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도
국어 분야의 주요 일지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논저 목록
형태론 논저 목록
통사론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화용론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논저 목록
사회 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학 논저 목록
국어 정보학·
사전학
논저 목록
그 외 논저 목록
2.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및 대학원
1.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2. 전국 대학 국어 관련
   대학원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3. 전국 한국어 교육 관련
   기관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국어 관련 학회 및 단체
  Ⅱ.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단행본>

Gail E. Tompkins 저・이재승・김민중・구세민・조지민 역,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이정
Willis J. Edmondson・Juliane House 저・신형욱・이미영 역, 『언어 교수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강여순,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의 설계』, 박이정
교육과학기술부 편, 『국어 수업을 통한 바른 언어 습관 형성 교육 자료 개발 연구 보고서: 2012년 교육과정 개정 후속 지원 연구 위탁과제 답신 보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 과정: 별책 5』,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프로젝트형 인성 교육 교수・학습 모형 및 교재 개발 연구(연구 책임자: 박영민)』,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어 교육과정: 별책 27』,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충청남도교육청,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연구 책임자: 남민우)』, 교육과학기술부・충청남도교육청
국립국어원 기획・권미영・하영우 집필, 『(국립국어원과 함께 하는) 쏙쏙! 국어 교실』(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기획・권순희・신명선・강보선 외 집필, 『(북한 이탈 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 개인 생활 3』(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하우
국립국어원 기획・권순희・신명선・강보선 외 집필, 『(북한 이탈 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 공공 생활 1』(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하우
국립국어원 기획・권순희・신명선・강보선 외 집필, 『(북한 이탈 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 문화 생활 2』(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하우
국립국어원 기획・신명선・권순희・강보선 외,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박이정
국립국어원 기획・이관규・허재영・김유범 외, 『(차곡차곡 익히는) 우리말 우리글 1』(연구 책임자: 정호성・김문오・박미영), 박이정
국립국어원 기획・이관규・허재영・김유범 외, 『(차곡차곡 익히는) 우리말 우리글 2』(연구 책임자: 정호성・김문오・박미영), 박이정
국립국어원, 『국어 능력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연구 책임자: 장소원),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독서와 국어능력 향상: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 특별 과정 교재』(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바른 국어 생활 (교사 직무 연수 교재)』(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바른 국어 생활 (국어문화학교 국어전문교육과정 교재)』(연구 책임자: 정호성・정창엽),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바른 국어 생활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교재)』(연구 책임자: 정호성・정창엽),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북한 이탈 주민 교사 연수 교재: 북한 이탈 주민 언어 적응 지원을 위한』(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북한 이탈 주민 지원 교사 연수 교재: 북한 이탈 주민의 언어 적응 지원을 위한』(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새터민 구어 학습용 교육 자료 개발』(연구 책임자: 권순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제6회 강사 연수회 자료집: 국어문화학교 강사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제7회 강사 연수회 자료집: 국어문화학교 강사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연구 책임자: 정호성・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SBS, 『(청소년을 위한) 바른 국어 생활』(연구 책임자: 박미영), 국립국어원
국봉 편, 『(기초) 아름다운 국어』, 이패스코리아
권순희・김미진・김철희・심지선・안수진・임미성・장용수, 『북한이탈주민 남한 직장 생활 용어집』, 중소기업중앙회
권순희・신명선・강보선・정성훈・김병오・소미영・김미진・장용수・심지선・송민영・임화정・김다은・박진희・차경미・김철희・안수진,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 1』, 하우
권순희・신명선・강보선・정성훈・김병오・소미영・김미진・장용수・심지선・송민영・임화정・김다은・박진희・차경미・김철희・안수진,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 2』, 하우
권순희・신명선・강보선・정성훈・김병오・소미영・김미진・장용수・심지선・송민영・임화정・김다은・박진희・차경미・김철희・안수진,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어휘 3』, 하우
김상규 외, 『승승장구 우리말』, 푸른길
김수업, 『국어교육의 바탕과 속살』,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김슬옹, 『(맥락으로 통합되는)국어교육의 길 찾기』, 동국대학교출판부
김일병 편, 『언어와 교육: 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쟁점과 과제』, 박이정
김혜숙 외, 『문법교육과 텍스트의 만남: 실천적 탐색과 적용』, 동국대학교출판부
노명완・신헌재・박인기・김창원・최영환・원진숙・유동엽・김은성, 『국어교육학개론』, 三知院
류덕제・박창균・윤준채・이수진・진선희, 『초등 국어과 교육론』, 보고사
마이클 머카씨 저・김지홍 역,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 담화・텍스트・화용 연구』, 경진
박영목, 『국어과 교육과정론』, 강현출판사
송원영 편, 『(송원영의) 국어교육론』, 열린교육
신명선・권순희・강보선・양수경・정성훈・정호성・남건우,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신지영・정명숙・황화상・도원영・김원경・한정한・김의수・변정민・유혜원・최경봉,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지식과 교양
신호철, 『국어교육을 위한 연계성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왕문용, 『국어 문법교육론의 과제』, 한국문화사
유인순 외, 『국어교육의 탐구』, 역락
이동훈, 『(글쓰기 상상력을 깨우는) 톡톡 감성충전소: 글쓰기 상상력을 깨우는 ‘감성 문학 교육’』, 어문학사
이병찬, 『고전문학 교육의 이해와 실제』, 박이정
이영호, 『국어교과 논술교육론』, 월인
임명숙, 『읽기와 쓰기 사이의 시학: 문학과 문학교육의 지평』, 한국학술정보
장은숙, 『(신나게 놀고 쉽게 공부하는) 교과서 문학 기행: 현직 국어교사 짱아샘과 함께 떠나는 중고생 필수 여행 코스』, 소란: 케이앤피북스
장혜영, 『발표와 토의: 분석적 듣기와 비판적 말하기를 위한 이론과 실습』, 커뮤니케이션북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국어교육분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최미숙・원진숙・정혜승・김봉순・이경화・전은주・정현선・주세형, 『국어 교육의 이해: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편, 『멀티미디어 언어 교육 총서 Volumes 3・4』, 북코리아
한철우・천경록・김명순・박영민・이재기・최숙기・가경신・최병흔・홍인선・이재형, 『국어 교육 연구 방법론』, 박이정
황경수・최태호・박종호, 『(대학인의 글쓰기를 위한) 문식력과 문장력』, 청운

<학위 논문>

강대선, <라디오 매체 언어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듣기・말하기 영역의 교수・학습을 위하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강명자, <수준별 창의적 국어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전주대학교 대학원(박사)
강병규, <비디오피드백 기법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말하기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
강부성, <문학 반응 활성화를 위한 문학 읽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강아연, <읽기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설명적 텍스트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강여순, <교사 수준 문법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박사)
강하나,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교과서 실행 연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7-말-(1) 소개하기’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
강혜경, <중학생 말하기 과제 연속물의 계발과 수행 사례 분석: 정보 전달용 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고병국, <읽기・쓰기 통합 지도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고선해, <상보적 교수법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읽기 전략 활용과 자기 효능감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석사)
고세현, <반성적 쓰기 활동을 통한 쓰기-상위 인지 능력 신장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고영진, <중등학교 자기 소개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고은영,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의 효과 비교 연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고은정,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공윤희, <상황 학습을 통한 문법교육 연구: ‘사동・피동 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곽새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준별 말하기 교육의 유창성 및 이야기 구성력 향상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곽선희, <초등학교 5학년 읽기・쓰기 수업에서 동료 학습자의 교수 과정에서의 참여가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곽예슬, <소설교육에서 갈등을 중심으로 한 학습 방안 연구: 2007 개정 국어과 7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관건, <읽기・쓰기 통합 활동을 통한 작문 수업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석사)
구모선, <협상활동이 화법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권보미, <토의를 활용한 비평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생태학적 국어교육관에 의한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권용희,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이론 수용 양상 연구: 역사적 전개와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권태임, <‘문장의 짜임’에 대한 지도 방안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경미, <공익광고의 초등 국어과 교재 변용 연구: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기훈, <문법 인식 고양(高揚)을 위한 용언 활용(活用)의 교수・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김나령, <기사문 쓰기 자료를 통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어교육의 기능 영역 통합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다혜, <작중 인물의 유년기를 토대로 한 소설의 이해와 교육: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다희, <독서일지 쓰기를 활용한 문학 반응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도혁, <국어사 교육 내용과 제재에 대한 연구: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김동철, <장르 중심 접근에 기반한 내용교과 쓰기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미미, <국어 교육을 위한 한글 子母字 체제의 음운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김민정, <현대 소설 텍스트 속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고등학교 8차 개정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 소설 작품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민지, <검인정 교과서의 국어사 단원 비교 연구: 고등학교 1학년《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민회, <자기 주도적 읽기 학습을 위한 읽기 교과서 학습 보조 장치 개선 방안 연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보람, <자국어 교육과정 국제 현황과 핵심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 통합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서연, <교과서 분석을 통한 ‘관용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7학년 국어 검인정 교과서 ‘관용 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선미, <학교문법의 ‘문장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제7차 교육과정의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선희, <문법 영역의 창의력 신장 교육 방안 연구: 7학년 국어와 생활국어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선희, <배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문법 