關稅] | <행정> ▶ 비김 관세 | |
| 상고 [常雇] | <행정> ▶ 상용 근로자 | |
| 상고공 [床固工] | <임업> ▶ 바닥막이 | |
| 상관하다 [相關-] | <행정> = 관계하다, 간섭하다> | |
| 상광 [床框] | <행정> ▶ 모판자리> | |
| 상구배 [上句配] | <전철> ▷오름기울기 | |
| 상궤 [常軌] | <정치> ▷바른 길, 틀 | |
| 상금 [尙今] | <행정> ▶ 아직(까지)/(도) | |
| 상기와 여히 [上記-如-]> | <행정> ▶ 위에 적은 대로> | |
| 상기의 [上記-] | <행정> ▶ 위의, 위에 쓴/적은> | |
| 상기자 [上記者] | <행정> ▶ 위 사람, 위에 적은 사람 | |
| 상기하다 [詳記-] | <행정> ▶ 자세히 쓰다/적다> | |
| 상년 [上年] | <행정> ▶ 지난 해 | |
| 상단 [上端] | <행정> ▶ 위(쪽) 끝 | |
| 상담 [相談] | <행정> = 의논> | |
| 상당수 [相當數] | <행정> = 많은 수 | |
| 상당의 [相當-] | <행정> = 해당하는, (원) 어치의 | |
| 상당하는 [相當-] | <행정> = 해당하는, (원) 어치의 | |
| 상대 고주파 성분 [相對高周波成分] | <전기> ▷고주파 함유율(高周波含有率) | |
| 상돌 [床石] | <고고학> ▷상석 ※table stone of tomb | |
| 상동 [上同] | <행정> = 위와 같음 | |
| 상록수 [常綠樹] | <행정> = 늘푸른나무> | |
| 상륜 [霜輪] | <임업> ▶ 서리테 | |
| 상린자 [相隣者] | <행정> ▶ 이웃 사람 | |
| 상면 [床面] | <농업> ▶ 모판 바닥, <전기> ▷바닥면 | |
| 상명 천칭 [上皿天秤] | <행정> ▶ 접시저울> | |
| 상명아 [桑螟蛾] | <잠업> ▶ 뽕나무 명나방 | |
| 상목 [上木] | <임업> ▶ 상층목 | |
| 상묘 [桑苗] | <행정> ▷뽕나무 묘목 | |
| 상미 [賞美] | <행정> ▶ 칭찬함> | |
| 상반신 [上半身] | <행정> = 윗몸> | |
| 상반하다/되다 [相反-] | <행정> = (서로) 반대되다/어긋나다> | |
| 상방집재 [上方集材] | <임업> ▶ 올림 집재 | |
| 상배하다/드리다 [上拜-] | <정치> ▶ 절을 올리다 | |
| 상변 [上邊] | <행정> ▶ 윗변> | |
| 상병 [傷病] | <행정> ▶ 다치거나 병듦 | |
| 상병 부위 [傷病部位] | <행정> ▶ 다친 곳, 다친 데> | |
| 상보 [相補] | <행정> ▶ 서로 도움 | |
| 상보 [詳報] | <행정> ▶ 자세히 알림 | |
| 상봉 [相逢] | <행정> = (서로) 만남 | |
| 상부상조 [相扶相助] | <행정> = (서로)서로 도움/돕기> | |
| 상사 [上司] | <행정> = 윗사람, 상급자, 상급 기관 | |
| 상석 [上席] | <행정> = 윗자리> | |
| 상설하다 [詳說-] | <정치> = 자세히 설명하다 | |
| 상세히 [詳細-] | <행정> = 자세히> | |
| 상쇄하다 [相殺-] | <행정> = 맞비기다> | |
| 상수위 [常水位] | <임업> ▷평수위 | |
| 상술 [上述] | <행정> ▶ 위/앞에서 말함> | |
| 상술 [商術] | <행정> = 장사 솜씨 | |
| 상술 [詳述] | <행정> ▷자세히 진술함, 자세한 진술> | |
| 상습적 학대 [常習的 虐待] | <법의학> ▶ 상습 학대 ※constant abuse | |
| 상승세 [上昇勢] | <행정> ▷오름세> | |
| 상시 [常時] | <행정> ▶ 늘> | |
| 상시 개호 [常時介護] | <행정> ▶ 항상 보호, 늘 보살핌> | |
| 상시 계도 [常時啓導] | <정치> = 평소(의) 지도 | |
| 상신 [上申, 申上] | <생활외> ▷여쭘, 알림, <행정> ▶ 올림> | |
| 상신하다 [上申-] | <행정> ▶ 올리다> | |
| 상실하다/되다 [喪失-] | <행정> ▷잃다, 잃어 버리다 | |
| 상실한 자 [喪失-] | <행정> ▷잃은 사람 | |
| 상심 [桑椹] | <잠업> ▶ 오디 | |
| 상심지앵승 [桑芯止櫻蠅] | <잠업> ▶ 뽕나무순 혹파리 | |
| 상아고병 [桑芽枯病] | <잠업> ▶ 뽕(나무) 눈마름병 | |
| 상엽 [桑葉] | <잠업> ▶ 뽕잎 | |
| 상엽충 [桑葉蟲] | <잠업> ▶ 뽕잎 벌레 | |
| 상옥 [上屋] | <행정> ▶ 헛간> | |
| 상온 [床溫] | <농업> ▶ 모판 온도 | |
| 상완 [上腕] | <행정> ▶ 위팔> | |
| 상용 [常用] | <행정> ▷늘 씀 | |
| 상용 노동자 [常用勞動者] | <임업> ▷고정 노동자 | |
| 상우하다 [賞遇-] | <행정> ▶ 상을 주다 | |
| 상위하다 [相違-] | <행정> ▶ (서로) 다르다, 어긋나다, 맞지 아니하다 | |
| 상응하다 [相應-] | <행정> = 걸맞다> | |
| 상이 [傷痍] | <행정> ▷부상> | |
| 상이하다 [相異-] | <행정> ▶ (서로) 다르다 | |
| 상이한 [相異-] | <행정> ▶ (서로) 다른 | |
| 상자육 [箱子育] | <잠업> ▶ 상자치기 | |
| 상전 [桑田] | <행정> ▶ 뽕밭> | |
| 상접하는 [相接-] | <행정> ▶ 맞닿는, 서로 만나는 | |
| 상정하다 [上程-] | <행정> ▶ 회의에 부치다/올리다> | |
| 상족 [上簇] | <잠업> ▶ 누에 올리기 | |
| 상족기 [上簇機] | <행정> ▶ 누에섶> | |
| 상존 [尙存] | <행정> ▶ 남아 있다 | |
| 상존 [床拵] | <행정> ▶ 모판 만들기> | |
| 상종가 [上終價] | <생활외> ▶ 상한가 | |
| 상주 [霜柱] | <임업> ▶ 서릿발 | |
| 상주하다 [常住-] | <행정> = 늘 살고 있다, 계속 머물다 | |
| 상지 [上肢] | <금융> ▶ 팔과 손, <행정> ▶ 팔> | |
| 상지척확 [桑枝尺蠖] | <잠업> ▶ 뽕나무 자벌레 | |
| 상차 [常差] | <임업> ▶ 정오차 | |
| 상차 비용 [上車費用] | <금융> ▷차에 싣는 비용 | |
| 상차하다 [上車-] | <행정> ▶ 차에 싣다, 차에 오르다> | |
| 상천우 [桑天牛] | <잠업> ▶ 뽕나무 하늘소 | |
| 상철 [上綴] | <행정> ▶ 윗매기> | |
| 상체 [床替] | <임업> ▶ 판갈이 | |
| 상충하다 [相衝-] | <행정> = (서로) 어긋나다 | |
| 상치 [相馳] | <행정> ▷어긋남> | |
| 상치 신호기 [常置信號機,, fixed signal] | <전철> ▷상설 신호기 | |
| 상토 [床土] | <행정> ▶ 모판흙> | |
| 상포품 [上包品] | <행정> ▶ 포장 담배 | |
| 상폭 [上幅] | <행정> ▶ 윗너비> | |
| 상하 [床下] | <행정> ▶ 바닥> | |
| 상해 [霜害] | <임업> ▷서리(피)해 | |
| 상향 집재 [上向集材] | <임업> ▶ 올림 집재 | |
| 상혈 [霜穴] | <행정> ▶ 서릿구멍> | |
| 상호 [相互] | <행정> ▷서로> | |
| 상호간 [相互間] | <행정> ▷서로 간> | |
| 상호 계산 [相互計算] | <행정> ▷엇셈> | |
| 상호 대차 [相互貸借] | <행정> ▷서로 빌려주기 | |
| 상호 인덕턴스 [相互-, mutual inductance] | <전기> ▷결합 인덕턴스(結合-) | |
| 상환 [償還] | <행정> ▷갚음> | |
| 상환 [相換] | <행정> ▷맞바꿈> | |
| 상환하다 [償還-] | <금융> ▷갚다 | |
| 상회 [上繪] | <미술> ▶ 웃그림> | |
| 상회하다 [上廻-] | <행정> ▶ 웃돌다> | |
| 상흔 [傷痕] | <행정> ▶ 흉터> | |
| 새시 (←샷시) [sash] | <미술> = 창틀, <행정> ▶ 문틀> | |
| 새시 로크 [sash lock] | <행정> ▶ 창틀 잠금쇠, 창문 잠금쇠> | |
| 새시 (벨트) [sash belt] | <패션> ▶ 허리띠, 장식띠 | |
| 새크리파이스 번트 [sacrifice bunt] | <야구> ▶ 희생 대기, 희생 번트 | |
| 새틴 [satin] | <패션> ▷수자직 | |
| 색 [sack] | <패션> ▷배낭 | |
| 색등식 [色燈式] | <전철> ▷신호등 방식 | |
| 색분 [色粉] | <행정> ▶ 가루 물감 | |
| 색상 [色相] | <행정> = 빛깔> | |
| 색소 [色素] | <생활외> = 물씨 | |
| 색인 (목록) [索引(目錄)] | <행정> <정치> = 찾아보기> | |
| 색출 [索出] | <행정> ▷찾아냄> | |
| 색택 [色澤] | <행정> ▶ 빛깔> | |
| 색테이프 [色tape] | <행정> = 색끈> | |
| 샌더 [sander] | <미술> ▷갈개 | |
| 샌드 릴 [sand reel] | <농업> ▶ 흙모래 분리기 | |
| 샌드 블라스팅 [sand blasting] | <미술> ▷모래맞이 | |
| 샌드웨지 [sand-wedge] | <골프> ▷벙커용 채> | |
| 샌드페이퍼 [sandpaper] | <미술> ▶ 사포, 속새> | |
| 샐러리 캡 [salary cap] | <언론> ▶ 연봉 상한제 ¶이탈리아 축구계에서는 미국 프로 농구처럼 팀마다 샐러리 캡을 두어 선수들의 몸값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 |
| 샘플 [sample] | <생활외> <패션> <행정> ▷(본)보기, 표본, 견본 ¶샘플을 보면 모든 물건이 다 좋아 보인다. | |
| 샘플링 [sampling] | <생활외> <패션> <정치>▶ 표본, 표본뽑기 ¶원음에서 샘플링 방식을 채택하여 만들었습니다. | |
| 샘플링 간격 [-間隔, sampling interval] | <전기> ▷추출 간격(抽出間隔) | |
| 생가 [生家] | <행정> = 태어난 집 | |
| 생견 [生繭] | <잠업> ▶ 생고치 | |
| 생경중 [生莖重] | <임업> ▶ 풋줄기 무게 | |
| 생계비 [生計費] | <행정> = 생활비> | |
| 생고 [生藁] | <행정> ▶ 볏짚> | |
| 생고시용 [生藁施用] | <행정> ▶ 볏짚깔기> | |
| 생고중 [生藁重] | <농업> ▶ 날짚 무게 | |
| 생래적인 [生來的] | <행정> ▶ 타고난> | |
| 생략 [省略] | <행정> = 줄임> | |
| 생략하다 [省略-] | <행정> = 줄이다> | |
| 생력 [省力] | <행정> ▶ 힘덜기, 힘 절약, 노력 절약> | |
| 생력재배 [省力栽培] | <농업> ▶ 품 줄여 가꾸기 | |
| 생립 [生立] | <행정> ▶ 자라는, 산> | |
| 생립본수 [生立本數] | <행정> ▶ 산나무 수 | |
| 생명 증후 [生命 症候] | <법의학> ▶ 활력 징후 ※vital sign | |
| 생물시험 [生物試驗] | <임업> ▶ 생물 검정법 | |
| 생방송 [生放送] | <행정> = 현장 방송 | |
| 생사 [生絲] | <행정> ▷생실 | |
| (생사한) 고리 [生絲-梱] | <잠업> ▶ 짝> | |
| 생선가쓰 [生鮮カツ, -cutlet] | <식생활> ▶ 생선 튀김 | |
| 생선묵 [生鮮-] | <식생활> ▷어묵 | |
| 생소하다 [生疏-] | <행정> = 설다> | |
| 생아 [生蛾] | <행정> ▶ 산나방> | |
| 생에너지 [省energy] | <행정> ▶ 에너지 절약 | |
| 생엽 [生葉] | <행정> = 생잎> | |
| 생원 [生垣] | <임업> ▶ 생울타리 | |
| 생유 [生乳] | <식생활> ▷날젖, 생젖 | |
| 생육 [生肉] | <식생활> ▷날고기 | |
| 생육 상황 [生育狀況] | <행정> ▷자람 상태 | |
| 생육적온 [生育適溫] | <농업> ▶ 자라기 맞는 온도, 자라기 적온 | |
| 생장 [生長] | <전기> ▶ 성장(成長) | |
| 생장률 [生長率] | <농업> ▷자람 비율 | |
| 생장조정제 [生長調整劑] | <농업> ▷생장 조절약 | |
| 생장추 [生長錐] | <행정> ▶ 나이테 측정기 | |
| 생재 [生材] | <행정> ▶ 생재목> | |
| 생절 [生節] | <행정> ▶ 옹이> | |
| 생존 중에 [生存中-] | <행정> ▷살아 있는 동안에> | |
| 생지 [生地, きじ] | <패션> ▶ 생천, 옷감 | |
| 생지 [生枝] | <임업> ▶ 생가지 | |
| 생지 [生紙] | <미술> ▶ 생종이> | |
| 생지지타 [生枝枝打] | <임업> ▶ 생가지치기 | |
| 생체외배양 [生體外培養] | <임업> ▶ 기내배양 | |
| 생초 [生草] | <행정> ▶ (생)풀> | |
| 생크 [shank] | <골프> ▶ 빗치기 | |
| 생피 [相避] | <민속> ▷상피 | |
| 생하다 [生-] | <행정> ▶ 생기다> | |
| 생환하다 [生還-] | <행정> ▷살아 (돌아)오다 | |
| 생활 반응 [生活 反應] | <법의학> ▶ 활력 반응 ※vital reaction | |
| 생활 조정 수당 | <행정> ▷생활 안정금 | |
| 샤모트 [프.chamotte] | <미술> ▷구운 가루 | |
| 샤센오브리그 [斜線-, oblique] | <신문> ▶ 빗금 | |
| 샤쿠 [杓] | <미술> ▶ 구기, (꼭지) 도가니> | |
| 샤쿠리 (←사쿠리) [決り·刳り, さくり] | <건설> <미술> ▶ 홈파기 | |
| 샤쿠(시) [杓子] | <생활외> ▶ 국자 | |
| 샤포 [프.chapeau] | <패션> ▶ 모자 | |
| 샤프펜슬 [sharp pencil] | <행정> ▶ 자동 연필> | |
| 샤프트 [shaft] | <골프> ▶ 채자루 | |
| 샤프트 스테이브 [shaft stave] | <미술> ▶ 잉앗대> | |
| 샤프하다 [sharp-] | <미술> ▶ 날카롭다, 산뜻하다, 선명하다> | |
| 샤프한 [sharp-] | <행정> ▶ 예민한, 날카로운> | |
| 샴푸 다이 [shampoo 台] | <행정> ▶ 세발대> | |
| 샷 [shot] | <골프> ▷(공) 치기 | |
| 샷 칼럼 [shot column] | <사격> ▷상하 산탄군 | |
| 샷 패턴 [shot pattern] | <사격> ▷산탄군 형태 | |
| 섀도 캐비닛 [shadow cabinet] | <언론> ▶ 그림자 내각 ¶정치 용어로 말하면 일종의 섀도 캐비닛 같은 것을 유권자에게 지시하라는 것이다. | |
| 섀도 플레이 [shadow play] | <야구> ▷짓다지기, 동작 연습 | |
| 서 [黍] | <농업> ▶ 기장> | |
| 서가 [書架] | <행정> = 책꽂이> | |
| 서간 [書簡] | <행정> = 편지> | |
| 서과 [西瓜] | <식생활> ▶ 수박 | |
| 서근 [茜根] | <패션> ▶ 꼭두서니(색), 암적색 | |
| 서두 [序頭] | <행정> ▷첫머리> | |
| 서드 엔지니어 [third engineer] | <행정> ▶ 3등 기관사 | |
| 서든 데스 [sudden death] | <언론> ▶ 즉각 퇴출 ¶올해부터는 ‘서든 데스’ 제도가 처음 시행된다. <골프> ▶ 단판 승부(연장전) | |
| 서론 [序論] | <행정> = 머리말> | |
| 서류 [薯類] | <행정> ▶ 감자류> | |
| 서류 첨서 [書類添書] | <행정> ▷서류 첨부서 | |
| 서머 드레스 [summer dress]> | <패션> ▶ 여름옷 | |
| 서머랠리 [summer rally] | <언론> ▶ 여름 특수 ¶여름철로 접어든 미 증시가 낙관적인 분위기에 휩싸여 전통적인 ‘서머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 |
| 서머리 [summary] | <행정> ▶ 간추림, 요약, 개요> | |
| 서머스쿨 [summer school] | <생활외> ▶ 여름 학교 ¶미국 대학의 서머스쿨에 다닐 수 있도록 추천을 받았다.> | |
| 서머 타임 [summer time] | <행정> ▷여름 시간, 여름 알뜰 시간> | |
| 서면 [書面] | <행정> = 문서> | |
| 서명 [署名] | <행정> = 이름적기> | |
| 서모스탯 [thermostat] | <전기> ▷온도 감지기(溫度感知器), 감온기(感溫器), 자동 온도 조절 장치(自動溫度調節裝置) | |
| 서문 [序文] | <행정> = 머리글> | |
| 서미 [緖尾] | <행정> ▶ 처음과 끝 | |
| 서민 [庶民] | <행정> = 보통 사람 | |
| 서바이벌 게임 [survival game] | <언론> ▷생존 게임 ¶구(舊) 4인방, 연초부터 ‘서바이벌 게임’. | |
| 서버 [server] | <배드민턴> ▷메김선수 | |
| 서브머린 피처 [submarine pitcher] | <야구> ▶ 올려 던지기, 잠수함 투구 | |
| 서브 앤드 발리플레이어 [serve and volley player] | <테니스> ▷전진 공격형 선수 | |
| 서브 에이스 [serve ace] | <언론> ▷메김 득점 [운동 경기에서] ¶최고 시속 210km의 강 서브로 서브 에이스 25개를 기록했다. | |
| 서브텍스트 [subtext] | <연극> ▶ 속뜻, 숨은 뜻 | |
| 서브플롯 [subplot] | <연극> ▶ 부구성 | |
| 서비스 [service] | <배드민턴> <언론> ▷메김/메기기 ¶옐레나 도키치가 릴리아 오스터로를 상대로 힘찬 서비스를 넣고 있다. | |
| 서비스 [service] | <생활외> = 봉사, 접대 ¶손님에게는 언제나 정성을 다하여 서비스하여야 한다. | |
| 서비스드 레지던스 [serviced residence] | <언론> ▶ 임대형 주거 시설 ¶서비스드 레지던스가 장기 거주 비즈니스맨들을 대상으로 호텔과 아파트의 틈새를 파고들 수 있을 것…. | |
| 서비스 라이플 [service rifle] | <사격> ▶ 군용총 경기 | |
| 서비스 박스 [service box] | <테니스> ▶ 메김 지역 | |
| 서비스(서브) [service(serve)] | <테니스> ▷메김, 메기기 | |
| 서비스 에이스 [service ace] | <테니스> ▷메김 득점 | |
| 서비스 차지 [service charge] | <행정> ▶ 봉사료> | |
| 서비스 코트 [service court] | <배드민턴> ▷메김 구역 | |
| 서비스 콘트랙트 [service contract]> | <행정> ▷우대 운송 계약> | |
| 서비스 포인트 [service point] | <배구> ▶ 메김 득점 | |
| 서비스 폴트 [service fault] | <배구> ▶ 메김 실패 | |
| 서빙 [serving] | <행정> ▶ 봉사> | |
| 서빙 오더 [serving order] | <생활외> ▶ 메김 순서> | |
| 서빙하다 [serving-] | <생활외> ▶ 봉사하다, 접대하다, 내다 ¶무즙과 뜨거운 감자 요리를 서빙하자 모두 맛있게 들었다. | |
| 서상층 [鋤床層] | <농업> ▶ 쟁기밑층 | |
| 서손 [書損] | <행정> ▶ 잘못 쓰임 | |
| 서스펜더 [suspender] | <패션> ▶ 멜빵 | |
| 서스펜더 스커트 [suspender skirt] | <패션> ▶ 멜빵 치마 | |
| 서스펜디드 [suspended] | <언론> ▶ (일시) 정지 ¶전날 비로 연기된 서스펜디드 경기를 포함해 하루에 장외 홈런 2개를 쳐내는…. | |
| 서스펜션 [suspension] | <언론> ▶ 연결부 ¶서스펜션이 얼마나 적절히 충격을 흡수해 주느냐에 따라 승차감이 결정되고 안정감 있는 코너링(→곡선 돌기) 주행이 좌우된다.> | |
| 서스펜스 [suspense] | <생활외> ▷긴장감, 박진감 ¶서스펜스 넘치는 액션이 펼쳐진다. <연극> ▷긴장(감) | |
| 서식처 [棲息處] | <행정> = 깃들이는 곳, 사는 곳> | |
| 서식하다 [棲息-] | <행정> = 살다, 깃들이다> | |
| 서신 [書信] | <행정> = 편지> | |
| 서약서 [誓約書] | <행정> = 다짐글> | |
| 서양리 [西洋李] | <식생활> ▶ 양자두 | |
| 서언 [序言] | <행정> = 머리말> | |
| 서열 [序列] | <행정> = 차례> | |
| 서장 [書狀] | <행정> ▶ 서류, 편지> | |
| 서장 목록 [書狀目錄] | <행정> ▶ 통상 우편물 발송 목록 | |
| 서점 [書店] | <행정> = 책가게> | |
| 서제스티브 리얼리즘 [suggestive realism] | <연극> ▶ 암시적 사실주의 | |
| 서족 [鼠族] | <행정> ▶ 쥐> | |
| 서중 인사장 [暑中人事狀] | <행정> ▶ 더위 문안, 복중 문안 | |
| 서증 [書證] | <행정> ▷서면 증거 | |
| 서취 [書取] | <행정> ▶ 받아쓰기> | |
| 서치 [search] | <언론> ▶ (정보) 검색 | |
| 서큘러 [circular] | <패션> ▶ 원형 | |
| 서큘러 스커트 [circular skirt] | <패션> ▶ 원형 치마 | |
| 서큘러 크로스 [circular cross] | <연극> ▶ 곡선 이동 | |
| 서클 [circle] | <생활외> ▷동아리, 모임 ¶학교 서클 등 여러 가지 모임에서 이성 친구를 만난다. | |
| 서클 에이트 [circle eight] | <스케이트> ▶ 8자형 (그리기) | |
| 서킷 브레이커 [circuit breaker] | <금융> <언론> ▶ 일시 매매 정지 ¶코스닥 현물 시장에는 서킷 브레이커, 사이드카 등 가격 급변동을 막는 제도적 장치가 없기 때문에…. | |
| 서티즈 룩 [the thirties look] | <패션> ▷30년대풍 | |
| 서펜타인 [serpentine] | <승마> ▶ 뱀 모양 타기 | |
| 서포기 [鼠捕機] | <행정> ▶ 쥐덫> | |
| 서포터스 [supporters] | <언론> ▶ 응원단, 후원자 ¶팀을 따라올 1, 000여 명의 취재진과 1만여 명의 ‘서포터스’가 뿌리고 갈 돈을 400억 원 가량으로 100배의 이익이 남는 장사를 한 셈이라며…. | |
| 서포팅 액트리스 [supporting actress] | <언론> ▶ 조연 여배우 ¶제작자들은 아예 여배우들을 주연 남성을 보조하는 서포팅 액트리스로 설정하고 영화를 기획한다. | |
| 서한 [書翰] | <행정> = 편지, 글> | |
| 서행하다 [徐行-] | <행정> ▷천천히 가다 | |
| 서화도 [書畵圖] | <행정> = 글씨와 그림 | |
| 서환 [書換] | <금융> ▶ 동일 조건 재대출 | |
| 서훈된 자 [敍勳-] | <행정> ▶ 훈장을 받은 자> | |
| 석 [蓆] | <임업> ▶ 거적 | |
| 석간 신문 [夕刊新聞] | <행정> = 저녁 신문 | |
| 석고볼 [bowl] | <미술> ▶ 석고 그릇> | |
| 석곽묘 [石槨墓] | <고고학> ▷돌덧널무덤 ※stone lined tomb> | |
| 석관묘 [石棺墓] | <고고학> ▷돌널무덤 ※stone coffin> | |
| 석교 [石橋] | <건축사> <임업> ▷돌다리 ※stone bridge | |
