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거 [河渠] | <행정> ▶ 강과 개울 |
| 하견 [下繭] | <행정> ▶ 나쁜 고치 |
| 하계 [河系] | <임업> ▷수계 |
| 하계 대회 [夏季大會] | <행정> ▷여름(철) 대회 |
| 하계 파종 [夏季播種] | <농업> ▶ 여름 씨뿌림 |
| 하고 [夏古] | <행정> ▶ 더위 시듦 |
| 하곡 [夏穀] | <행정> ▷여름걷이 곡식 |
| 하괘 활차 [荷掛滑車] | <임업> ▶ 짐 달림 도르래 |
| 하교하다 [下敎-] | <행정> ▷가르치다 |
| 하구 [河口] | <행정> ▷강어귀 |
| 하구배 [下句配] | <전철> ▷내림 기울기 |
| 하구언 [河口堰] | <농업> <행정> ▶ 강어귀 둑 |
| 하기 [接ぎ, はぎ] | <패션> <봉제> ▶ 깁기, 잇기 |
| 하기 [夏期] | <행정> ▷여름(철) |
| 하기와 여히 [下記-如-] | <행정> ▶ 아래와 같이, 다음과 같이 |
| 하기자는 [下記者-] | <행정> ▶ 아래 (적은) 사람은 |
| 하기전정 [夏期剪定] | <임업> ▶ 여름 가지 치기 |
| 하기하다 [下記-] | <행정> ▶ 아래(에) 쓰다/적다 |
| 하나란 [花欄] | <신문> ▶ 꽃줄 |
| 하네 [羽] | <신문> ▶ 날개 |
| 하노시 [葉のし] | <임업> ▶ 잎펴기 |
| 하다가네 [はだ金] | <행정> ▶ 끼움쇠 |
| 하다가네 구루마 [齒鏨車] | <신문> ▶ 끼움쇠 |
| 하다카(←하다까) [はだか] | <전기> ▶ 나동선(裸銅線) |
| 하단 [下端] | <행정> ▷아래(쪽 끝) |
| 하달하다 [下達-] | <행정> ▷알리다 |
| 하대 [下帶] | <미술사> ▷아랫단 |
| 하대두 [夏大豆] | <식생활> ▶ 여름콩 |
| 하대어 [下待語] | <행정> ▷낮춤말 |
| 하도 [下圖] | <미술> ▶ 밑그림 |
| 하도 [河道] | <임업> ▷하천, 수로, 물길 |
| 하도 강수량 [河道降水量] | <임업> ▷수로상강수 |
| 하도개선 [河道改善] | <임업> ▷하천 개량 |
| 하도메 [はどめ] | <행정> ▶ 굄 |
| 하도부 [下渡簿] | <행정> ▶ 보냄 장부 |
| 하도 안정 [河道安定] | <임업> ▷하천 안정 |
| 하도 유량 [河道流量] | <임업> ▷하천 유량 |
| 하도 저류 [河道貯溜] | <임업> ▷하천 저류 |
| 하도 침식 [河道沈蝕] | <임업> ▷하천 침식 |
| 하드 스노 [hard snow] | <스키> ▶ 언눈 |
| 하드 코트 [hard court] | <테니스> ▷포장 코트 |
| 하드갑 포장기 [hard 匣 包裝機] | <행정> ▶ 경갑 포장기 |
| 하등 [夏橙] | <임업> ▶ 여름 귤 |
| 하등의 [何等-] | <행정> = 아무런 |
| 하라마키 [はらまき] | <행정> ▶ 배두르개, 배두렁이 |
| 하라쿠세 [腹癖] | <봉제> ▶ 배줄임 |
| 하락세 [下落勢] | <금융> <행정> ▷내림세 |
| 하량 [下諒] | <정치> ▶ 헤아림 |
| 하력 [河礫] | <임업> ▶ 강자갈 |
| 하루나 [春菜, はるな] | <농업> ▶ 왜갓 |
| 하류밀도 [河流密度] | <임업> ▷수계 밀도 |
| 하류수고공 [河流水叩工] | <임업> ▶ 앞물받침 |
| 하리 [梁, はり] | <행정> <건설> ▶ 보(梁) |
| 하리 [張り, はり] | <패션> ▶ 뻣뻣함 |
| 하리 [針, はり] | <패션> <봉재> ▶ 바늘 |
| 하리 [下痢] | <축산> ▶ 설사 |
| 하리가네 [針金, はりがね] | <건설> <전기> ▶ 철사(鐵絲), 철선 |
| 하리보 [針棒] | <봉제> ▶ 바늘대 |
| 하리시바 [張芝] | <건설> ▶ 평떼 |
| 하리아나 [針穴] | <봉제> ▶ 바늘구멍 |
| 하리이시 [張石] | <건설> ▶ 붙임돌, 돌붙임 |
| 하리코미 [張り込み] | <신문> ▶ 원판 손질 |
| 하리핀 [針pin, はりpin] | <패션> <행정> ▶ 핀, 바늘못 |
| 하마초 [はまちょう] | <경제> <행정> ▶ 받음장(부) |
| 하마평 [下馬評] | <행정> ▷물망 |
| 하면 [夏眠] | <임업> ▷여름잠 |
| 하명 [下命, かめい] | <행정> = 명령, 지시 |
| 하모 [何某] | <행정> ▶ 아무 |
| 하모 [夏帽] | <행정> ▶ 여름 모자 |
| 하모노 [端物] | <행정> ▶ 자투리 |
| 하모니 [harmony] | <미술> <패션> ▷조화 |
| 하물 [荷物, にもつ] | <행정> ▷짐 |
| 하미다시 [食み出し, はみだし] | <패션> <봉제> ▶ 내밀기 |
| 하바 [幅, はば] | <건설> <신문> ▶ 폭, 나비, 너비 |
| 하바키 [幅木] | <건설> ▶ 걸레받이, <미술> ▶ 굄, 괴개 |
| 하번초 [下繁草] | <농업> ▶ 아래퍼짐풀, 밑퍼짐풀 |
| 하벌 [夏伐] | <농업> ▶ 여름 베기 |
| 하복 [下腹] | <행정> ▶ 아랫배 |
| 하복 [夏服] | <행정> ▷여름 옷 |
| 하부사 [-絲] | <패션> ▶ 재봉용 견사 |
| 하부차 [波布茶, はぶちゃ] | <식생활> ▶ 결명자(차) |
| 하부타에 [羽二重, はぶたえ] | <패션> ▶ 평견(平絹) |
| 하분 [荷粉] | <행정> ▶ 하물/짐 부스러기 |
| 하비 [夏肥] | <농업> ▶ 여름 거름 |
| 하사 [河砂] | <임업> ▶ 강모래 |
| 하사리 [河砂利] | <임업> ▶ 강자갈 |
| 하사미 [鋏] | <행정> ▶ (이발)가위 |
| 하사미가리 [鋏刈] | <임업> ▶ 가위깎기 |
| 하상 [河床] | <행정> ▷냇바닥, 강바닥 |
| 하상삭 [河上索] | <임업> ▶ 짐올림줄 |
| 하수 가공 [下手加工] | <행정> ▷재료대기 가공 |
| 하수지 [下樹枝] | <행정> ▶ 늘어진 가지 |
| 하순 [夏脣] | <행정> ▶ 아랫입술 |
| 하시 [箸, はし] | <식생활> ▶ 젓가락 |
| 하시라도 [何時-] | <행정> ▶ 언제라도, 언제든지, 어느 때든지 |
| 하시다리 [はしだり] | <행정> ▶ 지스러기 |
| 하시라 [柱, はしら] | <건설> ▶ 기둥 |
| 하시라와리 [柱割り] | <건설> ▶ 기둥나누기 |
| 하시마루 [端丸] | <신문> ▶ 고리점 |
| 하시미싱 [端ミシン, はしミシン] | <패션> <봉제> ▶ 끝단/접어박기 가름솔 |
| 하시카가리누이 [端かがり縫い, はしかがりぬい] | <패션> ▶ 휘갑치기 가름솔 |
| 하시케 [艀, はしけ] | <행정> ▶ 거룻배 |
| 하아 [夏芽] | <임업> ▶ 여름 눈 |
| 하안 [河岸] | <임업> ▷강기슭 |
| 하야 [下野] | <행정> ▷관에서 물러남 |
| 하여간 [何如間] | <행정> = 어쨌든, 하여튼, 어쨌든지 |
| 하역 [荷役] | <행정> ▷짐일, 짐다루기, 짐부리기 |
| 하엽준 [荷葉齧] | <미술사> ▷연잎준법, 하엽준법 ※lotus leaf vein-like texture strokes |
| 하예 [下刈] | <행정> <임업> ▶ 밑풀 베기, <임업> ▶ 밑풀 깎기 |
| 하우스 드레스 [house dress] | <패션> ▶ 가정복, 집안옷 |
| 하우스 라이트 [house light] | <연극> ▶ 객석등 |
| 하우스 웨어 [house wear] | <패션> ▶ 가정복, 집안옷 |
| 하우징 [housing] | <전기> ▷외함 |
| 하이 네크라인 [high neckline] | <패션> ▶ 높은 목둘레선 |
| 하이 발리 [high volley] | <테니스> ▷높은 바로치기 |
| 하이 삭스 [high socks] | <패션> ▶ 긴양말 |
| 하이 스틱 [high stick] | <하키> ▷높이들기 (반칙) |
| 하이 일드 펀드 [high yield fund] | <언론> ▶ 고수익 펀드 ¶새로 발매된 하이 일드 펀드로 흡수되는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려는 모습이 …. |
| 하이 칼라 [high collar] | <패션> ▷높은칼라 |
| 하이 캐주얼 [high casual] | <패션> ▶ 고급 평상복 |
| 하이 클리어 [high clear] | <배드민턴> ▷높이 길게치기 |
| 하이 패션 [high fashion] | <패션> ▷고급풍, 고급 패션 |
| 하이 패스 [high pass] | <언론> ▶ (고속도로) 주행 카드 ¶올해 3월부터 달리는 차 안에서 고속도로 통행료를 지급하는 하이 패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인다. |
| 하이 포스트 [high post] | <농구> ▶ 자유투 지점 |
| 하이 핸디캡 [high handicap] | <골프> ▶ 높은 기준타 차 |
| 하이 힐 [high heel] | <패션> ▷뾰족구두 |
| 하이고 [配合] | <건설> ▶ 배합 |
| 하이라이트 [highlight] | <생활외> ▷강조, 주요 부분 ¶김인주 선수는 대학 농구부의 새로운 하이라이트로 관심을 집중시켰다. <언론> ▶ 백미(白眉), 압권(壓卷) ¶이 다큐의 하이라이트는 1편에 등장하는 천연기념물 호사도요의 생태 촬영이다. |
| 하이레벨 [high-level] | <생활외> ▶ 고급 수준 ¶하이레벨의 컨설팅은 국내 업체의 구조적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
| 하이브리드 [hybrid] | <언론> ▶ 혼합형 ¶국내에서는 현재 ○○자동차가 하이브리드 차량을 개발하고 있는데··· |
| 하이엔드 [highend] | <언론> ▶ 최고급품 ¶중국의 하이엔드 시장에서 애니콜은 시장 점유율 25%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 하이웨이 [highway] | <행정> ▶ 고속도로 |
| 하이킨 [配筋] | <건설> ▶ 배근 |
| 하이킹 [hiking] | <행정> ▶ 소풍, 도보 여행 |
| 하이테크 [←high technology] | <언론> ▶ 첨단 기술 ¶성장성에서 뒤지지 않으면서도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하이테크 관련 투자 유망 상장 기업 10개를 선정해 …. <생활외> ▷고급 기술, 첨단 (기술) ¶하이테크 전자 제품 분야는 일본 부품 의존도가 매우 높다 |