수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세현, <초등 국어과 문법 관련 학습의 탐구 경험 활성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송이, <소집단 토의・토론을 활용한 쓰기 지도 연구: 중학교 2학년 국어 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수라, <새터민을 위한 장소별 학습어휘 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수연, <<청산별곡> 교수법 연구: 10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수연, <사회적 소통을 활용한 문학 교육 방안 연구: 반영론적 관점의 작품 읽기와 설득하는 글쓰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수진, <중학교 국어과 문법 교육 내용 비교 연구: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연욱, <고유어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국어과 문법 영역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영식, <국어과 의사소통 불안 해소를 위한 교육 내용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옥, <한국어 환유 표현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은미, <2007년 개정 10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단원 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은정, <읽기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의 시어와 이미지 분석 및 지도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은정, <중학교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과 교과서 활용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은하, <비판적 읽기 전략을 활용한 광고 텍스트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의진, <국어사 관련 단원의 구성 방식과 내용 분석 연구: 2007 교육과정의 10학년 국어 교과서 16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인성, <컴퓨터 게임 제작 활동을 통한 국어과 쓰기 교육의 창의성 신장 효과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재홍, <논설문 쓰기 수업에서의 교사의 비계설정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정, <설명문 쓰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텍스트 특성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정연, <설득적 텍스트 쓰기 교육 연구: 논증 구조의 고쳐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주식,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국어 교육의 기능 영역 통합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주영, <초등교사의 ‘국어수업 어려움’ 인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
김주현, <2007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의 쓰기 과제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주현,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반성적 글쓰기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주희, <문학 토의를 통한 그림동화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지현,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활용한 국어과 교과교실제 수업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진아, <한자 어휘의 교수・학습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진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서사문학 작품 수록 양상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태경, <비지류(碑誌類) 산문을 활용한 전기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김태호,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구현을 위한 현대소설 제재 활용 양상 연구: 고등학교 검정 16종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현숙,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Ⅰ・Ⅱ’ 교과서 분석: 토론 단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혜민, <국어과 문법 교육 공통-심화 과정의 내용 연계 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효정, <안도현 시의 위계적 교재화 연구: 2009 개정 중등 검정 국어 교과서를 기준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희재, <학교문법의 시제 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석사)
나미경, <자음 체계표를 활용한 비음화・유음화 현상의 원리 지도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나영은, <변별적 자질을 활용한 국어 음운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나정희,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작품의 현황 및 적절성 분석: 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나현경, <박지원 산문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에 실린 작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남건우, <문법지식과 장르지식을 통합한 문법교육 내용 연구: 신문텍스트 속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남은희, <중학교 국어과 읽기 영역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나타난 읽기 태도 연구: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
노금효, <성장소설의 과정 중심 읽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현덕의「나비를 잡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류해리, <중학교 국어 교과서 학습활동 분석: 7학년 개정교과서에 수록된 성장소설 단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류희주, <분리적 형태 초점 접근법과 통합적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접목한 ‘ㅂ’ 불규칙과 ‘으’ 불규칙의 단계적 교육 방법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맹지애, <메타시를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지도방안>,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문광진,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구성 요인 및 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박사)
문수연, <설명문 쓰기 워크숍을 통한 정보문식성 신장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문영은,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 내용 연구: 연설 텍스트의 이중 부정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
문지원,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재구성 연구: 고등학교「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문진명, <국어생활사 자료 선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문혜진, <논설문 쓰기에서의 근거 생성 전략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민순기, <신어의 형성 양상과 학습 지도 방안>,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광근, <읽기 후 쓰기 활동 교육 방안 연구: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보람, <2011년 도입 10학년 국어 교과서의 극문학 수록 양상과 작품에 대한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상연, <사고 구술 프로토콜을 이용한 문제 해결 과정 분석: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선아,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비교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선희,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찬반 토론식 수업 방안>,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세정, <논설문과 서사문에 대한 국어교사의 논평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소영, <자기 주도적 독서를 위한 서평 읽기 교육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송희, <통합학급 청각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육과정 지원에 관한 질적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석사)
박승만, <정선아리랑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박사)
박양희, <質問을 통한 童話 함께 읽기와 語彙能力이 幼稚園 兒童의 語彙學習에 미치는 效果>, 慶尙大學校 大學院(석사)
박영각, <중학교 국어과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인물 현실화 기법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영자,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필 읽기 독서 워크숍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유나, <읽기 기능의 효율적 교육을 위한 평가 영역과 평가 기준 설정: 중등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유연, <과정-장르 통합을 통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윤조, <총체적 국어교육을 위한 서법 교육의 교수・학습 적용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은진, <텍스트의 논리를 중심으로 한 서사 읽기 교육 연구: 기이담(奇異譚)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인진,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재열, <교과서 문법 영역의 단원 구성에 관한 연구: 7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정식,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 양상 비교 및 개선 방안 연구: 2007년 개정 교육과정 10학년 문학 영역에 따른 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정원, <고등학생 읽기 동기와 읽기 성취도의 상관관계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종미, <문법 능력과 쓰기 능력의 상관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지영,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중학교 2학년 1학기 문학 단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박지혜, <자기성장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한남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초희, <초등 새내기 교사의 국어 수업 곤란과 대응 양상 연구: 관찰 및 면담 방법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배재훈, <북한이탈학생의 국어 사용능력 신장에 대한 연구: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백은혜,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성취기준과 학습활동의 상관성 연구: 검정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백정기,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쓰기 영역의 국어과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백지연, <독해점검전략의 활용이 비판적 읽기능력, 읽기효능감, 읽기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백지은, <학교 문법의 띄어쓰기 교육 방안 연구: 보조용언 “하다”를 기준으로 한 띄어쓰기>,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서윤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와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 유치원교육과정 언어생활의 연계성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서정현, <현대시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2007 개정 교육과정 10학년 국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서준교, <시험이 논증적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서효현, <시간 표현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석정훈,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의 극문학 장르 출제경향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석혜림, <황순원 소설의 국어교육적 의의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성승희, <연암 소설을 활용한 풍자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양반전>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성지현, <개정7차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검정 국어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10학년 문학영역 현대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성현영, <통합적 문법 교육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독서와 문법 I, II’ 과목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성현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문법 문항 분석과 개선 방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성효진, <건의문 쓰기 교육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소지영, <문화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설계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손경화, <국어・문학 교과서의 현대 가족소설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손동주, <이규보의 ‘說’ 교육 방안 연구: 읽기・쓰기 통합 지도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송민경, <오감체험을 통한 동시 쓰기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송택경, <학교 문법의 사동 표현 교육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독서와 문법』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신가영, <설득글과 설명글 쓰기 능력 발달>,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석사)
