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가레 [流, ながれ] | <생활외> ▶ 유찰, 깨짐, <행정> ▶ 유찰 <공사 입찰> | |
| 나가소데 [長袖, ながそで] | <패션> ▶ 긴 소매 | |
| 나가시 [流し] | <행정> ▶ 설거지대, (자가용) 불법 영업 행위 | |
| 나가테쓰미 [長手積み] | <건설> ▶ 길이 쌓기 | |
| 나그랑 소매 [←raglan sleeve] | <패션> ▶ 래글런 소매 | |
| 나근 [裸根] | <행정> ▶ 노출 뿌리 | |
| 나나메 [斜] | <신문> ▶ 빗김체 | |
| 나나메가스미 [斜霞] | <신문> ▶ 빗금 깔쭉이 | |
| 나나메아마다레 [斜雨垂れ] | <신문> ▶ 빗느낌표 | |
| 나나메지쓰케 [斜め躾, ななめじつけ] | <패션> <봉제> ▶ 빗금 시침질 | |
| 나나메후타쓰아마다레 [斜二つ雨垂れ] | <신문> ▶ 빗겹느낌표 | |
| 나나이치 (←나나인치) [なないち] | <패션> <봉제> ▶ 일자(형) 단춧구멍 | |
| 나대지 [裸垈地] | <행정> ▶ 빈집터 | |
| 나데 [撫, なで] | <미술> ▶ 문지르기 | |
| 나데바케 [撫刷毛] | <미술> ▶ 문지름 귀얄 | |
| 나데질 [撫-、, なで-] | <미술> ▶ 문지르기 | |
| 나도 [糯稻] | <식생활> ▶ 찰벼 | |
| 나동선 [裸銅線] | <행정> ▶ 민구리줄 | |
| 나동연선 [裸銅鉛線] | <행정> ▶ 민구리납줄 | |
| 나라비 (←나래비) [ならび] | <생활외> ▶ 줄서기 | |
| 나라비누이 [竝び縫い, ならびぬい] | <패션> ▶ 홈질 | |
| 나라시 [均し, ならし] | <미술> <패션> ▶ 연단, 고루펴기, <봉제> ▶ 날음질, 연단, <행정> ▶ ①고루놓기, 고루펴기 ②길들이기, <신문> ▶ (판)고르기, 고루펴기 | |
| 나라시다이 [均し台, ならしだい] | <패션> ▶ 마름질대 | |
| 나라즈케 [奈良漬, ならづけ] | <식생활> ▶ 참외절임, 외지 | |
| 나라카시 [枹樫, ならかし] | <미술> ▶ 떡갈나무 | |
| 나마가시 [生菓子, なまがし] | <식생활> ▶ 생과자 | |
| 나마겐코 [生原稿, なまげんこう] | <신문> ▶ 초고 | |
| 나마리 [なまり] | <전기> ▶ 납(鉛) | |
| 나마비루 [生麥酒, なまビㅡル, 독.-bier, -beer] | <생활외> ▶ 생맥주 | |
| 나마시 [鈍し, なまし] | <미술> ▶ (열)눅임 | |
| 나마코(자쿠) [なまこ(尺)] | <패션> ▶ 곱자 | |
| 나맥 [裸麥] | <식생활> ▶ 쌀보리 | |
| 나메 (←나미) [嘗め, なめ] | <생활외> ▶ 얇게 치기 <당구> | |
| 나무곽 무덤 [木槨墓] | <고고학> ▷나무덧널 무덤, 목관묘 ※wooden chamber tomb | |
| 나무널 무덤 [木棺墓] | <고고학> ▷나무널 무덤, 목관묘 ※wooden coffin tomb | |
| 나무 울타리 [木柵] | <고고학> ▷나무울(타리) ※wooden barricade(fence) | |
| 나미 [糯米] | <식생활> ▶ 찹쌀 | |
| 나미 [竝, なみ] | <미술> ▶ 보통 유리 | |
| 나미날 합판 [←laminated 合板] | <건설> ▶ 적층 합판(積層合板) | |
| 나미닷슈 [波ダッシュ, -dash] | <신문> ▶ 물결표 | |
| 나미케이 [波罫, なみけい] | <신문> ▶ 물결줄 | |
| 나발 [螺髮] | <미술사> ▷소라머리, 나발 ※conch shaped hair | |
| 나백미 [糯白米] | <식생활> ▶ 찹쌀 | |
| 나베우동 [鍋饂飩] | <식생활> ▶ 냄비국수 | |
| 나변 [那邊] | <행정> ▶ 어디 | |
| 나사 [羅紗, ←포.raxa] | <행정> ▷모직 옷감 | |
| 나사 앵커 [螺絲 anchor, screw anchor] | <전기> ▷나사 연결 뭉치, 나사 연결틀 | |
| 나삽 [螺揷] | <행정> ▶ 나사(식) 끼우기 | |
| 나선 [裸線, ←naked wire] | <전기> ▷민전선, 알(몸) 전선 | |
| 나설 [螺設] | <행정> ▶ 나사(식) 설치 | |
| 나시 [(そで)なし] | <패션> ▶ 민소매 | |
| 나쓰가레 [なつがれ] | <생활외> ▶ 여름타기 | |
| 나안 시력 [裸眼視力] | <행정> ▶ 맨눈 시력 | |
| 나열하다 [羅列-] | <행정> = 늘어놓다, 벌여 놓다 | |
| 나염 [←捺染] | <패션> ▶ 날염 | |
| 나염 [←捺染, なっせん] | <생활외> ▷무늬 찍기 | |
| 나오시 [直し, なおし] | <패션> <봉제> ▶ 고침질 | |
| 나용선 [裸傭船] | <행정> ▶ (빈)셋배, 선체 셋배 | |
| 나이스 [nice] | <행정> ▶ 좋은, 훌륭한 | |
| 나이스 카운트 [nice count] | <볼링> ▷호투(好投) | |
| 나이칸 [內管] | <건설> ▶ 내관 | |
| 나이터 [←night game] | <행정> ▶ 밤 경기, 야간 경기 | |
| 나이트 [night] | <행정> ▶ 밤, 야간 | |
| 나이트 캡 [night cap] | <패션> ▶ 잠자리 모자 | |
| 나이프 [knife] | <미술> ▷주걱칼, <행정> ▶ 칼 | |
| 나인 앤드 위글 [nine and wiggle] | <볼링> ▶ 아홉치기 | |
| 나일롱 [ナイロン, nylon] | <패션> ▶ 나일론 | |
| 나자 식물 [裸子植物] | <행정> ▶ 겉씨 식물 | |
| 나잠 어업 [裸潛漁業] | <행정> ▶ 맨몸 잠수 어업 | |
| 나전선 [裸電線, ←naked wire] | <전기> ▷민전선, 알(몸) 전선 | |
| 나종 [糯種] | <농업> ▶ 찰씨 | |
| 나지 [裸地] | <행정> ▶ 맨땅, 벗겨진 땅 | |
| 나지작 [裸地作] | <행정> ▶ 민그루짓기 | |
| 나착 [螺着] | <행정> ▶ 나사(식) 붙이기 | |
| 나충전부 [裸充電部] | <전기> ▶ 드러난 충전부 | |
| 나침의 [羅針儀] | <행정> ▷나침반 | |
| 나카구로 [中黑] | <신문> ▶ 가운뎃점 | |