| 석권하다 [席捲-] | <행정> = 휩쓸다> | |
| 석기질 토기 [陶質土器] | <고고학> ▷도기 ※stoneware | |
| 석녀 [石女] | <생활외> ▶ 돌계집 | |
| 석답 [潟畓] | <농업> ▶ 갯논 | |
| 석당 [石幢] | <건축사> ▷경당 ※stone column engraved with sutra, dhanari column | |
| 석도 [石刀] | <고고학> ▷돌칼 ※stone knife | |
| 석력 [石礫] | <행정> ▶ 자갈> | |
| 석력지 [石礫地] | <행정> ▶ 자갈땅> | |
| 석명하다 [釋明-] | <행정> ▶ 해명하다, 밝히다> | |
| 석발 [石拔] | <행정> ▶ 돌고름> | |
| 석발미 [石拔米] | <생활외> ▶ 돌 고른 쌀> | |
| 석방 [釋放] | <행정> = 풀어줌> | |
| 석보곡공 [石保谷工] | <임업> ▶ 돌골막이 | |
| 석보상공 [石保床工] | <임업> ▶ 돌바닥막이 | |
| 석보안공 [石保岸工] | <임업> ▶ 돌기슭막이 | |
| 석분 [石粉] | <건설> ▶ 돌가루 | |
| 석비 [石碑] | <행정> ▶ 비석, 돌비> | |
| 석산 [石山] | <행정> ▷돌산> | |
| 석상 [席上] | <행정> ▷자리에> | |
| 석수 [石手] | <민속> ▷석수(장이), <임업> = 석공(石工) | |
| 석수로 [石水路] | <임업> ▷돌수로, 돌도랑 | |
| 석식 [夕食] | <식생활> ▷저녁(밥) | |
| 석실 봉토분 [石室封土墳] | <고고학> ▷돌방 흙 무덤, 석실 봉토분 ※stone chamber tomb with mound | |
| 석언제 [石堰堤] | <임업> ▶ 돌댐 | |
| 석언제공 [石堰堤工] | <임업> ▶ 돌댐 쌓기 | |
| 석유토공 [石留土工] | <임업> ▶ 돌흙막이 | |
| 석유통 [石油桶] | <미술> ▶ (붓)빨통> | |
| 석장 [石墻] | <건축사> ▷돌담 ※stone wall | |
| 석장 [錫杖] | <미술사> ▷지팡이, 석장 ※a monk's staff | |
| 석절공 [石切工] | <임업> ▶ 돌깨기 | |
| 석제 [石堤] | <임업> ▶ 돌둑 | |
| 석조공 [石條工] | <행정> ▶ 줄돌 쌓기> | |
| 석종형 부도 [石鐘形浮屠] | <미술사> ▷종 모양 부도> | |
| 석축 [石築] | <행정> = 돌축대> | |
| 석축 공사 [石築工事] | <행정> = 축댓돌 쌓기> | |
| 석패하다 [惜敗-] | <행정> ▶ 아깝게 지다 | |
| 석회 [夕會] | <행정> ▶ 저녁 모임 | |
| 석회고 [石灰藁] | <농업> ▶ 석회 짚 | |
| 석회석분말 [石灰石粉末] | <농업> ▶ 석회가루 | |
| 섞임 [混入物] | <고고학> ▷섞임제, 보강제 ※temper | |
| 선드레스 [sundress] | <패션> ▷일광욕옷, 해받이옷> | |
| 선/후취하다 [先/後取-] | <경제> ▷미리/나중에 받다 | |
| 선거 [船渠] | <행정> ▶ 뱃도랑, 독(dock)> | |
| 선거 [船車] | <행정> ▶ 배와 차량 | |
| (선거) 캠프 [(選擧) camp] | <언론> ▶ (선거) 이동 본부, (선거) 임시 진영 ¶호텔 등에 선거 캠프를 차린 후보들의 선거 운동이 과열되면서…. | |
| 선거행낭 [選擧行囊] | <정치> ▷선거 자루 | |
| 선견 [選繭] | <잠업> ▶ 고치 고르기 | |
| 선과 [選果] | <행정> ▶ 과실 고르기> | |
| 선관 의무 [善管義務] | <행정> ▶ 잘 관리할 의무> | |
| 선글라스 [sunglass] | <생활외> <패션> ▷색안경 ¶여름날에는 선글라스가 더 절실하다. | |
| 선금 [先金] | <행정> = 미리 주는 돈> | |
| 선급금 [先給金] | <행정> = 선돈> | |
| 선납 [先納] | <행정> = 미리 냄 | |
| 선납 보험료 [先納 保險料] | <금융> ▷미리 낸 보험료 | |
| 선납 일수 [先納日數] | <행정> ▶ 미리 낸 날(짜)수> | |
| 선단고사 [先端枯死] | <농업> ▶ 끝마름 | |
| 선단벌채 [先端伐採] | <농업> ▶ 끝베기 | |
| 선돌 [立石] | <고고학> ▷선돌, 입석 ※menhir | |
| 선동 [煽動] | <행정> ▷부추김> | |
| 선두 [先頭] | <행정> ▷앞장> | |
| 선란기 [選卵器] | <축산> ▶ 알 고르개 | |
| 선람하다 [先覽-] | <행정> ▶ 미리 보다 | |
| 선례 [先例] | <정치> = 전례 | |
| 선망 [旋網] | <행정> ▷두릿그물> | |
| 선매하다 [先賣-] | <행정> ▶ 미리 팔다 | |
| 선명 [船名] | <행정> ▷배 이름 | |
| 선목 [選木] | <임업> ▷나무 고르기 | |
| 선묘 [選苗] | <행정> ▶ 모고르기> | |
| 선무 [宣撫] | <행정> ▶ 다독거림, 어루만짐> | |
| 선무 방송 [宣撫放送] | <행정> ▶ 설득 방송 | |
| 선미 [船尾] | <행정> ▶ 고물> | |
| 선미 [船尾] 촉수 | <행정> ▷고물 축받이 | |
| 선반 [旋盤] | <생활외> = 돌이판, 갈이판 | |
| 선발하다 [選拔-] | <행정> = 골라 뽑다 | |
| 선별 [選別] | <행정> = 가려 나눔 | |
| 선복 [船卜] | <행정> ▶ 뱃짐> | |
| 선복량 [船腹量] | <행정> ▶ 선박 보유량 | |
| 선봉 [先鋒] | <행정> ▷앞장> | |
| 선불 [先拂] | <경제> ▶ 선/미리 지급 | |
| 선불 [先拂] | <금융> ▶ 선지급 | |
| 선상 표피 박탈 [線狀 表皮 剝脫] | <법의학> ▶ 선 모양 표피 벗겨짐, 생채기 ※linear excoriation | |
| 선상균사 [扇狀菌絲] | <임업> ▶ 부채꼴 균사, 부채꼴 곰팡이실 | |
| 선새김 [線刻] | <고고학> ▷선새김, 선각 ※incising technique | |
| 선서 [宣誓] | <행정> = 다짐> | |
| 선수 [船首] | <행정> ▶ 이물, 뱃머리> | |
| 선수금 [先受金] | <행정> = 미리 받은 돈> | |
| 선수선 [船首線] | <행정> ▶ 이물선> | |
| 선암종 [腺癌腫] | <법의학> ▶ 샘암종 ※adenocarcinoma | |
| 선양하다 [宣揚-] | <행정> = 떨치다, 드날리다> | |
| 선언 [宣言] | <행정> = 발표> | |
| 선연하다 [鮮姸-] | <정치> ▷뚜렷하다 | |
| 선염 [渲染] | <미술사> ▷선염(법), 번짐법> | |
| 선영 [先塋] | <행정> = 조상 산소 | |
| 선인망 [船引網] | <행정> = 배후리> | |
| 선일자 수표 [先日字 手票] | <금융> ▷앞수표 | |
| 선임 [船賃] | <행정> ▷뱃삯, 선박 운송료> | |
| 선임 [選任] | <정치> = 뽑음, 임명함 | |
| 선적하다 [船積-] | <행정> = 배에 싣다 | |
| 선전류 [線轉流] | <전기> ▷선로 전환(線路轉換) ※ line commutation | |
| 선전하다 [善戰-] | <행정> = 잘 싸우다 | |
| 선정 [選定] | <행정> = 가려 정함 | |
| 선제 타격 [先制打擊] | <행정> = 미리 침 | |
| 선종 [選種] | <행정> ▶ 씨고르기> | |
| 선주 [先柱] | <임업> ▶ 뒷기둥 | |
| 선주 [船主] | <행정> ▷배 임자 | |
| 선주 이식 [萱株移植] | <임업> ▶ 새(풀)심기 | |
| 선주공 [萱株工] | <임업> ▶ 새(풀)심기 | |
| 선주이식 [←萱株移植] | <행정> ▶ 새심기> | |
| 선지 [線芝] | <임업> ▶ 줄떼 | |
| 선지공 [線芝工] | <임업> ▶ 줄떼다지기, 줄떼붙이기, 줄떼심기 | |
| 선착순 [先着順] | <행정> = (먼저) 온 차례> | |
| 선착장 [船着場] | <행정> ▷나루, 나루터> | |
| 선창 [船艙] | <행정> ▶ 부두> | |
| 선처하다 [善處-] | <행정> ▷잘 처리하다 | |
| 선천성 기형 [先天性 畸形] | <법의학> ▶ 선천 기형 ※congenital anomaly | |
| 선출 [選出] | <정치> = 뽑음 | |
| 선취 [先取] | <생활외> ▷먼저 얻음 | |
| 선취 담보 [先取 擔保] | <행정> ▷사전 담보> | |
| 선캡 [suncap] | <정치> ▶ 볕 가림 모자 | |
| 선태류 [蘚苔類] | <임업> ▷이끼류 | |
| 선태식물 [蘚苔植物] | <임업> ▷이끼 식물 | |
| 선탠 [suntan] | <패션> ▷살갗 태우기 | |
| 선포 [宣布] | <행정> = 널리 알림 | |
| 선하증권 [船荷證券] | <생활외> = 뱃짐증권 | |
| 선하차 후승차 [先下車 後乘車] | <행정> ▶ 내린 다음 타기> | |
| 선행 열차 [先行列車] | <전철> ▷앞 열차> | |
| 선행아 [善行兒] | <행정> = 착한 어린이 | |
| 선행하다 [先行-] | <행정> ▷앞서다> | |
| 선형 [扇形] | <행정> ▶ 부채꼴> | |
| 선호 [選好] | <행정> = 좋아함> | |
| 선홍색 유동성[鮮紅色 流動性] | <법의학> ▷빨간색 흐름 성질 ※red fluidity> | |
| 설리러퀴 [soliloquy] | <연극> ▶ 혼잣말, 독백(獨白) | |
| 설립 [屑粒] | <농업> ▶ 싸라기, 쭉정이 | |
| 설립 [設立] | <정치> = 세움 | |
| 설문 [說問] | <행정> = 물음> | |
| 설물 [屑物] | <행정> ▶ 부스러기> | |
| 설미 [屑米] | <농업> ▶ 싸라기, 쭉정이쌀 | |
| 설봉 [雪峰] | <임업> ▶ 눈 덮인 산봉우리 | |
| 설붕 [雪崩] | <임업> ▶ 눈사태 | |
| 설붕방지공 [雪崩防止工] | <임업> ▶ 눈(사태)막이 | |
| 설색 [設色] | <미술> ▷색칠 | |
| 설시 [說示] | <행정> ▷설명> | |
| 설엽 [屑葉] | <행정> ▶ 잎 부스러기 | |
| 설영인 [設營人] | <행정> ▶ 설치인> | |
| 설영하다 [設營-] | <행정> ▶ 설치/운영하다 | |
| 설욕 [雪辱] | <행정> = 만회, 욕씻음> | |
| 설유 [說諭] | <행정> ▶ 타이름> | |
| 설육 [屑肉] | <행정> ▷부스러기 고기 | |
| 설전 [舌戰] | <행정> = 입씨름> | |
| 설착 [楔著] | <행정> ▶ 쐐기 붙임 | |
| 설착 [設着] | <임업> ▶ 설치 | |
| 설채 [設彩] | <미술사> ▷색채우기, 설채> | |
| 설해 [雪害] | <임업> ▷눈피해 | |
| 설형 [楔形] | <행정> ▶ 쐐기꼴> | |
| 설혹 [設或] | <행정> = 혹시> | |
| 섬세지 [纖細枝] | <임업> ▶ 실가지> | |
| 섬유장 [纖維長] | <잠업> ▶ 섬유 길이 | |
| 섭스티튜션 [substitution] | <배구> ▶ 선수 교체 | |
| 섭식량 [攝食量] | <임업> ▷먹는 양 | |
| 섭외 [涉外] | <정치> = 교섭(함) | |
| 섭외 사건 [涉外事件] | <행정> = 외국(인) 관련 사건> | |
| 성 에너지 [省 energy] | <전기> ▶ 에너지 절감(節減) | |
| 성 페로몬 [性 pheromone] | <임업> = 성 유인 물질 | |
| 성과 [成果] | <행정> = 보람> | |
| 성년 [成年] | <행정> = 어른> | |
| 성돈 [成豚] | <축산> ▶ 자란 돼지 | |
| 성림무육 [成林撫育] | <행정> ▶ 큰나무 가꾸기> | |
| 성명 [姓名] | <행정> = 이름> | |
| 성명서 [聲明書] | <행정> = 알리는 글 | |
| 성명을 자서하고 무인 [-拇印] | <행정> ▶ 이름 쓰고 손도장 찍기 | |
| 성묘 [成苗] | <행정> ▶ 자란모> | |
| 성벽 [性癖] | <행정> ▶ (나쁜) 버릇/습관> | |
| 성상 [性狀] | <행정> ▶ 성질 상태 | |
| 성상 [星霜] | <행정> ▷(한) 해 | |
| 성상 골절 [星狀 骨折] | <법의학> ▶ 별 모양 골절 ※stellate fracture | |
| 성상 기전 [成傷 機轉] | <법의학> ▶ 다치게 한 기전※wound rolling machine> | |
| 성상 물체 [成傷 物體] | <법의학> ▶ 다치게 한 물체 ※wound matter | |
| 성수 [成獸] | <임업> = 어미 짐승, 자란 짐승 | |
| 성수기 [盛需期] | <행정> = 한철, 한창 쓰이는 철> | |
| 성식기 [盛食期] | <축산> ▶ 한 밥 때 | |
| 성안하다 [成案-] | <행정> ▷안을 마련하다 | |
| 성인 호흡 장애 증후군 [成人呼吸障碍症候群] | <법의학>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
| 성인식 [成人式] | <민속> ▷성년식 ※adulthood ceremony | |
| 성적 학대 [性的 虐待] | <법의학> ▶ 성 학대 ※sexual abuse | |
| 성조 [成鳥] | <임업> = 어미 새, 자란 새 | |
| 성주굿 | <민속> ▶ 성줏굿 | |
| 성지 [城址] | <행정> ▶ 성터> | |
| 성찬 [盛饌] | <행정> ▷잘 차린 음식> | |
| 성찰 [省察] | <행정> ▷돌이켜 봄, 깊이 살핌> | |
| 성첩 [城堞] | <행정> ▶ 성가퀴> | |
| 성추 [成雛] | <축산> ▶ 큰병아리 | |
| 성충 [成蟲] | <행정> ▶ 자란 벌레, 엄지벌레> | |
| 성취하다 [成就-] | <행정> = 이루다> | |
| 성치 [成雉] | <임업> = 어미 꿩, 자란 꿩 | |
| 성토 [成兎] | <축산> ▶ 자란 토끼 | |
| 성토 [盛土] | <행정> = 흙돋움, 흙 쌓기> | |
| 성토고 [盛土高] | <임업> ▶ 흙 쌓기 높이 | |
| 성토공 [盛土工] | <임업> ▶ 흙 쌓기 | |
| 성토 단면적 [盛土斷面積] | <임업> ▶ 흙 쌓기 단면적 | |
| 성토사면 [盛土斜面] | <임업> ▶ 흙 쌓기 비탈면 | |
| 성하복 [盛夏服] | <행정> ▶ 한여름 옷 | |
| 성행 [性行] | <행정> ▷행실> | |
| 섶암거 [-暗渠] | <임업> ▷섶속도랑 | |
| 세 [歲] | <행정> = 살> | |
| 세(이)마이 | <미술> ▶ 시작> | |
| 세각 [細刻] | <임업> ▶ 가는 각초 | |
| 세각주맥 [細刻主脈] | <임업> ▶ 가는 줄기 각초 | |
| 세골재 [細骨材] | <임업> ▷잔골재 | |
| 세공 [細工] | <생활외> = 공예 | |
| 세관고지서 [稅關告知書] | <행정> ▶ 세관 신고서 | |
| 세균성 연화병 [細菌性軟化病] | <농업> ▶ 세균 무름병 | |
| 세그먼테이션 [segmentation] | <패션> ▶ 세분화 | |
| 세근 [細根] | <행정> ▶ 잔뿌리> | |
| 세 나래 활촉 [三角鏃] | <고고학> ▷세 날개 화살촉 ※arrowhead with three wings | |
| 세나카 [背中, せなか] | <패션> ▶ 등 | |
| 세대 [世帶] | <행정> = 가구(家口), 집> | |
| 세대주 [世帶主] | <생활외> ▷가구주 | |
| 세도 [細度] | <행정> ▶ 가늠새> | |
| 세도하다가 | <행정> ▶ 영산(榮山) 보리 | |
| 세동 제거 [細動 除去] | <법의학> ▷잔 떨림 제거 ※defibrillation | |
| 세라피스트 [therapist] | <언론> ▶ 치료사 ¶기존 치료 방법과 달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병의 치료를 도와 주는 사람을 세라피스트라고 한다. | |
| 세라후크 [セㅡラㅡ服, セㅡラㅡふく] | <패션> ▶ 세일러복, 해군복 | |
| 세렌 보겐 [독.Scheren Bogen] | <스키> ▶ 가위형 회전 | |
| 세로이음 | <임업> ▶ 세로줄눈 | |
| 세루(사지) [←serge] | <패션> ▶ 서지 | |
| 세륜 시설 [洗輪施設] | <행정> ▷바퀴 닦는 시설> | |
| 세리 [競り, せり] | <행정> ▶ 경매> | |
| 세리 [稅吏] | <행정> = 세무 공무원 | |
| 세리가이 [競賣い, せりがい] | <행정> ▶ 경매차지, 경매, 경락> | |
| 세리다이 [競台, せりだい] | <행정> ▶ 경매대> | |
| 세리바 [競場, せりば] | <행정> ▶ 경매장> | |
| 세리사게 [競下げ] | <행정> ▶ 낮춰 부르기> | |
| 세리아게 [競上げ] | <행정> ▶ 올려 부르기> | |
| 세리코 [競子, せりこ] | <행정> ▶ 경매사> | |
| 세맥 [細麥] | <행정> ▶ 잔보리> | |
| 세면 [洗面] | <행정> ▶ 세수> | |
| 세모 [歲暮] | <행정> = 세밑> | |
| 세무(가와) [セㅡム(がわ)] | <패션> ▶ 스웨이드 | |
| 세문경 [細紋鏡] | <고고학> ▷잔줄무늬 거울, 세문경 ※mirror with slim linear design | |
| 세미 [細尾] | <행정> ▶ 가는 뿌리 | |
| 세미 롤링 [semi rolling] | <볼링> ▶ 반회전 | |
| 세미 프로 [semi pro] | <골프> ▶ 준 프로 | |
| 세미 핑거그립 [semi finger grip] | <볼링> ▶ 중간 마디 잡기 | |
| 세미나 [seminar] | <생활외> <행정> ▷연구회, 발표회, 토론회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 |
| 세미컨버터 [semiconverter] | <전기> ▷반변환기(半變換機) | |
| 세미콜론 [semicolon] | <신문> ▶ 쌍반점(;) | |
| 세발 그릇 [三足器] | <고고학> ▷세발 토기 ※pottery with three legs | |
| 세부 계획 [細部計劃] | <행정> = 자세한 계획 | |
| 세븐티즈 룩 [the seventies look] | <패션> ▶ 70년대풍 | |
| 세비로 [背廣, せびろ] | <패션> <생활외> ▶ 신사복 (정장)> | |
| 세사 [洗砂] | <임업> ▶ 씻은 모래 | |
| 세사 [細砂] | <임업> = 잔모래, 시새, 모새 | |
| 세사리 [洗砂利] | <임업> ▶ 씻은 자갈 | |
| 세삼 [洗蔘] | <행정> ▶ 삼씻기> | |
| 세시 [歲時] | <행정> = 설 때 | |
| 세와야쿠 [世話役, せわやく] | <건설> ▶ 기능장, 십장 | |
| 세우라 [背裏, せうら] | <패션> <봉제> ▶ 뒷길안(감) | |
| 세이덴키 [せいでんき] | <전기> ▶ 정전기(靜電氣) | |
| 세이브 [save] | <행정> = 보존 (기억) | |
| 세이브 포인트 [save point] | <언론> ▶ 구원 승점 ¶두산 마무리 진필중은 행운의 구원승을 따내 9 세이브 포인트로 LG 김용수와 함께 구원 부문 공동 선두로 떠올랐다. | |
| 세이빙 [saving] | <축구> ▷선방(善防) | |
| 세이퍼 [shaper] | <전기> ▷모양 가공기(模樣 加工機) | |
| 세이프티 [safety] | <사격> ▶ 안전쇠 | |
| 세이프티맨 [safety man] | <농구> ▶ 최종 수비수 | |
| 세일 [sale] | <패션> ▷싸게 팔기, 할인 판매 | |
| 세일러 룩 [sailor look] | <패션> ▷해군복풍 | |
| 세일러복 [sailor-服] | <생활외> ▶ 세일러복, 해군복 | |
| 세일러 칼라 [sailor collar] | <패션> ▷해군복 칼라 | |
| 세일러 팬츠 [sailor pants] | <패션> ▷해군 바지 | |
| 세일러 해트 [sailor hat] | <패션> ▷해군모(자) | |
| 세일즈 [sales] | <생활외> ▷판매 | |
| 세일즈맨 [salesman] | <생활외> <경제> ▷외판원, 판매원 ¶힘겨운 일을 마다않고 한 세일즈맨이 결국은 성공하였다. | |
| 세잠 [細蠶] | <잠업> ▶ 가는 누에 | |
| 세절 [細切] | <농업> ▷잘게 자르기 | |
| 세정 [洗淨] | <행정> ▶ 씻음> | |
| 세정수 [洗淨水] | <행정> ▶ 씻은 물 | |
| 세지 [細枝] | <행정> ▶ 잔가지> | |
| 세차장 [洗車場] | <행정> = 차 닦는 곳> | |
| 세척 [洗滌] | <행정> ▶ 씻기> | |
| 세척갱생 [洗滌更生] | <행정> ▶ 씻어 되살려 쓰기> | |
| 세척하다 [洗滌-] | <행정> ▶ 씻다, 빨다> | |
| 세츠 [せっち] | <전기> ▷접지(接地) | |
| 세컨드 레퍼리 [second referee] | <배구> ▶ 부심 | |
| 세컨드 서브 [second serve] | <테니스> ▷두 번째 메김 | |
| 세컨드 임팩트 [second impact] | <볼링> ▶ 2번 핀치기> | |
| 세컨드 하프 [second half] | <하키> ▶ 후반전 | |
| 세키산 [積算, せきさん] | <건설> ▶ 적산 | |
| 세키이타 [堰板, せきいた] | <건설> ▶ 흙막이널, 방죽널, 거푸집널 | |
| 세키자이 [石材, せきざい] | <건설> ▶ 석재 | |
| 세키훈 [石粉, せきふん] | <건설> ▶ 돌가루, 석분 | |
| 세타 [이.seta] | <미술> ▷생깁 | |
| 세타 [セㅡタㅡ, sweater] | <패션> ▶ 스웨터 | |
| 세타케 [背丈, せたけ] | <패션> <봉제> ▶ 등길이, 등기장 | |
| 세탁하다 [洗濯-] | <행정> ▶ 빨래하다> | |
| 세트 [set] | <골프> ▶ 벌, <배구> ▶ 공 올려주기, <패션> = (한)벌, <생활외> ▷(한) 벌<의복> ¶낱개로 구입하기보다는 세트로 구입하는 것이 좋다. <농구> = (한) 판 <체육> ¶한 세트를 먼저 따내는 현정화 선수 | |
| 세트 로션 [←setting lotion] | <생활외> ▶ 조정 화장수 | |
| 세트 슛 [set shoot] | <농구> ▶ 서서 쏘기 | |
| 세트 어펜스 [set offense] | <핸드볼> ▶ 전략 공격 | |
| 세트 업 [set up] | <볼링> ▶ 핀 정렬 | |
| 세트 포인트 [set point] | <테니스> ▷세트점 | |
| 세트 프로퍼티 [set property] | <연극> ▶ 장치 도구 | |
| 세팅 [setting] | <배드민턴> ▷동점 승부 | |
| 세팅 [setting] | <생활외> ▷설치 ¶무대 도구들을 잘 세팅해. <배드민턴> ▷동점 승부 | |
| 세팅타임 [setting time] | <전기> ▷정착 시간(定着時間) | |
| 세퍼레이터 [separator] | <행정> ▶ 분리기> | |
| 세퍼레이트 레이스 [separate race] | <스케이트> ▷2인조 경기 | |
| 세포 간극 [細胞間隙] | <임업> ▷세포 틈> | |
| 세포사 [細胞死] | <법의학> ▷세포 사망, 세포사, 분자사 ※cell death | |
| 세필 [細筆] | <미술> ▷가는 붓> | |
| 세하바 [背幅] | <봉제> ▶ 뒤품 | |