신미선, <국어문법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매체언어 활용 방안 연구: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신미애, <국어 교과서 제재를 이용한 미디어 문식성 능력 육성 방안: 7, 8학년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신범숙, <한국어 거절 화행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신병문,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국어」과목 10학년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박사)
신온누리, <컴퓨터 작문의 쓰기 막힘 현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신정분,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독서 프로그램이 논술문 쓰기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신주리, <초등학생의 단계적 작문활동 수행에 드러난 글쓰기 과정의 문제점 연구: ‘내용조직하기’와 ‘표현하기’ 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신혜령,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심옥례, <탈북학생의 국어 수업 참여 양상과 국어 수업 곤란 요인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심유나, <고쳐쓰기에 대한 초등 교사와 초등학생의 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안재환, <플랜더스 언어 상호작용 유형을 활용한 고등학교 국어 교과 우수 수업 분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안종금, <중학생 듣기 학습활동의 분석 및 개선책>,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안혜령,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 분석: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안홍, <初等學校 敎科書에서의 漢字 倂記의 效用性 硏究: 4・5・6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양경희,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독자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박사)
양주훈, <쓰기 평가에서의 표준 평가 예시문 활용 효과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양혜숙, <협동 작문을 통한 문학 비평문 쓰기 전략 연구: ‘경설’을 읽고 비평문 쓰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여상윤, <논증 텍스트 쓰기 교육에서 독자 고려 전략 활용 연구: 반증 구조 및 독자 고려 표지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오미숙,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문법 내용 분석 및 교수-학습 방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오형정,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오희윤, <화법능력신장을 위한 고등학교「토론」지도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우정식, <脫北 靑少年을 위한 國語科 敎育課程 開發 方案에 대한 硏究: 代案學校 次元에서 高等 學習者를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유이슬,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유재정, <전쟁 제재 소설 연구: 2007 개정 교육과정 7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육미경, <‘놀이터’와 ‘우리말 꾸러미’를 활용한 어휘 지도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윤미경,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어휘지도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윤미진, <효율적인 교사 화법의 전략 방안 연구: 방송 진행자의 말하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윤정훈, <9학년 국어과 교과서 수록 소설의 주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윤준식, <고전문학 작품을 통한 중세국어의 통합적 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윤천탁,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국어 어휘 교육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박사)
윤혜성,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쓰기 문항 분석 연구: 『작문』과목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강복, <국어과 읽기 텍스트 유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석사)
이경숙, <소집단 활동을 통한 국어 교육 방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고운,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제재 분석 연구: 문학 제재와 비문학 제재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기연, <국어 어휘 평가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이미소, <국어 높임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미애, <배경지식 활성화 전략을 적용한 중학교 국어과 읽기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미현, <패러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과 실제: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민아, <의식상승 활동이 조건 연결어미 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 ‘-면, -어야, -거든’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민지,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시 단원 연구: 개정7차 8학년 국어 교과서의 단원 구성과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보라,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동화 읽기 지도 방안 연구: 주제 중심 읽기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새봄, <중세국어 문법교육의 지도 방안 연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선명,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 분석: 고등학교 교과서 시 영역 학습활동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설희, <중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수필 작품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 수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성순, <언간(諺簡)을 활용한 국어사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수나, <텍스트 유형별 쓰기 수행의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수진, <2008・2011년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수진, <국어교사전문성 측면에서의 중등 1급 정교사 자격연수 프로그램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수현, <건의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아령, <전략적 접근법을 활용한 받아쓰기 교재 구성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연숙,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광고 설득 전략의 활용 실태 연구: 7학년 국어 교과서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영래, <장르별 쓰기 부진 텍스트의 유형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원희, <문학교육을 위한 교과서 삽화 활용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교과서 <소나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유경,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 및 읽기 성취 차이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유진, <사잇소리 교육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 연구: 2007 개정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윤란, <공감적 듣기 지도를 통한 학생 소집단 대화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윤복, <중등 국어 검정 교과서 집필 과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은영, <교과간 통합을 통한 시조 창작 지도 방안 연구: 5학년 국어과와 사회과와의 통합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재은, <국어과 어휘 교육과정 모형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재형,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박사)
이정민, <탐구 학습을 통한 사이시옷 표기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주민, <장르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설득 텍스트 쓰기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지영, <쓰기 평가 준거 상세화가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지은,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통합성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지은, <드라마 활동을 활용한 배려적 화법 지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진호, <신문텍스트 기반 보조용언 교육 내용 연구: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고 있-’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찬희, <고백적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박사)
이창현, <라디오 매체 언어를 활용한 화법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8학년 교과서를 바탕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현미, <동화 다시 쓰기 수업모형 개발: 초등학교 국어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혜우, <자기소개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 말하기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혜정, <고등학교 화법 교재 구성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이효진, <고등학생의 서평쓰기 양상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
이희영, <서평텍스트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 방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임경미,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화법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임미성, <아동독자의 읽기 전략과 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박사)
임미진,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임정현, <미술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과 국어 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임태훈,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10학년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임택균, <대중의 암묵적 지식에 근거한 화법 교육 내용의 재구조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박사)
장경주, <이미지 활용을 통한 백석 시 교육 방안 연구: 중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장보람, <학습일지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습 양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장샛별, <대학 입시 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에 출제 된 현대시의 성향 분석과 문항 대처방안: 2006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에서 본 지문으로 출제 된 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장세정, <초등학교 시조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석사)
장수정, <유추에 의한 국어 단어 형성의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장우선, <유음화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연구: 유음화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장은주, <시간차에 따른 고쳐쓰기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장이,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장한님, <새터민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전수연, <2009 개정 국어 교과서 학습활동 연구: 10학년 현대소설 단원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전은주,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소설의 현황에 관한 연구: 2007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 소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전지은, <‘생활국어’ 교과서의 유용성 제고 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대영, <자전적 서사의 반성적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정미경, <자기 평가 전략을 활용한 수정하기가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박사)