| 나카누리 [中塗] | <건설> ▶ 재벌칠, 재벌 바름 | |
| 나카도비라 [なかとびら] | <행정> ▶ 속표제지 | |
| 나카마 [仲間, なかま] | <미술> ▶ 한패, 거간, 중간상, <행정> ▶ 한패, 동아리, 동업자 (시세) | |
| 나카마 시세 [仲間-, なかま-] | <행정> ▶ 도매금, 동업자 가격 | |
| 나카무네 [中胸, なかむね] | <식생활> ▶ (생선)뼈 튀김 | |
| 나카미 [中身, なかみ] | <생활외> ▶ 속장, 알맹이 | |
| 나카미다시 [中見出, なかみだし] | <생활외> ▶ 중간 표제, 중간 제목 | |
| 나카오모테 [中表, なかおもて] | <봉제> ▶ 겉맞대기 | |
| 나카토비라 [なかとびら] | <생활외> ▶ 속표제지 | |
| 나태 [懶怠] | <행정> = 게으름 | |
| 나팔형 동기 [喇叭形銅器] | <고고학> ▷나팔 모양 청동기 ※trumpet-shaped bronze tool | |
| 나포하다 [拿捕-] | <행정> ▷붙잡다 | |
| 나프탈렌 [naphthalene] | <행정> = 좀약 | |
| 나합 [螺合] | <행정> ▶ 나사(식) 맞춤 | |
| 나흑수병 [裸黑穗炳] | <농업> ▶ 겉깜부기병 | |
| 낙과 [落果, らっか] | <생활외> = 떨어진 열매, 열매 떨어짐 | |
| 낙관하다 [樂觀-] | <행정> = 밝게 보다 | |
| 낙국 [落菊] | <임업> ▶ 드림국화 | |
| 낙농 [酪農] | <행정> = 젖소치기, 양치기 | |
| 낙도 [落島] | <행정> ▷외딴섬 | |
| 낙뢰 [落蕾] | <임업> ▶ 진망울, <행정> ▷벼락 | |
| 낙반 [落盤] | <행정> ▷무너짐 | |
| 낙방하다 [落榜-] | <행정> = 떨어지다 | |
| 낙사 [落死] | <행정> ▶ 떨어져 죽음 | |
| 낙상 [落傷] | <행정> ▷떨어져 다침 | |
| 낙서 [落書] | <행정> = 장난 글씨 | |
| 낙석 방지망 복공 [落石防止網覆工] | <임업> ▶ 낙석 방지망 덮기 | |
| 낙석 저지 책공 [落石沮止柵工] | <임업> ▶ 낙석 저지책 세우기, 낙석 막이울 세우기 | |
| 낙수 [落水] | <농업> ▶ 물떼기 <논농사> | |
| 낙수 [落穗] | <행정> ▶ 이삭, 뒷이야기 | |
| 낙승하다 [樂勝-] | <행정> ▷쉽게 이기다, 가볍게 이기다 | |
| 낙양 [落陽] | <행정> ▷석양 | |
| 낙엽 [落葉] | <행정> = 진 잎 | |
| 낙인 [烙印] | <행정> = 불도장 | |
| 낙자 [落字] | <행정> ▶ 빠진 글자 | |
| 낙조 [落照] | <행정> = 저녁놀 | |
| 낙종하다 [落種-] | <행정> ▶ 씨 뿌리다 | |
| 낙호 | <행정> ▷트랩 도어 | |
| 낙화 [洛花] | <임업> ▷진꽃 | |
| 낙화생 [落花生] | <식생활> ▶ 땅콩 | |
| 낙후 [落後] | <행정> ▷뒤떨어짐 | |
| 낚시바늘 [釣針] | <고고학> ▶ 낚싯바늘 ※fish hook | |
| 낚싯줄 | <미술> ▶ 자름줄 | |
| 난 [卵] | <행정> <식생활> ▷알, 달걀 | |
| 난각 [卵殼] | <축산> ▶ 알 껍질 | |
| 난관 [難關] | <행정> = 어려운 고비 | |
| 난괴 [卵塊] | <행정> ▶ 알덩이 | |
| 난국 [難局] | <행정> = 어려운 상황 | |
| (난국을) 타개해 나갑시다 | <행정> ▷(어려운 고비를) 헤쳐 나갑시다 | |
| 난기 운전 [暖機運轉] | <행정> ▶ 시동 운전 | |
| 난낭 [卵囊] | <임업> ▷알주머니 | |
| 난닝구 (←란닌구) [ランニング, running shirts] | <생활외> ▶ 러닝셔츠 | |
| 난당 [亂撞] | <미술> ▶ 뭇날정 | |
| 난도 [亂蹈] | <행정> ▶ 날뜀 | |
| 난망 [難忘] | <행정> ▷잊지 못함, 못 잊음 | |
| 난방공 [煖房工] | <행정> ▶ 열 관리원 | |
| 난삽하다 [難澁-] | <행정> ▷어렵다 | |
| 난색을 표명하다 [難色-] | <행정> ▷어려운 빛을 나타내다/보이다 | |
| 난센스 (←넌센스) [nonsense] | <생활외> ▷당찮은 말/일 ¶자살을 선택하는 결말은 감상주의의 극치이자 난센스이다. | |
| 난소 [卵巢] | <축산> ▷알집 | |
| 난시청 [難視聽] | <행정> ▷시청이 어려움 | |
| 난어묵 [卵魚-] | <식생활> ▷알어묵 | |
| 난연성 [難燃性] | <임업> ▷불안탈성, 불에 안 타는 | |
| 난연성능 [難燃性能] | <행정> ▶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 | |
| 난이 [難易] | <행정> ▷어렵고 쉬움 | |
| 난적 [亂積] | <임업> ▶ 막 쌓기 | |
| 난점 [難点] | <행정> ▷곤란한 점, 어려운 점 | |
| 난제 [難題] | <행정> ▷어려운 문제 | |
| 난조 [亂調, らんちょう] | <생활외> ▷엉망, 흐트러짐 | |
| 난중 [卵重] | <축산> ▶ 알 무게 | |
| 난처 [難處] | <행정> = (처리하기) 어려움 | |
| 난타하다 [亂打-] | <행정> ▷마구 치다, 마구 때리다 | |
| 난해 [難解] | <행정> ▷풀기 어려움, 알기 어려움 | |
| 난형 [卵形] | <임업> ▷달걀꼴 | |
| 난황 [卵黃] | <식생활> ▶ 노른자위 | |
| 날 [刃部] | <고고학> ▷칼날, 창날 ※edge | |
| 날개촉 [兩翼鏃] | <고고학> ▷날개 화살촉 ※barbed arrowhead | |
| 날인 [捺印] | <행정> ▷도장(을) 찍음 | |
| 날인하다 [捺印-] | <금융> <행정> ▷도장을 찍다 | |
| 날조 [捏造] | <행정> ▷사실처럼 꾸밈 | |
| 날조하다 [捏造-] | <행정> ▷사실처럼 꾸미다, 생으로 꾸미다 | |
| 남바 [ナンバㅡ, number] | <생활외> ▶ 번호, 호(수), 넘버 | |
| 남발 [濫發] | <행정> ▷마구 냄 | |
| 남벌 [濫伐] | <임업> = 마구 베기 | |
| 남비 [濫費] | <행정> ▶ 헤프게 씀 | |