| 하이틴 [high teen] | <생활외> ▶ 청소년, 십대 ¶색다른 느낌을 주는 하이틴들의 옷차림 |
| 하이패션 [high fashion] | <생활외> ▶ 고급풍의 ¶언제나 젊은이들에게 새롭게 다가오는 하이패션 시계 |
| 하이퍼 리얼리즘 [hyper realism] | <미술> ▷극사실주의 |
| 하이픈 (←하이훈) [hyphen] | <신문> ▶ 붙임표 |
| 하이힐 [←high heeled shoes] | <언론> ▷뾰족구두 ¶신발 굽은 바닥에 닿을 듯 납작한 플랫 슈즈(→납작구두)부터 뾰족한 하이힐, 두툼한 통 굽까지 모두 선보일 예정이다. |
| 하인 [何人] | <행정> ▶ 누구 |
| 하자 [何者] | <행정> ▶ 누구 |
| 하자 [瑕疵] | <행정> = 잘못, 흠 |
| 하자 보증 기간 | <행정> ▷성능 보증 기간 |
| 하자시(←하치사시) [八刺し, はざし] | <패션> <봉제> ▶ 팔자뜨기 |
| 하작물 [夏作物] | <농업> ▶ 여름 작물 |
| 하잠 [夏蠶] | <잠업> ▶ 여름 누에 |
| 하재 [下材] | <행정> = 나쁜 나무, 하치 재목 |
| 하저 [河底] | <임업> ▶ 냇바닥 |
| 하적 [河積] | <임업> ▶ 통수 단면적 |
| 하접 [夏椄] | <임업> ▶ 여름 접 |
| 하조 [下吊] | <행정> ▶ 내리기 |
| 하조 [夏鳥] | <임업> ▷여름새 |
| 하조 [荷操] | <행정> ▶ 옮겨 쌓기 |
| 하조 [荷造] | <행정> ▶ 포장(包裝), 짐꾸리기 |
| 하종가 [下終價] | <금융> ▶ 하한가 |
| 하주 [荷主, にぬし] | <경제> <행정> ▷짐 임자, 화주(貨主), 화물 주인 |
| 하중 [荷重, かじゅう] | <행정> ▷무게, 짐무게 |
| 하지 [下漬] | <식생활> ▶ 겉절이 |
| 하지 [下肢] | <금융> ▶ 다리와 발, <행정> ▶ 다리 |
| 하차장 [下車場] | <행정> ▷(차) 내리는 곳 |
| 하처 [何處] | <행정> ▶ 어느 곳, 어디 |
| 하천 [河川] | <행정> = 시내 |
| 하천등급 [河川等級] | <임업> ▷하천 차수 |
| 하천망 [河川網] | <임업> ▷수계망(水系網) |
| 하천밀도 [河川密度] | <임업> ▷수계 밀도(水系密度) |
| 하청 [下請] | <행정> ▷아래도급, 밑도급 |
| 하치모리 [鉢盛] | <식생활> ▶ 모듬요리 |
| 하치부 (←하찌부) [八分. はちぶ] | <미술><행정> ▶ 팔푼, 24mm |
| 하치장 [荷置場] | <행정>▷짐 두는 곳, 짐 부리는 곳 |
| 하케누리 [刷毛塗り] | <건설> ▶ 솔칠 |
| 하코 (←하꼬) [箱, はこ] | <건설> <미술> <행정> ▶ 상자, 갑, 곽, 궤짝 |
| 하코 주머니 [箱 -] | <패션> ▶ 홑입술 주머니 |
| 하코 포켓 (←하코 포켓토) [箱ポケット, はこポケット] | <패션> ▶ 홑입술 주머니 |
| 하코가구시 [箱隱し, はこがぐし] | <패션> ▶ 홑입술 주머니, <봉제> ▶ 상자 주머니 |
| 하코구미 [箱組] | <신문> ▶ 테두리 (짜기), 박스 |
| 하코 (마와시) [箱廻し] | <행정> ▶ 귀돌리기 <당구> |
| 하코방 (←하꼬방) [箱-, はこ房] | <행정> <건설> ▶ 판잣집 |
| 하코비 [運, はこび] | <행정> ▶ 나름이 |
| 하코야 [箱屋, はこや] | <행정> ▶ 상자팔이 |
| 하코자쿠 [函尺] | <건설> ▶ 함척 |
| 하코조 [箱錠] | <건설> ▶ 함자물쇠 |
| 하코짝 [箱-] | <행정> ▶ 상자 |
| 하코카타 [箱型] | <행정> ▶ 상자형 |
| 하코히다 [箱襞-] | <봉제> <패션> ▶ 상자 주름 |
| 하쿠메 [はくめ] | <행정> ▶ 열냥 쭝 |
| 하타가쿠 [端太角] | <건설> ▶ 띠장재 |
| 하토 [下土] | <임업> ▷하층토 |
| 하토메 (←하도메) [鳩目, はとめ] | <봉제> <패션> ▶ 새눈 구멍 |
| 하파 [←半端] | <행정> ▶ 보조원 |
| 하프 라운드 [half round] | <골프> ▶ 반 라운드 |
| 하프 매치 [half match] | <축구> ▶ 반쪽 경기 |
| 하프 발리 [half volley] | <테니스> ▷중간 바로치기 |
| 하프 백 [half back] | <하키> ▷중앙 수비수 |
| 하프 샷 [half shot] | <골프> ▶ 절반치기 |
| 하프 세트 [half set] | <골프> ▶ 채 반 벌 |
| 하프 스윙 [half swing] | <골프> ▶ 절반 휘두르기 |
| 하프 웨이 라인 [half way line] | <축구> ▶ 중앙선 |
| 하프 코트 [half coat] | <패션> ▶ 반코트 |
| 하프 타임 [half time] | <핸드볼> ▷중간 휴식, <언론> ▶ 중간 휴식 (시간) ¶식전 행사와 하프타임 행사 때도 테러 희생자를 기리는 각종 행사가 열렸다. |
| 하프라인 [half line] | <농구> ▷중앙선 |
| 하프라인 슛 [half line shoot] | <언론> ▶ 중앙선 슛 ¶농구 연맹은 관중 3명을 선정해 자유투, 3점 슛, 하프라인 슛 등의 기회를 줘 성공할 때마다 상금을 주는데 …. |
| 하하 [下荷] | <행정> ▶ 짐 부림 |
| 하화 [下貨] | <행정> ▶ 짐 내림, 짐 부림 |
| 하황계수 [河況係數] | <임업> ▷하상 계수(河狀係數) |
| 하회하다 [下廻-] | <금융> <행정> ▶ 밑돌다 |
| (학교) 요람 [學校要覽] | <행정> ▷(학교) 안내 |
| 학령 [學齡] | <행정> ▷학교 갈 나이 |
| 학자 [學資] | <행정> ▷학비 |
| 한 [限] | <행정> ▷까지 |
| 한가에시누이 [半返し縫い, はんがえしぬい] | <패션> ▶ 반박음질 |
| (한) 건 | <행정> ▷(한) 가지 일 |
| 한다 [半田] | <건설> ▶ 땜납 |
| 한데가마 [露天窯] | <고고학> ▷한뎃가마 ※open kiln |
| 한데부엌 | <민속> ▷한뎃부엌 |
| 한랭한 [寒冷-] | <행정> ▷차가운 |
| 한량없다 [限量-] | <정치> ▷그지없다 |
| 한마이 [半枚, はんまい] | <건설> ▶ 반장 (쌓기) |
| 한마키 [-まき] | <건설> ▶ 한 말이 |
| 한발 [旱魃] | <임업> <행정> ▷가뭄 |
| 한선 [汗腺] | <행정> ▷땀샘 |
| 한소데 [半袖, はんそで] | <패션> ▶ 반소매 |
| 한쓰키 [半月, はんつき] | <미술> ▶ 반달(축) |
| 한즈봉 [半ズボン, はんズボン, 프.-jupon] | <패션> ▶ 반바지 |
| 한이레 | <민속> ▷첫이레, 한이레 |
| 한천 [寒天, かんてん] | <식생활> ▷우무, 우뭇가사리 |
| 한코트 [半コㅡト, はんコㅡト] | <패션> ▶ 반코트 |
| 한텐가에시 | <행정> ▶ 반전 |
| 한파 [半端, はんぱ] | <행정> ▶ 우수리, 덜들이, 찌꺼기 |
| 한파 [寒波] | <행정> ▷추위 |
| 한파구미 [半端組] | <신문> ▶ 자투리 짜기 |
| 한해 [寒害] | <행정> ▷추위 피해 |
| 한해 [旱害] | <임업> <행정> ▷가뭄 피해 |
| 할당 [割當] | <행정> ▷몫나누기, 벼름, 배정 |
| 할당 요금 [割當料金] | <행정> ▷배당 요금 |
| 할당하다 [割當-] | <행정> ▷배정하다 |
| 할렬 [割裂] | <임업> ▶ 갈라짐 |
| 할률석 [割栗石] | <임업> ▶ 부순 자갈 |
| 할석 [割石] | <임업> <행정> ▶ 깬 돌, 돌깨기 |
| 할석 쌓기 [割石-] | <임업> ▶ 깬 돌 쌓기 |
| 할애하다 [割愛-] | <행정> ▷쪼개다, 나누다 |
| 할양 [割讓] | <정치> ▷나누어 받음 |
| 할인 [割引] | <행정> ▷덜이 |
| 할입 [割入] | <행정> ▶ (사이에) 끼임 |
| 할절 [割切] | <행정> ▶ 접힘, 접음, 나눔 |
| 할접 [割椄] | <임업> ▶ 짜개 접 |
| 할증료 [割增料, わりましりょう] | <행정> ▷웃돈, 추가금 |
| 할창 [割創] | <법의학> ▶ 큰 칼 상처 ※cleaver wound |
| 할척 관세 [割尺關稅] | <행정> ▶ 가격 연동 관세 |
| 할출 [割齣] | <전철> ▷비정상 운행 |
| 할출 할입 [割齣割入] | <전철> ▷비정상 후진 운행 |
| 함마 (←한마) [ハンマㅡ, hammer] | <건설> ▶ (큰) 망치, 해머 |
| 함마키 (←한마키) [半卷き] | <건설> ▶ 반말이 |
| 함미 [鹹味] | <식생활> ▶ 짠맛 |
| 함바 [飯場, はんば] | <건설> ▶ 현장 식당 |
| 함선 [函船] | <행정> = 뜬배, 평부선 |
| 함수 [鹹水] | <행정> ▶ 짠물 |
| 함수비 [含水比] | <임업> ▷함수율 |
| 함수층 [含水層] | <임업> ▷대수층 |
| 함양하다 [涵養-] | <행정> = 기르다 |
| 함유하다 [含有-] | <행정> = 포함되어 있다, 들어 있다 |
| 함척 [函尺] | <임업> ▶ 스태프, 자 |
| 합당하다 [合當-] | <행정> ▷알맞다 |
| 합병하다 [合倂-] | <행정> ▷합치다 |
| 합봉 [合蜂] | <잠업> ▶ (벌)통 합치기 |
| 합승 [合乘] | <행정> ▷함께타기 |
| 합의 관할 [合議管轄] | <행정> ▷함께 정한 범위 |
| 합작 투자 [合作投資] | <행정> = 공동 투자 |
| 합장묘 어울 무덤 [合葬墓] | <고고학> ▷합장묘 ※twain burial |
| 합접 [合椄] | <임업> ▶ 맞접 |
| 합철 [合綴] | <행정> ▶ 한데 묶기, 한데 매기 |
| 합치 [合致] | <전철> ▷맞춤 |
| 합치하다 [合致-] | <금융> ▷일치하다, 맞다 |
| 합필 [合筆] | <행정> ▶ 필지 합치기 |
| 합하다 [合-] | <행정> = 합치다 |
| 핫라인 [hot line] | <언론> ▷(비상) 직통 전화, 직통 회선 ¶남북 정상 간 핫 라인 설치 합의. |
| 핫머니 [hot money] | <언론> ▶ 단기 투기성 자금 ¶반면 자금 회수 기간이 3~5년짜리 ‘핫머니’를 들여다 썼던 외국계 투자 기관들은 양도 차익 실현을 위해 보유 매물을 시장에 내놓고 있지만…. <경제> ▷투기성 단기 자금 |