정미진, <논쟁 토론 활동이 논술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미하, <설명하는 글의 문단 쓰기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수준별 지원과 학생 반응 양상 연구: 5학년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민용, <고등학교 국어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춘향전>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세진, <생각틀(thinking maps)을 활용한 읽기 쓰기 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의 설명적 텍스트 지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영빈, <문법 영역 음운 단원의 내용 구성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윤경, <국어과 중학교 1학년 매체 활용 교육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은아, <국어 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외국의 자국어 교육을 참고하여>,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
정인자,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별・학년・학습지 유무에 따른 쓰기오류유형 분석 및 쓰기발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재영, <비인가 도시형 대안학교 교육과정 연구: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지현, <국어과 탐구 학습을 통한 탐구적 지식의 형성 단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정진아,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
정필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漢字語 분석을 통한 漢字 교육: 6학년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혜름,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교육 요소 변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혜실, <교과 통합적 국어 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혜인,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 교육의 내용 구성 원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혜정,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 영역 통합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효진, <공감을 통한 서사문학 읽기 교육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희철,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서 교과서 활용 방안 연구: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제은진, <중학생의 논평 활동이 지식 생성과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조동영, <인지적 도제이론 기반 NIE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중학생 기사문 쓰기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석사)
조숙영, <국어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한 교사의 문법 용어 사용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조용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전략 지도에 나타난 비계설정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조현종, <단원 중심의 국어과 수업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지제현, <자기 주도 학습을 위한 과정 중심의 논술교육 방안 연구: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9학년 교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진경아, <中學生의 文解環境과 읽기動機의 關係>,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채아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2007 개정 8학년 교과서 말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최나영,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을 위한 7학년 국어 교과서 제재 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최미영, <정서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초등 6학년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석사)
최민영, <내용교수지식(PCK)에 기반한 국어과 수업 분석 연구: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최민화,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통한 초등저학년의 학년별 조사산출 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석사)
최병철, <중학교 생활 국어 교과서의 시 단원 학습활동 분석: 2007년 개정 중학교 7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최상희,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 지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최소영,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해학습과 적용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최슬기, <음운 탐구 학습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최영선, <고등학교 『국어』 가사 단원의 재구성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최지선, <국어 교사의 문학 텍스트 기반 어휘 교수 전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푸나런, <유아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실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하지은, <판소리계 작품의 학습활동 문항에 대한 분석과 개선 방안: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0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한정은, <언어 화석의 국어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한창석,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의 특성과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
한초롱, <전통 글쓰기를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조선시대의 策問과 對策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형주연, <『독서와 문법 I・II』문법 영역의 교육과정 구현 양상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홍승희, <비언어적 표현 교육의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석사)
홍영선, <문학 비평 교육의 쓰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愚夫歌>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홍은영, <직업문식성의 향상을 위한 전문계 고등학교 국어 교육: 미용계열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홍정민, <국어과 기사문 교육 내용 연구: 2007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황선경, <중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 소설 제재 단원 구성의 비교 연구: 「소나기」,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황영미,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연구: 3학년 교과서의 고전문학 갈래별 분석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황윤정, <웹기반 쓰기전략 지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온라인마케팅 담당자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황인정, <소설 읽기 부진의 양상과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
황정화, <국어 교과서의 시점 교육에 관한 연구: 개정 교육과정의 중2 교과서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미영, ““쓰기적 사고력”에 관한 연구 1: 통합 인지적 관점을 기반으로”,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강석, “시교육 정전 체계의 양상과 대안”,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강연임・최혜진・신지연, “대학국어 읽기자료의 국어교재화 방안과 학습전략”, 어문연구 71, 어문연구학회
강진우, “희곡교육에서의 극 능력과 성취기준 설정: 희곡문학의 연극성과 공연성 교육을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강호연, 오현아, “현대 교육과정기 말하기 교육 변천사”, 언어학연구 25, 한국중원언어학회
고성순・이성원, “핵심단어법, 정의제시법, 반복지도법이 어휘 장기기억에 미치는 효과”, 중등교육연구 24, 경상대학교교육연구원 중등교육연구센터
고용우, “소설 교육 왜 실천하기 어려운가?”,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고정희, “고전시가 율격의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연구 2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정희, “배경지식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연구: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고춘화, “고립을 통한 모색: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의 역할”, 배달말교육 33, 배달말교육학회
고춘화, “의미 속성을 중심으로 한 명사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고춘화, “이야기 생성과 표현을 통한 문법 수업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구성진・배정옥, “지문먼저 읽기와 문제먼저 읽기 전략 차이가 읽기시험 수행에 미치는 영향”, 언어과학연구 61, 언어과학회
구영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학년군 도입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구영산, “교훈 생산의 글쓰기 행위에서 일어나는 “상위 욕구”와 필자의 정체성 사이의 관계: 임길택 동화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구영산, “국어수업을 통한 현실 인식의 과정과 의미”,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구자황, “대학 글쓰기 교재의 구성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74, 어문연구학회
권순희, “대화 분석으로 살펴본 거시적 교육 환경 구축과 화법 태도 교육의 필요성”,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권태현, “고등학생의 쓰기 효능감과 서술형 및 논술형 평가 결과의 상관관계: 고등학교 2학년 문학 과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권태현, “쓰기 채점 방식에 따른 국어교사의 채점 신뢰도 비교 연구: 고등학생의 비평문 채점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8-3, 한국교원대 교원연구원
金明順, 朴東珍, “예시문의 기능과 텍스트적 특성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4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경남, “고전 독서에 대한 연구 경향과 고전 교육 연구가 나아갈 길”, 한국민족문화 4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김경남, “대학의 글쓰기에서 학문적 글쓰기 교과의 위상”, 한국언어문학 81, 한국언어문학회
김경남, “초등 국어 교과서의 서사 텍스트 분포와 변화 연구”, 어문학 117, 한국어문학회
김경남, “초등 국어 교과서의 역사 인물 선정과 텍스트 유형 및 학습 내용 변화 연구”,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김경주, “국어과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보는 국어 교사의 수업 행위와 그 의미”,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김규훈, “문법교육의 생태학적 평가 방안 연구: 텍스트와 맥락을 활용한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김규훈,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텍스트 중심성 원리의 해석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김남연, “언어와 이미지: 말하는 교수, 보는 학생”, 인문언어 14-1, 국제언어인문학회
김남희,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김도남, “초등학교 중학년 문식성 평가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동환, “비 동시대적 소설 텍스트의 독서교육”,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김동환, “언어와 문화와 문학교육의 상호성”,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김라연, “설득적 텍스트의 읽기 전략 활용 분석 연구”, 우리말글 54, 우리말글학회
김명석, “소설 교육과 독자의 내면화과정 연구”,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김명순, “학교 독서운동과 독서교육”,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김명순・박동진, “예시문의 기능과 텍스트적 특성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40-2, 어문교육연구회
김명순・변혜경, “고등학생의 읽기 문항 독해에 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김명순・변혜경, “미시적 읽기의 개념화와 교육적 함의”,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김명옥・강현석,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과 수업 목표 분석”, 교육과정연구 30-1, 한국교육과정학회