| 남상 [濫觴] | <행정> ▶ 기원(起源) | |
| 남용하다 [濫用-] | <행정> ▷마구 쓰다, 함부로 쓰다 | |
| 남입 [濫入] | <정치> ▶ 함부로 뛰어듦 | |
| 남획하다 [濫獲-] | <행정> ▷마구 잡다 | |
| 납가 [納家] | <행정> ▶ 광 | |
| 납골당 [納骨堂] | <행정> ▷유골 안치소 | |
| 납기 [納期] | <생활외> ▷내는 날 | |
| 납기내 [納期內] | <행정> ▷내는 날 안, 납기일 안 | |
| 납기도래 [納期到來] | <행정> ▶ 납기일이 다가옴 | |
| 납기일 [納期日] | <행정> ▷내는 날 | |
| 납득 [納得] | <행정> ▷이해 | |
| 납량 [納凉] | <행정> ▷더위 식힘 | |
| 납부토록 [納付-] | <행정> ▷내시도록 | |
| 납부하다 [納付-] | <행정> ▷내다 | |
| 납세필증 [納稅畢證] | <행정> ▷세금 낸 표 | |
| 납옥 [納屋] | <행정> ▶ 광 | |
| 납입 [納入] | <행정> ▷냄, 치름, 납부 | |
| 납입 최고 [納入 催告] | <금융> ▶ (보험료) 납입 재촉 | |
| 납입처 [納入處] | <정치> ▷납부처 | |
| 납작 밑바리 [平底鉢] | <고고학> ▷납작 바닥 바리 ※bowl with flattened base | |
| 납작 (쇠)도끼 [板狀鐵斧] | <고고학> ▷판 모양 쇠도끼 ※flattened iron axe | |
| 납작 천장 [平天障] | <고고학> ▷평 천장 ※flat ceiling | |
| 납제 보험 [納濟保險] | <행정> ▶ 다 낸 보험 | |
| 납회 [納會] | <행정> ▶ 폐장(일), 마무리(날) | |
| 낫 업 [not up] | <테니스> ▷두 번 튀긴 공 | |
| 낫사 [←knot 絲] | <패션> ▶ 놉사, 놉실 | |
| 낫치 (←놋치) [ノッチ] | <패션> ▶ 맞춤(점), 가윗집 | |
| 낫토 [ナット, ←nut] | <전기> <건설> ▶ 암나사, 너트 | |
| 낭독하다 [朗讀-] | <행정> = 소리내 읽다 | |
| 낭망 [囊網] | <행정> ▶ 자루그물 | |
| 낭보 [朗報] | <행정> ▷반가운 소식, 기쁜 소식 | |
| 낭비하다 [浪費-] | <행정> = 헛되이 쓰다, 헤프게 쓰다 | |
| 낭설 [浪說] | <행정> ▷뜬소문, 헛소문 | |
| 낭송하다 [朗誦-] | <행정> = 소리내 읊다 | |
| 낭종 [囊腫] | <법의학> ▷혹, 낭종 ※cystoma | |
| 낭하 [廊下] | <행정> ▷복도 | |
| 내간 [內間] | <행정> ▶ 안방, 아낙 | |
| 내경 [內徑] | <행정> ▶ 안지름 | |
| 내공 [內空] | <행정> ▶ 속 빔 | |
| 내관 [內罐] | <행정> ▷속통 | |
| 내구 연한 [耐久年限] | <행정> = 견딜 해수 | |
| 내국세 [內國稅] | <행정> ▷나라 안 세금 | |
| 내국하여 [來局-] | <행정> ▶ (우리) 국으로 오시어 | |
| 내냉성 [耐冷性] | <행정> ▶ 추위 견딜성 | |
| 내달 [來-] | <행정> ▷다음 달 | |
| 내도복성 [耐倒伏性] | <행정> ▶ 쓰러짐 견딜성 | |
| 내도하다 [來到-] | <행정> ▷도착하다, 오다 | |
| 내동 [來同] | <행정> ▶ 와서 모임 | |
| 내러티브 [narrative] | <언론> ▶ 줄거리 ¶스크린에서 쓸쓸하게 퇴장했던 가장 큰 이유는 후반부에 급격하게 허물어지는 내러티브의 빈약함이었다. | |
| 내레이션 [narration] | <생활외> <행정> ▶ 해설 ¶문성근은 내레이션에만 몰두했다. | |
| 내레이터 (←나레이터) [narrator] | <행정> ▶ 해설자 | |
| 내반경 [內返耕] | <행정> ▶ 안쪽 돌아갈이 | |
| 내방하다 [來訪-] | <행정> ▷찾아오다 | |
| 내백 [內白] | <행정> ▶ 흰색심 | |
| 내병성 [耐病性] | <임업> ▷병 견딜성, 병에 강한 | |
| 내복약 [內服藥] | <행정> ▷먹는 약 | |
| 내봉투 [內封套] | <정치> ▶ 속봉투 | |
| 내부 [內部] | <행정> = 안, 속 | |
| 내불금 [來拂金] | <행정> ▶ 선돈 | |
| 내비성 [耐肥性] | <임업> ▶ 거름 견딜성 | |
| 내빈 [內賓] | <행정> ▷초대 손님 | |
| 내사 [內査] | <행정> ▷비밀 조사 | |
| 내사면 [內斜面] | <임업> ▶ 안 비탈 | |
| 내사하다 [內査-] | <행정> ▷은밀히 조사하다 | |
| 내삽 [內揷] | <행정> ▶ 안쪽 끼우기 | |
| 내서 [內書] | <정치> ▶ (안에) 써 넣음 | |
| 내성 [耐性] | <행정> ▷견딜성 | |
| 내셔널 트러스트 [national trust] | <언론> ▶ 국민 신탁 ¶올 4월 5일 시작된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인 ‘맹산 반딧불이 자연 학교 1계좌 갖기 운동’에는…. | |
| 내소단 [內小段] | <임업> ▶ 안둑턱 | |
| 내수용 [內需用] | <행정> ▷국내 소비용 | |
| 내실 [內室] | <행정> = 안방, 부인 | |
| 내실 [內實] | <행정> ▷알참, 실속 | |
| 내역 [內譯] | <금융> <행정> ▷명세 | |
| 내역서 [內譯書] | <금융> <행정> ▷명세서 | |
| 내염성 [耐鹽性] | <임업> ▶ 소금기 견딜성 | |
| 내왕하다 [來往-] | <행정> ▷오가다 | |
| 내외 [內外] | <행정> = 안팎 | |
| 내용 연수 [耐用年數] | <경제> <행정> ▷사용 가능 연수 | |
| 내원하여 [來院-] | <행정> ▶ (우리 원에) 오셔서 | |
| 내인가 [內認可] | <행정> ▶ 예비 인가 | |
| 내인사 [內因死] | <법의학> ▷내인사, 자연사 ※atural death | |
| 내인성 급사 [內因性 急死] | <법의학> ▷내인성 급사, 돈사 ※sudden nutural death | |
| 내입 [內入] | <경제> <금융> ▶ 일부 상환 | |
| 내입하다 [內入-] | <경제> <금용> ▶ (일부를) 갚다 | |