| 핫 이슈 [hot issue] | <언론> <생활외> ▷(주) 관심사, (주) 논점 ¶… 뚜렷한 해결책이 없어 ○○의 비상 대책이 핫 이슈로 떠올랐다. ¶누가 신기록을 세우느냐 하는 것이 바로 오늘의 핫이슈이다. |
| 핫 코너 [hot corner] | <야구> ▶ 루, 강습 구역 |
| 핫슨 [八寸, はっすん] | <미술> ▶ 여덟치, 24cm |
| 항거하다 [抗拒-] | <행정> ▷저항하다, 맞서다 |
| 항공 서간 [航空書簡] | <행정> ▷국제 항공 봉함 엽서 |
| 항공임 [航空賃] | <행정> ▶ 항공 운임 |
| 항구적 [恒久的] | <행정> = 영구적 |
| 항로 [航路] | <행정> = 뱃길 |
| 항상 [恒常] | <행정> = 늘 |
| 항시 [恒時] | <행정> = 늘 |
| 항아리 [壺] | <고고학> ▷항아리, 단지 ※jar |
| 항쟁 [抗爭] | <행정> = 다툼 |
| 항타(공) [杭打(工)] | <임업> ▶ 말뚝박기 |
| 해 [海] | <행정> ▶ 바다 |
| 해갈 [解渴] | <행정> = 갈증을 풀어 버림 |
| 해갑 [解匣] | <행정> ▶ 고랑풀기 |
| 해독하기 [解讀-] | <행정> = 읽어서 알아내기 |
| 해득 [解得] | <행정> ▷깨우쳐 앎, 알음 |
| 해머 [hammer] | <미술> ▷큰망치, <사격> ▶ 공이, <행정> ▷망치 |
| 해면 [海面] | <행정> ▷바다 표면, 바닷면 |
| 해면상 혈관종 [海綿狀 血管腫] | <법의학> ▶ 해면종 ※Cavernoma |
| 해면질 [海面質] | <행정> = 갯솜질 |
| 해사 [海砂] | <행정> ▶ 바닷모래 |
| 해상 [海上] | <행정> ▷바다 위 |
| 해서장치 | <행정> ▶ 푸는 장치 |
| 해석 [解釋] | <행정> = 뜻풀이 |
| 해소하다 [解消-] | <행정> = 풀다, 없애다 |
| 해손 [海損] | <행정> ▶ 해상 손해 |
| 해송 [海松] | <행정> ▷곰솔 |
| 해수 [海水] | <행정> ▷바닷물 |
| 해승 [解繩] | <행정> ▶ 포승풀기 |
| 해식 [海蝕] | <임업> ▷해안 침식 |
| 해약 [解約] | <행정> = 계약 해제 |
| 해이 [解弛] | <행정> = 풀림 |
| 해자 [該者] | <행정> ▶ 그 이/사람 |
| 해장 [解裝] | <행정> ▶ 포장 풀기, 묶음 풀기 |
| 해저드 [hazard] | <골프> ▷장애물 |
| 해정 [解錠] | <전철> ▷풀기 |
| 해정하다 [解釘-] | <행정> ▶ 풀다 |
| 해지역 [該地域] | <행정> ▶ 그/이 지역 |
| 해채 [薤菜] | <농업> ▶ 염교 |
| 해철 [解撤] | <행정> ▶ 해체 철거 |
| 해철 [解綴] | <정치> ▷묶음 풀기 |
| 해촉 [解囑] | <행정> ▶ 위촉(맡김)을 끝냄 |
| 해충 [害蟲] | <행정> = 해로운 벌레 |
| 해치 커버 [hatch cover] | <행정> ▷짐칸 덮개 |
| 해칭 [hatching] | <봉제> = 빗금 |
| 해커 [hacker] | <언론> ▷(전산) 헤살꾼, 무단 침입자, <전기> ▷(전산)헤살꾼, (전산)침입자 <통신> |
| 해킹 [hacking] | <언론> ▶ (전산) 헤살짓, 무단 침입 ¶“해킹의 매력은 해킹하는 과정에서 얻는 성취감과 끊임없는 도전 그 자체입니다.” |
| 해태 [懈怠] | <행정> ▶ 게으름, 태만 |
| 해태 [海笞] | <행정> <식생활> ▶ 김 |
| 해태 갱목 [海笞坑木] | <행정> ▶ 김 양식 목재 |
| 해태하다 [懈怠-] | <행정> ▶ 게을리하다 <법> |
| 해토 [解土] | <행정> ▶ 땅 풀림 |
| 해트 [hat] | <패션> ▷모자 |
| 해트 트릭 [hat trick] | <축구> ▷혼자 삼 득점 |
| 해포 [解包] | <행정> ▶ 포장 풀기 |
| 해프닝 [happening] | <미술> ▶ 전동 갈개, <생활외> <언론> ▷웃음거리, 우발 사건, 촌극 ¶이른바 휴거 파문은 한바탕 해프닝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 휴유증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들의 설치 작업들은 단순한 해프닝과 통과 의례 형식의 실험성을 넘어, ··· |
| 해피 메이커 약품 [happy maker 藥品] | <언론> ▶ 행복 약품 ¶처방 의약품도 비아그라 외에 대머리 치료제 프로페시어, 금연 유도제 자이반… 등 삶의 질을 높인다는 이른바 ‘해피 메이커’ 약품에 집중돼 있다. |
| 해후하다 [邂逅-] | <행정> ▷(우연히) 만나다 |
| 핸드 브레이크 [hand brake] | <언론> ▶ 수동 멈춤 장치, 손 제동 장치 ¶이 달부터 만 8세 미만 어린이들이 타는 킥보드에는 핸드 브레이크 부착이 의무화되는 등 완구를 비롯한 어린이 용품과 자동차 용품 등의 안전 기준이 대폭 강화된다. |
| 핸드 스티치 [hand stitch] | <패션> ▶ 손수, 손바느질 |
| 핸드 시그널 [hand signal] | <배구> ▶ 수신호 |
| 핸드 프로퍼티 [hand property] | <연극> ▶ 손도구 |
| 핸드백 [handbag] | <패션> <행정> = 손가방 |
| 핸드북 [handbook] | <행정> ▷편람, 편히 보기 |
| 핸드 블렌더 [hand-blender] | <언론> ▶ (전기) 손방아, (전기) 맷돌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 제품을 찾는다면 토스터기, 핸드블랜더(→핸드블렌더), 스팀다리미 등이 적합하다. |
| 핸드 워븐 (←우븐) [hand woven] | <패션> ▶ 수직(포) |
| 핸드펠 바인딩 심 [hand-felled binding seam] | <봉제> ▷감싸기 손바느질 |
| 핸드필링 [hand feeling] | <미술> ▶ 촉감 |
| 핸들 [handle] | <신문> ▷죔쇠, <행정> ▷운전대 (운전) |
| 핸들리스 타입 [handleless type] | <언론> ▶ 민손잡이형, 민손잡이 방식 ¶특히 장롱이나 서랍장은 손잡이가 거의 없어지는 핸드리스(→핸들리스) 타입이 많아졌으며 개폐 기능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됐다. |
| 핸들터치 [handle touch] | <미술> ▶ 태(깔) |
| 핸디캡 [handicap] | <골프> ▷기준타 차, <생활외> <언론> <행정> ▷불리한 조건, 단점, 약점, 흠, 결점 ¶우리 선수들의 핸디캡은 지구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건 그가 저예산으로 인한 핸디캡을 재기 발랄한 아이디어로 돌파했기 때문일 것이다. |
| 핸섬하다 [handsome-] | <생활외> ▶ 말쑥하다, 멋있다 ¶목소리의 매력만큼이나 얼굴도 핸섬하다. |
| 행 [杏] | <임업> ▶ 살구 |
| 행 택 [hang tag] | <패션> ▶ 꼬리표 |
| 행낭 [行囊] | <행정> ▶ 우편 자루 |
| 행동 수칙 [行動守則] | <행정> ▶ 지킬 일 |
| 행락 [行樂] | <행정> ▷놀이 |
| 행랑채 [行廊舍] | <건축사> ▷행랑채, 행랑 ※the servants quarters on both sides of the gate |
| 행려 [行旅] | <행정> ▷떠돌이 |
| 행려 사망 [行旅-] | <행정> ▶ 떠돌이 죽음 |
| 행선지 [行先地, ゆきさき-] | <행정> ▷가는 곳 |
| 행선찰 [行先札] | <행정> ▶ 가는 곳 안내표 |
| 행어 [hanger] | <전기> ▷걸개, <행정> ▷걸고리 |
| 행열도 [行列圖] | <미술사> ▷행렬도 ※procession scene |
| 행인 [杏仁] | <행정> ▶ 살구씨(속) |
| 행잉 유닛 [hanging unit] | <연극> ▶ 매단 장치 |
| 행장 [行狀] | <행정> ▷행실 <법> |
| 행정 [行程] | <전철> ▷작동 거리, <행정> ▶ 노정 |
| 행커치프 [ハンカチ, handker-chief] | <패션> <행정> ▶ 손수건 |
| 햐쿠메 [ひゃくめ] | <행정> ▶ 열 냥 쯩 |
| 향미 [香味] | <행정> ▷돋움맛 |
| 향발하다 [向發-] | <행정> ▶ (···)으로 떠나다 |
| 향수하다 [享受-] | <행정> ▶ 받다, 누리다 |
| 향식기 [餉食期] | <행정> ▶ 첫 밥 때 |
| 향신료 [香辛料] | <식생활> ▷양념(감) |
| 향유하다 [享有-] | <행정> ▷누리다 |
| 향응 [饗應] | <행정> ▷(음식) 대접, 융숭한 대접 |
| 향일성 [向日性] | <농업> ▶ 빛따름성 |
| 향주 [向柱] | <임업> ▶ 안내 기둥 |
| 향후 [向後] | <행정> ▷앞으로 |
| 허니문 [honeymoon] | <생활외> <행정> ▶ 신혼 (여행) ¶우리는 허니문 기간이 지나서야 비로소 생활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다. |
| 허다하다 [許多-] | <행정> = (매우) 많다 |
| 허리띠패 [帶鉋] | <고고학> ▷허리띠 고리 ※buckle |
| 허밍 [humming] | <전기> ▷(전원) 잡음 |
| 허부 [許否] | <정치> ▶ 허가 여부 |
| 허브 (공항) [hub (空港)] | <언론> ▶ 중심 축 (공항) |
| 허브 사이트 [hub site] | <언론> ▶ 굴대 사이트, 중심 사이트 ¶전문 사이트들을 엮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허브 사이트’가 속속 등장할 예정이다. |
| 허스키 [husky] | <생활외> ▶ 쉰 목소리 ¶허스키한 목소리가 제 단점이자 장점이지요. |
| 허언을 농하다 [虛言-弄-] | <행정> ▶ 거짓말을 늘어놓다 |
| 허여 [許與] | <행정> ▷허락 |
| 허위 [虛僞] | <행정> = 거짓 |
| 허위(로) [虛僞(-)] | <금융> ▷거짓으로 |
