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구성 자음 모음 외래어→한글 한국어→로마자
 
 
외래어→한글
   한 언어의 어휘는 그 언어에 원래부터 있었던 고유어와 다른 언어에서 빌려 온 외래어로 나뉜다. 하나, 둘, 사람, 땅’과 같은 말은 고유어, 즉 순 우리말이고 ‘버스, 커피, 컴퓨터’ 등은 외래어이다.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중국, 몽골 등 주변 나라 언어로부터 어휘를 빌려 써 왔다.
   ‘붓, 송골매’ 등이 그런 예들이다. 20세기 이후 생겨난 대부분의 외래어는 영어에서 들어온 것인데 ‘커피, 넥타이, 인터넷’ 등 많은 예가 있고 지금도 계속 들어오고 있다.

   외래어의 표기 혼란을 막기 위하여 외래어 표기법이 만들어졌다. 최초의 외래어 표기법은 1939년에 조선어학회에서 만든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이나,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은 1986년에 고시된 것이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중요한 점을 몇 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어는 국어이다. 외래어는 원래 외국어이던 말이지만 국어에 들어온 이상 외국어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지 못하고 국어에 동화된다. 예를 들어 coffee는 영어이지만 국어에 들어와 ‘커피’로 바뀐다. 그러므로 외래어를 적을 때 일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보이기 위하여 옛글자를 되살려 쓰거나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둘째, 외래어는 국어이기 때문에 국어의 특성에 맞게 적어야 한다. 그러므로 외래어의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일곱 받침만을 쓰고, ‘ㅈ, ㅊ’ 다음에는 ‘ㅑ, ㅕ, ㅛ, ㅠ’와 같은 이중 모음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켇’, ‘커피숖’은 틀리고 ‘디스켓’, ‘커피숍’이 맞다. 또 ‘레져’, ‘쥬스’가 아니라 ‘레저’, ‘주스’가 맞다.

   셋째, 외래어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까스, 땜, 뻐스, 써비스’와 같은 표기는 틀린 표기이고, ‘가스, 댐, 버스, 서비스’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