| 내재된 [內在-] | <행정> ▷담겨진 | |
| 내주 [來週, らいしゅう] | <생활외> ▷다음 주 | |
| 내지 [乃至] | <행정> = 또는, (‧‧)나 | |
| 내진 [內陣] | <건축사> ▷안두리, 내진 ※nave | |
| 내청 바람 [來廳-] | <행정> ▶ (우리 청에) 오시기 바랍니다 | |
| 내추 [來秋] | <행정> ▶ 오는 가을 | |
| 내추럴 렝스 [natural length] | <패션> ▶ 무릎길이, 무릎기장 | |
| 내추럴리즘 [naturalism] | <연극> ▷자연주의 | |
| 내추럴 컬러 [natural colour] | <생활외> ▶ 자연색 ¶아기를 위한 천연 소재 내추럴 컬러의 세계적 유아복 | |
| 내추럴 톤 [natural tone] | <패션> ▶ 자연색(조) | |
| 내추럴하다 [natural-] | <생활외> ▶ 자연스럽다 ¶비슷한 색상을 사용해 내추럴하게 표현하다. | |
| 내충성 [耐蟲性] | <임업> <행정> ▶ 벌레 견딜성, 벌레에 강한 | |
| 내충성목 [耐蟲性木] | <행정> ▶ 벌레 견딜성 나무 | |
| 내표인 [內標印] | <행정> ▶ 속포장 도장 | |
| 내표지 [內標紙] | <행정> ▶ 속포장지 | |
| 내피 [內皮] | <행정> ▷속껍질 | |
| 내피복 [內被覆] | <임업> ▶ 속덮기, 속덮개 | |
| 내한 [耐旱] | <행정> ▶ 가뭄 견딤, 가물 견딤 | |
| 내혼 교배 [內婚交配] | <임업> ▷근친 교배 | |
| 내홍 [內訌] | <행정> ▶ 집안 싸움, 집안 다툼 | |
| 내화성 [耐火性] | <행정> ▶ 불 견딜성 | |
| 내후성 [耐朽性] | <임업> ▷안 썩을성, 안 썩는 | |
| 냅색 [독.knapsack] | <패션> ▶ 배낭, 륙색 | |
| 냅킨 [napkin] | <행정> ▷식탁 종이 | |
| 냇돌석기 [礫石器] | <고고학> ▷자갈 돌석기 ※pebble tool | |
| 냉각 [冷却] | <행정> ▷식힘 | |
| 냉대 [冷待] | <행정> = 푸대접 | |
| 냉동 돈육 [冷凍豚肉] | <식생활> ▷얼린 돼지고기 | |
| 냉동육 [冷凍肉] | <식생활> ▷얼린 고기 | |
| 냉소 [冷笑] | <행정> ▷비웃음 | |
| 냉수 [冷水] | <행정> = 찬물 | |
| 냉수관개 [冷水灌漑] | <농업> ▶ 찬물 대기 | |
| 냉수온탕 침법 [冷水溫湯浸法] | <농업> ▶ 냉온탕 담그기 | |
| 냉수유입답 [冷水流入畓] | <농업> ▷찬물 드는 논 | |
| 냉장육 [冷藏肉] | <식생활> ▷냉장 고기 | |
| 냉풍 [冷風] | <임업> ▷찬바람 | |
| 너클 [knuckle] | <행정> ▶ 연결기 | |
| 너트 [nut] | <미술> ▷암나사 | |
| 너트 오일 [nut oil] | <미술> ▷호두 기름 | |
| 널 [棺] | <고고학> ▷널, 관 ※coffin | |
| 널길 [羡道] | <고고학> ▷무덤 안길, 연도 ※tomb entrance passage | |
| 널무덤 [土壙墓] | <고고학> ▷움 무덤, 토광묘 ※pit tomb | |
| 널문 [羡門] | <고고학> ▷널방문 ※tomb entrance | |
| 널방 [玄室] | <고고학> ▷무덤 안방, 현실 ※main chamber | |
| 넘버 [number] | <신문> ▷차례표, <행정> ▶ 번호, 호수, 호 | |
| 넘버 플레이트 [number plate] | <사이클> ▶ 번호판 | |
| 넘버링 [numbering] | <행정> ▶ 번호기 | |
| 넘버원 [number one] | <행정> ▶ 으뜸 | |
| 네거티브 전략 [negative 戰略] | <언론> ▶ 부정적 전략 ¶네거티브 전략의 유행은 충격적 요소를 제공해야만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들일 수 있다는 …. | |
| 네거티브하다 [negative-] | <언론> ▶ 부정적이다 ¶‘우리 신문은 (정부에 대해) 네거티브한 내용이 많은데 미국도 그런가’. | |
| 네 귀 달린 단지 [四耳附壺] | <고고학> ▷네 귀 단지 ※jar with four lugs | |
| 네기 [葱, ねぎ] | <식생활> ▶ 파 | |
| 네다 [根太, ねだ] | <건설> ▶ 장선(長線) | |
| 네루지 [ネル地, ←flannel] | <패션> ▶ 플란넬 | |
| 네리가에시 [練返し] | <건설> ▶ 되비비기 | |
| 네리나오시 [練直し] | <건설> ▶ 고쳐 비비기 | |
| 네리쓰미 [練積み] | <건설> ▶ 찰 쌓기 <토목>, 사춤 쌓기 <건축> | |
| 네마키 [寢卷, ねまき] | <생활외> ▶ 자리옷, 잠옷 | |
| 네모 무덤 [方形墳] | <고고학> ▷네모 무덤, 방형분 ※square tomb | |
| 네무리아나 [眠り穴] | <봉제> ▶ 막힌 단춧구멍 | |
| 네선용암 [←four-wire arm] | <전기> ▷네선팔 | |
| 네오모더니즘 [neo-modernism] | <패션> ▷신모더니즘 | |
| 네오클래시시즘 [neo-classicism] | <연극> ▷신고전주의 | |
| 네오클래식 [neo-classic] | <패션> ▷신고전적 | |
| 네온사인 [neon sign] | <생활외> = 네온등, 네온 광고, <행정> = 조명판 ¶밤 시간대 네온사인 사용 시간을 좀더 연장하려 한다. | |
| 네이비 블루 [navy blue] | <패션> ▷검남색 | |
| 네이시 [根石, ねいし] | <건설> ▶ 밑돌, 하대석, 지방석 | |
| 네일 케어 [nail care] | <언론> ▶ 손톱 관리 ¶건강 차원에서 네일 케어를 하는 곳을 찾는 사람도 증가하는 추세다. | |
| 네임 밸류 [name value] | <언론> ▶ 지명도 ¶“다만 금융 계열사들의 규모가 작고 네임 밸류가 떨어져 큰 실익은 기대하기 힘들다”라고 말했다. <생활외> ▷명성, 이름(값) | |
| 네지 [螺子, ねじ] | <미술> <건설> ▶ 나사(못) | |
| 네지기리 [螺子錐, ねじきり] | <생활외> ▶ 나사송곳 | |