| 허하다 [許-] | <행정> ▷허가하다, 어긋나지 아니하다 |
| 허혈성 병변 [虛血性 病變] | <법의학> ▶ 허혈 병터 ※ischemic leision |
| 허혈성 심장 질환 [虛血性 心臟 疾患] | <법의학> ▶ 허혈 심장 질환, 허혈 심장병 ※ischemic heart disease |
| 헌팅 재킷 [hunting jacket] | <패션> ▶ 사냥 재킷 |
| 헌팅 캡 [hunting cap] | <패션> ▶ 사냥모(자) |
| 험 [hum] | <전기> ▷(전원) 잡음 |
| 험면 [驗面] | <행정> ▶ 시험 |
| 험조의 [驗潮儀] | <행정> ▶ 조수 검사기 |
| 험프입환 [hump入換] | <행정> ▶ 기울기 바꿔 넣음 |
| 헤게모니 [독.hegemonie] | <생활외> <행정> <언론> ▶ 주도권 ¶이번 회의에서 헤게모니를 잡는 쪽이 유리한 결과를 얻을 것이다. ¶“북·미군 협상에 철수 땐 동북아 진공 상태 강대국 헤게모니 싸움 가능성”. |
| 헤드 [head] | <테니스> ▶ (채)머리 |
| 헤드 기어 [head gear] | <생활외> ▶ 머리쓰개 |
| 헤드 드레스 [head dress] | <패션> ▷머리쓰개(류) |
| 헤드라인 [headline] | <생활외> <언론> ▶ 표제 (기사), 기사 (제목), 제목, 머리기사 ¶오늘 석간의 헤드라인은 단연 김인주 선수의 쾌거였다. ¶어디서나 헤드라인으로 되풀이되는 것을 보며 내가 아내로서 갖는 긍지를 여러분도 함께 누리길 바란다. |
| 헤드 부분 [head-] | <행정> ▶ 머리 부분, 앞부분 |
| 헤드 커버 [head cover] | <골프> ▶ 채 덮개 |
| 헤드 쿼터 [head quarters] | <언론> ▶ (지역) 본부 ¶하버드 대학의 마이클 엔라이드 교수는 향후 10년간 싱가포르보다 홍콩에 다국적 기업 헤드쿼터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
| 헤드 테이블 [head table] | <언론> ▶ 주빈석 ¶특히 이 씨는 김 대통령과 함께 헤드테이블에 앉았던 것으로 본지가 당시 촬영한 사진에서 밝혀졌다. |
| 헤드 헌팅 [head hunting] | <언론> ▶ 인력 중개(인) ¶또 다른 헤드 헌팅 업체와 인력 알선 계약을 맺고 있는 기업의 인력을 알선해 주겠다고 접근하는 행위도 금지 대상에 포함시켰다. |
| 헤딩 슛 [heading shoot] | <축구> ▷머리 받아 넣기 |
| 헤라 [篦, へら] | <행정> <패션> <미술> ▶ (구두) 주걱, 주걱(칼) |
| 헤라시 [減らし, へらし] | <패션> ▶ (코)줄임 |
| 헤로인 [heroine] | <언론> ▶ (여)주인공 ¶신예 ○○○은 ‘여고 괴담 두 번째 이야기’의 헤로인. |
| 헤리 [減り] | <미술> ▶ 감량 |
| 헤리 [緣, へり] | <패션> <봉제> ▶ 가장자리, 바이어스(감) |
| 헤리감 [緣-, へり-] | <패션> ▶ 바이어스감 |
| 헤밍 [hemming] | <봉제> ▷단만들기 |
| 헤밍 스티치 [hemming stitch] | <패션> ▶ 감침질, 단처리 바느질 |
| 헤(이)베(이) [平方米, へいほうメㅡトル, ヘㅡベㅡ] | <행정> <건설> ▶ 제곱미터(m²), 평방미터 |
| 헤비 듀티 웨어 [heavy duty wear] | <패션> ▷중노동복 |
| 헤어드라이어 [hair dryer] | <생활외> <패션> ▶ 머리 말리개 ¶저녁에 헤어드라이어를 쓰면 전기료가 많이 나온다. |
| 헤어 드레스 [hair dress] | <패션> ▷머리 꾸미개 |
| 헤어롤 [hair roll] | <언론> ▶ 머리말개 |
| 헤어밴드 [hair band] | <생활외> <언론> <패션> ▶ 머리띠 ¶요즘 어린이들 사이에서는 헤어밴드가 유행이다. ¶긴 머리를 헤어밴드로 정리해 주면 과감한 ‘흔들기’ 동작까지 문제없다. |
| 헤어스타일 [hair style] | <생활외> <패션> ▶ 머리 모양, 머리형 ¶언제나 변화없는 그녀의 파마기 없는 헤어스타일이 오히려 매력적이다. |
| 헤어핀 샷 [hairpin shot] | <배드민턴> ▷그물 붙여 넘기기 |
| 헤어핀 곡선 [hairpin曲線] | <임업> ▷반향 곡선 |
| 헤치마(에리) [糸爪衿, へちまえり] | <패션> ▶ 숄 칼라 |
| 헤테로 접합 [heterojunction] | <전기> ▷이종접합 |
| 헨케이 [變形, へんけい] | <행정> <신문> ▶ 변체 |
| 헬드 볼 [held ball] | <배구> ▷지연 반칙 |
| 헬멧 [helmet] | <야구> <패션> <행정> ▶ 안전모 |
| 헬스 [health] | <언론> ▷(기구) 운동 ¶그동안 영어 공부와 헬스도 열심히 해 새로운 꿈의 날개를 맘껏 펼칠 준비를 완벽하게 마친 셈. |
| 헬스클럽 [health club] | <생활외> ▷건강방 ¶요즘 들어서는 젊은 회사원들이 단체로 헬스클럽에 자주 오고 있다. |
| 헴 [hem] | <패션> ▷가장자리, 단, 도련 |
| 헴 라인 [hem line] | <패션> ▷가장자리선, 도련선, 밑단선 |
| 혁대 [革帶] | <행정> = 가죽띠, 허리띠 |
| 혁포 [革布] | <행정> ▶ 가죽 부대, 가죽 자루 |
| 혁필 [革筆] | <미술> ▷가죽 붓 |
| 현가 [懸架] | <행정> ▶ 매달기 |
| 현관 | <행정> ▶ 보조장 |
| 현금 [現今] | <행정> ▶ 지금, 오늘날 |
| 현금 행낭 [現金行囊] | <행정> ▶ 현금 우편 자루 |
| 현등 [舷燈] | <행정> ▶ 배옆등 |
| 현목 [懸木] | <행정> ▶ 걸친 나무 |
| 현생인류 [現生人類] | <고고학>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homo sapiens sapiens |
| 현수점 [懸垂點] | <법의학> ▶ 매단 점 ※point of suspension |
| 현시하다 [顯示-] | <행정> ▷나타내다 |
| 현실 [玄室] | <고고학> ▷무덤 안방, 현실 ※main chamber |
| 현안 문제 [縣案問題] | <행정> ▷걸린 문제 |
| 현애 [懸崖] | <임업> ▶ 낭떠러지 |
| 현용 [現用] | <행정> ▶ 지금 쓰는 |
| 현용수 [現用數] | <행정> ▶ 현재 사용하는 수 |
| 현자형 계량기 [現字形計量器] | <전기> ▷숫자 계량기(-計量器) ※cyclometer counter |
| 현재 [現在] | <행정> = 지금, 오늘날 |
| 현재증 [現在症] | <행정> ▶ 현재 병세 |
| 현재화 [顯在化] | <행정> ▶ 나타내다 |
| 현저히 [顯著-] | <행정> = 뚜렷이, 두드러지게 |
| 현존하는 [現存-] | <행정> = 현재 존재하는, 현재 있는 |
| 현지측량 [現地測量] | <임업> = 실측 |
| 현징 [現徵] | <행정> ▶ 나타냄 |
| 현창 [舷窓] | <행정> ▶ 배옆문 |
| 현출 [顯出] | <행정> ▶ 두드러짐 |
| 현하 [現下] | <행정> ▷지금, 오늘날 |
| 현화 식물 [顯花植物] | <행정> ▶ 꽃 피는 식물, 꽃식물 |
| 현황 지목 [現況地目] | <행정> ▶ 사실상의 지목 |
| 혈관 [血管] | <행정> = 핏줄 |
| 혈관 내 응고병증 [血管 內 凝固病症] | <법의학> ▶ 혈관 내 응고병증 ※intrvascular coagulation |
| 혈명견 [穴明繭] | <잠업> ▶ 구멍 고치 |
| 혈복 [血腹] | <법의학> ▶ 혈액 복막 ※hemoperitoneum |
| 혈성액 [血性液] | <법의학> ▶ 피 섞인 액체 ※liquid blood |
| 혈전 [血栓] | <행정> ▶ 핏덩이 |
| 혈종 [血腫] | <법의학> ▷혈혹, 혈종 ※hematoma |
| 혈통 [血統] | <행정> = 핏줄 |
| 혈흉 [血胸] | <법의학> ▶ 가슴 속 출혈 ※hemothorax |
| 혐오감 [嫌惡感] | <행정> = 불쾌감 |
| 협 [莢] | <임업> ▶ 꼬투리 |
| 협각 [夾角] | <행정> ▶ 끼인각 |
| 협과 [莢果] | <농업> ▷꼬투리 열매 |
| 협소하다 [狹小-] | <행정> ▷좁다 |
| 협의 [狹義] | <행정> ▷좁은 뜻 |
| 협잡 [挾雜] | <정치> = 속임 |
| 협장 [莢長] | <임업> ▶ 꼬투리 길이 |
| 협조 [協助] | <행정> = 도움 |
| 협조전 [協助箋] | <행정> ▶ 협조문 |
| 협착 [夾着] | <행정> ▶ 끼워 붙이기 |
| 협폭파 [狹幅播] | <농업> ▶ 좁은 이랑 뿌림 |
| 형 [型] | <임업> ▷거푸집 |
| 형기 [衡器] | <행정> ▶ 저울 |
| 형망 [桁網] | <행정> ▶ 틀그물 |
| 형상 [形狀] | <행정> = 모양 |
| 형성층 [形成層] | <임업> ▷부름켜 |
| 형식 [形式] | <행정> = 모양 |
| 형잠 [螢蠶] | <잠업> ▶ 무늬누에 |
| 형적 [形跡] | <행정> ▶ 남은 흔적 |
| 형판 [型板] | <임업> ▷거푸집널 |
| 호 [縞] | <패션> ▶ 줄무늬 |
| 호가하다 [呼價-] | <행정> ▷값(을) 부르다 |
| 호각의 [互角-] | <행정> ▷엇비슷한 |
| 호객 [呼客] | <행정> ▷손님부르기 |
| 호경 [呼徑] | <행정> ▷호칭경 |
| 호과 [胡瓜] | <식생활> ▶ 오이 |
| 호그스 백 [hog's back] | <승마> ▶ 돼지우리문 (장애물) |
| 호기 [好機] | <행정> ▷좋은 기회 |
| 호꾸 (←홋쿠) [ホック, 네.hock] | <패션> ▶ 걸단추, 호크 |
| 호네 [骨, ほね] | <미술> ▶ 속틀 |
| 호네구미 [骨組, ほねぐみ] | <건설> ▶ 뼈대, 골조 |
| 호도 [糊塗] | <행정> ▷얼버무림 |
| 호러 [horror] | <언론> ▶ 공포(물) ¶올 여름도 이미 호러 열풍이 시작됐다. |
| 호러 무비 [horror movie] | <언론> ▶ 공포 영화 ¶사지 절단, 혀 절단마저도 성에 안 차, 원수의 아들을 죽여 파이로 굽는다. 호러 무비 뺨치는 극적 상상력이다. |
| 호렌소 [菠薐草, ほうれんそう] | <식생활> ▶ 시금치 |
| 호련 [糊練] | <행정> ▶ 풀이기기, 풀 반죽 |