김미미, “어휘사 연구를 활용한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태도 교육: 표준 어휘 “벌레[충(蟲)]”와 그 방언 어휘들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31, 우리말학회
김미향, “백워드 모형을 적용한 수업 설계 연구”,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김미혜, “백석 동화시의 장르적 특질과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39, 한국문학교육학회
김병구, “교육토론의 내적 원리 연구: 교육토론 모형을 활용한 대학 토론 교육의 구조화 방안을 중심으로”, 시학과 언어학 22, 시학과 언어학회
김병길, “대학글쓰기 교육과 인문학 지평의 확장: 숙명여자대학교 글쓰기 교육사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김병수, “수업 사례 공모전에 응모한 자기 수업이야기 탐구: 국어과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병수, “초등교사의 국어 수업에 대한 교육생애사 이야기”,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김보경, “화법강좌 수강 전후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도시인문학연구 4-1,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김봉국, “초등학교 교재에 나타난 동음이의어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어문학교육 45, 한국어문교육학회
김봉순, “읽기교육을 위한 어휘지도의 방향”,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김상욱, “문학교육, 도약을 위한 성찰: “삶, 생활을 위한”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상진, “시조 텍스트를 이용한 글쓰기 협력학습 전략”, 한국언어문화 49, 한국언어문화학회
김상한, “이야기 바꾸어 쓰기를 통한 서사능력 향상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서윤, “재기(齋記)의 글쓰기 방식과 교육적 활용 방안”, 국어교육연구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김성진,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변화상과 이후의 과제”,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김성진, “사범대 국어교육과의 미래와 전공 교육 과정”,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김성철,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방법과 운영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4, 우리어문학회
김성희, “생태학의 관점에 따른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김성희・김혜숙, “매체 생태학의 관점을 반영한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내용 연구”,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세현, “초등 국어과 문법 관련 학습의 탐구 경험 활성화 방안”, 초등국어교육 20,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김수업, “삶을 위한 이야기 교육의 뜻”,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김수정, 서종학, “중등교과서의 대명사 관련 교육내용 분석 연구”,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김순규, “초등학생들의 서사 표현의 양상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53,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김시정・이삼형,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김억조, “2009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편찬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김영란・김인숙, “국어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문항 개선 방안 연구: 2008∼2010년 검사지의 타당도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김영민,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바리공주>巫歌의 교육적 의의 지도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학 82, 한국언어문학회
김영철・지현배, “글쓰기에서의 내용 생성하기와 그 첨삭 사례”, 인문학연구 22, 경희대 인문학연구원
김옥영,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옥희・임성규, “창의적 조직하기를 활용한 고쳐쓰기 능력 신장”, 초등교육연구 27-1, 광주교대 초등교육연구원
김유미, “텍스트 선정이 비판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김유미, “평가분석을 통한 프레젠테이션 주제 교육방법론”, 우리어문연구 44, 우리어문학회
김유정, “장르-텍스트-문법 연결 모형 연구: ‘-(으)ㅁ’, ‘-기’, ‘(으)ㄹ 것’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65,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김윤정, “중학교 국어 교과에서 수록된 분단 소설 지도방안”, 배달말교육 32, 배달말교육학회
김은성,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은성,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문법교육 16, 한국문법교육학회
김은성, “초등 문법과 태도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은정, “시 감상 수업에서 교사 발문 양상 연구”,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김은정, “중학교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과 교과서 활용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교육과학연구 18, 신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김재춘, 김비아, “들뢰즈의 기호론에 따른 문학교육 방법 탐색”, 인문연구 64,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김정란, “화법과 작문 과목에서 서사화 활용 방안: 화법과 작문 영역 간 통합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1, 한국화법학회
김정란・이상구, “국어과 내러티브 교수 학습 적용 방안: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배달말 51, 배달말학회
김정우, “시 수용 능력 평가 문항 분석 연구: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김정자, “교사의 필자 정체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김정현, “대학진학 평가자 관점에서 본 자기소개서 쓰기”, 배달말교육 33, 배달말교육학회
김종률, “국어과 통합교육 개선 방안 연구: 텍스트 수용-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종률, “시각 자료 “해석”의 국어학적 의미 고찰: 사고의 측면에서”,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종률, “시각 자료를 활용한 언어사용의 교육내용 조직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김종률, “자기소개서 쓰기교육의 활동 방향 연구: 평가 항목과 평가 요소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김종률, “작문 ‘텍스트 분류’ 방안 연구”, 어문학 115, 한국어문학회
김종률, “작문 ‘텍스트 분류’ 방안 연구”, 어문학 115, 한국어문학회
김종영・김철수,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의 어휘 통계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한국콘텐츠학회
김종현,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담화 개념의 위상”,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김종현, “문법 교과서 이야기 단원에 대하여”,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김주식, “환유의 언어 교육적 함축 연구”, 언어과학연구 60, 언어과학회
김주영, “초등교사의 “국어 수업 어려움” 유형에 따른 교사교육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김주환,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1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주환, “고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토의 학습의 효과”,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김준형, “문화 환경의 변화와 고전문학교육”, 어문학교육 44, 한국어문교육학회
김준희, “텍스트의 이해 방법 및 요약의 과정 연구”, 한국언어문학 81, 한국언어문학회
김중신,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논의 과정의 향방”,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김중신,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연구와 실제: 학술지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김지은, “읽기 교과서의 설명 텍스트 난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지현・전은주, “고등학교 토론 단원 교수・학습의 비판적 분석”, 교사교육연구 51-2,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김지혜, “예체능계열의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가천대학교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4, 우리어문학회
김진석・설덕종, “소설교육과 시간: 모더니즘소설의 시간의식과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교육발전 31-1,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김진희, “‘한글 창제의 원리’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김진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중세 국어 단원 고찰”, 문법교육 17, 한국문법교육학회
김진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 수록 서사 문학작품의 범주별 분포 및 특징”,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김창원, “고등학교 어휘교육의 위상과 어휘교육론의 과제”,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김창원,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 (2): 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쟁점과 그 해소”,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김창원, 장선영, 남민우, “2011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김태호, “역사동화의 서사적 특성과 서사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평원, “국어과 고교-대학 연계 교육 연구: 고교 <화법>과 대학 <교양 화법>의 면접 수업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1, 한국화법학회
김한샘, “국어 보조 용언 교육 연구”, 반교어문연구 33, 반교어문학회
김한샘, “어휘 교육을 위한 사용 어휘 분석 연구: 초등학생 작문 어휘 조사를 기반으로”, 겨레어문학 48, 겨레어문학회
김현수, “시 리듬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리듬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김현정,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김현진, “속독 훈련이 읽기 속도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중언어학 48, 이중언어학회
김혜경・김차종, “이공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방안 연구”, 어문연구 74, 어문연구학회
김혜련, “‘역할 토론’을 활용한 토론 지도 방법”, 돈암어문학 25, 돈암어문학회
김혜선, “장르의 작문 교육과정 실행 방안”,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김혜숙,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다문화 사회의 통합형 문법교육을 위하여”,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김혜영, “대학 글쓰기에 나타난 연결성 문제”,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김혜영, “영상 매체를 활용한 논술 교육 방안 연구”, 영남국어교육 13,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김훈기, “대학 전공에 따른 국어 능력의 요구: 이공계 글쓰기 및 공학 인증 분석”,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나경수・이은민, “「어부사시사」의 문학 교육적 문제와 해결 방안”,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나영은, “중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한국언어문학 80, 한국언어문학회
나은미, “대학 신입생을 위한 성찰과 설계를 위한 쓰기 교육의 한 방법”, 작문연구 16, 한국작문학회
나은미, “대학에서의 면접 교육의 방향 및 지도 방법”, 화법연구 21, 한국화법학회
나은미, “장르의 전형성과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한 방향”,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남가영, “문법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 57, 한국어학회