| 네지마와시 [螺子廻し] | <건설> <미술> ▶ 나사돌리개, 나사틀개, 드라이버 | |
| 네지키 [寢敷き, ねじき] | <패션> ▶ 바지 주름, <생활외> ▶ 줄세우기, 깔다림이 | |
| 네카시 [寢かし] | <봉제> ▶ 깃누임 | |
| 네코 [猫, ねこ] | <건설> ▶ 굄(감) | |
| 네크라인 [neckline] | <생활외> <패션> ▷목둘레선 ¶시원스럽게 파인 그녀의 네크라인이 세련되어 보였다. | |
| 네크 포인트 [neck point] | <패션> <봉제> ▶ 목(중심)점 | |
| 네클리스 [necklace] | <패션> ▶ 목걸이 | |
| 네타바이 (←네다바이) [ねたばい] | <행정> ▶ 사기, 야바위 | |
| 네트 [net] | <패션> ▷그물/직물 머리망, <하키> <행정> <생활외> ▶ 그물 ¶운동장에 네트를 치고 족구를 하였다. | |
| 네트 오버 [net over] | <테니스> ▷그물 넘음 | |
| 네트워크 [network] | <생활외> <전기> <행정> ▷(방송/통신)망, 방송 체계 ¶복잡한 정보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배선 시스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 네트 터치 [net touch] | <테니스> ▷그물 닿기 | |
| 네트 포스트 [net post] | <테니스> ▶ 그물 지주 | |
| 네트 플레이 [net play] | <테니스> ▷그물 경기 | |
| 넥 [neck] | <배드민턴> ▶ 이음매, <골프> ▶ 채 목, 연결부 | |
| 넥타 [nectar] | <식생활> ▷(으깬) 과일즙 | |
| 넨도 [粘土, ねんど] | <건설> <미술> ▶ 찰흙, 진흙, 점토 | |
| 노 [蕗] | <농업> ▶ 머위 | |
| 노가다 [←土方, どかた] | <생활외> <건설> <미술> ▶ (공사판) 노동자, 막일꾼, 인부 | |
| 노개런티 [no guarantee] | <언론> ▶ 무보수, 무료 ¶최근 선보이고 있는 정수기 전문 회사인 ○○○○○의 ‘햇물’ 광고 1편에 이어 또 다시 노개런티로 출연한 것. | |
| 노거수 [老巨樹] | <행정> ▷거목, 크고 오랜 나무 | |
| 노견 [路肩] | <행정> ▶ 갓길 | |
| 노계 [老鷄] | <농업> ▷묵은 닭 | |
| 노고지리 | <행정> ▶ 종달새 | |
| 노골화하다 [露骨化-] | <행정> ▷드러나다 | |
| 노기스 [독.Nonius] | <미술> ▷정밀 재개, 정밀 계기, <행정> ▶ 지름 측정기, 정밀 재개 | |
| 노깡 [土管] | <건설> <미술> <행정> ▶ 토관 | |
| 노내 [爐內] | <행정> ▶ 연소실 내부 | |
| 노다림질 [no -] | <패션> ▷민다림질 | |
| 노동자 [勞動者] | <행정> ▷근로자 | |
| 노루마키 [のるまき] | <생활외> ▶ 위로 말이 | |
| 노룩패스 [no look pass] | <농구> ▶ 감각 연결, 감각 패스 | |
| 노르딕 [독.Nordic] | <스키> ▷북유럽형 경기 | |
| 노르딕 콤바인드 [nordic combined] | <스키> ▷복합 (점수) 경기 | |
| 노르웨이 밴드 [norway band] | <스키> ▶ 방수띠 | |
| 노리 [乘り] | <봉제> ▶ 뒤트기, 뒤트임 | |
| 노리 [のり] | <행정> ▶ 기울기 | |
| 노리마키 [海苔卷, のりまき] | <식생활> ▶ 김밥 | |
| 노리바케 [糊刷毛, のりばけ] | <미술> ▶ 풀귀얄 | |
| 노리비키 [糊引き] | <건설> ▶ 시멘트 풀칠 | |
| 노리지리 [法尻, のりじり] | <건설> ▶ 비탈 끝 | |
| 노리턴 [no return] | <골프> ▶ 중도 포기 | |
| 노마진 [no margin] | <패션> ▷원가 판매 | |
| 노마크 [no mark] | <핸드볼> ▶ 무방비 | |
| 노마크 슛 [no mark shoot] | <핸드볼> ▷무방비 쏘기 | |
| 노마크 찬스 [no mark chance] | <농구> ▶ 단독 기회, 단독 찬스 | |
| 노멀 스탠스 [normal stance] | <야구> ▷정상 (타격) 자세 | |
| 노면 [路面] | <행정> ▷길바닥 | |
| 노면 정지 [路面整地] | <행정> ▶ 길바닥 고르기 | |
| 노목 [老木] | <행정> ▷늙은 나무 | |
| 노미 [鑿, のみ] | <건설> <미술> ▶ 끌, 정 | |
| 노미키리 [鑿切り] | <건설> ▶ 정다듬 | |
| 노미널 포인트 [nominal point] | <전기> ▶ 공칭점(公稱點) | |
| 노바다야키 [爐端燒] | <생활외> ▶ 화로구이 | |
| 노바시 [伸張] | <건설> <봉제> ▶ 늘이기 | |
| 노바이 [no buy] | <행정> ▶ 안 사기 | |
| 노반 [路盤] | <전철> ▷레일 바닥 | |
| 노방 [路傍] | <행정> ▶ 길가 | |
| 노버드 [no bird] | <사격> ▶ 무효 (선언) | |
| 노변 [路邊] | <행정> ▷길가 | |
| 노보리산바시 [上り棧橋] | <건설> ▶ 비계 다리 | |
| 노부치 [野緣, のぶち] | <건설> ▶ 반자틀, 반잣대 | |
| 노브랜드 [no brand] | <언론> ▶ 무상표 ¶콩나물과 달걀도 브랜드(→상표 있는) 상품과 노 브랜드 상품의 구성비가 5:5 정도로…. | |
| 노블레스 오블리주 [프.noblesse oblige] | <언론> ▶ 지도층 의무 ¶지금이야말로 도덕이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조하는 유교적 가치가 이 사회를 구원하는 가치가 될 수 …. | |
| 노상 [路上] | <행정> ▷길바닥, 길(위)에서 | |
| 노세일 [no sale] | <패션> ▶ 비매품, 비할인 판매 | |
| 노숙유충 [老熟幼蟲] | <잠업> ▶ 늙은 애벌레 | |
| 노스모킹 [no smoking] | <생활외> ▶ 금연 | |
| 노스탤지어 [nostalgia] | <언론> <행정> ▷향수(병) ¶그들을 만나 떠들썩하게 해후해 본들 노스탤지어가 사라질까. | |