| 호로 [幌, ほろ] | <행정> <건설> ▶ 덮개, 포장 |
| 호로과 [胡蘆科] | <임업> ▶ 박과 |
| 호료 [糊料] | <행정> ▶ 풀 |
| 호리가타 [堀型, ほりがた] | <건설> <행정> ▶ 골파기, 터파기(틀), 땅속틀 |
| 호리꾼 [堀-, ほり-] | <행정> ▶ 도굴꾼 |
| 호리존털 크로스 [horizontal cross] | <연극> ▶ 수평 이동 |
| 호마 [胡麻] | <식생활> ▶ 참깨 |
| 호마 엽고병 [胡麻葉枯病] | <행정> ▶ 깻잎 마름병 |
| 호마유 [胡麻油] | <식생활> ▶ 참기름 |
| 호맥 [胡麥] | <식생활> <행정> ▶ 호밀 |
| 호명하다 [呼名-] | <행정> ▷이름 부르다 |
| 호모치 [穗持] | <행정> ▶ 집게 마디, 끝 앞대 <낚시> |
| 호밍사 [homming絲] | <행정> ▶ 묶음실 |
| 호반 [虎斑] | <축산> ▶ 호랑 무늬 |
| 호발기 [好發期] | <행정> ▶ 발생하기 쉬운 때 |
| 호보 룩 [hobo look] | <패션> ▶ 방랑자풍 |
| 호봉 재획정 [號俸再劃定] | <행정> ▶ 호봉 다시 매기기 |
| 호브 [hob] | <전기> ▷나사내기 |
| 호사키 [糊熟] | <농업> ▶ 풀 익음 |
| 호상 [護床] | <임업> ▶ 물받침, 물받이 |
| 호생 [互生] | <임업> ▶ 어긋나기 |
| 호석 [護石] | <건축사> <고고학> ▷둘렛돌, 호석 ※stone slabs(around the base of a large tumulus) |
| 호선 [互先] | <행정> = 맞바둑 |
| 호선 [互選] | <행정> ▷서로 뽑음 |
| 호소 [湖沼] | <행정> ▶ 늪 |
| 호스 | <미술> ▶ 사개 |
| 호스 [hose] | <생활외> = (고무)관 ¶뒷부분으로 호스가 연결되어 물을 빼 낸다. |
| 호스 격납함 [hose 格納函] | <행정> ▶ 호스 보관함 |
| 호스트 컴퓨터 [host computer] | <행정> ▶ 주컴퓨터 |
| 호시 [乾し, ほし] | <패션> ▶ 건조, 말림 |
| 호시누이 [星縫い, ほしぬい] | <패션> ▶ 숨은 상침 |
| 호시도메 [星止め, ほしどめ] | <패션> ▶ 숨은 상침 |
| 호안공 [護岸工] | <임업> ▶ 기슭막이 |
| 호야 [火屋, ほや] | <축산> ▶ 등피 |
| 호언장담 [豪言壯談] | <행정> ▷큰소리 |
| 호열자 [虎列刺, コレラ, ←네.cholera] | <행정> ▶ 괴질, 콜레라 |
| 호이스트 [hoist] | <언론> ▶ 이동용 장치 ¶또 응급 상황에서 노인 및 장애자를 현관까지 이동하기 쉽도록 천장에는 환자 이동용 호이스트를 설치했다. |
| 호재 [好材] | <행정> ▷좋은 재료 |
| 호저리/호즈 [hosiery] | <패션> ▶ 양말 |
| 호적 정정 [戶籍訂正] | <행정> ▷호적 바로잡음 |
| 호전 [好轉] | <행정> = 나아짐 |
| 호조 [好調, こうちょう] | <행정> ▷순조 |
| 호주 승계 [戶主承繼] | <행정> ▷호주 이음 |
| 호착 [糊着] | <행정> ▶ 풀붙임 |
| 호창하다 [呼唱-] | <행정> ▶ 외치다 |
| 호천 [湖川] | <행정> ▶ 호수 및 하천 |
| 호초 [庖丁, ほうちょう] | <식생활> ▶ 식칼 |
| 호출 [呼出, よびだし] | <행정> = 부름 |
| 호출하다 [呼出-] | <행정> ▷불러내다, 부르다 |
| 호치키스 [hotchkiss] | <행정> ▶ (종이)찍개 |
| 호칭하다 [呼稱-] | <행정> ▷부르다 |
| 호쿠쓰케 (←홋쿠쓰케) [ホックつけ] | <봉제> <패션> ▶ 호크달기, 훅달기 |
| 호텔 머신 [hotel machine] | <행정> = 금전 등록기 |
| 호텔리어 [hotelier] | <언론> ▶ 호텔 경영자, 호텔 종사자 ¶○○○ 호텔의 ○○○ 사장은 73년 입사해 29년째 ○○○과 고락을 같이해 온 ‘호텔리어’다. |
| 호폐 [戶廢] | <행정> ▶ 빈집 |
| 호형수로 [弧形水路] | <임업> ▶ 활꼴 수로, 활꼴 도랑 |
| 호환하다 [互換-] | <행정> ▷(서로) 바꾸다 |
| 호흡속박 [呼吸速迫] | <축산> ▶ 숨가쁨 |
| 혹서 [酷署] | <행정> = 무더위 |
| 혹성 [惑星] | <행정> ▶ 행성 |
| 혹은 [或-] | <행정> = 또는 |
| 혹자 [或者] | <행정> ▷어떤 이 |
| 혹한 [酷寒] | <행정> = 된추위 |
| 혼 퓨즈 [horn fuse] | <전기> ▷뿔 퓨즈 |
| 혼가에시누이 [本返し縫い, ほんがえしぬい] | <패션> ▶ 온박음질 |
| 혼거 수용 [混居收容] | <행정> ▶ 공동 수용, 집단 수용 |
| 혼거실 [混居室] | <행정> ▷여럿이 (쓰는) 방 |
| 혼다테 (←혼다데) [本立, ほんたて] | <행정> <건설> ▶ 책꽂이 |
| 혼돈스 [本緞子, ほんどんす] | <미술> ▶ 비단 |
| 혼모노 [本物, ほんもの] | <행정> ▶ 진짜 (물건), 실물 |
| 혼바시라 [本柱, ほんばしら] | <건설> ▶ 본기둥 |
| 혼생 [混生] | <임업> ▷섞여남 |
| 혼솔 지퍼 [←conceal] | <패션> ▶ 숨은 지퍼 |
| 혼시 [本紙, ほんし] | <미술> ▶ 작품 |
| 혼시배접 [本紙褙接] | <미술> ▶ 본배접 |
| 혼식 [混植] | <임업> <행정> ▷섞어심기 |
| 혼식 [混食] | <행정> = 섞어먹기 |
| 혼신의 [渾身-] | <행정> = 온 |
| 혼아시바 [本足場, ほんあしば] | <건설> ▶ 쌍줄 비계 |
| 혼연일체 [渾然一體] | <행정> ▷한마음, 한뜻 |
| 혼입 [混入] | <행정> ▷섞어 넣음 |
| 혼작 [混作] | <행정> ▷섞갈이, 섞어심기 |
| 혼재하다 [混載-] | <행정> ▶ 섞어 싣다 |
| 혼촉 [混觸] | <전철> ▷잘못 이음 |
| 혼탁 [混濁] | <정치> ▷어지러움, 흐림 |
| 혼파 [混播] | <임업> ▶ 섞어 뿌림 |
| 혼파공 [混播工] | <임업> ▶ 섞어 뿌리기 |
| 혼합맥강 [混合麥糠] | <농업> ▶ 섞음 보릿겨 |
| 혼합비비기 [混合-] | <임업> ▷(섞어) 비빔 |
| 혼합아 [混合芽] | <임업> ▶ 혼합 눈 |
| 혼합하다 [混合-] | <행정> = 섞다 |
| 혼화 [混和] | <행정> ▶ 섞음 |
| 혼효 [混淆] | <행정> ▶ 뒤섞음 |
| 혼효림 [混肴林] | <임업> ▷혼성림, 혼합림 |
| 홀 [hole] | <골프> = 홀 |
| 홀 매치 [hole match] | <골프> ▷매홀 승부전 |
| 홀 아웃 [hole out] | <골프> ▷매홀 끝내기 |
| 홀 인 [hole in] | <골프> ▷(홀) 넣기 |
| 홀더 [holder] | <행정> ▶ 서류 끼우개, 서류 묶음 |
| 홀드 클리닝 [hold cleaning] | <행정> ▶ 짐칸 청소 |
| 홀드 오프 구간 [hold off -] | <전기> ▷지체 구간(遲滯區間) |
| 홀딩(파울) [holding(foul)] | <핸드볼> ▷잡기 반칙 |
| 홀인원 [hole in one] | <골프> ▷단번 넣기 |
| 홈 [home] | <언론> ▷첫 화면 |
| 홈 [プラットホㅡム, platform] | <전철> ▶ 플랫폼 |
| 홈런 더비 [homerun derby] | <야구> ▶ 홈런 경쟁 |
| 홈런 킹 [homerun king] | <야구> ▶ 홈런왕 |
| 홈룸 [home room] | <생활외> ▶ 학급회 |
| 홈마키 [本卷き, ほんまき] | <건설> ▶ 원말이 |
| 홈뱅킹 [home banking] | <경제> ▷가정 은행제, <생활외> ▶ 안방 거래, 안방 은행 ¶집에서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 홈뱅킹이 차츰차츰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기존의 홈뱅킹, 펌 뱅킹과 비슷하지만 금융 상품이나 대출 상담을 직접 할 수 있고 ··· |
| 홈쇼핑 [home shopping] | <언론> ▷안방 구매 ¶케이블 TV의 홈 쇼핑 코너에서 쇼핑 호스트(→상품 안내자)로 일하는 ○○○ 씨. |
| 홈스테이 [homestay] | <언론> ▷민박 |
| 홈스판 (←호무스판) [ホㅡムスパン, homespun] | <패션> ▶ 홈스펀 |
| 홈시어터 [home theater] | <언론> ▶ 안방 극장 ¶보통 거실에 홈시어터를 꾸민다면 브라운관 방식보다는 프로젝션이나 PDP 모델을 사는 것이 유리하다. |
| 홈 앤드 어웨이 [home and away] | <언론> ▶ 교환 경기 ¶남미는 총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로 팀당 19경기씩 치러 4위까지 본선에 직행하고 5위 팀은 오세아니아 주 우승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 홈 어드밴티지 [home advantage] | <언론> ▶ 개최지 이점 ¶사상 첫 월드컵 16강을 노리는 한국에 과연 ‘홈 어드밴티지’가 있을까? |
| 홈웨어 [home wear] | <패션> ▷가정복, 집안옷 |
| 홈커밍데이 [home-coming day] | <생활외> ▶ 모교 방문일 ¶우리는 올해로서 졸업한 지 25년이 지나 홈커밍데이 행사를 가지게 되었다. |
| 홈택스 [home tax] | <언론> ▶ 안방 납세, 재택 납세 ¶국세청이 4월부터 시작한 홈택스 서비스에 2달 만에 개인 및 법인 사업자 등 15만여 명이 몰릴 정도다. |
| 홈패션 [home fashion] | <생활외> ▶ 집치레, 집가꾸기, 집치장 ¶생활의 여유를 홈패션으로 연출해 보세요. |
| 홈페이지 [home page] | <언론> ▷둥지, 누리집 |
| 홈 포지션 [home position] | <배드민턴> ▷자기 자리 |
| 홉 [hop] | <스키> ▶ (제자리) 뛰기/도약 |
| 홍도 [紅陶] | <고고학> ▷붉은 간 토기, 홍도 ※burnished red pottery |
| 홍보하다 [弘報-] | <행정> = 널리 알리다 |
| 홍삼포 [紅蔘圃] | <행정> ▶ 홍삼밭 |
| 홍저 [紅菹] | <식생활> ▶ 깍두기 |