| 세형돌날 [細石刃] | <고고학> ▷좀돌날, 세석인 ※micro-blade | |
| 세형동검 [細形銅劍] | <고고학> ▷좁은 놋단검 ※slim bronze dagger | |
| 세형몸돌 [細石刃石核] | <고고학> ▷좀돌날 몸돌, 세석인 몸돌 ※micro-blade core | |
| 섹스 스캔들 [sex scandal] | <언론> ▶ 성 추문 ¶클린턴 대통령이 섹스 스캔들에 휘말렸을 때에는 “○○○와의 관계에 대해 위증했다면…. | |
| 섹스어필 [sex appeal] | <언론> ▶ 성적 매력 ¶‘알바걸’ ○○○의 섹스어필이 화제다. | |
| 섹시가이 [sexy guy] | <언론> ▶ 매력남 ¶섹시가이 안재욱과 ○○○의 ‘포장마차 데이트’가 봄을 앞둔 연예가 핫이슈(→주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 |
| 섹시하다 [sexy-] | <생활외> ▷관능적이다, 산뜻하다 ¶그는 섹시한 연기를 잘 하는 배우이다. | |
| 센누키 [栓拔き] | <생활외> ▶ 따개 | |
| 센데이 [せんてい] | <임업> ▶ 가지치기 | |
| 센반 [旋盤, せんばん] | <건설> <미술> ▶ (목공) 선반 | |
| 센베이 [煎餠, せんべい] | <식생활> ▶ 전병 과자, <행정> ▶ 부꾸미, 전과자> | |
| 센서 [sensor] | <생활외> ▷감지기 ¶가습기에 달린 센서를 통해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준다. | |
| 센서스 [census] | <생활외> ▷통계 조사 ¶인구 센서스 조사 결과 남아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행정> ▶ 인구 조사, 국세 조사, (통계)조사 | |
| 센서티브하다 [sensitive-] | <생활외> ▶ 예민하다 ¶센서티브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 |
| 센세이셔널하다 [sensational-] | <생활외> ▶ 놀랍다, 충격적이다 ¶그는 과학계에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 |
| 센세이션 [sensation] | <행정> ▶ 큰 화제, 선풍 | |
| 센스 [sense] | <생활외> ▷눈치, 분별(력), 감각 ¶탁월한 센스를 지닌 회원들로 시작을 했다. <언론> ▷감각, 분별(력), 눈치 ¶센스 돋보이는 간편한 설 요리. | |
| 센치하다 [sentimental-] | <생활외> ▶ 감상적이다 | |
| 센칸 [潛函, せんかん] | <건설> ▶ 잠함 | |
| 센터 [center] | <연극> ▷(무대) 중앙, <행정> ▷본부, 중앙, 중심(지), 점, 집, 전, 소 | |
| 센터 라인 [center line] | <핸드볼> <배구> ▶ 중앙선 | |
| 센터 라인 오버 [center line over] | <생활외> ▶ 중앙선 침범 | |
| 센터 마크 [center mark] | <테니스> ▷끝줄 중앙점 | |
| 센터 백 [center back] | <핸드볼> ▶ 중앙 공격수 | |
| 센터 스트랩 [center strap] | <테니스> ▷그물띠 | |
| 센터 시어리 [center theory] | <테니스> ▶ 중앙 공격법 | |
| 센터 파이어 [center fire] | <사격> ▷(중앙) 탄약 | |
| 센터 포워드 [center forward] | <하키> ▶ 중앙 공격수 | |
| 센터 하프 [center half] | <축구> <핸드볼> ▷중앙 공방수, <하키> ▶ 허리 연결수 | |
| 센터 하프 백 [center half back] | <하키> ▶ 중앙 수비수 | |
| 센터펀치 [center punch] | <미술> ▷자국정 | |
| 센터 플레이어 [center player] | <배구> ▷중앙 공격수 | |
| 센테이 [剪定, せんてい] | <행정> ▶ 가지치기> | |
| 센토루 [センタリング, centering] | <건설> ▶ 아치(가설)틀 | |
| 센티멘털 코미디 [sentimental comedy] | <연극> ▶ 감상 희극 | |
| 센티멘털리즘 [sentimentalism] | <생활외> ▷감상주의 ¶그 노래는 본래의 그 센티멘털리즘을 전혀 불러 일으켜 주지 못하고 있다. | |
| 셀 모터 (←세루모터) [cell motor] | <행정> <전기> ▷시동 전동기(始動 電動機) | |
| 셀러 블록 [cellar block] | <행정> ▶ 속 빈 블록> | |
| 셀룰러 방식 [cellular] | <행정> ▶ 세포 방식 | |
| 셀룰로오스 [cellulose] | <생활외> ▷섬유질 | |
| 셀프서비스 [self-service] | <생활외> ▷손수하기 ¶이곳은 셀프서비스입니다. | |
| 셉방 [折半, せっぱん] | <생활외> ▶ 반 가르기, 반타작 | |
| 셋업맨 [setup man] | <언론> ▶ 계투 요원 ¶400만 달러의 이적료를 내고 선발 혹은 마무리가 아닌 셋업맨을 스카우트할 메이저리그 팀은 없다. | |
| 셋톱 박스 [set top box] | <언론> ▶ 위성 (방송) 수신기 ¶두 회사는 올 하반기부터 무선 모뎀 내장형 위성 방송 수신기 보급에 나서 올 연말까지 50만대의 셋톱박스를 보급할 방침이다. | |
| 셋파 (도메) [切羽止め, せっぱどめ] | <패션> ▶ 빗장박기, 빗장박음 <봉제> ▶ 깃구멍, 깃눈 | |
| 셔츠 슈트 [shirts suit] | <언론> ▶ 남방 정장 ¶올 여름 신세대 남성 사이에서 셔츠 수트(→셔츠 슈트)가 유행하고 있다. | |
| 셔터 [shutter] | <미술> = 여닫개, <행정> ▷덧닫이> | |
| 셔틀 [shuttle] | <미술> ▶ 북> | |
| 셔틀버스 [shuttle bus] | <생활외> <언론> ▶ 순환 버스 ¶김포 인근 승객을 위한 다인승 택시 또는 셔틀 버스를 운행시켰으면 좋겠다. | |
| 셔틀 (코르크) [shuttle (cork)] | <배드민턴> = 깃털공 | |
| 셧다운 [shutdown] | <행정> ▷가동 정지 | |
| 셰어링 [sharing] | <언론> ▶ (자원) 공유 ¶셰어링이 경영의 키워드(→핵심어)로 떠오르고 있다.> | |
| 셸 버튼 [shell button] | <패션> ▶ 조개 단추, 조가비 단추 | |
| 소 [沼] | <농업> ▶ 늪> | |
| 소 [訴] | <행정> = 소송 | |
| 소각 [燒却] | <행정> ▷태우기> | |
| 소각 설비 [燒却設備] | <행정> ▷태우는 설비 | |
| 소감 [所感] | <행정> = 느낀 바 | |
| 소강 [小康] | <행정> ▷가라 앉음> | |
| 소거 [消去] | <행정> ▷없앰> | |
| 소견 [所見] | <행정> ▷생각> | |
| 소경 아이 | <행정> ▷눈 먼 아이 | |
| 소고 [小鼓] | <행정> = 작은북> | |
| 소관 [所管] | <행정> = 맡음, 맡은> | |
| 소광 [巢框] | <잠업> ▶ 벌집 틀 | |
| 소구 [訴求] | <정치> = 소송 청구 | |
| 소구 [遡求] | <행정> ▶ 소급 청구 | |
| 소구적 [小口積] | <임업> ▶ 마구리 쌓기 | |
| 소국 [小菊] | <농업> ▷잔국화 | |
| 소급 효과 [遡及效果] | <행정> = 소급 효력 | |
| 소급하다 [遡及-] | <행정> = 거슬러 올라가다 | |
| 소기의 [所期-] | <행정> ▷기대한/했던/하는 바 | |
| 소낭 [嗉囊] | <축산> ▶ 모이 주머니 | |
| 소대 식물 [蘇臺植物] | <행정> ▶ 이끼 식물 | |
| 소데 [袖] | <봉제> ▶ 소매 | |
| 소데구리 [袖刳] | <봉제> ▶ 진동, 소맷마루 둘레 | |
| 소데구치 [袖口] | <봉제> ▶ 소맷부리 | |
| 소데나시 [袖なし, そでなし] | <패션> ▶ 민소매(옷) | |
| 소데소토누이 [袖外縫い] | <봉제> ▶ 소매 뒷솔기 | |
| 소데쓰케 [袖付け] | <봉제> ▶ 소매 달기 | |
| 소데쓰키센 [袖付き線] | <봉제> ▶ 소매 달림선, 진동 둘레선 | |
| 소데아키 [袖明き] | <봉제> ▶ 소매트기, 소매트임 | |
| 소데야마 [袖山, そでやま] | <봉제> ▶ 소맷마루 | |
| 소데우라 [袖裏, そでうら] | <봉제> ▶ 소매안(감) | |
| 소데타케 [袖丈, そでたけ] | <봉제> ▶ 소매 길이 | |
| 소데하바 [袖幅, そではば] | <봉제> ▶ 소매통, 소매 너비 | |
| 소도리 [總取り] | <행정> ▶ 몽땅사기> | |
| 소독저 [消毒箸] | <행정> ▶ 나무젓가락> | |
| 소독제 [消毒劑] | <행정> ▷소독약> | |
| 소두 [小豆] | <행정> ▶ 팥> | |
| 소두상충 [小豆象蟲] | <농업> ▶ 팥 바구미 | |
| 소등하다 [消燈-] | <행정> ▶ 불끄다 | |
| 소라백 [そら back] | <생활외> ▶ 하늘 배경 | |
| 소라색 [空色, そらいろ] | <생활외> ▶ 하늘색, 하늘 빛깔 | |
| 소로 [小路] | <행정> ▷작은 길 | |
| 소류지 [沼溜地] | <행정> ▶ 늪지> | |
| 소륵 [小勒] | <승마> ▶ 작은 재갈 ※bridoon | |
| 소리바사미 [そりばさみ] | <생활외> ▶ 숱치개<가위> | |
| 소립 [小粒] | <농업> ▶ 잔 알 | |
| 소립종 [小粒種] | <농업> ▶ 잔씨(앗), 작은알 품종 | |
| 소매 [小賣] | <생활외> = 산매 | |
| 소매스소 폭 [-裾幅] | <패션> ▷소매 단 너비, 소매 도련 너비 | |
| 소매아키 [-明き] | <패션> ▶ 소매트기, 소매트임 | |
| 소맥 [小麥] | <행정> ▶ 밀> | |
| 소맥고 [小麥藁] | <농업> ▶ 밀짚 | |
| 소맥부 [小麥麩] | <농업> ▶ 밀기울 | |
| 소맥분 [小麥粉] | <식생활> ▶ 밀가루 | |
| 소맥피 [小麥皮] | <행정> ▶ 밀기울> | |
| 소멘 (←소멩) [素麵, そうめん] | <행정> <식생활> ▶ 소면 | |
| 소멸 [消滅] | <행정> = 없어짐> | |
| 소명 [疏明] | <정치> ▷해명, 밝힘 | |
| 소문 [巢門] | <잠업> ▶ 벌통 문 | |
| 소밀 [巢蜜] | <식생활> ▶ 개꿀 | |
| 소밀도 [疏密度] | <임업> ▷나무 밀도 | |
| 소바 [蕎麥] | <식생활> ▶ 메밀(국수) | |
| 소바면 [蕎麥麵] | <식생활> ▶ 메밀국수 | |
| 소발 [素髮] | <미술사> ▷민머리, 소발> | |
| 소방정 [消防艇] | <행정> ▷소방 선박, 소방용 배> | |
| 소보루빵 (←소보로빵) [そぼろ-] | <생활외> ▶ 곰보빵 | |
| 소보리 [總掘り] | <건설> ▶ 온통 파기 | |
| 소비 [巢脾] | <잠업> ▶ 벌집 | |
| 소비 [消費] | <행정> = 씀씀이> | |
| 소비 절약 [消費節約] | <행정> = 씀씀이 줄이기 | |
| 소비재배 [小肥栽培] | <농업> ▶ 거름 적게 주어 가꾸기 | |
| 소사 [小使] | <행정> ▶ 사환, 사동> | |
| 소사 [燒死] | <행정> ▶ 타 죽음 | |
| 소산하다 [疏散-] | <행정> ▶ 흩어지다> | |
| 소상 [巢箱] | <행정> ▶ 벌통> | |
| 소상식재 [巢箱植栽] | <임업> ▷새집꼴심기 | |
| 소상히 [昭詳-] | <행정> ▷자세히, 분명하게> | |
| 소생 [小生] | <정치> ▷저, 제 | |
| 소석률 [消席率] | <행정> ▷화물 적재율 | |
| 소선 [小船] | <행정> ▶ 작은 배 | |
| 소선 [素線] | <전기> ▷가닥 | |
| 소선단선 [素線斷線] | <행정> ▶ (전선) 가닥단선> | |
| 소성 [燒成] | <미술> ▷굽기 | |
| 소성공 [燒成工] | <행정> ▶ 돌 굽는 이, 돌구이> | |
| 소셜 코미디 [social comedy] | <연극> ▶ 사회 희극 | |
| 소셜 프로블럼 플레이 [social problem play] | <연극> ▶ 사회 문제극 | |
| 소속입건 [小束立乾] | <행정> ▶ 작은 다발 세워 말리기 | |
| 소손 [燒損] | <행정> ▶ 타서 못쓰게 됨> | |
| 소쇄립 [小碎粒] | <행정> ▶ 잔싸라기> | |
| 소수관 [疏水管] | <행정> ▶ 배수관, 물 통하는 관> | |
| 소스 [source] | <행정> ▶ 출처> | |
| 소스 코드 [source code] | <언론> ▶ 바탕 코드, 원천 코드 ¶한컴은 한글워디안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계획도 발표했다. | |
| 소시 [少時] | <행정> ▷젊은 시절 | |
| 소식 [疏植] | <행정> ▶ 성글게 심기> | |
| 소신 [所信] | <행정> = 믿는 바 | |
| 소실 [燒失] | <행정> ▷타 없어짐 | |
| 소액 [少額] | <행정> = 적은 금액 | |
| 소엽 [蘇葉] | <농업> ▷차조기잎 | |
| 소도리 [總取り] | <생활외> ▶ 몽땅 사기 | |
| 소캉 [象嵌, ぞうがん] | <행정> ▶ 파넣기, 땜질 | |
| 소외하다 [疏外-] | <행정> ▷멀리하다> | |
| 소요 자금 [所要資金] | <행정> = 드는 자금, 필요 자금> | |
| 소요되는 [所要-] | <행정> = 걸리는, 드는> | |
| 소요폭 [所要幅] | <행정> ▷필요한 만큼의 폭/너비 | |
| 소우 [素牛] | <축산> ▶ 밑소 | |
| 소우라 [總裏, そううら] | <미술> ▶ 마무리 배접> | |
| 소운전 [小運轉] | <행정> ▶ 근거리 운전 | |
| 소위 [所爲] | <행정> ▷소행> | |
| 소위 [所謂] | <행정> ▷이른바> | |
| 소유하다 [所有-] | <행정> ▷가지다> | |
| 소유한 [所有-] | <행정> ▷가진> | |
| 소음 [騷音] | <행정> ▷시끄러운 소리 | |
| 소이 [所以] | <행정> ▷까닭> | |
| 소인 [消印] | <정치> = 날짜 도장, <행정> = 지움도장> | |
| 소인 미필의 (우표) [消印未畢-(郵票)] | <행정> ▶ 소인 안 된 (우표) | |
| 소인으로 [素因-] | <행정> ▶ 까닭으로> | |
| 소임 [所任] | <행정> = 맡은 일 | |
| 소자기 [消磁器, magnetic eraser] | <전기> ▷자성 지우개(磁性-) | |
| 소잠 [掃蠶] | <행정> ▶ 누에떨기> | |
| 소장 [所藏] | <행정> ▷간직> | |
| 소장 조사 [消長調査] | <행정> ▶ 증감 조사 | |
| 소재 [所在] | <행정> = 있는 곳 | |
| 소절수 [小切手] | <생활외> ▶ 수표 | |
| 소정 비율 [所定 比率] | <금융> ▷정한 비율 | |
| 소정 기일 내 [所定期日內] | <행정> ▶ 정한 날짜 안에> | |
| 소정의 [所定-] | <행정> ▶ 정해진> | |
| 소제 [掃除] | <행정> ▶ 청소> | |
| 소주밀식 [小株密植] | <농업> ▶ 적게 잡아 배게 심기 | |
| 소지 [掃除] | <행정> ▶ 청소(원) | |
| 소지 [小指] | <행정> ▶ 새끼손가락> | |
| 소지경 [小枝梗] | <임업> ▶ 벼알 가지 | |
| 소지측량 [小地測量] | <임업> ▷평면 측량 | |
| 소지하다 [所持-] | <행정> ▷가지고 있다 | |
| 소직 [小職] | <행정> ▶ 저는, 본인은> | |
| 소진 [燒盡] | <행정> ▷다 탐 | |
| 소집 [召集] | <행정> ▷모음> | |
| 소집 명령서 [召集命令書] | <행정> ▶ 소집 통지서 | |
| 소채 [蔬菜] | <식생활> = 채소 | |
| 소채아 [小菜蛾] | <잠업> ▶ 배추좀나방> | |
| 소천 [小川] | <임업> ▶ 소하천 | |
| 소청 [訴請] | <정치> ▷소송 청구 | |
| 소초 [巢礎] | <잠업> ▶ 벌집 틀 바탕 | |
| 소치 [所致] | <행정> ▶ 까닭> | |
| 소켓 [socket] | <골프> ▶ 목 이음매, 실(수)타 | |
| 소타케 [總長, そうたけ] | <봉제> ▶ 총 길이 | |
| 소탕 [掃蕩] | <행정> ▶ 없앰> | |
| 소택지 [沼澤地] | <행정> ▶ 늪> | |
| 소토 [燒土] | <농업> ▶ 흙 태우기 | |
| 소토마키 [外卷] | <생활외> ▶ 바깥말이, 밭말이 | |
| 소토소데 [外袖, そとそで] | <패션> ▶ 윗소매 | |
| 소토히다 [外襞, そとひだ] | <봉제> ▶ 바깥주름, 밭주름 | |
| 소통 [疏通] | <행정> ▷통함> | |
| 소트 [sort] | <행정> ▶ 분류, 정렬 | |
| 소트 [thought] | <연극> ▶ 주제 | |
| 소파 [sofa] | <행정> ▶ 긴 (안락) 의자> | |
| 소편 [小片] | <행정> ▷가는 삼 | |
| 소포 목록 [小包目錄] | <행정> ▷소포 발송 목록> | |
| 소포 수득금 [小包收得金] | <행정> ▷소포 취급비 | |
| 소프트 랜딩 [soft landing] | <언론> ▶ 연착륙 ¶한솔 ○○○ 회장-제일제당 ○○○ 회장. ‘이병철 3세’ 경영 소프트랜딩. | |
| 소프트 스타트 [soft start] | <전기> ▷유연시동(柔軟始動) | |
| 소프트 앨리 [soft alley] | <볼링> ▶ 쉬운 마루 | |
| 소프트 포갑 [soft 包匣]> | <행정> ▷연 포장> | |
| 소프트하다 [soft-] | <생활외> ▶ 부드럽다 ¶소프트한 거품 입자로 된 투명 비누가 좋다. | |
| 소피스티케이트 [sophisticate]> | <패션> ▶ 세련되다(됨) | |
| 소하물 [小荷物] | <생활외> ▷잔짐 | |
| 소할 [所轄] | <행정> ▶ 관할> | |
| 소행 [所行] | <행정> = 짓> | |
| 소행 [素行] | <행정> ▷평소의 행실 | |
| 소형 선박 [小型船舶] | <행정> ▷작은 배/선박> | |
| 소호 [小毫] | <정치> ▶ 조금> | |
| 소홀히 [疏忽-] | <행정> = 가볍게> | |
| 소화되다 [消化-] | <경제> ▶ 매입하다 | |
| 소화성 궤양 [消化性 潰瘍] | <법의학> ▶ 소화 궤양 ※peptic ulcer | |
| 소화하다 [消火-] | <행정> = 불끄다> | |
| 소환장 [召喚狀] | <행정> = 부름표> | |
| 소환하고자 [召喚-] | <행정> ▶ 나오시도록 하고자 | |
| 소훼한 [燒毁-] | <행정> ▶ (불에) 태운/태워 없앤> | |
| 속 [束] | <행정> ▶ 묶음, 다발, 뭇> | |
| 속 [粟] | <농업> ▶ 조 | |
| 속결하다 [速決-] | <행정> ▶ 빨리 정하다 | |
| 속구 [屬具] | <행정> ▶ 부속 기구 | |
| 속기 [速記] | <행정> = 빨리 적기> | |
| 속락 [續落] | <정치> ▷잇따라 떨어짐> | |
| 속명 [俗名] | <임업> = 향명 | |
| 속명충 [粟螟蟲] | <잠업> ▶ 조명나방 | |
| 속미 [粟米] | <식생활> ▶ 좁쌀 | |
| 속병 [續柄] | <행정> ▶ (가족) 관계 | |
| 속보 [速報] | <행정> ▷빨리 알림 | |
| 속성상전 [速成桑田] | <잠업> ▶ 속성 뽕밭 | |
| 속성수 [速成樹] | <임업> = 빨리 자람 나무> | |
| 속성퇴비 [速成堆肥] | <농업> ▶ 빨리 썩는 두엄 | |
| 속속 [續續] | <행정> = 잇달아, 연달아> | |
| 속수무책 [束手無策] | <행정> = 해 볼 도리 없음 | |
| 속야도충 [粟夜盜蟲] | <잠업> ▶ 멸강나방 | |
| 속출하다 [續出-] | <행정> ▷잇달다, 잇따르다> | |
| 속하다 [屬-] | <행정> ▷딸리다> | |
| 속행 [續行] | <행정> ▷계속함> | |
| 속히 [速-] | <행정> = 어서, 빨리> | |
| 손괴하다 [損壞-] | <행정> ▶ 망가뜨리다> | |
| 손궤 [損潰] | <행정> ▶ 무너짐, 망가뜨림> | |
| 손모 [損耗] | <행정> ▶ 닳아 없어짐 | |
| 손뼉춤 [手搏戱] | <민속> ▷수박희 | |
| 손상 [損傷] | <행정> = 다침, <법의학> ▷상처 ※injury | |
| 손상 비율 [損傷比率] | <행정> = 상한 비율 | |
| 손상구 [損傷球] | <행정> ▷상한 알 | |
| 손서 [損鼠] | <행정> ▶ 쥐 피해 | |
| 손실을 가하다 [損失-] | <행정> ▶ 손해를 입히다/끼치다> | |
| 손해 사정인 [損害 査定人] | <금융> ▶ 손해 사정사 | |
| 솔 [sole] | <골프> ▷채머리 바닥, <스키> ▷(스키화) 바닥 | |
| 솔선 [率先] | <행정> = 앞장섬, 앞장서서> | |
| 솔선수범 [率先垂範] | <행정> = 앞장서 모범을 보임> | |
| 송검 [送檢] | <행정> ▶ (검찰청) 송치 | |
| 송구하다 [悚懼-] | <정치> = 미안하다, 죄송하다 | |
| 송급하다 [送給-] | <행정> ▶ 보내다> | |
| 송달 [送達] | <행정> ▶ 보냄, 띄움 | |
| 송달지 [送達地] | <행정> ▶ (전보) 배달지 | |
| 송부 [送付] | <행정> ▷(물건) 보냄 | |
| 송수 [送水] | <행정> ▷물을 보냄 | |
| 송연묵 [鬆煙墨] | <미술> ▷솔먹, 숯먹 | |
| 송증 [送證] | <행정> ▷보냄표> | |
| 송지 [松脂] | <행정> ▶ 송진, 소나무 진 | |
| 송출 선원 [送出船員] | <행정> ▷해외 취업 선원> | |
| 송출선 [送出船] | <행정> ▷해외 취업선 | |
| 송치 [送致] | <행정> ▷보냄> | |
| 송치부 [送致簿] | <행정> ▷보낸 장부 | |
| 송치증 [送致證] | <행정> ▷보냄표> | |
| 송치증 원부 [送致證原簿] | <행정> ▷보냄표 원장 | |
| 송하인 [送荷人] | <행정> ▶ 짐 부친 이> | |
| 송화인 [送貨人] | <행정> ▶ 짐 부친 이> | |
| 송환하다 [送還-] | <행정> = 돌려보내다> | |
| 쇄골 [鎖骨] | <행정> ▶ 빗장뼈> | |
| 쇄도하다 [殺到-] | <행정> = 몰려들다> | |
| 쇄력 [碎礫] | <임업> ▶ 부순자갈 | |
| 쇄립 [碎粒] | <행정> ▶ 싸라기> | |
| 쇄목 [碎木] | <임업> ▷나무 부수기 | |
| 쇄미 [碎米] | <식생활> ▶ 싸라기 | |
| 쇄사 [碎砂] | <임업> ▶ 부순 모래 | |
| 쇄석 [碎石] | <행정> ▶ 부순 돌> | |
| 쇄석 쌓기 [碎石-] | <임업> ▶ 깬 돌 쌓기 | |
| 쇄신하다 [刷新-] | <행정> ▷새롭게 하다 | |
| 쇄정 [鎖錠, locking] | <전철> ▷잠금 장치 | |
| 쇄정하다 [鎖錠-] | <행정> ▶ 잠그다> | |
| 쇄토 [碎土] | <행정> ▶ 흙부수기> | |
| 쇠갈래창 [鐵戟] | <고고학> ▷쇠옆가지창 ※iron halberd | |
| 쇠덩이 [鐵鋌] | <고고학> ▷덩이쇠 ※iron ingot | |
| 쇠락 [衰落] | <정치> = 쇠퇴 | |