| 노스텝 슛 [no step shoot] | <핸드볼> ▷바로쏘기 | |
| 노슬리브 [no sleeve] | <패션> ▶ 민소매 | |
| 노슬리브 드레스 [←sleeveless dress] | <언론> ▶ 민소매 (옷) ¶미니스커트와 핫팬츠, 노슬리브 드레스, 화려한 프린트(→무늬) 셔츠 등이 히트 아이템(→인기 품목)이었으며. | |
| 노아이롱 셔츠 [no iron shirt] | <패션> ▷민다림질 셔츠 | |
| 노양 [擄揚] | <행정> ▶ 건져 올리기 | |
| 노역 [勞役] | <행정> ▷품일, 노동 | |
| 노역장 [勞役場] | <행정> ▶ 일터 | |
| 노요 [櫓櫂] | <행정> ▶ 노 | |
| 노웨이스트 드레스 [no waist dress] | <패션> ▷통허리옷 | |
| 노유자 [老幼者] | <행정> ▶ 노인과 어린이 | |
| 노이로제 [독.Neurose] | <행정> ▷신경쇠약 | |
| 노인성 치매 [老人性 癡呆] | <법의학> ▷노인 치매 ※senile dementia | |
| 노임 [勞賃] | <행정> ▷품삯 | |
| 노작 [勞作] | <행정> ▷힘써 일함, 역작 | |
| 노점 [露點] | <임업> ▶ 이슬점 | |
| 노점 [路店] | <행정> ▷거리 가게, 길 가게 | |
| 노정 [路程] | <행정> ▶ 여행 경로, 길순 | |
| 노정 [路頂] | <행정> ▶ 길마루 | |
| 노정되다 [露呈-] | <행정> ▶ 드러나다, 나타나다 | |
| 노즈 [nose] | <골프> ▶ 채머리 끝, <볼링> ▶ 코(치기) | |
| 노즈 스플릿 [nose split] | <볼링> ▶ 코치기 퍼진 핀 | |
| 노즈라 [野面, のづら] | <건설> ▶ 거친 면, 채석면 | |
| 노지 [露地] | <행정> ▶ 한데 | |
| 노지이타 [野地板, のじいた] | <건설> ▶ 지붕널, 바탕널 | |
| 노천 수납장 [露天收納場] | <행정> ▶ 한데서 받는 곳 | |
| 노출 [露出] | <행정> = 드러남/냄 | |
| 노출하다 [露出-] | <행정> = 드러나다/내다 | |
| 노측대 [路側帶] | <행정> ▶ 길 가장자리 (구역) | |
| 노치 [notch] | <봉제> <패션> = 가위집 (내기) | |
| 노치 취급 [notch-] | <행정> ▶ 단 처리 <철도> | |
| 노치 칼라 [notch collar] | <패션> ▷파임깃 | |
| 노코 (기리) [鋸, のこぎり] | <미술> ▶ 톱 | |
| 노코멘트 [no comment] | <생활외> ▷논평 보류 ¶소나기같은 질문을 퍼부었으나 노코멘트로 일관했다. | |
| 노코시 [殘し] | <신문> ▶ 나머지(기사) | |
| 노크하다 [knock-] | <생활외> ▷두드리다 ¶그는 차분히 사무실을 노크했다. | |
| 노키 [軒, のき] | <건설> ▶ 처마 | |
| 노키게타 [軒桁, のきげた] | <건설> ▶ 처마 도리 | |
| 노키다카 [軒高, のきだか] | <건설> ▶ 처마 높이 | |
| 노키덴조 [軒天井, のきでんじょう] | <건설> <행정> ▶ 처마 반자 | |
| 노키도이 [軒桶, のきどい] | <건설> ▶ 처마 홈통 | |
| 노킹 [knocking] | <행정> ▷이상 폭발 | |
| 노탐 [NOTAM] | <행정> ▶ 항공 정보, 비행 정보 | |
| 노태그 [no tag] | <야구> ▷안 닿음 | |
| 노파심 [老婆心] | <행정> ▷염려, 걱정, 쓸데없는 걱정 | |
| 노파킹 [no parking] | <행정> ▶ 차 못 둠, 주차 못함 | |
| 노폐물 [老廢物] | <행정> ▷묵은 찌꺼기 | |
| 노폐우 [老廢牛] | <축산> ▶ 늙은 소 | |
| 노폭 [路幅] | <행정> ▷길폭, 길너비 | |
| 노하우 [know-how] | <생활외> <언론> ▷비결(秘訣), 기술, 비법 ¶이런 점에서 지금은 바로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이다. | |
| 노화 [老化] | <행정> ▷늙기 | |
| 노화묘 [老化苗] | <행정> ▶ 쇤 모 | |
| 노후 건물 [老朽建物] | <행정> ▶ 낡은 건물 | |
| 노후 교실 [老朽敎室] | <행정> ▶ 낡은 교실 | |
| 노후 시설 [老朽施設] | <행정> ▶ 낡은 시설 | |
| 노후 표지판 [老朽標識板] | <행정> ▶ 낡은 표지판 | |
| 노후한 [老朽-] | <행정> ▶ 낡은, 낡아서 못쓰게 된 | |
| 노후화답 [老朽化畓] | <행정> ▶ 헤식은 논 | |
| 노히트 노런 [no hit no run] | <야구> ▶ 무안타 무실점 | |
| 녹다운 [knock down] | <승마> ▶ 떨어짐, 낙하 | |
| 녹변 [綠便] | <축산> ▶ 푸른 똥 | |
| 녹비 [綠肥] | <임업> <행정> ▷풋거름 | |
| 녹비 작물 [綠肥作物] | <행정> ▶ 풋거름 작물 | |
| 녹사료 [綠飼料] | <행정> ▶ 생풀 먹이, 풋먹이 | |
| 녹색조 [綠色調] | <법의학> ▶ 녹색 ※green | |
| 녹아웃 [knock out] | <야구> ▶ 투수 강판 | |
| 녹아웃시키다 [knockout-] | <생활외> ▶ 맥 못 쓰게 하다 ¶김씨는 주먹 한방으로 그 불량배를 녹아웃시켰다. | |
| 녹지대 [綠地帶] | <행정> = 푸른 지대 | |
| 녹지삽 [綠枝揷] | <행정> ▶ 풋가지 꽂이 | |
| 녹지삽목 [綠枝揷木] | <임업> <행정> ▶ 풋가지 꽂이 | |
| 녹취하다 [錄取-] | <행정> ▶ 녹음하다 | |
| 녹태 [綠苔] | <행정> ▶ 푸른 이끼 | |
| 녹화공 [綠化工] | <임업> ▶ 녹화 공사 | |
| 논에이지 패션 [non age fashion] | <패션> ▷전 연령 패션 | |
| 논스톱 [nonstop] | <생활외> ▷안 멈춤 ¶논스톱 버스를 타고 김포 공항에 도착하였다. | |
| 논스톱으로 [nonstop-] | <생활외> ▷멈추지 않고, 곧바로 ¶논스톱으로 뉴욕까지 갑니다. | |
| 논지 [論旨] | <행정> ▷글뜻, 말뜻 | |