남민우, “국어과 평가 체제의 재구성과 국어교육의 미래”,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남민우, “초・중・고 학생들의 문법 능력과 문법 교육: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남민우・최숙기,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 조사 연구”,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남진숙, “이공계 글쓰기 “팀티칭 수업”(Team teaching)의 효과적 방법 및 그 실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노명완, “[기획 논문: 독서와 작문의 통합적 전망] 독서와 작문: 그 개념의 변천과 지도 방법에의 시사점”,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노은희・서현석, “국어과 중심의 교과 간 통합에 대한 일고찰”,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노은희・최숙기・최영인,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 말하기” 영역에 대한 비판적 고찰: 내용 성취기준의 현장적합성 조사를 기반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노철, “문학사에서 우의적 서사의 문학 교육적 가치”,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노철, “서사의 인과적 구성과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홍길동전」 읽기 방법”,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동동, “쓰기 개인면담의 담화 특징과 효과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9,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류성기, “교사의 경험론적 판단에 근거한 초등학생 단계적 토론 능력”,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류성기, “초등 국어 교육에서의 단계적 토론 교육 방법”,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류수열, “고령 사회 친화적 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李定喜, “人文社會系列 專攻者를 위한 대학 입학 전후 學問 目的 韓國語敎育課程 模型 開發”, 어문연구 40-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마운용, “소설 읽기 교육의 줄거리 제시 방안 연구: 질적 축약을 통한 텍스트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모영화, “인문계고등학교 글엮기교육 현장연구”, 배달말교육 32, 배달말교육학회
민병곤, “‘화법과 작문’ 과목의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작문연구 16, 한국작문학회
민재원, “시 교육에서의 함축성 개념에 대한 고찰: 백석 시어의 의미 축적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민재원, “시 읽기에서의 정서 형성 교육 연구 시론(試論)”,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민재원・김창원, “국가 교육과정의 시행과 현대시교육의 구도: 1, 2차 교육과정기 중등 현대시교육의 방향”, 문학교육학 37, 한국문학교육학회
민현식,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국어과 교육”,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박기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7, 한국문학교육학회
박기범, “공선옥의 청소년 소설에서 발견되는 교육적 가치”,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박동진, “2011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조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박명수, “새 교과서의 극 텍스트와 스토리텔링의 극 텍스트 교육”, 배달말 51, 배달말학회
박미설,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의 장르 분석적 연구”, 한국말글학 29, 한국말글학회
박상민・최선경,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 연구”, 작문연구 16, 한국작문학회
박선희, “찬반 토론식 수업의 실천 방안”, 배달말교육 33, 배달말교육학회
박수자, “기행문 제재의 교육적 가치와 기능에 관한 고찰”, 어문학교육 44, 한국어문교육학회
박수자, “초등 국어과 읽기 교과서 개발의 과제”,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박순원, “자기 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방법 연구: 자기 소개서 작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박시은, “한국어 문법 교수법으로서 상호 보완식 접근법의 재해석”, 문법교육 16, 한국문법교육학회
박안수,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박안토니나, “우즈베키스탄의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박영민,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 용어의 문제 분석과 대안”, 작문연구 16, 한국작문학회
박영민, “쓰기 치료를 위한 개인적 서사문 중심의 자기표현적 글쓰기 활동”, 한어문교육 27,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박영민, “쓰기 평가 지식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박영민, “예비국어교사의 중학생 논설문 평가에서 발견되는 엄격성 및 일관성의 특성”,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박영민, “초등국어교육에서 쓰기태도 교육의 내용과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용현, “특성화고등학교 부적응 학생을 위한 학교 독서교육 실천사례 연구”,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박유연, “과정-장르 통합을 통한 설명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초등국어교육 20,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박인기, ““욕설언어현상”에 대한 교육적 문화적 진단과 대안 모색”, 화법연구 20, 한국화법학회
박인기,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태도’: ‘태도’가 국어교육내용으로서 중요성을 띠는 관점 확충하기”,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인기, “문학교육학의 이론 생성 토양 가꾸기”,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박재민, “고등학교의 훈차자(訓借字), 음차자(音借字)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박재승, “문학을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의 방안에 대한 연구”, 언어학연구 22, 한국중원언어학회
박정규, “학교 문법에서의 기본 문형 정립을 위하여”, 한국언어문학 83, 한국언어문학회
박정진, “‘의미 구성’ 관점의 재음미를 통한 독서교육의 지평 확장”,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박종미, “문법 적용 능력 평가의 개선 방안”, 우리말글 56, 우리말글학회
박종호・황경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3쌍의 동사 유의어를 대상으로”,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종훈, “수능 국어 영역 문제은행식 출제의 가능성과 한계”, 어문학교육 45, 한국어문교육학회
박진영・심혜령, “모바일 기반 의성어・의태어 교육 연구”, 한말연구 31, 한말연구학회
박태진, “청소년의 외상 치료를 위한 시 창작 교육 모색: 자전적 이야기시 창작 치료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박형우, “국어 어휘 교육 개선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박형우, “문법 교육과정의 학년군 간 위계화와 연계성 검토”, 문법교육 17, 한국문법교육학회
박형준, “국어교육 제도 구성의 감정적 기반: 해방 직후, 신문 매체의 교육 담론을 중심으로”, 배달말 51, 배달말학회
방인태,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조사 연구 (2): 3학년 국어(읽기)와 수학”, 초등국어교육 20,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배수정, “근대 초기 서양문학 수용의 세 국면과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39, 한국문학교육학회
배영환, “학교 문법에서의 ‘동화’와 ‘모음동화’의 처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민족어문학 62, 한민족어문학회
배재훈, “북한이탈학생의 국어 사용능력 신장에 대한 연구”, 어문학교육 45, 한국어문교육학회
서민정, “국어과 수행평가의 평가 내용 준거 분석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서소희・양민화, “국내 단어인지검사의 동향분석”, 교육논총 31,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서수현, “쓰기 평가 협의 과정에 나타난 쓰기 평가자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서수현, “작문 교육 연구에서의 양적 연구 방법”, 작문연구 15, 한국작문학회
서수현, 정혜승, “중학생의 읽기 태도 양상”,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서수현・옥현진,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서영진,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 수형별 수용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서영진・전은주,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서유경, “매체와 국어교육”, 우리말연구 30, 우리말학회
서종훈, “글말과 입말 사용에 드러난 언어 자각 양상 연구: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서종훈, “독서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소고: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양상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서종훈, “문단 위계 인식과 요약의 상관성 연구”,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서종훈, “소규모 인문계 고등학교 논술교육 방안 연구”, 한국말글학 29, 한국말글학회
서현석, “국어 교과서 통합 단원에 관한 연구: 초등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선주원,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 소설 읽기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 분석 연구”,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선주원, “소설의 환상성 읽기를 통한 소설교육의 가능성 고찰”,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선주원, “작중인물의 욕망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내용 연구”,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선주원,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편성 및 전개 방법에 관한 고찰”, 초등교육연구 27-1, 광주교대 초등교육연구원
선주원, “초등학교 문학교육에서 ‘태도’ 범주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성낙수, “세부적 읽기 전략을 통한 문법적 읽기 능력 신장 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의 비문학 제재를 대상으로”,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성옥자, “가치 탐구 학습을 통한 동화 지도 방안”, 초등국어교육 20,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손영애,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독서와 문법” 과목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손영애,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의 위상에 관한 소론(小論)”,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손예희, “독자의 위치에 따른 상상적 시 읽기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손혜숙, 한승우, “대학 글쓰기에서 ‘자기 서사 쓰기’의 교육방법 연구”, 어문론집 50, 중앙어문학회
송선령, “창의적 글쓰기 수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30, 이화어문학회
송재목, “총련 조선고급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성”, 언어와 문화 8-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송지연,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성 훈련 試論: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을 활용한 내용 생성하기와 조직하기”, 한어문교육 26,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송현정, “국어 수업 참여에 대한 학습자 인식 실태 분석”, 국어교육연구 2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신명선, “단어의 문맥적 의미 평가 문항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신윤경, “대학 글쓰기 반의 재외국민 학습자 특성 연구”,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신중진, “어휘 중심의 글짓기 교육과 실제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 48, 한국언어문화학회
신헌재,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에 대한 비판적 고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신헌재・이향근, “초등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과 교육적 접근 방향”, 한국초등교육 23-1,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신호철, “맥락 중심의 문법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구: 높임 표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신희선, “의사소통교육으로서의 ‘토론대회’ 사례 연구”,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심보경, 심희정, “대학생 글쓰기 오류유형과 글쓰기 멘토 대면 첨삭지도 만족도 연구”, 언어학연구 22, 한국중원언어학회
심유나・이병규,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안동준, “국어교육과 노장철학”, 배달말교육 33, 배달말교육학회
안병섭, “반복적 학습 경험을 중시한 대학 말하기 교육”, 언어학연구 23, 한국중원언어학회
안부영, “의견을 제시하는 글쓰기에 관한 효율적인 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안찬원, “국어사전 활용 수업 분석 연구: 초등학교 문법 교육 현황을 중심으로”, 문법교육 17, 한국문법교육학회
양선규, “문화교육과 스토리텔링: 서사화 과정 시연”, 초등교육연구논총 28-1,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양세희, “문장 교육과 읽기 교육의 통합 방안: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양영희, “국어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통합 방안 제시”, 우리말글 56, 우리말글학회
양윤주, “부사에 대한 이해정도 분석: 중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62, 언어과학회
양정실, “우리나라 문학교육 연구에서 독자 반응 이론의 수용 현황과 전망”,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양정호, “국어과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국어사 지식 교육”, 한국어학 57, 한국어학회
양현권, “왜 문법 규칙은 배우고 익혀도 사용하기 어려운가?”, 외국어교육연구 15, 외국어교육연구소
양현진, “대학생 작문에서 바람직한 제목 쓰기에 대한 제언: 문화비평문 제목 쓰기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3,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엄태수, “한국어 음운론 교육의 몇 문제”, 새국어교육 91, 한국국어교육학회