| 쇠뿔 손잡이 단지 [牛角形把手] | <고고학> ▷쇠뿔 손잡이 ※horn shaped handle | |
| 쇳가루 | <행정> ▶ 돈 | |
| 쇳대 | <행정> = 열쇠> | |
| 쇼링 [shoring] | <행정> ▷화물 고정 | |
| 쇼맨십 [showmanship] | <생활외> ▷허세, 제 자랑 ¶쇼맨십이 털끝만큼도 없는 사람이다. | |
| 쇼바 [shock absorber] | <생활외> ▶ 완충기 | |
| 쇼부 [勝負, しょうぶ] | <행정> ▶ 승부, 흥정> | |
| 쇼야키 [鹽燒] | <생활외> ▶ 소금구이 | |
| 쇼윈도 [show window] | <생활외> <패션> ▷진열장 ¶백화점 쇼윈도에 크리스마스 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언론> ▶ 전시장, 진열장 | |
| 쇼추 [双柱, そうちゅう] | <신문> ▶ 쌍줄(표) | |
| 쇼츠 [shorts] | <패션> ▶ 짧은 바지, 반바지 | |
| 쇼케이스 [showcase] | <행정> ▶ 진열 상자 | |
| 쇼쿠빵 [食, 食麵] | <생활외> ▶ 식빵 | |
| 쇼쿠캉 [食罐, しょくかん] | <생활외> ▶ 밥통 | |
| 쇼크 [shock] | <생활외> <언론> = 충격 ¶○○ 쇼크 이후 금융주들이 폭락하면서 시가 총액 상위 종목에서 대거 탈락하고 있다. | |
| 쇼킹하다 [shocking-] | <생활외> <언론> ▶ 충격적이다 ¶드라마가 쇼킹하면서 리얼하게 펼쳐진다. | |
| 쇼트 [short] | <사격> ▷짧은 탄 | |
| 쇼트 [ショ-ト] | <전기> ▶ 단락(短絡) | |
| 쇼트 땅볼 [short ground ball] | <야구> ▶ 내야 땅볼 | |
| 쇼트 서비스 [short service] | <배드민턴> ▶ 짧게 메김 | |
| 쇼트 스커트 [short skirt] | <패션> ▷짧은 치마 | |
| 쇼트 스키 [short ski] | <스키> ▶ 단형 스키 | |
| 쇼트 스트로크 [short stroke] | <스케이트> ▶ 짧은 활주 | |
| 쇼트 아이언 [short iron] | <골프> ▶ 짧은 쇠채 | |
| 쇼트 어프로치 [short approach] | <골프> ▶ 짧게 붙이기 | |
| 쇼트 커트 [short cut] | <행정> ▶ 짧게 치기 <체육> | |
| 쇼트 커트형 | <행정> ▶ 짧은 머리형> | |
| 쇼트 컷 [short cut] | <골프> ▷질러치기> | |
| 쇼트 턴 [short turn] | <스키> ▶ 짧게 돌기 | |
| 쇼트 패스 [short pass] | <하키> ▷짧게 주기 | |
| 쇼트 팬츠 [short pants] | <패션> ▶ 짧은 바지, 반바지 | |
| 쇼트 포지션 [short position] | <경제> <금융> ▶ 매도 (초과) 포지션 | |
| 쇼트 헤어 [short hair] | <패션> <생활외> ▶ 짧은 머리 ¶쇼트 헤어는 지난 여름을 휩쓴 대표적인 인기 헤어 스타일이었다. | |
| 쇼트 홀 [short hole] | <골프> ▷짧은 홀 | |
| 쇼핑 [shopping] | <생활외> ▷(시)장보기, 물건사기 ¶볼링도 하고 쇼핑도 한다. | |
| 쇼핑몰 [shopping mall]> | <패션> ▷상점가, <언론> ▷상가 ¶우체국 사이버 쇼핑몰은 물론 선정되는 PC 제조 업체의 유통망을 통해서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생활외> ▷장바구니 ¶쇼핑백은 뜯지도 않은 채 식탁 밑에 그대로 두었다. | |
| 쇼핑백 [shopping bag] | <패션> = 장바구니 | |
| 쇼핑센터 [shopping center] | <패션> = 종합상가, 상점가> | |
| 쇼핑 카트 [shopping cart] | <언론> ▶ (장보기/쇼핑) 밀차 ¶지방 할인점에서는 쇼핑 카트 절도가 많아 골머리를 앓는다. | |
| 쇼핑 타운 [shopping town] | <생활외> ▷종합 상가, 시장, 상점가 ¶시(市)는 올해에 쇼핑 타운을 확충하기로 결정하였다. | |
| 쇼핑 호스트 [shopping host] | <언론> ▶ 상품 안내자, 소개인 ¶또한 쇼핑 호스트는 상품의 정보 제공자인 동시에 프로그램을 재미있게 이끌어가는…. | |
| 쇼 호스트 [show host]> | <언론> ▷①방송 판매자 ②상품 안내자> | |
| 숀벤 | <행정> ▶ 손빼기 | |
| 숄더 백 [shoulder bag] | <패션> ▶ 어깨 가방> | |
| 숄더 인 [shoulder in] | <승마> ▶ 어깨 안쪽 넣기 | |
| 숄더 패드 [shoulder pad] | <패션> ▶ 어깨심 | |
| 숄더 패스 [shoulder pass] | <농구> ▶ 어깨 너머 주기 | |
| 숍마(스터) [←shop master]> | <패션> ▶ 매장 담당(자)> | |
| 숏-커버링 [short-covering] | <경제> ▶ 매도 초과 포지션 청산 | |
| 수가 [酬價] | <행정> ▶ 치료비> | |
| 수간 [樹幹] | <행정> ▶ 나무 줄기 | |
| 수간주사 [樹幹注射] | <임업> ▶ 나무 주사 | |
| 수간폭 [樹間幅] | <행정> ▶ 나무 사이 너비> | |
| 수감 [收監] | <행정> ▶ 가둠, 수용 | |
| 수갑 [手匣] | <행정> ▶ (쇠)고랑> | |
| 수개 [數個] | <행정> ▷여러 개, 두서너 개> | |
| 수거 [手鋸] | <임업> ▶ 손톱 | |
| 수거하다 [收去-] | <행정> ▶ 거두어가다, 거두어들이다> | |
| 수검 [受檢] | <행정> ▶ 검사받기> | |
| 수격 작용 [水擊作用, water hammering] | <전기> ▷물 충격(-衝擊) | |
| 수견 [收繭] | <행정> ▶ 고치따기> | |
| 수경 재배 [水耕栽培] | <행정> = 물가꾸기> | |
| 수계 [受繼] | <행정> ▶ 이어받음> | |
| 수계차수 [水系次數] | <임업> ▶ 하천 차수 | |
| 수고 [收高] | <행정> ▶ 수입액> | |
| 수고 [樹高] | <행정> ▶ 나무 키 | |
| 수고공 [水叩工] | <임업> ▶ 물받침, 물받이 | |
| 수관 [樹冠] | <임업> ▶ 나무갓 | |
| 수관 일자 [收管 日字] | <금융> ▶ 이관 받은 날짜 | |
| 수관밀도 [樹冠密度] | <임업> ▶ 나무갓 밀도 | |
| 수관장 [樹冠長] | <임업> ▶ 나무갓 길이 | |
| 수관폭 [樹冠幅] | <임업> ▶ 나무갓 너비 | |
| 수괴 [首魁] | <행정> ▶ 두목, 우두머리> | |
| 수교 [手交] | <정치> ▷(직접) 건네줌 | |
| 수교하다 [修交-] | <행정> = 외교 관계를 맺다> | |
| 수구 [受口] | <임업> ▷방향 베기 | |
| 수권 [受權] | <행정> ▶ 권한 받기> | |
| 수권 [手拳] | <행정> ▶ 주먹> | |
| 수권 [授權] | <행정> ▶ 권한주기> | |
| 수권자 | <행정> ▶ 권리자 | |
| 수권하다 [授權-] | <행정> ▶ 권한주다> | |
| 수근 [樹根] | <행정> ▶ 나무 뿌리 | |
| 수근 [鬚根] | <임업> ▶ 실뿌리, 수염뿌리 | |
| 수금류 [水禽類] | <임업> ▷물새류 | |
| 수급받다 [受給] | <행정> ▷주문받다> | |
| 수긍하다 [首肯-] | <행정> = 옳게 여기다 | |
| 수기 [受器] | <행정> ▶ 받는 그릇 | |
| 수기 [手技] | <행정> ▶ 손재주> | |
| 수기 [手旗] | <정치> ▷손깃발 | |
| 수난 [水難] | <행정> ▶ 물난리> | |
| 수납 창구 [受納窓口] | <행정> ▷(돈) 받는 곳/내는 곳> | |
| 수뇌부 [首腦部] | <정치> = 지도부 | |
| 수도 [水稻] | <행정> ▶ 벼> | |
| 수도 [隧道] | <행정> ▶ 터널, 굴> | |
| 수도 미터 커플링 | <행정> ▶ 수도 계량기 이음쇠> | |
| 수도세 [水道稅] | <행정> = 수돗물 사용료 | |
| 수도에 [數道-] | <행정> ▶ 여러 도에 | |
| 수도 이앙기 [水稻移秧機] | <농업> ▷모심개 | |
| 수도작 [水稻作] | <행정> ▶ 벼농사> | |
| 수두 [獸痘] | <축산> ▷짐승마마 | |
| 수두증 [水頭症] | <법의학> ▷물뇌증, 수두증 ※hydrocephalus | |
| 수득하다 [收得-] | <행정> ▶ 받다, 거두어들이다> | |
| 수라 [修羅] | <임업> ▶ 미끄럼길 | |
| 수락 [受諾] | <행정> = 받아들임> | |
| 수량 [收量] | <행정> ▶ 수확량> | |
| 수레굴대 끝씌우개 [車衡具] | <고고학> ▷수레 부속 ※chariot fittings | |
| 수레 토기 [車形土器] | <고고학> ▷수레 모양 토기 ※chariot shaped pottery | |
| 수렴 [收斂] | <행정> = 모아 들임 | |
| 수렵 [狩獵] | <행정> ▷사냥> | |
| 수렵지 [狩獵地] | <행정> ▷사냥터> | |
| 수령 [受領] | <행정> ▷받음> | |
| 수령 [樹齡] | <행정> ▷나무 나이 | |
| 수령 능력 [受領能力] | <행정> ▷받을 능력 | |
| 수령 방법 [受領 方法] | <금융> ▷받는 방법 | |
| 수령부 [受領簿] | <행정> ▷접수 대장 | |
| 수령시에 [受領時-] | <행정> ▷받는/을 때에> | |
| 수령인 [受領人] | <행정> ▷받을 사람 | |
| 수령하다 [受領-] | <행정> ▷받다> | |
| 수로 [水路] | <농업> ▷물길, 물도랑 | |
| 수로공 [水路工] | <임업> ▶ 수로내기, 도랑내기 | |
| 수로변경공 [水路變更工] | <임업> ▶ 물길 바로잡기 | |
| 수로정리공 [水路整理工] | <임업> ▶ 냇바닥 치우기 | |
| 수록하다 [收錄-] | <행정> = 싣다> | |
| 수뢰 [受賂] | <행정> ▷뇌물받기> | |
| 수류 [水流] | <행정> ▶ 물 흐름 | |
| 수류선 [水流線] | <임업> ▶ 유선(流線) | |
| 수류지 [水流地] | <행정> ▶ 물 흐르는 땅> | |
| 수리 [受理] | <생활외> = 받음, 받아들임 | |
| 수리평균심 [水理平均深] | <임업> ▶ 경심(徑深) | |
| 수리하다 [受理-] | <행정> = 받아들이다> | |
| 수립하다 [樹立-] | <행정> = 세우다, 짜다> | |
| 수매 [數枚] | <행정> ▶ 여러 장 | |
| 수매 가격 [收買價格] | <행정> ▷사들이는 값 | |
| 수매하다 [收買-] | <행정> ▷사들이다> | |
| 수면 [水面] | <행정> = 물 표면, 물면 | |
| 수면 [睡眠] | <행정> = 잠> | |
| 수면부자 [水面浮子] | <임업> ▶ 수면 부표 | |
| 수면유속 [水面流速] | <임업> ▷표면 유속 | |
| 수면하 [水面下] | <행정> ▶ 물밑> | |
| 수명 [受命] | <행정> ▶ 명령을 받음 | |
| 수모 [獸毛] | <축산> ▶ 짐승 털 | |
| 수목 [樹木] | <행정> ▷나무> | |
| 수목 [穗木] | <농업> ▶ 이삭 나무 | |
| 수목식재 [樹木植栽] | <행정> ▶ 나무 심기> | |
| 수몰 [水沒] | <행정> = 물에 잠김 | |
| 수몰 농지 [水沒農地] | <행정> = 물에 잠긴 농지> | |
| 수묘대 [水苗垈] | <농업> ▶ 물 못자리 | |
| 수문학적 순환 [水文學的循環] | <임업> ▶ 물 순환 | |
| 수미 [鬚眉] | <행정> ▶ 수염과 눈썹 | |
| 수미일관되게 [首尾一貫-] | <행정> ▶ 한결같이> | |
| 수밀 [蒐蜜] | <잠업> ▶ 꿀 모으기 | |
| 수반 [首班] | <생활외> = 우두머리 | |
| 수반 국적 취득자 | <행정> ▶ 따라서 국적 취득할 사람 | |
| 수반 입적자 | <행정> ▶ 따라서 입적할 사람> | |
| 수반하다 [隋伴-] | <행정> = 따르다> | |
| 수발 [受發] | <행정> ▶ 받고 보냄 | |
| 수발공 [水拔孔] | <임업> ▶ 물빼기 구멍 | |
| 수발구 [水拔口] | <임업> ▶ 물빼기 구멍 | |
| 수발아 [穗發芽] | <농업> ▶ 이삭 싹 나기 | |
| 수배 [受配] | <행정> ▶ 배급을 받음 | |
| 수배 [手配] | <전철> ▷(사람, 업무) 찾기, <행정> ▷찾기, 손쓰기> | |
| 수범 [垂範] | <행정> ▶ 모범> | |
| 수범 사례 [垂範事例] | <행정> ▶ 잘된 사례 | |
| 수벽 [樹壁] | <행정> ▶ 나무 울타리 | |
| 수벽 [首壁] | <임업> ▶ 머리벽 | |
| 수병 [樹病] | <임업> ▷나무병 | |
| 수병 [銹病] | <행정> ▶ 녹병 | |
| 수보 기관 [受報機關] | <행정> ▶ 보고받는 기관 | |
| 수봉 [收捧] | <행정> ▶ 거두어들임, 받아냄> | |
| 수부 [受付] | <생활외> <행정> ▶ 접수 | |
| 수부구 [受付口] | <행정> ▶ 접수처 | |
| 수분 [受粉] | <임업> ▶ 가루받이 | |
| 수불 [受拂] | <행정> ▶ 받음과 치름 | |
| 수비 [水飛] | <미술> ▶ 앙금 짓기> | |
| 수비 [穗肥] | <농업> ▶ 이삭 거름 | |
| 수삭륜 [垂索輪] | <행정> ▶ 밧줄을 받치는 바퀴> | |
| 수상 [水象] | <행정> ▶ 물 형상 | |
| 수상동물 [樹上動物] | <임업> ▷나무살이 동물 | |
| 수상자 [受賞者] | <행정> = 상 받는 이> | |
| 수상자 [授賞者] | <행정> = 상 주는 이> | |
| 수상하다 [受賞-] | <행정> = 상 받다 | |
| 수색 [搜索] | <행정> ▷찾기, 찾아내기> | |
| 수색하다 [搜索-] | <행정> ▷찾다, 찾아내다> | |
| 수서 동물 [水棲動物] | <행정> ▷물살이 동물 | |
| 수선 [修繕] | <행정> ▷고침> | |
| 수선법 [水選法] | <행정> ▶ 물고르기> | |
| 수선장 [水線長] | <행정> ▶ 수선 길이 | |
| 수세 [樹勢] | <행정> ▷나무 자람새> | |
| 수속 [手續] | <금융> <행정> ▷절차 | |
| 수속 [水速] | <임업> ▶ 유속(流速), 물살 | |
| 수속계수 [水速係數] | <임업> ▶ 유속 계수, 물살 계수 | |
| 수수 [授受] | <금융> <전철> <행정> ▷주고받음 | |
| 수수 [穗數] | <농업> ▶ 이삭 수 | |
| 수수 [穗首] | <농업> ▶ 이삭 목 | |
| 수수도열병 [穗首稻熱病] | <농업> ▷이삭 도열병 | |
| 수수방관하다 [袖手傍觀-] | <행정> = 보고만 있다 | |
| 수수분화기 [穗首分化期] | <행정> ▶ 이삭 생길 때> | |
| 수수지 [水收支] | <임업> ▶ 물수지 | |
| 수수형 [穗數型] | <농업> ▶ 이삭 많은 형 | |
| 수순 [手順] | <행정> ▶ 순서, 절차, 차례> | |
| 수순환 [水循環] | <임업> ▶ 물순환 | |
| 수습지 [水濕地] | <임업> ▶ 습지 | |
| 수시 [隨時] | <행정> ▷때때로> | |
| 수시입출금식 [隨時-] | <경제> ▷자유 입출금식 | |
| 수식 [水蝕] | <임업> ▷물 침식 | |
| 수신 [受信] | <행정> ▷받음> | |
| 수신 마진 [margin] | <행정> ▶ 수신 여유(도) | |
| 수신인 [受信人] | <행정> ▷받는 이 | |
| 수신처 [受信處] | <행정> ▷받는 곳 | |
| 수실 [樹實] | <임업> ▶ 나무 열매 | |
| 수심 [水深] | <행정> = 물(의) 깊이 | |
| 수압 [水壓] | <행정> = 물의 압력 | |
| 수액 [樹液] | <임업> ▷나무즙 | |
| 수양성 하리 [水樣性下痢] | <축산> ▶ 물똥 설사 | |
| 수여하다 [授與-] | <행정> = 주다, 드리다> | |
| 수여함 [授與-] | <행정> = 드립니다> | |
| 수엽량 [收葉量] | <잠업> ▶ 뽕 거둠 양 | |
| 수영야유 [水營野遊] | <민속> ▷수영 들놀음, 수영 야유 | |
| 수온 [水溫] | <행정> = 물 온도 | |
| 수욕공 [水褥工] | <임업> ▶ 물방석 | |
| 수용 [受容] | <행정> ▷받아들임> | |
| 수용 [收容] | <행정> ▷거두어들임> | |
| 수용 제동기 [手用制動機] | <전철> ▷수동 제동기> | |
| 수용성 [水溶性] | <행정> = (물에) 녹음성> | |
| 수우각 [水牛角] | <행정> ▶ 물소 뿔 | |
| 수운 [水運] | <임업> ▷수상 운재 | |
| 수원 [樹園] | <행정> ▶ 나무밭> | |
| 수위 [守衛] | <행정> ▶ 경비원, 방호원> | |
| 수위 [首位] | <행정> = 으뜸, 첫째> | |
| 수위실 [守衛室] | <행정> ▶ 경비실> | |
| 수위하다 [守衛-] | <행정> ▶ 지키다> | |
| 수유 [授乳] | <행정> ▶ 젖받기 | |
| 수유율 [收油率] | <농업> ▶ 기름냄률> | |
| 수의 시담 [隨意示談] | <행정> ▶ 가격 협의 | |
| 수의사 [獸醫師] | <행정> = 동물 의사 | |
| 수이 [水飴] | <식생활> ▶ 물엿 | |
| 수익 [受益] | <행정> = 이익 받음 | |
| 수익 [收益] | <행정> = 이익 남 | |
| 수익권 [受益權] | <행정> = 이익 받을 권리> | |
| 수인 [手引] | <생활외> ▶ 길잡이 | |
| 수인 [數人] | <행정> ▶ 여러 사람 | |
| 수일 [數日] | <정치> ▷여러 날 | |
| 수임 [受任] | <행정> ▶ 맡음> | |
| 수임인 [受任人] | <행정> ▶ 맡은 이 | |
| 수입 [手入] | <행정> ▶ (병기) 손질 | |
| 수입고 [輸入高] | <생활외> ▶ 수입량 | |
| 수입선 [輸入先] | <생활외> <경제> ▶ 수입처, 수입국 | |
| 수입하다 [受入-] | <행정> = 받다, 받아들이다> | |
| 수잉기 [穗孕期] | <농업> ▶ 배동 설 때, 이삭 밸 때 | |
| 수작업 [手作業] | <행정> = 손일> | |
| 수장 [穗長] | <농업> ▶ 이삭 길이 | |
| 수장대 [手掌大] | <행정> ▶ 손바닥 크기 | |
| 수장부 [手掌部] | <행정> ▶ 손바닥 부위 | |
| 수장케 되다 [水藏-] | <행정> ▷물에 잠기다 | |
| 수재 [受再] | <금융> ▶ 재보험 인수 | |
| 수저 [水底] | <행정> ▶ 물밑> | |
| 수저 전선 [手底電線] | <행정> ▶ 물밑 전선 | |
| 수적 [水滴] | <행정> ▶ 물방울> | |
| 수적 [竪積] | <임업> ▶ 세워 쌓기 | |
| 수전기 [穗揃期] | <농업> ▶ 이삭 거의 됐을 때 | |
| 수절 [水切] | <행정> ▶ 물빼기> | |
| 수정 신고 [修正申告] | <행정> = 바로고침 신고 | |
| 수정란 [受精卵] | <행정> = 정받이 알 | |
| 수정하다 [修正-] | <행정> = 고치다> | |
| 수제 [手製] | <행정> ▷손으로 제작 | |
| 수제 금고 [手製金庫] | <행정> ▷손제작 금고, 손금고 | |
| 수제 문서 [手製文書] | <행정> ▷손(으로) 작성(한) 문서 | |
| 수제지건 [首題之件] | <정치> ▶ 머리의 건, 위의 일 | |
| 수제품 [手製品] | <생활외> ▷손치 | |
| 수조 [水槽] | <행정> ▷물통> | |
| 수조망 [手操網] | <행정> ▷손방 (그물) | |
| 수종 [數種] | <행정> = 여러 종류 | |
| 수종 [樹種] | <행정> ▷나무 종류 | |
| 수종 [隨從] | <행정> ▶ 따라다님, 모심> | |
| 수죄 [數罪] | <행정> ▶ 여러 죄 | |
| 수주하다/받다 [受注-] | <행정> ▷주문받다> | |
| 수중 [水中] | <행정> = 물속> | |
| 수중 급사 [水中 急死] | <법의학> ▷마른 익사, 수중 급사 ※sudden death in water | |
| 수중부자 [水中浮子] | <임업> ▶ 수중 부표 | |
| 수중형 [穗重形] | <농업> ▶ 큰 이삭 꼴 | |
| 수증 [受贈] | <행정> ▶ 받음> | |
| 수지 [手指] | <행정> ▶ 손가락> | |
| 수지 [收支] | <행정> = 수입과 지출 | |
| 수지 [樹枝] | <행정> ▶ 나뭇가지> | |
| 수지 [樹脂] | <임업> ▷나뭇진 | |
| 수지 [水漬] | <행정> ▶ 물담금> | |
| 수지고 [手持高] | <행정> ▶ 보유량> | |
| 수지도 [樹脂導] | <임업> ▷나뭇진길, 수지구(樹脂溝) | |
| 수지품 [手持品] | <행정> ▶ 휴대품> | |
| 수직이음 [垂直-] | <임업> ▷세로줄눈 | |
| 수진자 [受診者] | <행정> ▶ 진료받는 사람 | |
| 수질 오탁 [水質汚濁] | <행정> ▷수질 오염 | |
| 수집 [蒐集] | <행정> = 모으기> | |
| 수집 연거리 [蒐集延距離] | <행정> ▶ 수집 총거리 | |
| 수집 증인장 [蒐集證印帳] | <행정> ▶ 수집 확인증 | |
| 수집 편찰 [蒐集片札] | <행정> ▶ 수집표> | |
| 수집하다 [蒐集-] | <행정> = 모으다> | |
| 수차 [手車] | <행정> ▶ 손수레> | |
| 수차 [數次] | <행정> ▷여러 차례, 여러 번> | |
| 수차 [水車] | <행정> ▷물레방아, 무자위> | |
| 수책 [數冊] | <행정> ▶ 여러 책 | |
| 수체댐 [水締 dam] | <임업> ▶ 물다짐댐 | |
| 수축되다 [收縮-] | <행정> = 오그라들다, 줄어들다> | |
| 수출 셰어 [輸出 share] | <행정> ▶ 수출 점유율 | |
| 수출고 [輸出高] | <생활외> ▶ 수출량 | |
| 수취 [受取] | <생활외> ▷수령, 받음 | |
| 수취 기간 [收取 期間] | <금융> ▶ 받는 기간 | |
| 수취인 [受取人] | <행정> ▷받는 이 | |
| 수취인 처소 [受取人處所] | <행정> ▶ 받는 이 주소> | |
| 수취하다 [受取-] | <행정> ▷받다> | |
| 수치 [數値] | <행정> ▷값, 기준값> | |
| 수치 [羞恥] | <행정> = 부끄러움> | |
| 수치인 [受置人] | <행정> ▶ 받아 둔 사람> | |
| 수칙 [守則] | <행정> ▷지킬 일 | |
| 수침 [水浸] | <농업> ▶ 물잠김 | |
| 수타국수 [手打-] | <식생활> ▶ 손국수 | |
| 수탁하다 [受託-] | <행정> ▷위탁받다, 부탁을 받다> | |
| 수탈하다 [收奪-] | <행정> ▷빼앗다> | |
| 수태 [受胎] | <행정> ▷새끼 배기, 아이 배기> | |
| 수팅 [sooting] | <전기> ▷그을리기 | |
| 수파 [手播] | <행정> ▶ 손뿌림> | |
| 수파 [水播] | <행정> ▶ 물뿌림> | |
| 수평줄눈 [水平-] | <임업> ▶ 가로줄눈 | |
| 수평축 [水平築] | <임업> ▶ 켜 쌓기 | |
| 수포 [水疱] | <법의학> <행정> ▷물집 ※bleb, water blister | |
| 수포자 [銹胞子] | <행정> ▶ 녹포자, 녹홀씨> | |
| 수포자기 [銹胞子器] | <임업> ▶ 녹포자기 | |