| 논픽션 [non-fiction] | <생활외> = 실화 ¶그는 논픽션 드라마 40여 편을 집필하였다. | |
| 놉 얀 [knop yarn] | <패션> ▶ 놉사, 놉실 | |
| 놋그릇장 [鍮器匠] | <민속> ▷유기장 | |
| 놋부 [ノブ, ←knob] | <미술> ▶ 손잡이 | |
| 노치 [notch] | <전철> ▷전환 스위치, 출력 제어기 | |
| 농 [膿] | <법의학> ▷고름, 농 ※pus | |
| 농가 수취 가격 [農家-] | <행정> ▶ 농가 받는 값 | |
| 농목축 [籠目築] | <임업> ▶ 엇모 쌓기 | |
| 농무 현상 [濃霧現象] | <행정> ▷짙은 안개 현상 | |
| 농묵 [濃墨] | <미술> ▷짙은 먹(빛) | |
| 농민 생활도 [耕織圖] | <민속> ▷농촌 생활도, 경직도 | |
| 농번기 [農繁期] | <행정> ▷바쁜 농사철 | |
| 농병 [膿病] | <행정> ▶ 고름병 | |
| 농사 노래 [農謠] | <민속> ▷농요 | |
| 농아자 [聾啞者] | <행정> ▷청각 장애인 | |
| 농양 [膿瘍] | <법의학> ▷고름집 ※abscess | |
| 농적공 [籠積工] | <임업> ▶ 돌망태 쌓기 | |
| 농종 [膿腫] | <축산> ▶ 고름종기 | |
| 농지조성 [農地造成] | <농업> <행정> ▷농지 일구기, 농지 만들기 | |
| 농축과즙 [濃縮果汁] | <식생활> ▷진한 과즙 | |
| 농포 [膿泡] | <축산> ▶ 고름집 | |
| 농후 사료 [濃厚飼料] | <행정> ▶ 기름진 먹이 | |
| 농후하다 [濃厚-] | <행정> = 짙다 | |
| 농흉 [膿胸] | <법의학> ▷가슴 고름집, 농흉 ※pyothorax | |
| 뇌 [蕾] | <임업> ▶ 봉오리 | |
| 뇌격사 [雷擊死] | <법의학> ▶ 벼락 사망, 벼락사 ※death from lightening | |
| 뇌두 [腦頭] | <축산> ▶ 삼머리 | |
| 뇌문 [雷紋] | <미술사> ▷번개무늬 ※a meander, <법의학> ▶ 벼락 자국 ※arborescent burn | |
| 뇌수분 [蕾受粉] | <임업> ▶ 봉오리 가루받이 | |
| 뇌 실질 내출혈 [腦 實質 內出血] | <법의학> ▶ 뇌 내출혈, 뇌 속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 |
| 뇌 임펄스 전압 [腦 impulse 電壓] | <전기> ▶ 뇌 충격 전압(腦衝擊電壓) | |
| 뇌좌상 [腦挫傷] | <법의학> ▶ 뇌멍 ※cerebral contusion | |
| 뇌할제 [瀨割堤] | <임업> ▶ 가름둑 | |
| 뇌 혈관 질환 [腦血管疾患] | <법의학> ▶ 뇌 혈관병 ※cerebrovascular disease | |
| 누 [累] | <행정> ▶ 잘못 | |
| 누가 기록하다 [累加記錄-] | <행정> ▶ 거듭 보태 적다 | |
| 누거 [陋居] | <행정> ▶ 누추한 집 | |
| 누구매기 [淚溝-] | <임업> ▶ 누구막이 | |
| 누구 방지공 [淚溝防止工] | <임업> ▶ 누구막이 | |
| 누금 [鏤金手法] | <고고학> ▷금알갱이 붙이기, 누금수법 ※filigree | |
| 누년 [屢年] | <행정> ▶ 여러 해 | |
| 누노마루타 [布丸太, ぬのまるた] | <건설> ▶ 비계 띠장 | |
| 누노메 [布目, ぬのめ] | <봉제> ▶ 올방향, 천결 | |
| 누노보리 [布掘り, ぬのぼり] | <건설> ▶ 줄기초파기 | |
| 누누이 [累累-] | <행정> ▷여러 번, 여러 차례 | |
| 누드 [nude] | <생활외> ▷알몸, 나체, 맨몸 ¶그는 주로 누드를 찍는다. | |
| 누드 폰 [nude phone] | <언론> ▶ 투명 전화(기) ¶‘사오정 전화기’로 잘 알려진 핸즈프리 미니 전화기 시장에 누드 폰 바람이 일고 있다. | |
| 누락 [漏落] | <행정> ▷빠뜨림 | |
| 누락되다 [漏落-] | <행정> ▷빠지다 | |
| 누락자 [漏落者] | <행정> ▷빠진 사람 | |
| 누락하다 [漏落-] | <금융> ▷빠뜨리다 | |
| 누로 [淚路] | <임업> ▶ 누구(淚溝) | |
| 누로침식 [淚路浸蝕] | <임업> ▶ 누구 침식 | |
| 누를 범하다 [累-] | <행정> ▶ 잘못을 저지르다 | |
| 누리카에 [塗り替え] | <건설> ▶ 개칠 | |
| 누보 레알리슴 [프.nouveau réalisme] | <미술> ▷신사실주의 | |
| 누설하다 [漏泄-] | <행정> ▷새다, 흘리다 | |
| 누수 [漏水] | <행정> ▷새는 물, 물이 샘 | |
| 누수답 [漏水畓] | <행정> ▷시루논 | |
| 누스미토리 [盜み取り] | <생활외> ▶ 몰래 찍기 | |
| 누습 [陋習] | <행정> ▶ 잘못된 풍습, 그릇된 버릇 | |
| 누이도코 [縫い床] | <봉제> ▶ (재봉)틀 받침 | |
| 누이메 [縫目, ぬいめ] | <봉제> ▶ 땀, 박음새 | |
| 누이메조세쓰키 [縫目調節器] | <봉제> ▶ 땀조절기 | |
| 누이센 [縫線, ぬいせん] | <패션> ▶ 솔기선 | |
| 누이시로 [縫代, ぬいしろ] | <봉제> ▶ 시접 | |
| 누일 [累日] | <행정> ▶ 여러 날 | |
| 누입 [累入] | <행정> ▶ 끌어들임 | |
| 누적되다 [累積-] | <행정> = 쌓이다 | |
| 누증 [累增] | <행정> ▶ 점점 늘어남, 점점 쌓임 | |
| 누진 [累進] | <행정> ▷따라 올라감 | |
| 누차 [累次] | <행정> ▷여러 차례, 여러 번 | |
| 누출 [漏出] | <행정> = 새어 나감, 새어 나옴 | |
| 누출하다 [漏出-] | <행정> = 새어 나가다, 새어 나오다 | |
| 누키다이 [拔台, ぬきだい] | <미술> ▶ 깔판 | |
| 눈썹떼공 [-工] | <임업> ▶ 줄떼 다지기, 줄떼 붙이기, 줄떼 심기 | |
| 뉘앙스 [프.nuance] | <생활외> <정치> = 어감, 말맛, 느낌 ¶이것과 저것은 단지 뉘앙스에 있어서만 구별된다. | |
| 뉴 [紐] | <패션> ▶ 끈 | |
| 뉴똥 | <패션> ▶ 명주 | |