| 화각공예 [華角工藝] | <미술사> ▷소뿔공예, 화각공예 ※ox-horn making technique |
| 화경 [花梗] | <임업> ▶ 꽃대 |
| 화경 [花莖] | <임업> ▶ 꽃줄기 |
| 화관 [花冠] | <임업> ▶ 꽃부리 |
| 화급하다 [火急-] | <행정> ▷다급하다, (몹시) 급하다 |
| 화기 | <행정> ▷불 |
| 화기 주의 [火氣注意] | <행정> ▶ 불조심 |
| 화농성 폐렴 [化膿性 肺炎] | <법의학> ▶ 고름 폐렴 ※purulent pneumonia |
| 화농하다 [化膿-] | <행정> ▷곪다 |
| 화단 [花壇] | <행정> = 꽃밭 |
| 화덕자리 [爐址-] | <고고학> ▷불자리, 노지 ※hearth |
| 화도 [花桃] | <임업> ▶ 꽃 복숭아 |
| 화두 [火頭] | <행정> ▶ 불머리 |
| 화락하게 [和樂-] | <행정> ▶ 즐겁게 |
| 화로형 토기 [爐形土器] | <고고학> ▷화로 모양 토기 ※brazier pottery |
| 화롱 [花籠] | <행정> ▶ 꽃바구니 |
| 화목 [火木] | <임업> <행정> ▶ 땔나무 |
| 화목 [花木] | <임업> ▶ 꽃나무 |
| 화묘 [花苗] | <임업> ▶ 꽃모 |
| 화문석 [花紋席] | <행정> = 꽃돗자리 |
| 화물 [貨物] | <행정> = 짐 |
| 화물 적하 [貨物積下] | <행정> ▶ 짐싣기/내리기 |
| 화물창 [貨物艙] | <행정> ▷배 화물 창고, 뱃짐 창고, 배창고 |
| 화미 [火尾] | <행정> ▶ 불꼬리 |
| 화보 [畵報] | <행정> ▷사진 보도, 그림 보도 |
| 화본과 [禾本科] | <행정> ▶ 볏과 |
| 화본과목초 [禾本科牧草] | <행정> ▶ 볏과 목초 |
| 화부병 [花腐病] | <임업> ▶ 꽃 썩음병 |
| 화분 [花粉] | <임업> ▶ 꽃가루 |
| 화분수 [花粉樹] | <행정> ▶ 아비 나무 |
| 화분형 토기 [花盆形土器] | <고고학> ▷화분 모양 토기 ※flower pot pottery |
| 화붕 [貨崩] | <행정> ▶ 짐(이) 넘어짐 |
| 화산성토 [火山成土] | <농업> ▶ 화산흙 |
| 화산회토 [火山灰土] | <농업> ▶ 화산재 |
| 화상 회의 [畵像會議] | <행정> ▷영상 회의 |
| 화상사 [火傷死] | <법의학> ▷화상 사망, 화상사 ※death due to burns or scalds |
| 화색 [花色] | <임업> ▶ 꽃 색 |
| 화석 태아 [化石 胎兒] | <법의학> ▶ 석회 침착 태아 ※lithopedion |
| 화세 [火勢] | <행정> ▶ 불기운 |
| 화속상결과지 [花束狀結果枝] | <임업> ▶ 꽃 덩이 열매 가지 |
| 화수 [花穗] | <임업> ▶ 꽃송이 |
| 화신 [花信] | <행정> = 꽃소식 |
| 화실 [畵室] | <행정> = 그림방, 제작실, 아틀리에 |
| 화심 [火心] | <행정> ▶ 불 중심 |
| 화아 [花芽] | <임업> <행정> ▶ 꽃눈 |
| 화아 분화 [花芽分化] | <임업> <행정> ▶ 꽃눈 분화 |
| 화아 분화기 [花芽分化期] | <임업> <행정> ▶ 꽃눈 분화기 |
| 화아 형성 [花芽形成] | <임업> <행정> ▶ 꽃눈 형성 |
| 화염문 [火炎文] | <미술사> ▷불꽃 무늬, 화염 무늬 ※flame design |
| 화이트 와인 [white wine] | <언론> ▶ 백포도주 ¶○○○ 국방 위원장은 알코올 도수 12도 안팎인 화이트 와인을 본인 제의대로 ‘원샷’으로 한 번에 다 마셨으며…. |
| 화이트 노이즈 [white noise] | <전기> ▷백색 잡음(白色) |
| 화이트 보드 [white board] | <언론> ▶ 흰칠판, 백판 ¶영화 ‘무사’의 김성수 감독이 10여 명의 스태프 앞에서 뭔가를 화이트보드에 써 가며 회의를 하고 있다. |
| 화인 [火因] | <행정> ▷불난 원인, 화재 원인 |
| 화입하다 [火入-] | <행정> ▶ 불붙이다 |
| 화장 [火匠] | <행정> ▶ 조리원, 불목하니 |
| 화재 발생 [火災發生] | <행정> ▷불남 |
| 화재사 [火災死] | <법의학> ▷화재 사망, 화재사 ※death due to fire |
| 화접도 [花蝶圖] | <미술사> ▷나비그림, 화접도 |
| 화조화 [花鳥畵] | <미술사> ▷새그림, 화조도 ※a picture of flowers and birds |
| 화진 [花振] | <임업> ▶ 꽃 떨림 |
| 화채류 [花菜類] | <임업> ▶ 꽃채소 |
| 화판 [花瓣] | <임업> ▶ 꽃잎 |
| 화폐 [貨幣] | <행정> = 돈, 지폐 |
| 화피 [花被] | <임업> ▶ 꽃덮이 |
| 화학 비료 [化學肥料] | <행정> = 화학 거름 |
| 화학적 화상 [化學的 火傷] | <법의학> ▶ 화학 화상 ※chemical burn |
| 화형 [花型] | <임업> ▶ 꽃 모형 |
| 화환 [花環] | <행정> ▷꽃다발 |
| 화훼 [花卉] | <행정> ▶ 꽃 |
| 화훼 단지 [花卉團地] | <행정> ▶ 꽃 재배지 |
| 확고부동 [確固不動] | <행정> ▷끄떡없음 |
| 확대하다 [擴大-] | <행정> = 넓히다, 늘리다 |
| 확도 [確度] | <행정> ▶ 정확도 |
| 확산 [擴散] | <행정> = 퍼짐 |
| 확산하다 [擴散-] | <행정> = 퍼지다 |
| 확연히 [確然-] | <행정> ▷뚜렷이 |
| 확인인 [確認印] | <행정> ▷확인 도장 |
| 확장 [擴張] | <행정> = 넓힘 |
| 확장성 심근증 [擴張性 心筋症] | <법의학> ▶ 확장 심장 근육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
| 확정적 모형 [確定的模型] | <임업> ▷결정적 모형 |
| 확정절선 [確定折線] | <임업> ▶ 확정 트래버스 |
| 확좌 [擴座] | <임업> ▶ 자리 넓히기 |
| 확충 [擴充] | <행정> ▷넓혀 보충함 |
| 확폭 [擴幅] | <행정> ▶ 폭 넓히기 |
| 확행 바람 [確行] | <행정> ▶ 꼭 하시기 바랍니다 |
| 환가 | <행정> ▶ 값 환산 |
| 환가 처분 [換價處分] | <행정> ▶ 돈/값으로 바꿈 |
| 환거(반) [丸鋸-] | <행정> ▶ 둥근 톱 |
| 환극접 [丸隙接] | <임업> ▶ 둥근줄눈 |
| 환금 작물 [換金作物] | <행정> ▶ 돈벌이 작물, 수익 작물 |
| 환급하다 [還給-] | <행정> ▷되돌려주다, 지급하다 |
| 환급하지 아니한다 [還給-] | <행정> ▶ 돌려주지 아니한다 |
| 환기 [換氣] | <행정> = 공기 바꿈 |
| 환기공 [換氣孔] | <행정> ▶ 공기 구멍 |
| 환기하다 [喚起-] | <행정> = 불러 일으키다 |
| 환두대도 [換頭大刀] | <고고학> ▷고리손잡이 큰 칼 ※sword with ring handle |
| 환 리스크 [換 risk] | <언론> ▶ 환차 손실 ¶하지만 해외 투자에는 환리스크 등 주의할 점도 만만찮다는 지적이다. |
| 환리스크헤징 [換risk hedging] | <행정> ▷환율 변동 위험 회피 |
| 환매 [還買] | <금융> ▷되사기, 환매수 |
| 환매하다 [還買-] | <행정> ▷되사다 |
| 환매하다 [還賣-] | <행정> ▷되팔다 |
| 환모 [換毛] | <축산> ▶ 털갈이 |
| 환목사 [丸目篩] | <행정> ▶ 둥글눈체 |
| 환문하다 [喚問-] | <행정> ▷불러 묻다 |
| 환부 [患部] | <행정> ▷아픈 곳 |
| 환부 [還付] | <행정> ▷되돌려줌 |
| 환부 불능 [還付不能] | <행정> ▷반환 불능 |
| 환불 [換拂] | <행정> = 바꿔줌 |
| 환불 [還拂] | <행정> ▶ 되돌려줌 |
| 환불하다 [還拂-] | <행정> = 돌려주다, (돈을) 되돌려주다 |
| 환사고 왕복서 [換事故往復書] | <행정> ▶ (외)환사고 조사서 |
| 환사고 조복서 [換事故照覆書] | <행정> ▶ (외)환사고 회신 |
| 환산하다 [換算-] | <행정> = 바꾸어 계산하다 |
| 환상박피 [環狀剝皮] | <임업> ▶ (껍질) 돌려 벗기기 |
| 환상제피 [環狀除皮] | <임업> ▶ 환상박피, 둥근꼴 껍질 벗기기 |
| 환송하다 [還送-] | <행정> ▶ (되)돌려 보내다 |
| 환수 [還收] | <행정> ▷되거둠 |
| 환수하다 [還收-] | <행정> ▷되거두다, (도로) 거두어 들이다 |
| 환승역 [換乘驛] | <행정> ▶ 갈아타는 역 |
| 환승하다 [換乘-] | <행정> ▶ 갈아타다 |
| 환시산표 [換試算表] | <행정> ▶ 환검산표 |
| 환식 비환식 화합물 [還式-] | <행정> ▷기초 유기 화합물 |
| 환약정 [換約定] | <행정> = 국제 우편환 약정 |
| 환언하면 [換言-] | <행정> ▷바꾸어 말하면 |
| 환우 [換羽] | <축산> ▶ 털갈이 |
| 환원 [還元] | <정치> = 되돌림 |
| 환위험 [換危險] | <금융> ▶ 환율 변동 위험 |
| 환입 [換入] | <행정> ▶ 바꿔넣기 |
| 환적 [換積] | <행정> ▶ 옮겨싣기 |
| 환조 [丸彫] | <미술사> ▷두루새김, 환조 ※three-dimensional sculpture |
| 환지 [煥地] | <행정> ▷교환 토지 |
| 환차손 [換差損] | <행정> = 외국환 평가손(해) |
| 환축 [患蓄] | <행정> ▶ 병든 가축 |
| 환취권 [還取權] | <행정> ▷되찾는 권리 |
| 환태도 [丸太道] | <임업> ▶ 통나무길 |
| 환태수로 [丸太水路] | <임업> ▶ 통나무 수로, 통나무 도랑 |
| 환태수로공 [丸太水路工] | <임업> ▶ 통나무 수로내기, 통나무 도랑내기 |
| 활강 계제 [滑降 係蹄] | <법의학> ▶ 움직 올가미 ※running noose |
| 활동면 [滑動面] | <임업> ▶ 미끄럼면 |
| 활락지 [滑落地] | <임업> <행정> ▶ 밀린땅 |
| 활어 [活魚] | <식생활> <행정> ▷산(물)고기 |
| 활엽수 [闊葉樹] | <행정> ▷넓은잎나무 |
| 활주 [滑走] | <전철> ▷미끄럼 |
| 활주면 [滑走面] | <임업> ▶ 미끄럼면 |
| 활착 [活着] | <행정> ▷뿌리 내림 |
| 활항기 [滑航機] | <행정> ▶ 활공(비행)기 |
| 황각 [荒刻] | <임업> ▶ 굵은 각초 |