| 수피 [樹皮] | <행정> ▶ 나무 껍질 | |
| 수피 [獸皮] | <축산> ▶ 짐승 가죽 | |
| 수필 [水筆] | <미술> ▷물붓 | |
| 수하 [垂下] | <행정> ▶ 처짐> | |
| 수하 [手下] | <행정> ▶ 손아래> | |
| 수하 [誰何] | <행정> ▷누구> | |
| 수하물 [手荷物] | <생활외> ▷손짐 | |
| 수하식재 [樹下植栽] | <행정> ▶ 나무 아래 심기> | |
| 수학하다 [修學-] | <행정> ▷배우다> | |
| 수한 [受-] | <행정> ▶ 받은> | |
| 수합하다 [收合-] | <행정> ▶ 모으다> | |
| 수행 [隨行] | <행정> = 따라감> | |
| 수혈식 [竪穴式] | <고고학> ▷구덩이식 ※vertical digging style | |
| 수혈식 석곽묘 [竪穴式石槨墓] | <고고학> ▷구덩이식 돌덧널 무덤 ※stone chamber tomb | |
| 수형 [樹形] | <행정> ▶ 나무 모양 | |
| 수형 [穗形] | <농업> ▶ 이삭 모양 | |
| 수형목 [秀型木] | <행정> ▶ 우량 나무 | |
| 수혜자 [受惠者] | <행정> = 혜택받는 사람> | |
| 수화인 [受貨人] | <행정> ▷짐 받는 이> | |
| 수확 [收穫] | <행정> = 거두기> | |
| 수확고 [收穫高] | <생활외> ▶ 수확량, 소출 | |
| 수확기 [收穫機] | <농업> ▷수확 기계 | |
| 수회 [數回] | <행정> ▶ 여러 차례 | |
| 숙고하다 [熟考-] | <행정> ▷잘 생각하다 | |
| 숙근성 [宿根性] | <농업> ▶ 해묵이 | |
| 숙기 [熟期] | <농업> ▶ 익을 때 | |
| 숙독 [熟讀] | <정치> ▷자세히 읽음 | |
| 숙람 [熟覽] | <행정> = 세밀히 봄, 자세히 봄> | |
| 숙련공 [熟練工] | <행정> = 능숙한 직공 | |
| 숙면기 [熟眠期] | <축산> ▶ 깊은 잠 때 | |
| 숙박계 [宿泊屆] | <생활외> ▶ 숙박(장)부, 숙박 신고(서) | |
| 숙사 [宿舍] | <행정> ▷숙소 | |
| 숙사 [熟飼] | <축산> ▶ 끓여 먹이기 | |
| 숙원 [宿願] | <행정> = 소원> | |
| 숙원 사업 [宿願事業] | <행정> = 원하던 사업 | |
| 숙잠 [熟蠶] | <잠업> ▶ 익은누에> | |
| 숙전 [熟田] | <농업> ▷길든밭, 건밭 | |
| 숙전지 [熟田地] | <행정> ▶ 건 땅 | |
| 숙주 [塾主] | <행정> ▶ 집주인> | |
| 숙지 [熟知] | <행정> ▷자세히 앎 | |
| 숙지 [熟紙] | <미술> ▷백반지 | |
| 숙지 사항 [熟知事項] | <행정> ▷알아둘 일 | |
| 숙지삽 [熟枝揷] | <농업> ▷굳가지꽂이 | |
| 숙지시키다 [熟知-] | <행정> ▷익히 알게 하다> | |
| 숙지하다 [熟知-] | <행정> ▷익히 알다 | |
| 숙환 [宿患] | <행정> ▷오랜 병 | |
| 순독 버니어 [順讀 vernier] | <임업> ▶ 순버니어 | |
| 순로 [順路] | <행정> ▷평탄한 길 | |
| 순로 구분 [順路區分] | <행정> ▷(배달) 순서 구분> | |
| 순로 구분 의자 [順路區分椅子] | <행정> ▷(배달) 순서 구분 의자 | |
| 순로 조사 [順路調査] | <행정> ▷(배달) 순서 조사> | |
| 순번 [順番] | <생활외> ▷차례 | |
| 순번대로 [順番-] | <행정> ▶ 차례로, 차례차례> | |
| 순부척 [順副尺] | <임업> ▶ 순버니어 | |
| 순산 [巡山] | <임업> ▶ 산림 순찰 | |
| 순서로 [順序-] | <행정> = 차례로> | |
| 순시 트립 [瞬時-, instantaneous trip] | <전기> ▷즉시 트립 | |
| 순시하다 [巡視-] | <행정> ▷돌아보다> | |
| 순연 [順延] | <행정> ▶ 차례로 미룸, 순차 연기> | |
| 순열 [巡閱] | <행정> ▶ 순회 점검 | |
| 순엽라인 [-line] | <축산> ▶ 주공정 | |
| 순엽퇴적 사일로 [-silo] | <축산> ▶ 혼합 저장기 | |
| 순위 [順位] | <정치> = 차례 | |
| 순위 부여 [順位賦與] | <행정> ▷차례 매기기> | |
| 순응 [順應] | <임업> ▶ 적응 | |
| 순응하다 [順應-] | <행정> = 순순히 따르다 | |
| 순차로 [順次-] | <행정> ▷차례로> | |
| 순화하다 [醇化-] | <행정> = 좋게 고치다 | |
| 순환관개 [循環灌漑] | <농업> ▶ 돌려 물대기 | |
| 순환삭 [循環索] | <임업> ▶ 순환줄 | |
| 순회 [巡廻] | <정치> ▷돌아봄 | |
| 순회 관찰 [巡廻觀察] | <행정> ▷돌아보기> | |
| 순회감시 [巡廻監視] | <정치> ▷돌아보며 감시함 | |
| 숭고 [崇高] | <행정> = (뜻이) 높고 거룩함> | |
| 쉬르레알리슴 [프.sur-réalisme] | <미술> <연극> ▷초현실주의 | |
| 쉬프레마티슴 [프.suprematisme] | <미술> ▷절대주의 | |
| 슈 샤인 보이 [shoe shine boy] | <언론> ▶ 구두닦이, (구두) 미화원 ¶고소득 슈 사인 보이들은 시내 번화가 구두닦이 부스에서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 |
| 슈거 [sugar] | <행정> <식생활> ▶ 설탕> | |
| 슈네텔러 [독.Schneeteller] | <스키> ▶ 빠짐 방지 고리 | |
| 슈미런 [독.Schmieren] | <스키> ▶ 옆 밀치기 | |
| 슈미지어 [프.chomisier] | <패션> ▶ 셔츠 블라우스 | |
| 슈붕 [독.Schwung] | <스키> ▶ 모아돌기, 회전> | |
| 슈우기 [祝儀, しゅうぎ] | <행정> ▶ 축하금 | |
| 슈즈 [shoes] | <패션> ▷신발, 구두 | |
| 슈즈 플레이트 [shoes plate] | <사이클> ▶ 경기화 고정판/키트 | |
| 슈터 [shooter] | <핸드볼> ▷공격수 | |
| 슈템 [독.Stemm] | <스키> ▶ 뒤 넓히기 | |
| 슈템 보겐 [독.Stemm Bogen] | <스키> ▶ 뒤 넓혀 돌기 | |
| 슈트 [shoot] | <야구> ▷떠오르는 공 | |
| 슈트 [suit] | <패션> = 옷, 의복, 양복, 투피스 | |
| 슈트 케이스 [suit case] | <패션> ▷여행(용) 가방 | |
| 슈팅 레인지 [shooting range] | <축구> ▶ 득점 (가능) 지역 | |
| 슈퍼 사이즈 [super size] | <패션> ▶ 초대형 치수 | |
| 슈퍼 자이언트 슐라롬 [super giant slalom] | <스키> ▷초대회전 경기(超大回轉競技)> | |
| 슈퍼 체인 [super chain] | <행정> ▷대형 (잡화) 연쇄점> | |
| 슈퍼마켓 [supermarket] | <행정> ▷대형 잡화점 | |
| 슈퍼바이저 [supervisor] | <언론> ▶ 감독자, 관리자 ¶무경험자도 얼마든지 쉽게 영업할 수 있도록 슈퍼바이저가 지속적인 관리를 해 줍니다. | |
| 슈퍼오브젝티브 [superobjective] | <연극> ▶ 초목적 | |
| 슈퍼임포즈심 [superimposed seam] | <봉제> ▷겹침 시접 | |
| 슈퍼파워 [superpower] | <언론> ▶ 초강대국, 초강자 ¶세계 유일의 수퍼파워(→슈퍼파워) 미국과 중국은 사과 여부를 둘러싼 힘 겨루기를 벌였지만··· | |
| 슈페리어 | <행정> ▶ 수미(秀美) 감자 | |
| 슈푸르 [독.Spur] | <스키> ▶ 활주 자국 | |
| 슐라롬 [독.Slalom] | <스키> ▶ 회전 경기 | |
| 슛 [shoot] | <농구> <핸드볼> <하키> ▷쏘기 | |
| 스기 [杉, すぎ] | <미술> ▶ 삼나무> | |
| 스기와쿠 [杉枠, すぎわく] | <미술> ▶ 삼나무틀> | |
| 스나 [砂, すな] | <건설> ▶ 모래 | |
| 스낵 [snack] | <생활외> ▷간편식 ¶스낵은 먹기에는 편하지만 건강에 그리 이롭지 못하다. | |
| 스낵 코너 [snack corner] | <식생활> ▷간이 음식점 | |
| 스냅 [snap] | <패션> ▷똑딱 단추 | |
| 스냅 패스 [snap pass] | <농구> ▶ 손목으로 주기 | |
| 스냅 사진 [snap 寫眞] | <생활외> ▷순간 사진 ¶추억을 되살려 주는 옛시절의 스냅 사진들이다. | |
| 스네이크 아이 [snake eye] | <볼링> ▶ 대문 기둥 | |
| 스노모노 [酢物, すのもの] | <생활외> ▶ 초무침 | |
| 스노 라인 [snow line] | <스케이트> ▶ 경계선, 표시선 | |
| 스노 메이커 [snow maker] | <스키> ▶ 제설기 | |
| 스노 보트 [snow boat] | <스키> ▷구호선 | |
| 스노클 [snorkel] | <언론> ▶ 숨대롱 ¶스노클링은 오리발, 스노클, 물안경 정도의 간단한 장비만으로 수면을 떠다니다 호흡을 조절해서…. | |
| 스노 플라우 [snow plough] | <스키> ▶ A자형 활강 | |
| 스노 플라우 [snow plow] | <볼링> ▶ 휜공> | |
| 스레드섕크 [thread shank] | <봉제> ▶ 실기둥 | |
| 스레시올드(←스레숄드) 볼티지 [threshold voltage] | <전기> ▷문턱 전압(電壓) | |
| 스레토 (←스레뜨) [slate] | <생활외> ▶ 슬레이트 | |
| 스로 [throw] | <야구> ▶ 던지기, 송구 | |
| 스로 인 [throw in] | <핸드볼> <농구> ▷던져넣기 | |
| 스로잉 어웨이 [throwing away] | <연극> ▶ 흘리기 | |
| 스루 패스 [through pass] | <하키> ▷앞질러 주기 | |
| 스루메 [鰑, するめ] | <식생활> ▶ 오징어 | |
| 스리 [掏摸, すり] | <행정> ▶ 소매치기 | |
| 스리 [刷] | <생활외> ▶ 교정쇄 | |
| 스리 가라스 [磨ガラス, 네.-glas] | <건설> ▶ 흐림 유리 | |
| 스리다시 [刷り出し] | <신문> ▶ 시쇄(試刷) | |
| 스리디멘셔널 시너리 [three-dimensional scenery] | <연극> ▶ 입체 장치 | |
| 스리 맨 러닝 패스 [three man running pass] | <핸드볼> ▶ 3인 주고받기 | |
| 스리 볼 매치 [three ball match] | <골프> ▶ 3인 모둠 경기 | |
| 스리섬 [threesome] | <골프> ▷1 대 2 경기 | |
| 스리 유니티스 [three unities] | <연극> ▶ 삼일치 | |
| 스리 쿼터 [three quarter] | <연극> ▶ 뒷반 (자세) | |
| 스리 쿼터 스윙 [three quarter swing] | <골프> ▶ 3/4 휘두르기 | |
| 스리(턴) [three(turn)] | <스케이트> ▶ 3자형(돌기) | |
| 스릴 [thrill] | <생활외> ▷전율, 긴장감 ¶스릴 넘치는 모험이 함께 하는 세계 ! | |
| 스마일 [smile] | <행정> ▶ 미소> | |
| 스마트 머니 [smart money] | <언론> ▶ 단기 이동성 자금 ¶이 자금은 장기 투자를 좋아하는 우직한 자금이 아니라 똑똑하고 몸이 잰 ‘스마트 머니’이다. | |
| 스매시 [smash] | <배드민턴> <테니스> ▶ 내려치기 | |
| 스매싱 [smashing] | <생활외> ▷강타 ¶스매싱이 강한 선수는 보기에 시원하다. | |
| 스모그 볼 [smog ball] | <야구> ▶ 광속구(光速球) | |
| 스모노 [酢物, すもの] | <식생활> ▶ 초무침 | |
| 스목 [smock] | <패션> ▷(일)덧옷 | |
| 스목 드레스 [smock dress] | <패션> ▷덧옷 | |
| 스몰 볼 [small ball] | <볼링> ▶ 적중투 | |
| 스무드 [smooth] | <행정> ▶ 순조롭다> | |
| 스미다시 [墨出し, すみだし] | <건설> ▶ 먹매김 | |
| 스미우치 [墨打ち, すみうち] | <건설> ▶ 먹줄치기, 먹놓기 | |
| 스미타 [隅板, すみいた] | <미술> ▶ 모서리판> | |
| 스미키리 [隅切り] | <건설> ▶ 모따기, 모접기, 면접기 | |
| 스베리 [滑り] | <전기> ▶ 슬립(slip) | |
| 스베리다이 [滑り台] | <행정> ▶ 미끄럼틀> | |
| 스베리도메 [滑り止め] | <건설> ▶ 미끄럼막이 | |
| 스사 [苆, すさ] | <미술> ▶ 반죽새> | |
| 스소 [裾, すそ] | <봉제> ▶ 도련, 밑단 <치마> | |
| 스소구치 [裾口, すそぐち] | <패션> ▶ 바짓부리 | |
| 스소구치센 [裾口線, すそぐちせん] | <패션> ▶ 바짓부리선 | |
| 스소누이 [裾縫い] | <봉제> ▶ 도련 박기, 밑단 박기 <치마> | |
| 스소마와리 [裾回り] | <봉제> ▶ 도련 (둘레), 밑단 (둘레) <치마> | |
| 스소폭 [裾幅, すそ幅] | <패션> ▶ 단너비, 도련너비 | |
| 스시 [鮨·壽司, すし] | <식생활> ▶ 초밥 | |
| 스에구치 [末口, すえぐち] | <건설> ▶ 끝마구리 | |
| 스와리 [座り] | <봉제> ▶ 본새 | |
| 스와핑 [swapping] | <언론> ▶ (주식) 맞교환 ¶○○제철이 가진 주식과 ○○텔레콤 지분을 맞교환하는 ‘주식 스와핑 방식’을 고안해 냈다. | |
| 스와핑 저항 [-抵抗, ←swamping resistor] | <전기> ▷보상 저항(補償抵抗) | |
| 스왈로 테일 코트 [swallow tail coat] | <패션> ▶ 연미복 | |
| 스웻 셔츠 [sweat shirt] | <패션> ▷스웨트 셔츠, 땀 셔츠 | |
| 스위치 [switch] | <행정> = 여닫개> | |
| 스위치 디펜스 [switch defense] | <농구> ▶ 바꿔막기 | |
| 스위치 히터 [switch-hitter] | <언론> ▶ 양손 타자 ¶4일 애너하임 에인절스의 마이크 소샤 감독은 이를 감안, 선발 라인업(→진용)에 3명의 스위치히터를 포함해 왼손 타자 7명을 집중 배치했다. | |
| 스위칭 임펄스 전압 [switching impulse voltage] | <전기> ▷개폐 충격 전압(開閉衝擊電壓) | |
| 스위트 스폿 [sweet spot] | <골프> ▶ 타면 중심 | |
| 스위퍼 [sweeper] | <볼링> ▶ 휩쓸기공 | |
| 스윔 슈트 [swim suit] | <패션> ▶ 수영복 | |
| 스윙 [swing] | <골프> ▷(채) 휘두르기, <배드민턴> ▶ 휘두르기, <볼링> ▶ 팔젓기, <스키> ▶ 몸 비틀기 | |
| 스윙 슈팅 [swing shooting] | <사격> ▶ 표적 따라 쏘기 | |
| 스윙 스루 [swing through] | <골프> ▶ 모두/끝까지 휘두르기 | |
| 스윙 아크 [swing arc] | <골프> ▶ 휘두름 원호/궤도 | |
| 스윙 웨이트 [swing weight] | <골프> ▶ 휘두름 무게/중력 | |
| 스윙 플레인 [swing plane] | <골프> ▶ 휘두름 (평)면 | |
| 스즈란 핀 [鈴蘭, -pin] | <생활외> ▶ 구슬핀> | |
| 스지 [筋] | <미술> ▶ 텟줄> | |
| 스지시바 [筋芝, すじしば] | <건설> ▶ 줄떼 | |
| 스카시 [透かし] | <미술> ▶ 실톱질> | |
| 스카시칼 [透かし-] | <미술> ▶ 뚫새김칼, 투각칼> | |
| 스카우트 [scout] | <생활외> ▷고르기, 골라오기 ¶파격적인 대우를 조건으로 스카우트해 왔다. <행정> ▷뽑아 옴, 빼 옴 | |
| 스카이 박스 [sky box] | <언론> ▶ 전용 관람석 ¶전우 회원들이 관람석 한가운데 ‘스카이 박스’를 가리키며 대사가 그곳에서 경기를 보게 될 것이라고 하자…. | |
| 스카이 브리지 [sky bridge] | <언론> ▶ 구름다리 ¶시는 황학동에 새로 들어서는 주상 복합과 상왕십리 주상 복합을 연결하는 스카이 브리지를 만들 계획이다. | |
| 스카이 슛 [sky shoot] | <핸드볼> ▶ 몸 날아쏘기 | |
| 스카이 점프 [sky jump] | <언론> ▶ 공중 낙하 ¶호주 스카이 점프 전문가 자살. | |
| 스캔들 [scandal] | <생활외> ▷추문, 좋지 못한 소문 ¶여러 가지 스캔들로 얼룩진 한 해였다. | |
| 스캘퍼 [scalper] | <언론> ▶ 단타 투자자 ¶최근의 외국인은 장중에도 여러 번 사고파는 스캘퍼라고 불리는 큰 손이라며…. | |
| 스커트 [skirt] | <생활외> <패션> ▷치마 ¶여성은 바지보다는 스커트가 더 제격이다. | |
| 스케이팅 스트라이드 [skating stride] | <스키> ▶ 스케이트 주법> | |
| 스케인 [skein] | <미술> ▶ 타래실> | |
| 스케일 [scale] | <생활외> ▷규모, 축척, 크기, 통 ¶작품의 스케일이 크고 작음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 |
| 스케일 모델 [scale model] | <연극> ▶ 축척 모형> | |
| 스케일자 [scale-] | <행정> ▶ 축척, 줄인자> | |
| 스케줄 [schedule] | <생활외> <행정> ▷일정(표), 계획(표), 시간표 ¶모든 스케줄이 정부에 의해 주도되어 개인 취재는 전혀 할 수 없었다고 한다. | |
| 스케치 [sketch] | <미술> = 사생 | |
| 스케치북 [sketchbook] | <행정> ▷사생첩> | |
| 스코어 [score] | <언론> ▶ 점수 ¶칠레를 반드시 이겨야 하고 그것도 큰 스코어 차로 제쳐야 하는 벼랑 끝으로 몰려 있다. | |
| 스코어링 포지션 [scoring position] | <언론> ▶ 득점권 위치 ¶스코어링 포지션에서의 피안타율 1위(0.144), 종합 피안타율 2위(0.212), 다승 4위, 탈삼진 6위, 방어율 7위 등 ··· | |
| 스코어보드 [scoreboard] | <행정> ▶ 점수판, 득점판 | |
| 스코프 사이트 [scope sight] | <사격> ▶ 렌즈 조준기 | |
| 스코어 카드 [score card] | <골프> ▶ 타수표, 기록표 | |
| 스쿠이 [すくい] | <패션> ▶ 공그르기 | |
| 스쿠프 스트로크 [scoop stroke] | <하키> ▶ 띄워 날리기 | |
| 스쿨 걸 룩 [school girl look] | <패션> ▶ 여학생풍 | |
| 스쿨버스 [school bus] | <행정> ▶ 통학 버스, 학교 버스 | |
| 스쿨 존 [school zone] | <언론> ▶ 어린이 보호 구역 ¶불법 주·정차와 노상 주차장 설치를 금지하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이른바 ‘스쿨 존’이다. | |
| 스퀘어 네크라인 [square neckline]> | <패션> ▷사각(형) 목둘레선 | |
| 스퀘어 라인 [square line] | <패션> ▷사각선 | |
| 스퀘어 스탠스 [square stance] | <골프> ▶ 평행 자세 | |
| 스퀘어 앵글 패스 [square angle pass] | <핸드볼> ▶ 각 주고 받기 | |
| 스크래치 [scratch] | <골프> ▷맞붙기, <볼링> ▶ 맞겨루기 | |
| 스크래치 레이스 [scratch race] | <사이클> ▶ 속도 경기 | |
| 스크래치 시스템 [scratch system] | <골프> ▶ 맞붙기 경기법 | |
| 스크래치 카드 [scratch card] | <언론> ▶ 즉석 복권 ¶‘긁기가 무섭게 터진다’에서는 스크래치 카드를 통해 다양한 선물을 준다. | |
| 스크래치 플레이 [scratch play] | <골프> ▶ 맞붙기 경기 | |
| 스크래치 플레이어 [scratch player] | <골프> ▶ 기준 타수 선수 | |
| 스크래치 히트 [scratch hit] | <야구> ▷행운타 | |
| 스크랩 [scrap] | <생활외> ▷자료 모음, 오려 모으기 ¶신문 스크랩을 통하여 지난날의 일들을 기억해냈다. | |
| 스크랩북 [scrapbook] | <행정> ▷자료 모음책 | |
| 스크리닝 [screening] | <핸드볼> ▶ 수비 차단 | |
| 스크린 [screen] | <생활외> ▷화면, 막, 영화 ¶그녀의 모습은 스크린의 영원한 신화로 남게 될 것이다. | |
| 스크린 스타 [screen star] | <언론> ▶ 영화배우 ¶가수는 어디까지나 부업일 뿐이고 본업은 연기라는 ○○는 내년엔 또 스크린 스타에도 도전한다는 생각. | |
| 스크린 컨베이어 [screen conveyor] | <생활외> ▶ 진동 분리 컨베이어 | |
| 스크린 쿼터 [screen quota] | <언론> ▶ 상영 시간 할당제 ¶정부는 국민 앞에서 당당하게 약속했던 스크린 쿼터의 현행 유지 방침을 축소 쪽으로 논의하고 있다. | |
| 스크린 플레이 [screen play] | <축구> ▶ 가리기 반칙/작전, <배구> ▶ 가리기반칙, <농구> ▶ 장막 전술 | |
| 스키드 [skid] | <사격> ▶ 측사탄 | |
| 스키드 마크 [skid mark] | <행정> ▶ 타이어 밀린 자국> | |
| 스키딩 [skidding] | <스키> ▶ 옆밀림 | |
| 스키아이 [付合い] | <행정> ▶ (몫) 나누기> | |
| 스키야키 [鋤燒, すきやき] | <식생활> ▶ 일본 전골 (찌개) | |
| 스키 웨어 [ski wear] | <패션> ▶ 스키복 | |
| 스키트 슈팅 [skeet shooting] | <사격> ▷스키트 사격 | |
| 스키 패트롤 [ski patrol] | <스키> ▶ 안전 요원 | |
| 스키 팬츠 [ski pants] | <패션> ▶ 스키 바지 | |
| 스킨 [skin] | <패션> ▶ 피부(색), 살갗 | |
| 스킨로션 [skin lotion] | <행정> ▶ 피부 화장수> | |
| 스킨 슈트 [skin suit] | <패션> ▶ 밀착복 | |
| 스킨 스케일링 [skin scaling] | <언론> ▶ 박피술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스킨스케일링, 크리스털 필링 등의 얕은 박피는 여드름 피부에 효과가 있고 피부색을 맑게 해주지만…. | |
| 스킨십 [skinship] | <생활외> ▶ 살갗 닿기, 피부 접촉 ¶가벼운 스킨십은 사람 사이를 더욱 친근감있게 만들어 준다. | |
| 스킨케어 [skin care] | <생활외> <패션> ▶ 피부 관리/치료 ¶적당한 스킨케어는 꼭 필요한 일이다. | |
| 스타덤 [stardom] | <생활외> ▷인기 대열 ¶그는 두 달 만에 스타덤에 올랐다. | |
| 스타디움 [라.stadium] | <생활외> ▷주경기장 ¶축구 결승전은 스타디움에서 내일 열린다. | |
| 스타디움 점퍼 [stadium jumper] | <패션> ▶ 경기장 점퍼, 야구 점퍼 | |