엄훈, “수업 비평 수업의 원리에 대한 성찰”, 국어교육연구 3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여미란・허경호, “토론 평가형식의 문제점 분석과 새로운 평가형식: 1:1 토론형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0-1,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염창권, “교과서 수록 아동문학텍스트의 서술 양상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염혜경, “텍스트 구조 및 텍스트 구조 표지 활용 학문 목적 읽기 전략 교수 방안”, 언어사실과 관점 30,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오세영, “디지털 시대 국어교사의 인지활동과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오세영, “컴퓨터 작문 교육의 연구 동향”, 우리말글 55, 우리말글학회
오정훈, ““비판”과 “공존”의 시학으로서의 생태시 교육방법”,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오정훈, “주체성 인식으로서의 여성시 교육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오태호,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경희대 “글쓰기 1” 교재 『나를 위한 글쓰기』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오현아,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현황에 대한 학교 현장 반응 연구”, 언어학연구 22, 한국중원언어학회
오현아,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 언어학연구 24, 한국중원언어학회
오현아,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오현아,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오현진, “워크숍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비평문 쓰기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오현희, “텍스트의 논리적 분석을 통한 설득적인 글쓰기 방안”, 어문학교육 45, 한국어문교육학회
옥현진, “작문교육 질적 연구 방법의 경향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작문연구 15, 한국작문학회
우문영, “오독이 비평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우한용, “문학교육 연구의 학제적 연계성: 문학교육에 대한 차라투스트라 풍의 에세이”, 문학교육학 37, 한국문학교육학회
우한용・우신영, “소설의 담론구조와 윤리의 교육적 상관성에 대한 고찰: 염상섭의 <삼대>를 대상으로”, 국어교육연구 2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우형식,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적용하는 문제”, 한어문교육 26,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유동엽, “초등학교 3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미향,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유영희, “현대시 교육에서 문학 지식의 확장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유주애, “중학교 『국어』와 『생활 국어』의 연계 지도를 위한 방안 연구: 2007년 개정 중학교 1학년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유혜령,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서 어색한 문장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문화 48, 한국언어문화학회
유혜원, “말하기 학습자의 자기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말하기 교육 연구”, 사회언어학 20-1, 한국사회언어학회
윤구희, “중학교 국어 교과서 날개 어휘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윤금선, “미주 지역 한인의 국어교육 전개양상”, 어문연구 73, 어문연구학회
윤여탁・신명선・주세형, ““교사의 국어 능력”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이경화, “국어 학습 부진 학생의 특성과 원인 유형 고찰”, 초등교과교육연구 16,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이경화, “독서, 교과 수업과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가?”, 초등교과교육연구 15,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이경화, “초등국어교육의 특성과 초등교원 양성대학 국어 교과과정의 정합성”,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이경화・김혜선,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개발 원리 탐색”,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이경화・최소영,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에 대한 적합성 검토”, 새국어교육 91, 한국국어교육학회
이계현, “국어 어휘 놀이자료 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어휘력 신장 연구”, 한남어문학 36,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이관규, “학교 문법에서 ‘-기 때문에’ 구문은 부사절인가?”,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이관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2): 기사문에 쓰인 “-기로 하-”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문법교육 16, 한국문법교육학회
이남주, “학습단계와 학습 목표를 고려한 토론식 수업 활성화 방안”,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도영, “국어 사용 영역의 변화와 발전 방향: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이도영・서동엽, “국어교육학과 수학교육학 비교 연구”, 교육연구 30-1,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이래호,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장 단원 고찰”, 한민족어문학 60, 한민족어문학회
이문규, “2011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법 교육”,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이미정・이호형, “사회 방언 교육의 교과서 구현 방향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이민호, “다매체 시대 글쓰기로서 시 교육 연구”, 국제어문 56, 국제어문학회
이민희, “수학 기호(개념)를 활용한 고소설 주제교육 연구 시론(試論)”, 문학교육학 37, 한국문학교육학회
이병규,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이병규, “문장의 유형에 대한 초등 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병규, “문장의 유형에 대한 초등 국어 문법 교육 내용의 변천 연구”, 문법교육 17, 한국문법교육학회
이병규, “초등 국어 문법 영역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원리”,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삼형, “국어교육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국어국문학 161, 국어국문학회
이상일, “고전소설의 인물 비평 교육 연구 서설: 인물 비평의 개념, 위상,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이선영, “토론 평가 패러다임 분석에 따른 토론 평가의 방향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이성영, “[기획 논문: 독서와 작문의 통합적 전망]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이성영, “교육 일반에 대한 국어교육학의 기여 가능성”,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이성은・이지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단계적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수곤, 김태훈, “문장 첨삭의 대안(代案)적 기준과 방식 고찰”, 국제어문 54, 국제어문학회
이순영, 최숙기, 서민정,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성취기준의 적합성 조사 연구”,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이승리, “초등학생의 새말 지도 방안 개발 연구”, 어문학교육 44,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승왕, “초, 중등 문법 교육의 연계성 분석과 연계 방안”, 문법교육 17, 한국문법교육학회
이승왕, “초등학생의 국어생활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승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사 단원 내용 연구”,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이영래・이수진, “장르별 쓰기 부진 텍스트의 유형 연구”,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이영진, “국어과 서술형 평가 문항 개발 및 채점 방법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이영진, “작문교육 개념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작문연구 16, 한국작문학회
이영호,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작문교육 연구 방법”, 작문연구 15, 한국작문학회
이윤빈, “대학 신입생 대상 ‘학술적 글쓰기’ 의 장르적 의미와 성격”,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이윤주, “협동학습을 통한 문학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소설 작품을 중심으로”,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이은경, “역대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시간 표현”,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이은주, “내용 중심 쓰기 교육에 대한 일고찰”,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이재기, “[기획 논문: 독서와 작문의 통합적 전망] 읽기・쓰기 연계 활동의 교육적 의미”,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이재기, “신수사학적 관점에 따른 논증 텍스트 평가 기준”,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재승・신동훈, “안구 운동 추적을 통한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면 개선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재승・신동훈, “안구 운동 추적을 통한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부 개선 방안 연구 2: 도입 질문과 말풍선 배치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3-3,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이정찬, “작문 교육에서의 ‘paragraph’의 번역과 적용에 관한 연구”, 작문연구 16, 한국작문학회
이주섭, “미국 공통핵심기준(Common Core State Standards)의 내용 제시 방식 고찰: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주섭, “화법 교육에서 상호교섭성과 담화의 관계 층위 수용 방향”, 교육과학연구 14-2, 제주대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이지엽, “국어과 검정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어문교육 27,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이지영, “문학 독서 경험의 문학교육적 의미 탐구: 아동독자의 7개월 후 문학 반응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7, 한국문학교육학회
이지영, “스토리텔링 수업 기술의 국어 수업 적용 연구”,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이지영・백혜선, “독서 토의 대화 구조의 교육적 의미 탐구”,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이진, “초등학교 시 단원 구성 방안 연구”, 초등국어교육 20,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이진호, “음운 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 57, 한국어학회
이창근, “문법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이창덕, “국어 겹받침 발음의 원리와 교육에 대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향, “말하기 수행 평가에서 발음 범주 채점의 최적화 방안 연구: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 23-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향근, “언어유희 동시 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이현진・안찬원, “국어 교과서의 정보 텍스트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
학회 이호형,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이해와 교과서 구현 방안: 국어Ⅰ・Ⅱ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42, 동국대 한국문화연구소
이효인・유재연,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 능력 연구”, 한국언어문학 81, 한국언어문학회
임규홍, “탐구학습을 통한 담화문법 지도 방법”, 문법교육 16, 한국문법교육학회
임민영, “드라마 활동을 통한 ‘빈자리’ 읽기 지도 방안”, 초등국어교육 20,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임성규, “기준 모음 설정을 통한 한국어 모음 발음 교육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임영님・정혜승, “글쓰기 지도 우수 교사의 지도 특성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임지룡・고춘화, “국어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의 내용 구성”, 중등교육연구 60-1,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임천택, “쓰기 평가에서 글씨 정확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 연구”, 어문학교육 45, 한국어문교육학회