| 황기 [黃芪] | <행정> ▶ 단너삼 (뿌리) |
| 황목 [荒木] | <임업> ▶ 제풀 나무 |
| 황숙 [黃熟] | <임업> ▶ 누렇게 익음 |
| 황조슬충 [黃條虱蟲] | <농업> ▶ 배추벼룩 잎벌레 |
| 황지 [荒地] | <행정> ▶ 황폐한 땅, 거친 땅 |
| 황차 [況且] | <행정> ▶ 하물며 |
| 황촉규 [黃蜀葵] | <농업> ▶ 닥풀 |
| 황충 [蝗蟲] | <농업> ▶ 메뚜기 |
| 황폐 계천 [荒廢溪川] | <행정> ▶ 황폐된 시내 |
| 황피 [黃皮] | <행정> ▶ 노란 껍질 |
| 홰불 싸움 | <민속> ▶ 횃불 싸움 |
| 회개하다 [悔改-] | <행정> = 뉘우치다 |
| 회경 [回耕] | <농업> ▶ 돌아갈이 |
| 회계 증빙 [會計證憑] | <행정> ▶ 회계 증거 |
| 회고하다 [回顧-] | <행정> ▷돌아보다 |
| 회귀 [回歸] | <행정> ▷돌아옴 |
| 회납금 [回納金] | <행정> ▶ 반납금 |
| 회동 [會同] | <행정> ▷모임 |
| 회람 [回覽, かいらん] | <행정> ▷돌려보기 |
| 회무 [會務] | <행정> ▶ 위원회의 사무 |
| 회보하시기 [回報-] | <행정> ▶ 알려 주시기 |
| 회부 [回附] | <행정> ▶ 돌려보냄 |
| 회분 [灰粉] | <농업> ▶ 재 |
| (회사채) 당발물 [當發物] | <경제> ▶ 당일 발행 회사채 |
| 회색 간변기 [灰色 肝變期] | <법의학> ▶ 회색 간 되기 ※gray hepatization |
| 회송삭 [回送索] | <임업> ▶ 되돌림줄 |
| 회송열차 [回送列車] | <전철> ▷되돌이 열차, 회송 열차 |
| 회송하다 [回送-] | <행정> ▷돌려보내다 |
| 회수로 [廻水路] | <임업> ▶ 돌림수로, 돌림도랑 |
| 회수하다 [回收-] | <행정> = (되)돌려받다, 되거두다 |
| 회시 [回示] | <행정> ▶ 회답 |
| 회시하다 [回示-] | <행정> ▶ 회답하다 |
| 회신하다 [回信-] | <행정> = 보내다, 답 보내다 |
| (회의록) 조제 [調製] | <행정> ▶ (회의록) 작성 |
| 회전상족기 [回轉上簇機] | <행정> ▶ 누에 올리는 섶 |
| 회전족 [回轉簇] | <임업> ▶ 회전섶 |
| 회중 전등 [懷中電燈, flash light] | <전기> ▷손전등 |
| 회한 [回翰] | <행정> ▶ 답장 |
| 회합 [會合] | <행정> ▷모임 |
| 회항시키다 [回航-] | <행정> ▷배를 돌리다 |
| 획득하다 [獲得-] | <행정> = 얻다 |
| 획일 [劃一] | <행정> = 한결같음 |
| 획정 [劃定] | <행정> ▶ 결정 |
| 횡 [橫] | <행정> ▷가로 |
| 횡가 [橫架] | <행정> ▶ 가로걸이 |
| 횡가재 [橫架材] | <행정> ▶ 가로걸이 나무 |
| 횡곡축 [橫谷築] | <임업> ▶ 가로골 쌓기 |
| 횡골절 [橫骨折] | <법의학> ▶ 가로 골절 ※transverse fracture |
| 횡관 [橫貫] | <행정> ▶ 가로뚫기 |
| 횡단 방향 [橫斷方向] | <행정> = 가로 방향 |
| 횡단 보도 [橫斷步道] | <행정> = 건너는 길 |
| 횡단 경사 [橫斷傾斜] | <임업> ▷가로물매 |
| 횡단 구배 [橫斷勾配] | <임업> ▶ 가로물매 |
| 횡단(도)로 [橫斷道路] | <행정> ▷건널목 |
| 횡단 물매 [橫斷-] | <임업> ▷가로물매 |
| 횡대 [橫隊] | <행정> ▷가로서기 |
| 횡도 [橫道] | <행정> ▶ 건널목, 옆길 |
| 횡령하다 [橫領-] | <행정> = 가로채다 |
| 횡목 [橫目] | <임업> ▶ 가로줄눈 |
| 횡서 [橫書] | <행정> ▶ 가로쓰기 |
| 횡선 [橫線] | <행정> ▶ 가로줄 |
| 횡와지 [橫臥枝] | <임업> ▶ 누운가지 |
| 횡일자석 [橫一字石] | <임업> ▶ 누운돌 |
| 횡전 [橫轉] | <행정> ▶ 옆돌기 |
| 횡제 [橫堤] | <임업> ▶ 가로둑 |
| 횡조 [橫組] | <행정> ▶ 가로짜기 |
| 횡취 [橫取] | <행정> ▶ 새치기, 가로채기 |
| 횡취삭 [橫取索] | <임업> ▶ 가로집재줄 |
| 횡측구 [橫側溝] | <임업> ▶ 가로도랑 |
| 횡침식 [橫浸蝕] | <임업> ▶ 가로침식 |
| 횡혈식 [橫穴式] | <고고학> ▷굴식, 횡혈식 ※tunnel entrance |
|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 | <고고학> ▷굴식 돌방 무덤, 횡혈식 석실분 ※stone chamber with tunnel entrance |
| 효시 [嚆矢] | <행정> ▷시초 |
| 효용 [效用] | <행정> = 쓰임, 효과 |
| 효율제고 [效率提高] | <행정> ▶ 성과/효율 높임, 성과/효율 높이기 |
| 후 [厚] | <행정> ▶ 두께 |
| 후가 [後價] | <임업> ▶ 미래가, 미래 값 |
| 후견인 [後見人] | <행정> ▷돌볼 이, 돌볼 사람 |
| 후견인 경질 신고 | <행정> ▶ 후견인 바뀜 신고 |
| 후견인선 [後牽引線] | <임업> ▶ 되돌림줄 |
| 후구 [後軀] | <축산> ▶ 뒷몸 |
| 후다 [札, ふだ] | <행정> ▶ ①쪽지, 뚜껑 ②조각, 패 |
| 후다도메 [札止] | <행정> ▶ 거래 중지, 매표 중지 |
| 후다쓰아마다레 [ふたすあまだれ] | <신문> ▶ 겹느낌표 |
| 후단 [後端] | <행정> ▶ 뒤끝 |
| 후덕 [厚德] | <정치> ▷도타운 덕 |
| 후동목 [後棟木] | <행정> ▶ 자투리 나무 |
| 후두 경축 [喉頭 痙縮] | <법의학> ▶ 후두 연축 ※laryngeal spasm |
| 후드 [hood] | <생활외> ▶ 덮개, 걸치개 ¶후드 달린 누빔 점퍼가 추운 겨울에는 제격이다. |
| 후라이 [フライ, fry] | <생활외> ▶ ①튀김, 부침 ②거짓말 |
| 후랑뗑 [ふらんてん] | <행정> ▶ 셋배 <수산> |
| 후루이 분세키 [篩分析, ふるいぶんせき] | <건설> ▶ 체가름 |
| 후루이 와케 [篩分け] | <건설> ▶ 체가름 |
| 후리다시 [振出し] | <행정> ▶ 첫 상영(일) |
| 후면 [後面] | <행정> ▷뒤쪽, 뒤 |
| 후문 [喉門] | <행정> ▶ 목구멍 |
| 후문 [後聞] | <행정> ▶ 뒷얘기 |
| 후미 [後尾] | <행정> ▷뒤끝 |
| 후미이타 [踏(み)板] | <봉제> ▶ 발판 |
| 후미키리 (←후미끼리) [踏切, ふみきり] | <행정> <건설> <전철> ▶ 건널목 |
| 후발성 뇌졸중 [後發性 腦卒中] | <법의학> ▶ 지연 뇌중풍 ※delayed apoplexy |
| 후방 [後方] | <행정> ▷뒤쪽 |
| 후부 반고 [後部返顧] | <행정> ▶ 뒤돌아 봄 |
| 후불 [後拂, あとばらい] | <금융> ▷후지급 |
| 후사 [厚飼] | <농업> ▶ 베게 기르기 |
| 후세누이 [伏縫い, ふせぬい] | <패션> <봉제> ▶ 뉨솔 |
| 후세지 [ふせじ] | <신문> ▶ 복자 <인쇄> |
| 후속 조치 [後續措置] | <행정> ▷뒤따른 조치 |
| 후숙 [後熟] | <농업> ▶ 따익히기, 따익힘 |
| 후아이 [風合い, ふうあい] | <패션> ▶ 질감, 태 |
| 후앙 [ファン, ←fan] | <건설> <행정> ▶ 환풍기, 송풍기 |
| 후야시 [增やし, ふやし] | <패션> ▶ (코)늘임 |
| 후열 [後閱] | <행정> ▶ 사후 검열 |
| 후엽 [厚葉] | <행정> ▶ 두꺼운 잎 |
| 후예 [後裔] | <행정> = 후손 |
| 후작 [後作] | <임업> ▶ 뒷그루 |
| 후장 [後場] | <경제> ▶ 오훗장, 뒷장 |
| 후장 [後腸] | <임업> ▶ 뒤창자 |
| 후지 [厚紙] | <행정> ▶ 두꺼운 종이 |
| 후지 [後肢] | <축산> ▶ 뒷다리 |
| 후취 담보 | <행정> ▷사후 담보 |
| 후치 [緣] | <미술> ▶ (병풍)테 |
| 후치가자리 [緣飾り, ふちがざり] | <패션> ▶ 가장자리 장식 |
| 후치이시 [緣石] | <건설> ▶ 연석, 갓돌, 턱돌 |
| 후카시 (←후까시) [ふかし] | <패션> ▶ 부풀이, 부풀머리 |
| 후카시하다 [吹し-] | <행정> ▶ 부풀리다 |
| 후케 [更け] | <연극> ▶ 노인역 <영화> |
| 후케도리 [雲脂取, ふけどり] | <행정> ▶ 글겅이 |
| 후쿠로 (←후꾸로) [袋, ふくろ] | <행정> ▶ (고치) 주머니, <봉제> <패션> (호)주머니 |
| 후쿠로누이 [袋縫い, ふくろぬい] | <패션> <봉제> ▶ 통솔 |
| 후쿠로쓰케 [袋付け] | <봉제> ▶ (호)주머니 달기 |
| 후쿠히카리 [福光] | <행정> ▶ 복광(福光) 벼 |
| 후키 [吹, ふき] | <미술> ▶ 뿜질, 분무기 |
| 후키쓰게 [吹き付げ] | <건설> ▶ 뿜질, 뿜칠, 뿜어붙이기 |
| 후타 [蓋, ふた] | <패션> <봉제> ▶ (호주머니) 덮개 |
| 후타 [札] | <행정> ▶ 쪽지 |
| 후타도메 [札止] | <행정> ▶ 매표 중지 <영화>, 거래 중지 <수산업> |
| 후타쓰아마다레 [二つ雨垂れ, ふたすあまだれ] | <신문> ▶ 겹느낌표 |
| 후토 산가쿠 [太三角, -さんかく] | <신문> ▶ 고딕 세모 |
| 후토 시로비시 [太白菱] | <신문> ▶ 겹마름모 |
| 후프 [hoop] | <패션> ▷옷테 |
| 후회하다 [後悔-] | <행정> = 뉘우치다 |
| 훅 [hook] | <골프> ▷왼쪽 휨, <미술> ▷고리 바늘, <생활외> ▷(갈)고리 ¶허리끈 대신 훅을 달아 편안한 가운데 맵시를 더 낼 수 있다. <패션> ▷(걸)고리, 걸단추 |
| 훅 그립 [hook grip] | <골프> ▶ 강한 쥐기 |
| 훅 앤드 아이 [hook and eye] | <패션> ▶ 걸(고리) 단추 |
| 훅 패스 [hook pass] | <핸드볼> ▷머리 너머 (건네) 주기 |
| 훗쿠 [フック, ←hook] | <건설> <행정> ▶ (갈)고리 |
| 훈계하다 [訓戒-] | <행정> = 타이르다 |
| 훈방하다 [訓放-] | <행정> = 타일러 놓아주다 |
| 훈시 [訓示] | <행정> ▷말씀 |
| 훈연소독 [薰煙消毒] | <임업> ▷연기찜 소독 |
| 훈육 [訓育] | <행정> = 타이름 |
| 훈증 [燻蒸] | <행정> ▶ (증기)찜 |