| 스타 시스템 [star system] | <연극> ▷스타 방식 | |
| 스타일 [style] | <생활외> ▷맵시, 품, 형 ¶자기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이 젊은이의 특징이다. <행정> ▷맵시, 형, <미술> ▷양식 | |
| 스타일 드라이어 [style dryer] | <생활외> ▶ 마무리 건조기 | |
| 스타일라이제이션 [stylization] | <연극> ▶ 양식화 | |
| 스타터 [starter] | <스케이트> ▶ 출발 임원, <행정> ▶ 출발, 시작> | |
| 스타 턴 [star turn] | <스키> ▶ 별 모양 방향 바꾸기 | |
| 스타트 [start] | <생활외> ▶ 출발, 시작 ¶첫 스타트가 좋아야 할 텐데 걱정이다. | |
| 스타트라인 [start line] | <언론> ▶ 출발선 ¶스타트라인에 선 고기현과 최은경의 옆에는…. | |
| 스타트업 타임 [start-up time] | <전기> ▷시동 시간(始動時間) | |
| 스타팅 멤버 [starting member] | <언론> ▶ 선발(先發) 선수 ¶○○가 벤치를 지킨 가운데, 김승기를 스타팅 멤버로 내세웠다. <축구> ▶ 주전 선수, <생활외> ▶ 선발(先發) 선수 ¶마침내 그는 스타팅 멤버로 뽑혔다. | |
| 스타플레이어 [star player] | <생활외> ▷인기 선수 ¶국가대표를 지낸 스타플레이어이다. | |
| 스태미나 [stamina] | <생활외> ▶ 힘, 정력, 원기 ¶고된 수행을 이겨낼 만한 스태미나를 갖고 있다. | |
| 스태프 [staff] | <생활외> ▷제작진, 참모진, 간부 ¶편집 스태프가 노력해서 만든 것이라기보다는 독자 여러분의 애정이 만드는 것이다. | |
| 스택 사일로 [stack silo] | <농업> ▷지상 저장고 | |
| 스택키 | <생활외> ▶ 재차받기 | |
| 스탠더드 [standard] | <행정> ▶ 표준, 기준> | |
| 스탠드바 [stand bar] | <식생활> <행정> ▷선술집> | |
| 스탠드 어웨이 칼라 [stand away collar] | <패션> ▷(벌어진) 띠칼라 | |
| 스탠드 업 칼라 [stand up collar] | <패션> ▷세운(띠) 칼라 | |
| 스탠드 [stand] | <생활외> <행정> ▷① 세움대, ② 관중석, ③ 책상 등 ¶안타를 치자 스탠드에서도 함성이 터져 나왔다. ¶그는 스탠드 불빛 아래에서 밤새워 책을 읽었다. | |
| 스탠딩 [standing] | <사격> ▶ 서서 쏘기/쏴, <사이클> ▶ 멈춤, 정지 | |
| 스탠딩 삼진 [standing 三振] | <언론> ▷장승 삼진 ¶로마이어는 2차전에서도 2회 볼카운트 2-3에서 스탠딩 삼진을 당한 후 헬멧을 3루 측 더그 아웃(→선수 대기석) 옆 벤치에 내동댕이쳤다. | |
| 스탠딩 슛 [standing shoot] | <농구> ▶ 서서쏘기 | |
| 스탠딩 스타트 [standing start] | <사이클> ▶ 자력 출발 | |
| 스탠딩 유닛 [standing unit] | <연극> ▶ 세운 장치> | |
| 스탠딩 칼라 [standing collar] | <패션> ▶ 띠칼라 | |
| 스탠딩 포지션 [standing position] | <볼링> ▶ 준비 자리 | |
| 스탠스 [stance] | <골프> ▷발 자세, <배드민턴> ▶ 발 너비, <테니스> ▷발 자세, <언론> ▶ 자세 ¶너무 외교적 스탠스만 갖지 말고 버텨줄 때는 단단히 버텨 줘야 한다. | |
| 스탬프 (대) [stamp 臺] | <행정> ▷잉크판> | |
| 스터디 그룹 [study group] | <생활외> ▶ 연구회 ¶스터디 그룹을 형성하여 공부하려고 했지만 그만 실패로 끝났다. | |
| 스털링 실버 [sterling silver] | <미술> ▶ 정은> | |
| 스테 공구리 [捨てコンクリㅡト, -concrete] | <건설> ▶ 밑창 콘크리트, 버림 콘크리트 | |
| 스테누이 [捨縫い] | <봉제> ▶ 시침질 | |
| 스테미싱 [捨ミシン] | <봉제> ▶ 시침박기 | |
| 스테이 버튼 [stay button] | <봉제> ▶ 보강단추 | |
| 스테이시 [捨石, すていし] | <건설> ▶ 사석, 막깔이돌 | |
| 스테이지 [stage] | <생활외> <패션> ▶ 무대 ¶그녀는 스테이지에서 늘 최선을 다해 노래한다. | |
| 스테이지 디렉션 [stage direction] | <연극> ▶ 무대 지문(地文) | |
| 스테이지 무브먼트 [stage movement] | <연극> ▶ 무대 동작 | |
| 스테이지 비즈니스 [stage business] | <연극> ▶ 무대 일상 동작 | |
| 스테이지 에어리어 [stage area] | <연극> ▶ 무대 구역 | |
| 스테이지 콤퍼지션 [stage composition] | <연극> ▶ 무대 구성 | |
| 스테이지 픽처 [stage picture] | <연극> ▶ 무대 그림 | |
| 스테이크 [stake] | <미술> ▶ ㅜ(우)자 모루> | |
| 스테이플 의료 [staple 衣料] | <패션> ▶ 실용 의류 | |
| 스테이플러 [stapler] | <미술> ▶ 찍개> | |
| 스테이플러 심 [stapler 芯] | <미술> ▶ 찍개알> | |
| 스테인리스 (←스뎅) [stainless] | <미술> <생활외> = 안녹쇠 ¶스테인리스 그릇이 훨씬 더 실용적이다. | |
| 스테치 [ステッチ, stitch] | <패션> ▶ 땀, 수, 스티치 | |
| 스테핑 릴레이 [stepping relay] | <전기> ▷계단 계전기, 단계 계전기(段階繼電器) | |
| 스텐 칼라 [ステンからㅡ] | <패션> ▶ 수티앵, 롤칼라 | |
| 스텐실 (페이퍼) [stencil paper] | <행정> ▶ (타자) 등사원지> | |
| 스템 턴 [stem turn] | <스키> ▶ 뒤 넓혀 모아돌기 | |
| 스텝 [step] | <행정> ▶ 층계, 걸음, 단계> | |
| 스텝 인 [step in] | <테니스> ▷(발)내디딤 | |
| 스텝 턴 [step turn] | <스키> ▶ 디딤 회전 | |
| 스텝다운 컨버터 [stepdown converter] | <전기> ▷강압 변환기(降壓變換機) | |
| 스텝업 컨버터 [stepup converter] | <전기> ▷승압 변환기(昇壓變換機) | |
| 스텟키 [ステッキ, stick] | <미술> ▶ 사침대, <신문> ▶ 채자받기, <생활외> ▶ 막대기 | |
| 스토리 [story] | <생활외> ▶ 이야기, 줄거리 ¶이 소설의 스토리가 무척 감동적이다. | |
| 스토리 라인 [story line] | <언론> ▶ 줄거리 선, 기본 줄거리 ¶스토리 라인은 간결하다. | |
| 스토리지 [storage] | <언론> ▶ 정보 저장, 저장 장치 ¶스토리지는 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컴퓨터 데이터를 저장·관리, 복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
| 스토리 텔링 [story telling] | <언론> ▶ 이야기하기 ¶달콤한 여운까지 곁들이는 스토리텔링은 모처럼 할리우드의 힘을 체감하게 한다. | |
| 스토브 [stove] | <행정> ▶ 난로> | |
| 스토브 리그 [stove league] | <야구> ▷동정(動靜) | |
| 스토이지 플랜 [stowage plan] | <행정> ▶ 화물 배치도 | |
| 스토커 [stalker] | <언론> ▷과잉 접근자 | |
| 스토킹 [stalking] | <언론> ▷과잉 접근 행위 | |
| 스토퍼 [stopper] | <패션> ▶ 끝막이 (장식) | |
| 스토핑 [stopping] | <하키> ▶ 정지시키기 | |
| 스톡 [stock] | <경제> ▶ 잔액, 잔량 | |
| 스톤 워시 [stone wash] | <패션> ▷돌수세 | |
| 스톤 워시 진 [stone wash jean] | <패션> ▶ 돌수세진 | |
| 스톤 월 [stone wall] | <승마> ▷돌담 (장애물) | |
| 스톨런 베이스 [stolen base] | <야구> ▶ 훔치기, 도루(盜壘) | |
| 스톨링 플레이 [stalling play] | <핸드볼> ▶ 지연 작전 | |
| 스톱 [stop] | <행정> ▶ 정지, 정차, 멈춤> | |
| 스톱모션 [stop motion] | <생활외> ▷정지 동작 ¶앞의 장면은 스톱모션처럼 정지되어야 한다. | |
| 스톱 밴드 [stop band] | <전기> ▷저지 대역(沮止帶域) | |
| 스톱워치 [stopwatch] | <정치> = 초시계 | |
| 스튜디오 [studio] | <생활외> = 녹음실, 방송실, 촬영실, 연주실, 제작실 ¶최근 포토 스튜디오가 줄어 가고 있다. <미술> = 제작실 | |
| 스트라이드 [stride] | <볼링> ▶ 보폭(步幅), <스케이트> ▶ 스케이팅 폭, 지친폭 | |
| 스트라이커 [striker] | <언론> ▷골잡이 ¶지난해에는 부상으로 빠진 ○○○을 대신해 스트라이커로 뛰었지만 …. | |
| 스트라이크 [strike] | <생활외> ▶ 파업 ¶노동자들의 스트라이크에 의해 생산량이 줄어들었다. <볼링> ▷완전투 | |
| 스트라이크 아웃 [strike out] | <볼링> ▷완전투 끝내기 | |
| 스트라이킹 [striking] | <축구> ▶ 때리기 (반칙) | |
| 스트라이킹 서클 [striking circle] | <하키> ▷득점 (반)원 | |
| 스트라이프 [stripe] | <패션> ▶ 줄(무늬) | |
| 스트라이프 패턴 [stripe pattern] | <패션> ▶ 줄무늬 | |
| 스트래터지스트 [strategist] | <언론> ▶ 투자 전략 분석가 ¶○○투자 증권 ○○○ 스트래터지스트는 “기관들이 주식 시장의 새로운 주도 세력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스트랩 슈즈 [strap shoes] | <언론> ▶ 끈구두 ¶발목에 끈을 둘러 섹시함을 강조하는 ‘스트랩 슈즈’가 유행이다. | |
| 스트랩리스 [strapless] | <패션> ▶ 끈 없는 (옷) | |
| 스트랩리스 네크라인 [strapless neckline] | <패션> ▷끈 없는 목둘레선 | |
| 스트랩리스 브라 [strapless bra] | <패션> ▷끈 없는 브래지어 | |
| 스트럭처 [structure] | <연극> ▶ 구조 | |
| 스트레스 [stress] | <생활외> = 긴장, 불안, 짜증 ¶한때는 스트레스가 심해 신경성 위장병에 걸려 고생하기도 했었다. | |
| 스트레이트 [straight] | <생활외> ▶ 곧바로, 곧바른 ¶스트레이트 기사는 없고 가십거리만 풍부한 해외 방문이었다. | |
| 스트레이트 뉴스 [straight news] | <언론> ▶ 단신, 직접 뉴스 ¶TV 뉴스는 스트레이트 뉴스와 기획 뉴스, 구성 뉴스로 구분될 수 있다. | |
| 스트레이트 스커트 [straight skirt] | <패션> ▷직선 치마, 일자 치마 | |
| 스트레이트 스파이크 [straight spike] | <배구> ▶ 직선 공격 | |
| 스트레이트 에지 [straight edge] | <스키> ▶ 모서리 세우기 | |
| 스트레이트 재킷 [straight jacket] | <패션> ▷직선 재킷 | |
| 스트레이트 팬츠 [straight pants]> | <패션> ▷직선 바지, 일자바지> | |
| 스트레이트 펜스 [straight fence] | <승마> ▶ 수직 장애물 | |
| 스트레치부츠 [stretch boots] | <패션> ▶ 신축성 부츠 | |
| 스트레칭 [stretching] | <언론> <야구> ▷몸풀기 (동작), 몸펴기 (동작) ¶하루 한 번 스트레칭으로 몸 ‘가뿐’. | |
| 스트로 [straw] | <행정> ▶ 빨대> | |
| 스트로크 [stroke] | <배드민턴> ▷치는 법, 치기, <볼링> ▶ 직선 굴리기, <테니스> ▶ (공) 치기, <골프> ▶ 겨눔 동작 | |
| 스트로크 플레이 [stroke play] | <골프> ▶ 최저타 경기 | |
| 스트롱 그립 [strong grip] | <골프> ▶ 강타 채쥐기 | |
| 스트롱 사이드 [strong side] | <농구> ▶ 공 있는 지역 | |
| 스트리트 패션 [street fashion]> | <패션> ▶ 거리 패션 | |
| 스트립 라이트 [strip light] | <연극> ▶ 연결 조명(기) | |
| 스트링 [string] | <패션> ▶ 끈, 누런색 | |
| 스트링 타이 [string tie] | <패션> ▶ 끈타이 | |
| 스티밍 [steaming] | <미술> ▶ 열처리> | |
| 스티치 [stitch] | <봉제> = 땀, 수 | |
| 스티커 [sticker] | <생활외> ▶ 붙임 딱지 ¶불법 주차에 대해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언론> ▷붙임 딱지, 부착지 | |
| 스티프 레인 [stiff lane] | <볼링> ▶ 굳은 마루 | |
| 스티플 효과 [stipple 效果] | <미술> ▷점 무늬 | |
| 스틸 [steal] | <농구> ▶ 가로채기 | |
| 스틸 [steel] | <행정> ▶ 강철> | |
| 스팀 [steam] | <생활외> ▷(수)증기, 김 ¶스팀 방식으로 짧은 시간에 6개의 젖병을 살균한다. | |
| 스팀 타월 [steam towel] | <생활외> ▷찜질/김 수건 ¶저녁에는 스팀 타월로 손을 감싸주고 안정을 취한다. | |
| 스파나 [spanner] | <생활외> ▶ 나사틀이, 스패너 | |
| 스파이 [spy] | <언론> <행정> = 간첩, 첩자 ¶지금은 스파이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9년 형을 받고 펜실베이니아 주 연방 교도소에서 복역 중인 수인 신분이다. | |
| 스파이럴 스커트 [spiral skirt] | <패션> ▷나선 치마 | |
| 스파이럴 쿨러 [spiral cooler] | <생활외> ▶ 진동 냉각기 | |
| 스파이크 [spike] | <행정> ▷큰 못, <체육> 강타> | |
| 스파크 [spark] | <행정> ▶ 불꽃> | |
| 스패니시 스커트 [spanish skirt] | <패션> ▶ 스페인 치마 | |
| 스패니시 숄 [spanish shawl]> | <패션> ▶ 스페인 숄 | |
| 스패튤러 [spatula] | <미술> ▶ 밀랍 칼> | |
| 스팬 [span] | <볼링> ▶ 지공거리 | |
| 스팽글 [spangle] | <언론> <패션> ▶ 반짝이 ¶옷깃이나 소매 끝에 털이 달린 것이나 구슬(비즈), 스팽글, 깃털, 가죽 끈 등으로 장식한 히피 스타일을 시도해 보자.> | |
| 스퍼트 [spurt] | <생활외> ▷(막판/끝판) 힘내기 ¶막판 스퍼트로 금메달을 땄다. <사이클> ▷역주, <언론> ▶ 전력 질주 | |
| 스펀징 [sponging] | <봉제> ▷(기계) 축임질 | |
| 스페셜리스트 [specialist] | <생활외> ▶ 전문가 ¶스페셜리스트 아닌 제너럴리스트가 지배하는 사회다. | |
| 스페셜 세일 [specials sale] | <패션> ▶ 특매 | |
| 스페셜 이펙트 [special effect] | <연극> ▶ 특수 효과 | |
| 스페셜티 스토어 [specialty store] | <패션> ▶ 전문점 | |
| 스페어 [spare] | <생활외> ▷여벌, <볼링> ▶ 나머지 핀 처리 | |
| 스페어 운전사 [spare 運轉士] | <행정> ▶ 예비 운전사 | |
| 스페이스 [space] | <미술> ▶ 공간, 여백, <행정> ▶ 빈 데, 빈 곳 | |
| 스페이스 다이잉 [space dyeing] | <미술> ▶ 얼룩 들이기> | |
| 스페이스 룩 [space look] | <패션> ▶ 우주풍 | |
| 스페이스 슈트 [space suit]> | <패션> ▶ 우주복 | |
| 스페이스 차터 [space charter] | <행정> = 부분셋배> | |
| 스페이스 컬러 [space color] | <패션> ▷우주색 | |
| 스페이스 해트 [space hat] | <패션> ▷우주모 | |
| 스페인 워킹 [spain walking] | <승마> ▷앞다리 올려 걷기 | |
| 스펙 [spec] | <행정> ▶ 설명서, 명세서> | |
| 스페시픽 일루미네이션 [specific illumination] | <연극> ▶ 특별 조명 | |
| 스펙터클 [spectacle] | <연극> ▶ 경관(景觀) | |
| 스펙터클하다 [spectacle-] | <언론> ▶ 웅장하다, 웅대하다, 거대하다 ¶화려한 볼거리와 스펙터클한 무대를 앞세운 브로드웨이풍의 뮤지컬이 무대에 오른다. <생활외> ▶ 웅장하다, 거창하다, 거대하다 ¶꿈도 스펙터클하군. | |
| 스포츠 [sports] | <생활외> = 운동 ¶나는 공부와 스포츠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라고 생각한다. | |
| 스포츠 가리 [sports-] | <생활외> ▶ 스포츠형 (깎기) | |
| 스포츠 라이플 [sport rifle] | <사격> ▶ 50m 여자/스포츠 소총 | |
| 스포츠 슈즈 [sports shoes] | <패션> ▶ 스포츠화 | |
| 스포츠 웨어 [sports wear] | <패션> ▷운동복 | |
| 스포트라이트 [spotlight] | <언론> ▶ 각광, 주시, 주목 ¶1월 21일 ‘외국인 행장’이라는 수식어 탓에 엄청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취임했지만…. <연극> ▷집중 조명(기) | |
| 스포티하다 [sporty-] | <생활외> ▶ 날렵하다, 경쾌하다 ¶스포티하고 프레시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언론> ▶ 활동적이다, 경쾌하다 | |
| 스폰서 [sponsor] | <생활외> <언론> ▶ 후원자, 광고 의뢰자, 광고주 ¶스폰서 구하기 | |
| 스폿 기획 [spot -] | <패션> ▷반짝 기획 | |
| 스폿 뉴스 [spot news] | <행정> ▶ 반짝 뉴스, <정치> ▷초점 뉴스 | |
| 스폿 미스 [spot miss] | <볼링> ▶ 겨냥 실수 | |
| 스폿 용접 [spot welding] | <전기> ▷점 용접(點鎔接) | |
| 스푼 [spoon] | <생활외> ▶ (양)숟가락, 술 ¶각각 한 스푼씩 넣어 잘 섞은 다음 드십시오. <골프> ▷3번 나무채 | |
| 스퓨어리어스 (←스프리어스) [spurious] | <행정> ▶ 잡전파, 쓸데없는 전파 | |
| 스프레드 [spread] | <언론> ▶ 격차 ¶주가·땅값·집값 및 ‘금리 스프레드’가 인플레이션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조사해 본 결과…. <경제> ▶ 가산 금리> | |
| 스프레드 에지 [spread edge] | <스케이트> ▶ 일자 그리기 | |
| 스프레드 펜스 [spread fence] | <승마> ▶ 폭 장애물 | |
| 스프레이 [spray] | <생활외> ▶ 분무(기) ¶습도 부족으로 스프레이를 자주 해주어 습도를 유지시켜 주었다. <패션> ▷안개색 | |
| 스프레이 히터 [spray hitter] | <야구> ▶ 고루치는 타자, 만능 타자 | |
| 스프린터 라인 [sprinter line] | <사이클> ▷외대선, 스프린터선 | |
| 스프린트 (게임) [sprint (game)] | <사이클> ▷단거리/스프린트 경기 | |
| 스프링 [spring] | <행정> = 용수철> | |
| 스프링 코트 [spring coat] | <패션> ▶ 봄(가을) 코트 | |
| 스프링클러 [sprinkler] | <행정> ▶ 자동 물뿌리개 | |
| 스프링 트레이닝 [spring training] | <언론> ▶ 봄철 훈련 ¶’98년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김 씨가 당시 단장이던 프레드 클레어와 2년간 300만 달러의 계약을 이끌어 내고…. | |
| 스플래시 [splash] | <볼링> ▶ 완벽투 | |
| 스플릿 스텝 [split step] | <테니스> ▶ 모둠뛰기 | |
| 스플릿 마크 [split mark] | <봉제> ▷흠표시 | |
| 스피너 [spinner] | <볼링> ▶ 팽이회전 | |
| 스피닝 [spinning] | <미술> ▶ 물레질> | |
| 스피드 [speed] | <언론> ▷속도, 속력, 빠르기 ¶‘호주의 힘’ 스피드로 눌러라. | |
| 스피드 건 [speed gun] | <행정> ▶ 속도 측정기 | |
| 스피드업 [speedup] | <언론> ▶ 빠른 진행 <야구>, 속도 높이기 ¶경기의 스피드업을 위해 주자가 없을 시 투수들은 20초 안에 투구를 해야 하는 ‘20초 룰’을 적용한다. | |
| 스피디하다 [speedy-] | <생활외> ▶ 빠르다 ¶파격적인 소재와 스피디한 전개로 분단과 이별의 현대적 의미를 형상화한 소설. | |
| 스피치 [speech] | <연극> ▷화법 | |
| 스피커 (←스피카) [speaker] | <생활외> ▶ 확성기, 스피커 | |
| 스핀 [spin] | <테니스> ▶ (공) 회전 | |
| 스핀 서비스 [spin service] | <테니스> ▶ 순회전 메김 | |
| 스핀들 라인 [spindle line] | <패션> ▷실꾸리선, 방추선 | |
| 스필러 [spiller] | <볼링> ▶ 잇따라 넘어뜨리기 | |
| 슨·부 [寸·分, すん·ぶ] | <신문> ▶ 치·푼 | |
| 슨포 (←슴뽀) [寸法, すんぽう] | <건설> <미술> <생활외> ▶ 치수 | |
| 슬 [膝] | <행정> ▶ 무릎 | |
| 슬관절 [膝關節] | <행정> ▶ 무릎 관절 | |
| 슬기사람 [新人] | <고고학> ▷호모 사피엔스 ※homo sapiens | |
| 슬기슬기사람 [現生人類] | <고고학>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homo sapiens sapiens | |
| 슬라이더 [slider] | <야구> ▷흐르는 공, <볼링> ▷미끄러지기, <행정> ▷환등기, 환등판 | |
| 슬라이드 에어리어 [slide area] | <볼링> ▶ 미끄럼 지역 | |
| 슬라이딩 [sliding] | <야구> ▷미끄러지기 | |
| 슬라이딩 캐치 [sliding catch] | <야구> ▷몸 던져 잡기 | |
| 슬라이스 [slice] | <골프> ▷오른쪽 휨, <테니스> ▶ 길게 깎아치기 | |
| 슬라이스 서브 [slice serve] | <테니스> ▷깎아 메김 | |