| 뉴미디어 [new media] | <생활외> ▷새매체, 신매체 ¶뉴미디어 시대에서 신문은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 |
| 뉴스 [news] | <행정> = 새소식, 소식 | |
| 뉴스레터 [news letter] | <언론> ▷소식지, 회보(會報) ¶지난해 9월부터 뉴스레터를 보내기 시작한 ○○○ 선거 캠프(→임시 진영)의 경우 한번에 발송하는 것만도 8만 통. | |
| 뉴욕 트래디셔널 [New York traditional] | <패션> ▷전통 뉴욕풍 | |
| 뉴 웨이브 패션 [new wave fashion] | <패션> ▷신경향 패션 | |
| 뉴 코미디 [new comedy] | <연극> ▶ 그리스 신희극 | |
| 뉴토라 [ニュㅡトラ] | <패션> ▶ 신 전통풍 | |
| 뉴트라 [neutral line] | <전기> ▷중성선(中性線) | |
| 뉴 트래디셔널 [new traditional] | <패션> ▷신 전통풍 | |
| 뉴트럴 컬러 [neutral color] | <패션> ▶ 중성색, 중간색 | |
| 뉴트럴 톤 [neutral tone] | <패션> ▶ 중성/중간 색조 | |
| 뉴 트렌드 [new trend] | <언론> ▶ 신경향, 새 흐름 ¶외식업은 싼 값·건강 식품이 뉴 트렌드. | |
| 늑간 출혈 [肋間 出血] | <법의학> ▶ 갈비 사이 출혈 ※intercostal hemorrhage | |
| 늑골 [肋骨] | <행정> ▷갈비뼈 | |
| 늑골 골절 [肋骨 骨折] | <법의학> ▶ 갈비뼈 골절 ※rib fracture | |
| 늑막 유착 [肋膜 癒着] | <법의학> ▶ 가슴막 유착 ※pleural adhesion | |
| 능선 [稜線] | <임업> = 산등성(이) | |
| 능화판 [菱化板] | <미술사> ▷마름 꽃무늬판, 능화판 | |
| 능히 [能-] | <행정> = 넉넉히, 거뜬히 | |
| 니기리즈시 [握鮨, にぎりずし] | <식생활> ▶ 생선초밥 | |
| 니들마크 [needle mark] | <봉제> ▶ 바늘자국 | |
| 니렝스 [knee length] | <언론> ▶ 무릎 길이 ¶요즘 서울 신촌이나 청담동 거리에는 흰색 재킷에 검은색 니렝스 스커트, 검은색 패턴 스타킹, ···, <패션> ▶ 무릎길이, 무릎기장 | |
| 니마이 [二枚, にまい] | <건설> ▶ 두장 (쌓기) | |
| 니마이소데 [二枚袖, にまいそで] | <봉제> ▶ 두장 소매 | |
| 니부 [二分, にぶ] | <생활외> ▶ 두푼 | |
| 니부가리 [二分刈, にぶがり] | <생활외> ▶ 이푼깎기, 두푼머리 | |
| 니슨 [二寸, にすん] | <미술> ▶ 두치, 6cm | |
| 니 액션 [knee action] | <골프> ▶ 무릎 동작 | |
| 니어 핀 [near pin] | <골프> ▷깃대 근접 | |
| 니어필드 영역 [near-field region] | <전기> ▷근거리장 영역, 근방 영역(近方領域) | |
| 니우케 [荷受, にうけ] | <행정> ▶ 짐받이 | |
| 니주 [二重, にじゅう] | <생활외> ▶ 깔판 | |
| 니주 (마와시) [二重廻し] | <생활외> ▶ 이중 돌리기 <당구> | |
| 니주 갸쿠아포 [二重逆-, ←독.Apostroph] | <신문> ▶ 뒤 큰따옴표 | |
| 니주 마루 [二重丸] | <신문> ▶ 겹동그라미 | |
| 니주 산가쿠 [二重三角, -さんかく] | <신문> ▶ 겹세모 | |
| 니주 아포 [二重-, 독.-Apostroph] | <신문> ▶ 앞 큰따옴표 | |
| 니주야마 파렌 [二重山-, 독.-Parenthese] | <신문> ▶ 터진 겹세모 | |
| 니주 힛가케 [二重引っ掛け] | <신문> ▶ 겹낫표 | |
| 니즈쿠리 [荷造り] | <건설> <미술> ▶ 짐꾸리기 | |
| 니치 마켓 [niche market] | <언론> ▶ 틈새시장 ¶미쓰비시는 모터쇼를 계기로 니치 마켓 전법으로 공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 |
| 니카와 [膠, にかわ] | <미술> ▶ 갖풀, 아교 | |
| 니커보커즈(←니커즈) [knicker bockers] | <패션> ▷무릎 (조인) 바지 | |
| 니쿠돈부리 [肉丼] | <식생활> ▶ 고기덮밥 | |
| 니쿠우동 [肉饂飩, にくうどん] | <식생활> ▶ 고기국수 | |
| 니터 (←닛타) [ニッタ-, knitter] | <패션> ▶ 편성물 제조업(자) | |
| 니토 [泥土] | <행정> ▶ 진흙, 질흙, 개흙, 갯벌 | |
| 니트 [knit] | <패션> = 편성(물), <행정> ▶ 뜨개, <생활외> ▷뜨개(옷) ¶찬바람에도 포근하게 감싸주는 후드 달린 누빔 점퍼와 니트 바지 | |
| 니트 웨어 [knit wear] | <패션> ▷니트옷 | |
| 니팅 [knitting] | <미술> ▷(대)바늘뜨기, <패션> ▶ 편물, 편직 | |
| 니 팬츠 [knee pants] | <패션> ▶ 무릎 바지 | |
| 니 하이 부츠 [knee high boots] | <패션> ▶ 무릎 장화 | |
| 니 하이 삭스 [knee high socks] | <패션> ▶ 무릎 양말 | |
| 닉네임 [nickname] | <생활외> <언론> ▶ 별명, 별칭, 애칭 ¶키다리라는 닉네임에 걸맞게 그는 농구선수로서 수많은 기록을 남겼다. | |
| 닌진 (←닌징) [人蔘, にんじん] | <식생활> ▶ 당근 | |
| 닐링 [kneeling] | <사격> ▶ 무릎 쏘기/쏴 | |
| 님비 [NIMBY, not in my back yard] | <언론> ▶ 지역 이기주의 ¶민선 지방 자치 시대가 출범한 이후, ‘님비’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갖가지 낭비 요인이 늘어나고 있다. | |
| 닛파 (←니빠) [ニッパ, nipper] | <생활외> ▶ 족집게, 니퍼 | |
| 닛쿠삿쿠 (←릿쿠삿쿠) [リックサック, 독.Rücksack] | <미술> ▶ 배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