| 훈탄 [燻炭] | <행정> ▶ 왕겨숯 |
| 훈화 [訓話] | <행정> = 말씀 |
| 훗고 [覆工] | <건설> ▶ 안쪽바르기, 라이닝(lining) |
| 훤망공 [萱網工] | <임업> ▶ 새(풀)망 덮기 |
| 훤복공 [萱覆工] | <임업> ▶ 새(풀) 덮기 |
| 훤주공 [萱株工] | <임업> ▶ 새(풀) 심기 |
| 훼괴 [毁壞] | <행정> ▶ 훼손, 파괴 |
| 훼손 [毁損] | <행정> ▷못쓰게 함, 망가짐, 손상됨 |
| 훼손지 [毁損地] | <행정> = 헤쳐진 땅 |
| 훼손품 [毁損品] | <행정> ▷흠간 물건 |
| 훼손하다 [毁損-] | <행정> ▷손상시키다, 못 쓰게 하다 |
| 휘보 [彙報] | <행정> ▶ 여러 소식 |
| 휘핑하다 [whipping-] | <생활외> ▶ 젓다 ¶생크림을 휘핑하여 소스를 준비하였다. |
| 휠브러시 [wheel brush] | <미술> ▶ 돌개솔 |
| 휠체어 [wheelchair] | <행정> = 걸상차 |
| 휠페이퍼 [wheel paper] | <미술> ▶ 돌개 사포/속새 |
| 휴 [畦] | <행정> ▶ 이랑 |
| 휴간 [畦間] | <행정> ▶ 이랑 사이 |
| 휴간관개 [畦間灌漑] | <농업> <행정> ▶ 고랑 물대기 |
| 휴거 [携擧] | <행정> ▶ 데려감 |
| 휴게소 [休憩所] | <행정> ▷쉬는 곳 |
| 휴경지 [休耕地] | <행정> ▶ 묵힌 땅 |
| 휴대폰 [携帶 phone] | <행정> ▶ 휴대 전화 |
| 휴대품 [携帶品] | <행정> ▷들고온 짐, 지닌 물건 |
| 휴대하다 [携帶-] | <행정> ▷가지다, 지니다 |
| 휴립 [畦立] | <농업> ▶ 이랑 세우기 |
| 휴립경법 [畦立耕法] | <농업> ▶ 이랑 짓기 |
| 휴립직파 [畦立直播] | <농업> ▶ 이랑 곧뿌리기 |
| 휴머니즘 [humanism] | <생활외> ▷인본주의 ¶우리 모임의 지도자가 될 사람은 적어도 휴머니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
| 휴머니티 [humanity] | <생활외> <언론> ▶ 인성, 인간성, 인간애 ¶사슴의 우리를 바라보면서 현대의 휴머니티의 회복을 호소하고 싶었던 것이다. ¶휴머니티가 살아 숨 쉬는 과학을. |
| 휴먼 드라마 [human drama] | <언론> ▷인간 드라마 ¶탄탄하게 연결되는 짜임새 있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스릴러물 특유의 긴박감에 휴먼 드라마의 감성과 로맨스물(→애정물)의 달콤한 여운까지 곁들이는··· |
| 휴면아 [休眠芽] | <임업> ▶ 잠자는 눈 |
| 휴면지 삽목 [休眠枝揷木] | <임업> ▷휴면가지 꺾꽂이 |
| 휴반 [畦畔] | <행정> ▶ 밭두둑, 논두렁 |
| 휴반대두 [畦畔大豆] | <행정> ▶ 두렁콩 |
| 휴반소각 [畦畔燒却] | <행정> ▶ 두렁 태우기 |
| 휴반식 [畦畔式] | <행정> ▶ 두렁식 |
| 휴반재배 [畦畔栽培] | <행정> ▶ 두렁 재배 |
| 휴일 [休日] | <행정> = 쉬는 날 |
| 휴즈 [ヒュㅡズ, fuse] | <행정> ▶ 퓨즈 |
| 휴지중 [休止中] | <행정> ▷쉬고 있음 |
| 휴지하다 [休止-] | <행정> ▷쉬다, 머물다, 그만두다 |
| 휴차료 [休車料] | <금융> ▷(차) 운행 못한 손실 비용 |
| 휴폭 [畦幅] | <농업> <행정> ▶ 이랑 너비 |
| 휴한 [休閑] | <농업> ▶ 묵히기 |
| 휴한지 [休閑地] | <행정> ▷노는 땅, 쉬는 땅 |
| 흉강 삽관술 [胸腔 揷管術] | <법의학> ▶ 흉강 개구술, 가슴창 냄술 ※thoracostomy |
| 흉고 [胸高] | <행정> ▶ 가슴높이 |
| 흉고 직경 [胸高直徑] | <행정> ▶ 가슴높이 지름 |
| 흉골 [胸骨] | <행정> ▶ 앞가슴뼈 |
| 흉곽 동요 [胸廓 動搖] | <법의학> ▶ 동요 가슴 ※flail chest |
| 흉부 [胸部] | <행정> ▷가슴 부분 |
| 흉선 임파 특이 체질 [胸腺 淋巴 特異 體質] | <법의학> ▶ 가슴샘 림프 특이 체질 ※status thymicolymphaticus |
| 흉위 [胸圍] | <행정> ▶ 가슴둘레 |
| 흉장 [胸章] | <정치> ▷가슴표 |
| 흉추 [胸椎] | <금융> ▷가슴등뼈, 흉추 |
| 흑도 [黑陶] | <고고학> ▷검은 간 토기, 흑도 ※burnished black pottery |
| 흑두 [黑豆] | <식생활> <행정> ▶ 검정팥 |
| 흑수병 [黑穗病] | <행정> ▶ 깜부깃병 |
| 흑의 [黑蟻] | <잠업> ▶ 검은 개미누에 |
| 흑자 [黑仔] | <축산> ▶ 배내 주검 |
| 흑탄 [黑炭] | <임업> ▷검은숯 |
| 흑태 [黑太] | <행정> <식생활> ▶ 검정콩 |
| 흑판 [黑板, こくばん] | <행정> ▷칠판 |
| 흑호마 [黑胡麻] | <식생활> ▶ 검정깨 |
| 흑호잠 [黑縞蠶] | <잠업> ▶ 검은띠 누에 |
| 흔연히 [欣然-] | <행정> ▷기꺼이 |
| 흔쾌히 [欣快-] | <행정> ▷기꺼이 |
| 흙골매기 | <임업> ▶ 흙골막이 |
| 흙구곡막이 [-溝谷-] | <임업> ▶ 흙골막이 |
| 흙매기 | <임업> ▶ 흙막이 |
| 흠결 [欠缺] | <행정> ▶ 부족, 흠, 모자람 |
| 흡사하다 [恰似-] | <행정> = 비슷하다, 거의 같다 |
| 흡연 [吸煙] | <행정> ▷담배 피움 |
| 흡인저항 [吸引抵抗] | <농업> ▶ (덜)빨림새 <담배> |
| 흡입 [吸入] | <행정> ▷빨아들임 |
| 흡즙성 [吸汁性] | <임업> ▷즙빨성 |
| 흡지 [吸枝] | <임업> ▶ 뿌리순 |
| 흡착능 [吸着能] | <농업> ▶ 흡착률 |
| 희귀 [稀貴] | <행정> = 매우 귀함 |
| 희귀목 [稀貴木] | <행정> ▷귀한 나무 |
| 희랍 [希臘] | <행정> ▷그리스 |
| 희비 [喜悲] | <행정> = 기쁨과 슬픔 |
| 희석 [稀釋] | <행정> = 묽힘 |
| 희잠 [姬蠶] | <잠업> ▶ 민누에 |
| 히구치 (←호쿠치) [火口, ほくち, ひぐち] | <행정> ▶ 불부리, 불대 |
| 히네리 [捻, ひねり] | <행정> ▶ 틀어치기<당구> |
| 히니쿠 [ひにく] | <행정> ▶ 흉보기, 비웃기, 비아냥 |
| 히다 [襞, ひだ] | <패션> <봉제> ▶ 주름 |
| 히든 레이어 [hidden layer] | <전기> ▷은닉층(隱匿層) |
| 히든카드 [hidden card] | <생활외> <언론> ▶ 숨긴 패, 비책 ¶우리 편의 히든카드는 순간적으로 상대방의 허점을 집중 공격하는 전략이다. ¶○○○ 감독이 그를 ‘히든카드’로 쓰려는 작전을 세웠기 때문. |
| 히라후세누이 [平伏 縫い, ひらふせぬい] | <패션> <봉제> ▶ 외줄뉨솔 |
| 히로 [白] | <생활외> ▶ 흰공맞기 <당구> |
| 히로익 트래지디 [heroic tragedy] | <연극> ▶ 영웅 비극 |
| 히로퐁 [←philopon] | <행정> ▶ 필로폰 |
| 히마리 [締] | <생활외> ▶ 맥 |
| 히모 [紐, ひも] | <미술> ▶ 끈 |
| 히빙 라인 [heaving line] | <행정> ▷던짐줄 <항만> |
| 히사시 [廂·庇, ひさし] | <건설> ▶ 차양(遮陽) |
| 히야무기 [冷麥, ひやむぎ] | <식생활> ▶ 냉국수 |
| 히야시 [冷, ひやし] | <식생활> ▶ 차게 함, 채움 |
| 히야시하다 [冷やし-] | <행정> ▶ 차게 하다 |
| 히야카시 [冷, ひやかし] | <행정> ▶ 희롱 |
| 히요쿠 [比翼, ひよく] | <패션> <봉제> ▶ 단춧집 |
| 히자이타 [膝板, ひざいた] | <봉제> ▶ 무릎판 |
| 히카리 [光, ひかり] | <패션> ▶ 빛, 번들거림 |
| 히카에 [控, ひかえ] | <행정> ▶ 부본(副本), 덧본, <건설> ▶ 뒷길이 |
| 히카케 [←draw] | <행정> ▶ 끌기 |
| 히키 (←삐끼) [引き, ひき] | <행정> ▶ 끌기, 끌어치기 <당구> |
| 히키사게 [ひきさげ] | <행정> ▶ 내림 |
| 히터 [heater] | <행정> = 난로, 따스개, 난방기 |
| 히터선 [heater 線] | <전기> ▷열선(熱線) |
| 히트 [hit] | <패션> ▶ 적중, <하키> ▶ 치기 |
| 히트 메이커 [hit maker] | <언론> ▶ 인기 제조기, 성공 제조기 ¶○○○은 등장 드라마마다 높은 시청률을 남긴 몇 안 되는 히트 메이커 중의 한 명이다. |
| 히트 상품 [hit 商品] | <언론> ▶ 인기 (몰이) 상품 ¶(‘레모니아’도…) 출시 1개월 만에 저탄산 음료 시장 점유율 8%를 차지하는 등 히트 상품 반열에 올랐다. |
| 히트 앤드 러시 [hit and rush] | <하키> ▶ 치고 달려들기 |
| 히트송 [hit song] | <생활외> ▷인기 가요 |
| 히트하다 [hit-] | <생활외> ▶ 적중하다, 들어맞다 ¶올 겨울에는 얇은 형 모양에 점화가 간편한 가스 난방 기구가 히트하였다. |
| 히팅 시스템 [hitting system] | <야구> ▷강공 |
| 힌트 [hint] | <생활외> <행정> ▷귀띔, 암시, 슬기, 도움말 ¶진작 힌트를 주었더라면 실수하지 않았을 것을 |
| 힐 [heel] | <골프> ▶ (채) 뒤꿈치 |
| 힐드 [heald] | <미술> ▶ 잉아 |
| 힐드바 [heald bar] | <미술> ▶ 잉앗대 |
| 힐드 프레임 [heald frame] | <미술> ▶ 잉아틀 |
| 힐책 [詰責] | <행정> ▷꾸짖음 |
| 힙 벨트 [hip belt] | <패션> ▶ 골반띠 |
| 힙본 스커트 [hipbone skirt] | <패션> ▷골반 치마 |
| 힛카케카기 [引っ掛け鉤] | <신문> ▶ 낫표 |
| 힛카케(←시까끼) [引掛け] | <행정> ▶ 걸어치기<당구> |
| 힛코미 [引込み] | <행정> ▶ 끌어들이기 |
| 힛코미셍 [引込線, ひっこみせん] | <행정> ▶ 끌어들임 줄/선 |
| 힝조로에 (←힌조로에) [ひんぞろえ, 品揃え] | <패션> ▶ 상품 구색 갖추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