장은주・박영민・옥현진, “2009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성취기준의 적합성 조사 분석”,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전은주,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발전적 전개 방향”,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전은주, “연설 수행 과정의 분석적 평가 방안”,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전은주,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전은진,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 32,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인숙, “질문을 통한 쓰기 과제 구체화 지도 전략”,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전제응, “초등학생용 쓰기 불안 검사 도구 개발과 활용”,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정미경・박영민, “쓰기 주제에 따른 쓰기 수행의 성별 차이 연구”, 작문연구 15, 한국작문학회
정미진, “논쟁 토론 활동이 논술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정민주, “실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에서 본 협상 담화의 교과서 실행 양상 탐구”,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정병헌, “語文敎育의 人文學的 基盤과 指向”, 어문연구 40-2, 어문교육연구회
정연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제언: 글쓰기의 자구적 치유와 심리의학적 치유의 구별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정은아, “국어 교육에서의 열린 교재관 실천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51, 국어교육학회
정재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선택 과목 교과서 개발 방향”,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정정순, “국어과 교사를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점검”,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정진석, “소설 주제 교육의 변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정한데로, “글쓰기 튜터의 역할과 자세: WAC(교과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시학과 언어학 22, 시학과 언어학회
정현선, “매체언어 교육 단원 개발과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의 뉴스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정혜승, “대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상위담화(metadiscourse) 범주 구성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정혜승, “읽기 태도 부진 학생의 읽기에 대한 인식: 인터뷰와 ‘훌륭한 독자’ 이미지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50,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정혜승・서수현, “초등학생의 읽기 선호도 조사 연구”,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정혜승・옥현진,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모형 개발”, 교육과정연구 30-2, 한국교육과정학회
정훈, “프레네 자유 글쓰기의 교육적 의미”, 교육과학연구 43-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정희모, 유혜령,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 어문론집 52, 중앙어문학회
제민경, “내러티브적 앎을 위한 문법 설명 텍스트 구성 방향”,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조고은・황윤정・이인화, “중학교 3학년용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국어교육연구 2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조광국, “문학 교과 패러디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조광국, “문학 교과에서 고전대하소설의 활용: <옥루몽>, <하진양문록>, <유효공선행록>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조병영,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독서 전략에 관한 문헌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조성만,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조재윤, “국어과 매체 수업 개선 방법 연구”,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조재윤, “학교 면담 교육의 분석과 대안”, 화법연구 21, 한국화법학회
조재윤・엄해영,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새국어교육 93, 한국국어교육학회
조창규, “국어 음운 변동의 교육 방법”, 한국언어문학 83, 한국언어문학회
조하연,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38, 한국어교육학회
조혜경, “시각기호 조작활동을 통한 문단 지도 연구”, 어문학교육 44, 한국어문교육학회
조혜숙, “학생 생활시의 특징과 생활시 쓰기의 교육적 의미”,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조희정, “근대계몽기 학교 교육 내 문학교육의 특징”, 문학교육학 39, 한국문학교육학회
주세형・이미숙・남민우, “국어과 교사의 “내용 성취 기준” 적합성 판단 양상 및 근거에 대하여”,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주영주・서혁・이소영, “중학교 국어 교과에서 성별에 따른 외재적 학습동기, 독서태도, 학습전략, 지각된 교수전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45, 국어교육학회
주재우, “장르 중심의 쓰기교육 연구”,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진선희・김정은, “초등학생의 독서 동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지도 실태”, 한국초등국어교육 4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천경록, “공동체 문식성과 독서 교육”,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최건아, “대학의 전공 쓰기 과제 분석”,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최경봉, “의미 교육과 국어 교과서: 2011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어학 57, 한국어학회
최규홍, “초등학교 국어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최대희, “글쓰기 인식 조사에 따른 효율적 운영 방안”,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최미숙,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검정의 방향: 다양성과 창의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37, 한국어교육학회
최미숙, “기호, 해석, 독자의 문제와 문학교육학”,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숙기, “[기획 논문: 독서와 작문의 통합적 전망]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교수 학습 방안 탐색”,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최숙기, “국어 교사의 텍스트 복잡도 모형을 활용한 교과서 제재 정합성 평가 양상 연구”,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최숙기, “텍스트 복잡도 기반의 읽기 교육용 제재의 정합성 평가 모형 개발 연구”, 국어교육 139, 한국어교육학회
최숙기,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텍스트 질적 평가 방안 연구: 2007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최시한, “이야기의 본질과 교육”,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최영인,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들의 인식”, 국어교육학연구 43, 국어교육학회
최영인・정민주, “국어과 교사들의 설득 담화 평가 양상 및 인식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 2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최운선, “실용글쓰기 교육 실태분석과 지도방안 연구: 장안대생을 중심으로”, 장안논총 32-2, 장안대학교
최운선,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고유어와 한자어 비율에 따른 인식과 의미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최운선, “초등학생 어휘력 평가를 위한 범위 설정에 대한 연구”, 장안논총 33-2, 장안대학교
최윤정, “대학생 小論文 작성 지도 사례 연구”, 어문연구 40-3, 어문교육연구회
최윤희,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한국 고전 문학과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 어문학교육 44, 한국어문교육학회
최종환, “자기서사식 글쓰기 지도에 있어 효과적 피드백 모색: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글쓰기1” 강의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3, 우리어문학회
최지현, “[기획 논문: 독서와 작문의 통합적 전망] 초・중・고등학교에서의 독서와 작문 평가”,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최지현, “문학교육과 인지심리학: “문학적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7, 한국문학교육학회
최진아, “인지언어학에 기반을 둔 비유 교육 내용 연구”, 한국어의미학 38, 한국어의미학회
최혜진・강연임・신지연,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한국언어문학 80, 한국언어문학회
최홍원, “문학 수용과 생산의 매개: 고전시가를 대상으로 한 쓰기의 교육적 탐색”, 새국어교육 92, 한국국어교육학회
태선경・민지훈, “‘자아 통합’ 추구를 위한 노인 독서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하근희, “문학과 쓰기의 통합적 관점에 기반한 이야기 쓰기 지도 전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국어교육연구 12,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한명숙, “초등문학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문학교육학 39, 한국문학교육학회
한수영, “독서문화의 변화와 고전 읽기 교육”, 어문론집 52, 중앙어문학회
한연희, “논리적 텍스트 읽기 지도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6-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한연희, “발표 교육과정 설계”, 화법연구 21, 한국화법학회
한연희, “분석질문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한정현, “쓰기 영역 수행평가의 생태학적 구성 방안 연구”, 새국어교육 90, 한국국어교육학회
허재영, 김경남, “국어과의 고전 교육의 역사를 통해 본 ‘고전 교과’의 지향점”, 독서연구 27, 한국독서학회
허철구, “통사론 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 57, 한국어학회
홍경진・정선영, “유아주도의 창의적 독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31,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洪允基, “學問目的 글쓰기를 위한 문장 구성 틀 硏究”, 어문연구 40-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홍인선, “실습형 창의 교수 방법의 국어과 적용 탐색: 국어과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5, 청람어문교육학회
홍인숙, “대학 글쓰기 심화과정에서 ‘인문 교양’ 중심의 ‘읽기-쓰기 연계과목’의 효과와 의의 - 이화여대 <명작명문의 읽기와 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51, 중앙어문학회
홍정원, “고전소설 교육 소고(小考)”,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홍지선, “북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연구: 『국어문학』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38, 한국문학교육학회
황미경, “문학교과서 수록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양상과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어문학보 32, 강원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황혜경, 조윤경, “문법중심의 문장쓰기지도가 중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29,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황혜영, “읽기와 쓰기에 깃든 자아 성찰: 요시모토 바나나 「보트」 강의 사례”, 독서연구 28, 한국독서학회
황화상, “형태론 교육과 교과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57, 한국어학회
Dong Bae Lee, “Critical Analysis of Japanese ideolog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1913・1938)”, 한어문교육 27,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Im, Sung Chool・Lim, Su Jin, “Ontological Metaphors in Political Speeches: with Focus on Korean & American Presidents’ Inaugural Addresses”, 언어과학연구 63, 언어과학회

<기타>

김두루한, “이야기꽃이 피는 학교로 바꿔야 학교 폭력이 사라진다”, 한글새소식 476, 한글학회
김성규, “대학 교양 국어와 국어 정책”,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김성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김정현, “교양으로서의 글쓰기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글쓰기와 글 읽기 그리고 사고 훈련”,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노명완, “독서의 개념과 기능”, 새국어생활 22-4, 국립국어원
박영목, “독서 능력과 독서 학습의 특성”, 새국어생활 22-4, 국립국어원
신선경, “국어 산책: 지식 기반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염시열, “국어 산책: 토박이말로 여는 국어 갈배움 이야기”, 새국어생활 22-1, 국립국어원
이순영, “21세기의 독서와 독서 교육”, 새국어생활 22-4, 국립국어원
이재성, “대학 교양 국어 교육의 방향 및 제언: 글쓰기 교육에서 문장 교육의 역할을 중심으로”,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이현복, “수능의 국어과 듣기 시험은 반드시 존속시켜야 한다”, 한글새소식 473, 한글학회
정희모, “대학 교양 국어 교육 현황”,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조미숙, “대학 교양 국어 교육 변천사”, 새국어생활 22-2, 국립국어원
차익종, “이곳 이 사람: 표준말 배우고 싶었는데 외래어 외우기부터?: 새터민 출신으로 새터민 의사소통 교육을 개척하는 김영숙 간사”, 새국어생활 22-3,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