| 슬래브 (←스라브) [slab] | <생활외> <행정> ▶ 바닥판, 평판> | |
| 슬래브즙 [slab葺] | <행정> ▶ 평판 지붕 | |
| 슬래시 [slash] | <패션> ▷가름, 베기 | |
| 슬래시 슬리브 [slash sleeve]> | <패션> ▷가름 소매, 벤소매 | |
| 슬랙 어저스터 [slack adjuster] | <행정> ▶ 조절기, <전기> ▷간격 조절기(間隔調節器) | |
| 슬랙스 [slacks] | <패션> ▷긴바지 | |
| 슬랩롤러 [slap roller] | <미술> ▶ 판밀이> | |
| 슬러브얀 [slub yarn] | <미술> ▶ 두툴실> | |
| 슬럼프 [slump] | <언론> ▶ 부진, 침체 ¶○○는 최근 ○○○은 체력 저하로, ○○○은 슬럼프로 제 몫을 못하자…. <생활외> ▷침체, 부진 | |
| 슬로건 [slogan] | <생활외> ▷표어, 강령, 구호 ¶사업은 자연 보호의 슬로건 아래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 |
| 슬로 레인 [slow lane] | <볼링> ▶ 느린 마루 | |
| 슬로 모션 [slow motion] | <언론> ▶ 느린 동작 ¶스포츠 방송 때 활용되는 슬로 모션 촬영 기법을 화학 연구에 적용, ··· | |
| 슬로 볼 [slow ball] | <볼링> ▶ 느린 공 | |
| 슬로퍼 [sloper] | <패션> ▷기준 옷본 | |
| 슬로프 [slope] | <스키> ▶ (스키) 활주로 | |
| 슬로 플레이 [slow play] | <골프> ▶ 늑장 경기> | |
| 슬리브 [sleeve] | <패션> ▶ 소매 | |
| 슬리브 가터 [sleeve garter] | <패션> ▶ 소매 가터 | |
| 슬리브 안테나 [sleeve antenna] | <전기> ▷동축 쌍극 안테나(同軸雙極-) | |
| 슬리퍼 [sleeper] | <볼링> ▶ 숨은 핀, 겹친 핀, <승마> ▷침목 (장애물) | |
| 슬리퍼 [slippers] | <패션> ▷실내화 | |
| 슬리핑 멤버 [sleeping member] | <골프> ▶ 비활동 회원 | |
| 슬림 스커트 [slim skirt] | <패션> ▷날씬 치마 | |
| 슬림 실루엣 [slim silhouette] | <패션> ▷날씬한 윤곽선 | |
| 슬림형 [slim 形] | <생활외> <패션> ▶ 좁은형, 납작형 ¶슬림형으로 손쉽게 들고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가 유행이다. | |
| 슬립 [slip] | <패션> = 속치마, <사이클> ▶ 미끄러짐, 미끄러지기, <미술> ▶ 흙물 | |
| 슬립노트 [slip knot] | <미술> ▶ 걸쳐매기> | |
| 슬릿 [slit] | <패션> ▷트임 | |
| 슬릿 스커트 [slit skirt] | <패션> ▷트임 치마 | |
| 슬링 [sling] | <사격> ▶ 멜빵 | |
| 습동 | <행정> ▶ 접촉 동작 <철도>> | |
| 습득물 [拾得物] | <행정> ▷주운 물건 | |
| 습득자 [拾得者] | <행정> ▷주운 사람 | |
| 습득하다 [拾得-] | <행정> ▷줍다> | |
| 습벽 [習癖] | <행정> ▶ 나쁜 습성/버릇> | |
| 습성 [習性] | <행정> = 버릇> | |
| 습윤 [濕潤] | <행정> ▶ 습기 참 | |
| 습윤 밀도 [濕潤密度] | <행정> ▶ 젖은 밀도 | |
| 습포 | <행정> ▶ 찜질 | |
| 습포육 [濕布育] | <농업> ▶ 젖은 천 덮어치기 | |
| 습합 | <행정> ▶ 접촉 결합 <철도>> | |
| 승강 [乘降] | <행정> ▶ 오르내림, 타고내림> | |
| 승강장 [乘降場] | <행정> ▶ (차) 타고 내리는 곳, <생활외> ▷타는 곳 | |
| 승강하다 [乘降-] | <행정> ▶ 오르내리다, 타고내리다> | |
| 승계 [承繼] | <전철> ▷승계운전, 이어운전 | |
| 승계하다 [承繼-] | <행정> ▷이어받다> | |
| 승리 [勝利] | <행정> = 이김> | |
| 승박 [繩縛] | <행정> ▶ 새끼로 묶기 | |
| 승복할 것 [承服-] | <행정> ▶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 | |
| 승상 [乘上] | <행정> ▶ 타기> | |
| 승선권 [乘船券] | <행정> ▷배표> | |
| 승선하다 [乘船-] | <행정> ▶ 배 타다 | |
| 승소 [勝訴] | <행정> = 소송 이김 | |
| 승수 [承水] | <행정> ▶ 물을 받음, 물받이 | |
| 승수로 [承水路] | <행정> ▶ 물받이 도랑 | |
| 승양 [昇揚] | <행정> ▶ 배 얹힘 | |
| 승역지 [承役地] | <행정> ▶ 편익 제공지 | |
| 승용 [乘用] | <행정> ▶ 탈것 | |
| 승입 [乘入] | <행정> ▶ 타기> | |
| 승차권 [乘車券] | <행정> ▷차표> | |
| 승차장 [乘車場] | <행정> ▷(차) 타는 곳> | |
| 승차하다 [乘車-] | <행정> ▷차 타다 | |
| 승하다 [乘-] | <행정> ▶ 곱하다> | |
| 승하다 [勝-] | <행정> ▶ 이기다> | |
| 승하차 [乘下車] | <행정> ▷타고 내림 | |
| 승환 [乘換] | <생활외> ▶ 갈아타기 | |
| 시 [柿] | <임업> ▶ 감 | |
| 시가렛 팬츠 [cigarette pants] | <패션> ▷날씬 바지 | |
| 시각의 조합 [時刻의 照合] | <행정> ▶ 시간 맞춤 | |
| 시간엄수 [時間嚴守] | <행정> = 시간 꼭 지키기> | |
| 시갑하다 [施匣-] | <행정> ▶ (쇠)고랑 채우다 | |
| 시강 [屍剛] | <법의학> ▶ 시체 굳음, 시체 경직 ※rigor mortis> | |
| 시건 [施鍵] | <전기> ▷잠금 | |
| 시건장치 [施鍵裝置] | <생활외> ▶ 잠금장치 | |
| 시공 기면고 [施工基面高] | <임업> ▶ 시공 기준면 높이 | |
| 시공 기준고 [施工基準高] | <임업> ▶ 시공 기준면 높이 | |
| 시그널 [signal] | <전기> ▷신호(信號) | |
| 시급을 요하는 [時急-] | <행정> ▶ 급한> | |
| 시기 [始期] | <행정> ▶ 시작할 때 | |
| 시기상조 [時機尙早] | <행정> ▷아직 이름 | |
| 시끽 [試喫] | <행정> ▶ (담배) 맛보기 | |
| 시나리오 [scenario] | <연극> ▷대본 | |
| 시나조로에 [品揃え, しなぞろえ] | <패션> ▶ 구색 갖추기 | |
| 시너지 효과 [synergy 效果] | <언론> ▷상승 효과 ¶이들 3사는 모두 프로 농구단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어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시네마 [cinema] | <생활외> ▶ 영화, 영화관 | |
| 시뇽 [프.chignon] | <패션> ▷쪽진머리 | |
| 시니컬하다 [cynical-] | <언론> ▶ 냉소적이다 ¶‘선셋 대로’는 … 시니컬한 대사, 세밀한 디테일(→부분)이 어우러진 블랙 코미디의 고전이다. | |
| 시단 [始段] | <행정> ▶ 시작 부분 <철도>> | |
| 시단 [始端] | <전철> ▷시작(지)점 | |
| 시달하다 [示達-] | <행정> ▷알리다> | |
| 시담 [示談] | <행정> ▶ 협의 조정 | |
| 시도 [試圖] | <행정> = 꾀함> | |
| 시도미싱 | <패션> ▶ 한 번 박기 | |
| 시동 전호 [始動傳號] | <전철> ▷출발 전호 | |
| 시드 [seed] | <생활외> ▶ 우선권 ¶이번 전국 대회에서 시드를 배정받는 성과를 올렸다. <테니스> ▷우선 배정 | |
| 시디 [CD, certificate of deposit] | <금융> ▶ 양도성 예금 증서 | |
| 시딩 [←sitting] | <패션> ▷앉히기 | |
| 시랍화 [屍蠟化] | <법의학> ▶ 시체 밀랍 ※adipocere | |
| 시럽 [syrup] | <식생활> ▷즙, 착색 음료 | |
| 시로 [白, しろ] | <생활외> ▶ 흰공맞기 <당구> | |
| 시로누키 [白拔き] | <신문> ▶ 흰색, 음각 (글자) <인쇄> | |
| 시로마루 [白丸, しろまる] | <신문> ▶ 동그라미 | |
| 시로보시 [白星, しろぼし] | <신문> ▶ 별표 | |
| 시로비시 [白菱, しろびし] | <신문> ▶ 마름모 | |
| 시로 산가쿠 [白三角, しろさんかく] | <신문> ▶ 세모 | |
| 시로 야지루시 [白矢印, しろやじるし] | <신문> ▶ 겹화살표 | |
| 시로토 [素人, しろうと] | <패션> ▶ 초보자, 벗장이, <건설> ▶ 신출내기, 풋내기, 초보자, 벗장이 | |
| 시료 [試料] | <행정> ▷시험용 재료 | |
| 시루시 [印, しるし] | <봉제> ▶ 표시, 기호 | |
| 시리센 [尻線, しりせん] | <봉제> ▶ 엉덩이선 | |
| 시리어스 드라마 [serious drama] | <연극> ▶ 순수극 | |
| 시리얼 넘버 [serial number] | <언론> ▶ (제조) 일련 번호 ¶○○○ 씨가 제출한 테이프의 시리얼 넘버 확인 작업을 통해 테이프의 제작 연도가 2001년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 |
| 시리즈 [series] | <생활외> = 연속(물), 총서 ¶공상 과학 소설 시리즈가 가장 인기를 끄는 소설이다. | |
| 시마 [縞, しま] | <패션> ▶ 줄(무늬) 맞추기 | |
| 시마리 [締, しまり] | <생활외> ▶ 맥 | |
| 시마바라 [島原, しまばら] | <행정> ▶ 도원(島原)감자> | |
| 시마이 [仕舞·終い] | <건설> ▶ 끝냄, 끝남, 마감, 끝(마침), <패션> ▶ 끝(마침), 뒤처리, <행정> ▶ 마감, 끝남 | |
| 시말서 [始末書] | <행정> ▶ 경위서> | |
| 시머트리 [symmetry] | <패션> ▶ 균형, 균제 | |
| 시메가네 [締金, しめがね] | <생활외> ▶ 죔쇠 | |
| 시메키리 [締切り] | <건설> ▶ 마감, 물막이공 | |
| 시멘트 [cement] | <행정> = 양회> | |
| (시멘트) 블록(←브러크) | <건설> ▶ (시멘트) 벽돌 | |
| 시목 [柴木] | <행정> ▶ 땔나무 | |
| 시뮬레이션 [simulation] | <언론> ▷모의 실험 ¶사건의 실마리를 풀기 위한 화재 시뮬레이션이 … 24일 열렸다 | |
| 시뮬레이션 게임 [simulation game] | <언론> ▷모의 실험 게임 ¶PDA(→개인 휴대 단말기)용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도 나올 전망이다. | |
| 시뮬레이터 [simulator] | <언론> ▷모의 실험 장치, 모의 실험기 ¶균형 감각을 익히려면 우선 지상에서 시뮬레이터로 연습한 후 돛 없이 보드만 물에 띄워 놓고 균형 잡는 연습을 한다.> | |
| 시밀리 [simile] | <연극> ▶ 직유(법) | |
| 시밍 [seaming] | <행정> ▶ 통포장> | |
| 시바 [芝, しば] | <행정> ▶ 떼, 잔디> | |
| 시바이 [芝居, しばい] | <생활외> ▶ 연극 | |
| 시반 [屍斑] | <법의학> ▶ 시체 얼룩 ※livor mortis> | |
| 시발점으로 [始發點-] | <행정> ▷처음으로 하여, 출발점으로 | |
| 시방 [時方] | <행정> ▷지금> | |
| 시방배합 [示方配合] | <임업> ▶ 규정 배합 | |
| 시방서 [示方書] | <행정> ▶ 설명서> | |
| 시버스 [sea berth]> | <행정> ▶ 배침실> | |
| 시범 [示範] | <행정> = 본보이기> | |
| 시보리 [絞り, しぼり] | <패션> ▶ ①(뜨개) 조리개, 고무뜨개 ②홀치기 (염색), <미술> ▶ 물레질, <행정> ▶ 물수건, 조리개 | |
| 시부 [使部, しぶ] | <미술> ▶ 십장> | |
| 시비 [施肥] | <행정> ▶ 거름주기> | |
| 시비 [是非] | <행정> = 잘잘못> | |
| 시비기 [施肥機] | <농업> ▷시비 기계, 거름 기계 | |
| 시비 언쟁 [是非言爭] | <행정> ▶ 말다툼하다, 다투다> | |
| 시사 [示唆] | <생활외> = 귀띔, 암시, 일러 줌 | |
| 시사이드 코스 [seaside course] | <골프> ▶ 바닷가 골프장 | |
| 시산 [始産] | <축산> ▶ (가축) 처음 낳기 | |
| 시상하다 [施賞-] | <행정> ▷상 주다 | |
| 시선 [視線] | <행정> = 눈길> | |
| 시스 스커트 [sheath skirt] | <패션> ▷시스 치마 | |
| 시스이반 [止水, しすいばん] | <건설> ▶ 차수판, 물막이널 | |
| 시스템 [system] | <행정> ▷조직, 체제, 방식, <경제> ▷체제, 조직, <축구> ▷선수 배치 | |
| 시스템 키친 [system kitchen] | <언론> ▶ 일체형 부엌 (주방) 가구 ¶거실과 베란다를 터 생활 공간을 넓혔고 시스템 키친, 붙박이장 등을 새로 시공했다. | |
| 시스템 트레이딩 [system trading] | <금융> ▶ 시스템 매매 | |
| 시승하다 [施繩-] | <행정> ▶ 포승 지우다 | |
| 시시스 플레이 [thesis play] | <연극> ▶ 논제극 | |
| 시시티브이 [CCTV, closed circuit TV] | <전기> ▷폐(쇄)회로 텔레비전(閉鎖回路 TV) | |
| 시식하다 [試食-] | <행정> ▷시험 삼아 먹어 보다 | |
| 시실아 [柿實蛾] | <잠업> ▶ 감꼭지 나방 | |
| 시쓰케 [仕付け] | <봉제> ▶ 시침(질) | |
| 시아게 [仕上げ] | <미술> <건설> <신문> <봉제> ▶ 끝손질, 마무리, <행정> ▶ 끝손질, 뒷손질, 마무리 | |
| 시아게야스리 [仕上げ鑢] | <미술> ▶ 마무리줄> | |
| 시아르 [C.R.] | <행정> ▶ 대민 관계 | |
| 시아이 [CI, commercial image] | <언론> ▶ 기업 이미지 ¶특히 IMF 이후 우리 기업의 환경에 많은 변화가 빚어지면서 CI 개발은 더 활발해졌다. | |
| 시애트리컬리즘 [theatricalism] | <연극> ▶ 극장주의 | |
| 시야 변상 [視野變狀] | <행정> ▶ 시야 이상 | |
| 시약 [施藥] | <행정> ▶ 약 지어 주기> | |
| 시약장 [試藥欌] | <행정> ▷약품 보관장 | |
| 시어리 오브 퍼스 월 [theory of fourth wall] | <연극> ▶ 제4의 벽 이론 | |
| 시어링 [shearing] | <미술> ▷자르기<작업>, 절단기<기계>, <패션> ▶ 털깎기, 전단기 | |
| 시어터 오브 더 어브서드 [theatre of the absurd] | <연극> ▶ 부조리 연극 | |
| 시어터 오브 리추얼 [theatre of ritual] | <연극> ▶ 제의(提議) 연극 | |
| 시업 [施業] | <행정> ▷산림 경영 <산림>, 작업, 경영> | |
| 시업 중 [施業中] | <행정> ▷사업 시행 중> | |
| 시업림 [施業林] | <행정> ▷조성림> | |
| 시에이디 [C.A.D.] | <행정> =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 |
| 시연 [試演] | <정치> ▷시행, 시험 공연> | |
| 시오야키 [鹽燒, しおやき] | <생활외> ▶ 소금구이 | |
| 시와 [皺, しわ] | <봉제> <패션> ▶ 구김(살) | |
| 시용하다 [施用-] | <행정> ▶ (베풀어) 쓰다, 나누어 주다> | |
| 시운전 [試運轉] | <행정> ▷시험 운전 | |
| 시유 [施釉] | <미술> ▶ 잿물치기, 유약치기> | |
| 시음장 [試飮場] | <행정> ▷맛보기 자리 | |
| 시음하다 [試飮-] | <행정> ▷맛보다> | |
| 시음회 [試飮會] | <행정> ▷맛보기 모임 | |
| 시의에 맞다 [時宜-] | <행정> ▷때에 맞다 | |
| 시이오 [CEO(←chief executive officer)] | <언론> ▶ 최고 경영자 ¶능력 없는 CEO는 보따리 싸라. | |
| 시작품 [試作品] | <행정> ▷시험 제품 | |
| 시저스 킥 [scissors kick] | <언론> ▶ 가위차기> | |
| 시저스 커트 [scissors cut] | <농구> ▶ 교차뛰기 | |
| 시정 조치 [是正措置] | <행정> ▷바르게 고침 | |
| 시정하다 [施錠-] | <행정> ▶ 잠그다, 채우다> | |
| 시정하다 [是正-] | <행정> ▷(잘못을) 바로잡다 | |
| 시제품 [試製品] | <행정> ▷시험 제품 | |
| 시조 컷 [프.ciseaux cut]> | <패션> ▷가위컷 | |
| 시종 [始終] | <행정> ▷늘, 항상> | |
| 시종일관 [始終一貫] | <행정> = 한결같이> | |
| 시준고 [視準高] | <임업> ▶ 기계 높이, 기계고(機械高) | |
| 시즌 [season] | <언론> ▶ (경기) 철 ¶각 구단은 오프 시즌(→비경기철) 동안 선수들과 함께 동면에 들어가지 말고··· <생활외> ▶ 철, 계절 | |
| 시지 [示指] | <행정> ▶ 집게손가락> | |
| 시진 [視診] | <행정> ▶ 보기 진단 | |
| 시찰하다 [視察-] | <행정> = 살펴보다> | |
| 시체 [屍體] | <행정> = 주검, 송장> | |
| 시초 [始初] | <행정> ▷처음> | |
| 시치부 [七分, しちぶ] | <미술> ▶ 칠푼, 21mm, <행정> ▶ 칠푼 (소매)> | |
| 시커티브 [siccative] | <미술> ▶ 말림 기름, 속건제> | |
| 시코미 [仕込み] | <행정> ▶ 출어 준비 | |
| 시쿠치 [仕口, しくち] | <미술> ▶ 맞춤(면)> | |
| 시퀸 [sequin] | <사이클> ▶ 번호판 | |
| 시크 [프.chic] | <패션> ▷멋, 근사함 | |
| 시키 [紙器, しき] | <식생활> ▶ 종이 그릇 | |
| 시키기리 [敷き-, しき-] | <패션> ▶ 다리미판 | |
| 시키나라시 [敷均し] | <건설> ▶ 펴고르기 | |
| 시키리 [仕切り] | <신문> ▶ 칸막이 | |
| 시키시 [敷紙, しきし] | <미술> ▶ 두방(荳方)> | |
| 시키타 [しきいた] | <행정> ▶ 깔판자> | |
| 시타 [下, した] | <패션> ▶ 보조원, 밑, 아래, <미술> ▶ 밑일꾼, 곁꾼, 보조원 | |
| 시타가타 [下型, したかた] | <미술> ▶ 속틀 | |
| 시타기 [下着, したぎ] | <패션> ▶ 속옷 | |
| 시타누리 [下塗り] | <건설> ▶ 초벌칠, 초벌바름, <행정> ▶ 애벌칠> | |
| 시타마에 [下前, したまえ] | <패션> ▶ 안자락 | |
| 시타바 [下端, したば] | <건설> ▶ 밑면 | |
| 시타바리 [下張(り)] | <미술> ▶ 초벌 배접, <행정> ▶ 아랫종이, 밑종이<극장명 표시용지> | |
| 시타소데타케 [下袖丈, したそでたけ] | <봉제> ▶ 밑소매 길이 | |
| 시타에리 [下襟, したえり] | <패션> ▶ 아랫깃 | |
| 시타지 [下地, したじ] | <건설> ▶ 바탕 | |
| 시타지고시라에 [下地拵] | <건설> ▶ 바탕 만들기 | |
| 시타카리 [下刈, したがり] | <임업> ▶ 밑돌리기 | |
| 시타카버 [下-cover] | <생활외> ▶ 기름받이 | |
| 시탈삽 [柿脫澁] | <임업> ▶ 감우림 | |
| 시태 침연 [屍胎 浸軟] | <법의학> ▶ 태아 물렁화 ※maceration | |
| 시트 [seat] | <행정> ▶ 좌석, 자리,> | |
| 시트 [sheet] | <생활외> ▷깔개, 덮개, 자리 ¶시트나 커버는 일주일에 한 번씩 세탁한다.> | |
| 시트 넘버 [seat number] | <야구> ▶ 수비 (위치) 번호 | |
| 시티 라이프 [city life] | <언론> ▶ 도시 생활, 도시살이 | |
| 시티 룩 [city look] | <패션> ▷도시풍 | |
| 시티 시크 [city chic] | <패션> ▶ 도시풍 멋 | |
| 시티 에스닉 [city ethnic] | <패션> ▶ 민속적 도시풍 | |
| 시티 엘레강스 [city elegance]> | <패션> ▶ 우아한 도시풍 | |
| 시티 투어 [city tour] | <언론> ▶ 시내 관광 ¶반딧불이 화장실을 아름답게 꾸며 화성 행궁 등과 연결시킨 시티 투어의 한 코스로 편입시켜 운영하고 있다. | |
| 시팅 [sitting] | <사격> ▶ (쪼그려) 앉아 쏘기/쏴 | |
| 시판 [矢板] | <임업> ▶ 널말뚝 | |
| 시판공 [矢板工] | <임업> ▶ 널말뚝 박기 | |
| 시판보안공 [矢板保岸工] | <임업> ▶ 널말뚝 기슭막이 | |
| 시판지수벽 [矢板止水壁] | <임업> ▶ 널말뚝 물막이벽 | |
| 시판체절공 [矢板締切工] | <임업> ▶ 널말뚝 끝막이 | |
| 시편 [試片] | <행정> ▶ 시험 재료 조각> | |
| 시표 [視標] | <임업> ▶ 겨냥표 | |
| 시프 스킨 [sheep skin]> | <패션> ▶ 양가죽 | |
| 시피 [CP(←command post)] | <행정> ▶ 지휘소> | |
| 시피엑스 [CPX(←command post exercise)] | <행정> ▶ 지휘소 연습, 도상 연습 | |
| 시피유 [C.P.U.(←central processing unit)] | <행정> ▶ 중앙 처리 장치> | |
| 시하 [時下] | <행정> ▶ 요즈음, 이때> | |
| 시한 [時限] | <행정> ▷정한 때 | |
| 시합 [試合] | <생활외> = 겨루기 | |
| 시험관내 배양 [試驗管內培養] | <임업> ▶ 기내 배양 | |
| 시험산화 [試驗山火] | <임업> ▷시험 산불 | |
| 시현하다 [示顯-] | <행정> ▷나타내다, 나타내 보이다 | |
| 시혜 [施惠] | <행정> ▷혜택> | |
| 시혜를 줌 [施惠-] | <행정> ▷혜택 줌 | |
| 시혜자 [施惠者] | <행정> ▷베푸는 사람 | |
| 식각 [息角] | <임업> ▷안식각 | |
| 식곡 [蝕谷] | <임업> ▷침식곡 | |
| 식깡 [食罐-can] | <생활외> ▶ 밥통 | |
| 식단 [食單] | <식생활> ▷차림(표) | |
| 식도 정맥류 [食道 靜脈瘤] | <법의학> ▶ 식도 정맥 자루 ※esophageal varix | |
| 식료 [食料] | <식생활> ▷음식물 | |
| 식목 [植木] | <임업> ▷나무 심기 | |
| 식물먹이망 [植物-網] | <임업> ▷식물 먹이그물 | |
| 식물먹이 연쇄 [植物-連鎖] | <임업> ▷식물 먹이사슬 | |
| 식별하다 [識別-] | <금융> <행정> ▷구별하다 | |
| 식부 [植付] | <생활외> ▶ 심기 | |
| 식부 면적 [植付面積] | <행정> ▶ 심은 면적 | |
| 식비 [食費] | <식생활> = 밥값 | |
| 식상 [植傷] | <농업> ▶ 몸살 <벼농사> | |
| 식상 [植桑] | <잠업> ▶ 뽕나무 심기 | |
| 식상 [食傷] | <정치> ▷싫증 남 | |
| 식생대 [植生袋] | <임업> ▶ 식생 자루 | |
| 식생대공 [植生帶工] | <임업> ▶ 식생띠 심기, 식생대 심기> | |
| 식생대공 [植生袋工] | <임업> ▶ 식생 자루 심기 | |
| 식생반공 [植生盤工] | <임업> ▶ 식생판 심기, 식생반 심기 | |
| 식생반복공 [植生盤伏工] | <임업> ▶ 식생판 덮기, 식생반 덮기 | |
| 식생상공 [植生箱工] | <임업> ▶ 식생상(자) 공법 | |
| 식생연속 [植生連續] | <임업> ▷천이(遷移) | |
| 식생하다 [植生-] | <행정> ▷자라다> | |
| 식생혈공 [植生穴工] | <임업> ▶ 식생구멍 심기 | |
| 식설 [植設] | <임업> ▶ 심어 설치 | |
| 식수 [植樹] | <행정> ▷나무 심기> | |
| 식순 [式順] | <행정> ▷(식)차례> | |
| 식스 맨 [←sixth man] | <농구> ▷우수 후보 선수, <언론> ▶ 우수 후보 선수, 여섯 번째 선수 | |
| 식스티즈 패션 [sixties fashion]> | <패션> ▶ 60년대 패션 | |
| 식승 [植繩] | <임업> ▶ 못줄 | |
| 식양토 [埴壤土] | <농업> ▶ 질참흙 | |
| 식염 [食鹽] | <식생활> ▷소금 | |
| 식엽성 [食葉性] | <임업> ▷잎 먹을성, 잎을 먹는 | |
| 식우성 [食羽性] | <축산> ▶ 털 먹는 버릇 | |
| 식재 [植栽] | <행정> ▶ (나무) 심기, (나무) 가꾸기> | |
| 식재 거리 [植栽距離] | <행정> ▶ 심는 거리 | |
| 식재 본수 [植栽本數] | <행정> ▶ 심은 포기 수> | |
| 식재 용구 [植栽用具] | <행정> ▶ 심는 연모 | |
| 식재밀도 [植栽密度] | <임업> ▷심는 밀도 | |
| 식재법 [植栽法] | <행정> ▶ 심는 법 | |
| 식재본수 [植栽本數] | <임업> ▶ 심은 포기 수 | |
| 식재조림 [植載造林] | <임업> ▷식수 조림 | |
| 식지 [式紙] | <행정> ▶ 서식, 용지> | |
| 식지 [食指] | <행정> ▶ 집게손가락> | |
| 식캉 [食罐,-can] | <축산> ▶ 밥통 | |
| 식토 [埴土] | <행정> ▶ (반)질흙, 찰흙> | |
| 식하량 [食下量] | <축산> ▶ 먹는 양 | |
| 식혈 [植穴] | <행정> ▶ 심을 구덩이 | |
| 식혈식재 [植穴植栽] | <행정> ▶ 구덩이 심기> | |
| 신 [scene] | <생활외> ▶ 장면 ¶드라마에서 눈 오는 신을 찾기가 어렵다. | |
| 신가네 [芯金, しんがね] | <미술> ▶ 반짓대> | |
| 신경교종 [神經膠腫] | <법의학> ▶ 신경아교종 ※neuroglioma | |
| 신고 센터 | <행정> ▶ 신고소> | |
| 신고필증 [申告畢證] | <정치> ▷신고 증명서 | |
| 신광 [身光] | <미술사> ▷몸체광배, 신광 ※halo behind the body> | |
| 신규 [新規] | <행정> ▷새로운, 새로이> | |
| 신규 채용하다 [新規採用-] | <행정> ▷새로 뽑다 | |
| 신년 [新年] | <행정> ▷새해> | |
| 신노 | <미술> ▶ 죔(질), 조임(질) | |
| 신드롬 [syndrome] | <생활외> <언론> ▷증후군 ¶요즘은 온통 춤추고 노래하는 현진영 신드롬이다. | |
| 신 디자인 [scene design] | <연극> ▶ 무대 장치 디자인 | |
| 신디케이트 론 [syndicate loan] | <생활외> ▶ 연합 차관 | |
| 신립 [申立] | <행정> ▶ 신청, 아룀 | |
| 신립하다 [申立-] | <행정> ▶ 신청하다> | |
| 신마이 [新米] | <행정> ▶ 풋내기, 애송이, 신출내기, <생활외> ▶ 햅쌀 | |
| 신명 [身命] | <행정> ▷목숨> | |
| 신문 [訊問] | <행정> ▷캐물음> | |
| 신문 삽입 [新聞揷入] | <정치> ▶ 신문에 끼움 | |
| 신미종 [辛味種] | <농업> ▷매운맛 품종 | |
| 신병 [身柄] | <행정> ▷몸체, 신분> | |
| 신병인수 [身柄引受] | <행정> ▷사람 넘겨받음 | |
| 신분장 [身分帳] | <행정> ▶ 개인 기록부 | |
| 신빙성 [信憑性] | <행정> ▷믿음성> | |
| 신빙하다 [信憑-] | <행정> ▷믿다 | |
| 신생아살 [新生兒殺] | <법의학> ▶ 신생아 살해 ※infanticide | |
| 신서 [信書] | <행정> ▶ 편지> | |
| 신서재리 소포 우편물 [信書在裏-] | <행정> ▶ 편지 든 소포> | |
| 신세틱 컬러 [synthetic color] | <패션> ▶ 인공색 | |
| 신세틱 파이버 [synthetic fiber] | <패션> ▶ 합성 섬유 | |
| 신속하게 [迅速-] | <행정> = 빠르게> | |
| 신 숍 [scene shop] | <연극> ▶ 장치 제작소 | |
| 신승 [辛勝] | <행정> ▷가까스로 이김, 겨우 이김> | |
| 신시내티 [cincinnati] | <볼링> ▶ ⑧⑩번 퍼진 핀 | |
| 신시내티 히트 [cincinnati hit] | <야구> ▶ 양보 안타 | |
| 신 시프팅 [scene shifting] | <연극> ▶ 장치 전환 | |
| 신엽 [新葉] | <행정> ▶ 새잎> | |
| 신와리 [←scene 割り] | <생활외> ▶ 장면 나누기> | |
| 신용 공여 [信用 供與] | <금융> ▶ 신용 제공 | |
| 신용 사회 [信用社會] | <행정> = 서로 믿는 사회> | |
| 신인 [新人] | <고고학> ▷호모사피엔스 ※homo sapiens | |
| 신임지 [新任地] | <행정> ▷새 근무지 | |
| 신입 [申込] | <정치> <행정> ▶ 신청, 청약> | |
| 신입서 [申込書] | <행정> ▶ 청약서, 신청서> | |
| 신입하는 자 [新入-] | <행정> ▶ 신참자> | |
| 신입하다 [申込-] | <행정> ▶ 신청하다> | |
| 신장 [腎臟] | <행정> ▷콩팥> | |
| 신장 [身長] | <행정> ▷키 | |
| 신장기 [伸長期] | <임업> ▷줄기 자랄 때> | |
| 신장절 [伸張節] | <농업> ▷자람마디 | |
| 신장하다 [伸張-] | <행정> ▷늘어나다, 늘리다> | |
| 신전 손상 [伸展 損傷] | <법의학> ▷편 손상 ※extension injury | |
| 신전창 [伸展創] | <법의학> ▶ 편 상처 ※extension wound | |
| 신조 [新造] | <행정> ▶ 새로 만듦 | |
| 신중히 [愼重-] | <행정> = 조심스럽게> | |
| 신즈미 [芯墨] | <건설> ▶ 심먹 | |
| 신지 [新枝] | <행정> ▶ 새 가지, 햇가지 | |
| 신지번 [新地番] | <행정> ▶ 새 토지 번호> | |
| 신착 도서 [新着圖書] | <행정> ▷새로 온 책> | |
| 신참하는 [新參-] | <행정> ▷새로 참여하는 | |
| 신체류지 [新滯留地] | <행정> ▶ 새로이 머무는 곳> | |
| 신초 [身長, しんちょう] | <봉제> ▶ 키, 신장 | |
| 신초 [新梢] | <행정> ▶ 새순 | |
| 신초삽목 [新梢揷木] | <임업> ▶ 새순 꺾꽂이 | |
| 신초엽량 [新梢葉量] | <임업> ▶ 새순 잎량 | |
| 신추 [眞鍮, しんちゅう] | <미술> ▶ 놋쇠 | |
| 신추 브러시 [眞鍮-, しんちゅう brush] | <미술> ▶ 놋솔 | |
| 신추방 [眞鍮板, しんちゅう-] | <생활외> ▶ 놋쇠판 | |
| 신켄쇼부 [眞劍勝負, しんけんしょうぶ] | <생활외> ▶ 생사 겨루기 | |
| 신탁 [信託] | <행정> = 믿고 맡김 | |
| 신탄 [薪炭] | <행정> ▶ 땔감> | |
| 신탄림 [新炭林] | <임업> ▷땔감숲, 연료림 | |
| 신탄재 [薪炭材] | <행정> ▶ 땔감 나무 | |
| 신 트랜지션 [scene transition] | <연극> ▶ 장면 전환 | |
| 신품 [新品] | <행정> ▷새것> | |
| 신품종 [新品種] | <행정> ▷새 품종 | |
| 신풍 [新風] | <행정> ▶ 새 바람 | |
| 신핀 (←신삥) [新品, しんぴん] | <행정> <생활외> ▶ 신품, 새것> | |
| 신호도선 [信號導線] | <행정> ▷신호철선(信號鐵線) <철도> | |
| 신호모진 [信號冒進] | <전철> ▷정차 (신호) 위반, <행정> ▶ 신호 무시 운전 <철도> | |
| 신 히트 [thin hit] | <볼링> ▶ 코 스치기 | |
| 실 [seal] | <스키> ▶ 미끄럼 방지기, <패션> ▶ 물개, 바다표범 | |
| 실 하토메 [-はとめ] | <패션> ▶ 새눈 구멍 | |
| 실권 [失權] | <행정> = 권리 상실 | |
| 실기 사건 [失期事件] | <행정> ▶ 때 놓친 사건> | |
| 실기하다 [失機-] | <행정> ▷때를 놓치다 | |
| 실기하여 [失機-] | <행정> ▷때를 놓쳐 | |
| 실당 [失當] | <행정> ▶ 멈춤점 어김, 정차 위치 어김 <철도> | |
| 실당 검사 [失當檢査] | <행정> ▶ 어긴 검사 | |
| 실당하다 [失當-] | <행정> ▶ 어기다> | |
| 실드전극 [shield 電極] | <전기> ▷차폐 전극(遮蔽電極) | |
| 실렉티브 리얼리즘 [selective realism] | <연극> ▶ 선택적 사실주의 | |
| 실례 [實例] | <행정> = 보기> | |
| 실루엣 [프.silhouette] | <생활외> ▷음영 ¶주연 배우는 실루엣이 뚜렷한 옷을 입고 걸어 나왔다, <사격> ▶ 인형 표적, <패션> ▷윤곽선 | |
| 실리카샌드 [silica sand] | <미술> ▶ 규사 | |
| 실면 [實棉] | <행정> ▶ 목화> | |
| 실백 [實柏] | <행정> ▷알잣, 실백잣> | |
| 실버 [silver] | <패션> ▶ 은(색) | |
| 실버 그레이 [silver gray] | <패션> ▶ 은회색 | |
| 실버 비즈니스 [silver business] | <언론> ▶ 경로 산업 ¶평균 수명이 늘어나 장수 사회로 가면서 은퇴 상담사, 재취업 상담사 등도 꾸준히 늘어나는 실버 비즈니스가 될 것이다. | |
| 실버 톤 [silver tone] | <언론> ▶ 은색조(銀色調) ¶색상은 아이보리(→상아색)가 거의 주종이나 실버 톤이 가미된 색상도 자주 눈에 띠고 있다. | |
| 실버 폭스 [silver fox] | <패션> ▶ 은빛 여우(털) | |
| 실사 [實査] | <행정> ▶ 실제 조사 | |
| 실생묘 [實生苗] | <행정> ▶ 씨모> | |
| 실생번식 [實生繁殖] | <농업> ▷종자 번식 | |
| 실습하다 [實習-] | <행정> = 실제로 해 보다> | |
| 실시 [實施] | <행정> = 행함> | |
| 실업 [實業] | <행정> ▶ 실제 업무 | |
| 실인 [實印] | <생활외> ▷도장, 인장 | |
| 실장 [實長] | <전기> ▷실제 길이 | |
| 실제 [實弟] | <행정> ▷친동생> | |
| 실조 [失調] | <법의학> ▶ 기능 장애 ※malfunction, disharmony | |
| 실추시키다 [失墜-] | <행정> ▷떨어뜨리다> | |
| 실크 [silk] | <패션> = 견(직물), <행정> ▷비단, 명주(실)> | |
| 실하다 [失-] | <행정> ▶ 잃다> | |
| 실혈 [失血] | <법의학> ▷출혈, 실혈 ※blood loss, exsanguination | |
| 실화 [失火] | <행정> ▷불냄> | |
| 실효 [失效] | <행정> ▷효력 잃음 | |
| 심 [seam] | <봉제> = 시접, 솔기 | |
| 심 [theme] | <연극> ▶ 주제 | |
| 심 퍼커링 [seam puckering] | <패션> ▶ 솔기울이 | |
| 심강 [心綱] | <임업> ▶ 심줄 | |
| 심결 [審決] | <행정> ▶ 심의 결정 | |
| 심경 [深耕] | <행정> ▶ 깊이갈이> | |
| 심경다비 [深耕多肥] | <농업> ▷깊이 갈아 걸우기 | |
| 심고 [芯枯] | <농업> ▶ 순마름 | |
| 심교 [深絞] | <행정> ▶ 깊이돌리기> | |
| 심굴하다 [深掘-] | <행정> ▶ 깊이 파다 | |
| 심근 경색 [心筋 梗塞] | <법의학> ▷심근 경색증 ※cardiac infarction or myocardial infarction | |
| 심근병증 [心筋病症] | <법의학> ▶ 심장 근육병증 ※cardiomyopathy | |
| 심근성 [深根性] | <행정> ▶ 깊은 뿌리 내리기> | |
| 심대한 [甚大-] | <행정> ▷매우 큰 | |
| 심도 [深度] | <행정> ▷깊이> | |
| 심득 사항 [心得事項] | <행정> ▶ 마음 새길 일> | |
| 심려 [心慮] | <행정> ▷걱정, 근심> | |
| 심리 [審理] | <행정> ▷살펴 따짐 | |
| 심문 [審問] | <행정> = 캐물음> | |
| 심방 조사 [尋訪調査] | <행정> ▶ 방문 조사 | |
| 심방하다 [尋訪-] | <행정> ▶ 찾아뵙다> | |
| 심벌 [symbol] | <행정> ▶ 상징> | |
| 심벌리즘 [symbolism] | <연극> ▷상징주의 | |
| 심벌마크 [symbol mark] | <생활외> <정치> ▷상징표(시) ¶우리 학교의 심벌마크는 용맹스러운 사자이다. | |
| 심보 [心棒, しんぼう] | <생활외> ▶ 굴대 | |
| 심부전 [心不全] | <법의학> ▶ 심장 기능 상실 ※cardiac insufficiency, heart failure | |
| 심사숙고하다 [深思熟考-] | <행정> ▷깊이 생각하다 | |
| 심사조서 [審査調書] | <정치> ▷심사 조사서 | |
| 심수관개 [深水灌漑] | <농업> ▶ (물)깊이대기 | |
| 심식 [深植] | <행정> ▶ 깊게 심기> | |
| 심신 상실 [心神喪失] | <행정> ▷정신 잃음 | |
| 심실 세동 [心室 細動] | <법의학> ▷심실 잔 떨림 ※ventricular fibrillation | |
| 심심한 [深甚-] | <행정> ▷깊은> | |
| 심심한 사의 [深甚-謝意] | <행정> ▶ 깊은 고마움 | |
| 심안컨대 [心眼-] | <행정> ▶ 깊이 생각건대 | |
| 심야 [深夜] | <행정> ▷깊은 밤, 한밤중 | |
| 심오한 [深奧-] | <행정> ▷깊은> | |
| 심인 [尋人] | <행정> ▶ 사람 찾음 | |
| 심장 병변 [心臟 病變] | <법의학> ▶ 심장 병터 ※cardiac lesion> | |
| 심장 압전 [心臟 壓塡] | <법의학> ▷심장 눌림증 ※cardiac tamponade | |
| 심장 질환 [心臟 疾患] | <법의학> ▷심장병 ※heart disease | |
| 심장성 돌연사 [心臟性 突然死] | <법의학> ▶ 심장 돌연사 ※heart sudden death | |
| 심장 탬포네이드 [心臟 壓塡] | <법의학> ▷심장 눌림증 ※cardiac tamponade | |
| 심재 [心材] | <임업> ▷속재목 | |
| 심정지 [心停止] | <법의학> ▶ 심장 정지 ※cardiac arrest | |
| 심중 [心中] | <행정> ▷마음속> | |
| 심증 [心證] | <행정> = 낌새> | |
| 심지 [芯止] | <농업> ▶ 순멎음, 순멎이 | |
| 심초 [心礎] | <미술사> ▷심초석> | |
| 심층 [深層] | <행정> = 깊이> | |
| 심층시비 [深層施肥] | <농업> ▷깊이 거름주기 | |
| 심토 [心土] | <행정> ▶ 속흙> | |
| 심토층 [心土層] | <행정> ▶ 속흙층> | |
| 심파열 [心破裂] | <법의학> ▶ 심장 파열 ※cardiorrehexis> | |
| 심판막증 [心瓣膜症] | <법의학> ▶ 판막 심장병 ※valvular heart disease | |
| 심퍼세틱 캐릭터 [sympathetic character] | <연극> ▶ 동정적 인물 | |
| 심퍼커링 [seam puckering] | <봉제> ▶ 솔기울이 | |
| 심폐 소생술 흔 [心肺 蘇生術 痕] | <법의학> ▶ 심장폐 소생술 자국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ce | |
| 심폐사 [心肺死] | <법의학> ▷심장 허파사 ※cardiopulmonary death | |
| 심포지엄 [symposium] | <생활외> <경제> <행정> ▷학술/(집단) 토론 회의 ¶조선 초기 불교에 대한 종합 심포지엄이 열렸다. | |
| 심플 체인지 [simple change] | <승마> ▶ 발 바꾸기 | |
| 심플 플롯 [simple plot] | <연극> ▶ 단순 구성 | |
| 심플하다 [simple-] | <생활외> ▶ 단순하다 ¶심플하고 감각적인 미의 세계가 다가온다. | |
| 심혈 [心血] | <행정> ▷온 정신 | |
| 심화 [深化] | <행정> ▷깊어감> | |
| 심활탈 [seam 滑脫] | <봉제> ▶ 시접/솔기 빠짐 | |
| 심히 [甚-] | <행정> ▷매우> | |
| 십분 [十分] | <행정> ▶ 충분히> | |
| 십자줄눈 [十字-] | <임업> ▶ 통줄눈 | |
| 십자화과 [十字花科] | <행정> ▶ 배춧과> | |
| 십장 [什長] | <행정> ▶ 반장, 작업 반장> | |
| 십팔번 [十八番] | <생활외> ▶ 단골 장기, 단골 노래 | |
| 싯 스핀 [sit spin] | <스케이트> ▶ 앉아돌기 | |
| 싯쿠이 [漆くい] | <건설> ▶ (흙)회반죽 | |
| 싯푸 [濕布, しっぷ] | <행정> ▶ 찜질> | |
| 싱 [芯] | <미술> <패션> ▶ 심(지), 속 | |
| 싱글 [single] | <언론> ▶ 독신(자) ¶최근 해변 싱글 파티를 잇따라 개최하는 등 싱글 유치를 위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클럽메드가…. <골프> ▷2인 경기, 한자리 기준타 차 <행정> ▶ 단독> | |
| 싱글 게임 [single game] | <테니스> ▶ 단식 경기 | |
| 싱글 매치 [single match] | <골프> ▶ 1 대 1 경기 | |
| 싱글 배럴 [single barrel] | <사격> ▶ 외대 | |
| 싱글 브레스트 [singlebreast]> | <패션> ▶ 홑여밈, 홑자락 | |
| 싱글웨이 커넥션 [singleway connection] | <전기> ▷단로 접속(單路接續) | |
| 싱글이다 [single-] | <생활외> ▶ 독신이다, 미혼이다 ¶아내는 싱글일 때의 우아한 모습을 그대로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 |
| 싱글즈 [singles] | <배드민턴> ▶ 단식 경기 | |
| 싱글 캐치 [single catch] | <핸드볼> ▶ 한 손(으로) 잡기 | |
| 싱글 캠버 [single camber] | <스키> ▶ 단순 볼록 | |
| 싱글 트랙 레이스 [single track race] | <스케이트> ▶ 집단 출발 경기 | |
| 싱글 플롯 [single plot] | <연극> ▶ 단일 구성 | |
| 싱어송라이터 [←singer and song writer] | <언론> ▶ 작곡가 겸 가수 ¶싱어송라이터 예민의 음악도 이 작품의 자랑거리다. | |
| 싱크탱크 [think tank] | <생활외> ▶ 두뇌 집단 ¶학계를 비롯 싱크 탱크들 중에서 다수의 인물이 포함될 예정이다. | |
| 싱크대 [sink臺] | <생활외> <식생활> ▷설거지대, 개수대 ¶싱크대를 청소하고 나서는 말끔히 닦아 두는 것이 좋다. | |
| 싱킹 (현상) [sinking (現象)] | <언론> ▶ 함몰 (현상) ¶댐 상부가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주저앉는 ‘싱킹 현상’이 생기다. | |
| 쌍 스티치 (←스테치) [stitch] | <패션> ▶ 두 줄 땀 | |
| 쌍구 [雙鉤] | <미술> ▷쌍쥠> | |
| 쌍무덤 [瓢形墳] | <고고학> ▷조롱박 모양 무덤 ※gourd-formed twin tomb | |
| 쌍방 [雙方] | <행정> ▷양쪽> | |
| 쌍방 대리 [雙方代理] | <행정> ▷양쪽 대리 | |
| 쌍부자 [雙浮子] | <임업> ▶ 이중 부표 | |
| 쌍입술 후타주머니 [- 蓋 -]> | <패션> ▶ 쌍입술 덮개주머니 | |
| 쌍주식 [雙柱式] | <행정> ▶ 두기둥식> | |
| 쌍트임 | <패션> ▶ 옆트임 | |
| 쌍희 [雙喜字] | <미술사> ▷쌍희자> | |
| 쐐기형 몸돌 [楔形石核] | <고고학> ▷쐐기모양 몸돌 ※wedge-shaped core | |
| 쓰기메 [繼ぎ目] | <건설> ▶ 이음매 | |
| 쓰레기 하치장 | <행정> ▶ 쓰레기 처리장 | |
| 쓰레빠 [slipper] | <생활외> ▶ 실내화, 슬리퍼 | |
| 쓰레카이 | <패션> ▶ 앞 처짐 | |
| 쓰루하시 | <생활외> ▶ 곡괭이 | |
| 쓰리 (←스리) [掏摸, すり] | <생활외> ▶ 소매치기 | |
| 쓰리바시 [弔橋, つりばし] | <건설> ▶ 출렁다리, 줄다리, 현수교 | |
| 쓰리아시바 [弔足場, つりあしば] | <건설> ▶ 달비계 | |
| 쓰리키 [釣木, つりき] | <건설> ▶ 달대 | |
| 쓰마 [端] | <건설> ▶ 측면, 단부, 가장자리 | |
| 쓰마루 [詰まる] | <신문> ▶ 메우기 | |
| 쓰메에리 [詰襟, つめえり] | <생활외> ▶ 깃닫이(양복) | |
| 쓰메키리 [爪切り] | <행정> ▶ 손톱깎이, 손톱깎개> | |
| 쓰미 [積み] | <건설> ▶ (벽돌) 쌓기, 벽돌공 | |
| 쓰보보리 [壺掘, つぼぼり] | <건설> ▶ 구덩이파기, 굿파기 | |
| 쓰부 (다이아몬드) [粒-, つぶ- (diamond)] | <미술> <생활외> ▶ 알갱이 (다이아몬드) | |
| 쓰야게시 [艶消し] | <건설> ▶ 윤지우기, 광지우기 | |
| 쓰야다시 [艶出し] | <건설> ▶ 윤내기, 광내기 | |
| 쓰이타테 [衝立, ついたて] | <행정> ▶ 가리개, 칸막이> | |
| 쓰인자국 [使用痕] | <고고학> ▷사용흔 ※use wear | |
| 쓰케마와시 [付廻し] | <미술> ▶ 선두르기 | |
| 쓰키가다메 [突固め] | <건설> ▶ 다짐 | |
| 쓰키노미 [突鑿, つきのみ] | <미술> ▶ 손끌 | |
| 쓰키다시 [突出し] | <식생활> ▶ 곁들이 안주 | |
| 쓰키보 [突き棒] | <건설> ▶ 다짐대 | |
| 쓰키아와세누이 [突合わせ縫い] | <봉제> ▶ 맞붙이기 | |
| 쓰키아이 [付合, つきあい] | <생활외> ▶ (몫)나누기 | |
| 쓰키키리 [突切, つききり] | <생활외> ▶ 단번치기 | |
| 쓰키하사미 (←스키하마시) [すきはさみ] | <생활외> ▶ 톱니가위 | |
| 씨명 [氏名] | <생활외> <행정> ▶ 성명,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