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데’와 ‘-대’

임동훈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ㅔ’ 발음과 ‘ㅐ’ 발음을 구별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서울 토박이 중에서도 ‘ㅔ’ 발음과 ‘ㅐ’ 발음을 똑똑히 구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ㅔ’와 ‘ㅐ’가 단어의 첫음절이 아닐 때에는 더욱 그렇다.
   이런 발음상의 어려움 때문인지 요즘 들어 ‘-데’와 ‘-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데’와 ‘-대’의 의미와 용법을 분명히 인식하면 발음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 둘을 훌륭히 구별할 수 있다.

(1)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
(2) (사람들이 그러는데) 혜정이가 참 예쁘.

(1)은 ‘-데’가 쓰인 예이고 (2)는 ‘-대’가 쓰인 예인데 그 뜻이 무척 다르다.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어미로서 “…더라”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데 비해 ‘-대’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따라서 ‘-데’가 쓰인 예에는 (1)에서 보듯이 ‘어제 보니까’처럼 화자의 경험임을 나타내는 말이 더 붙을 수 있고 ‘-대’가 쓰인 예에는 (2)에서 보듯이 ‘사람들이 그러는데’처럼 남의 말임을 나타내는 말이 더 붙을 수 있다.
   ‘-데’는 아래 (3), (4)에서 보듯이 형용사, 동사 및 서술격조사의 어간이나 선어말어미 ‘-시-’, ‘-었-’, ‘-겠-’ 뒤에 붙어 평서형, 감탄형이나 의문형 문장을 만든다. ‘-데’는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더-’가 들어간 형태에서 발달하였는데, 이 점에서 ‘-데’의 앞에는 ‘-더-’의 앞에 올 수 있는 어간이나 어미가 다 올 수 있고 ‘-데’의 의미는 “…더라”, “…던가?”와 비슷하다. 즉 (3ㄱ, ㄴ, ㄷ)의 ‘-데’는 “…더라”처럼 해석되고 (4)의 ‘-데’는 “…던가?”처럼 해석된다.

(3ㄱ)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 / 사진을 보니 옛날에는 참 예뻤겠. <형용사 뒤>
(3ㄴ) 그 아이가 밥을 잘 먹. / 철수도 왔. <동사 뒤>
(3ㄷ) 곁에서 보니 참 훌륭한 신랑감이. <서술격조사 뒤>
(4) 신부가 그렇게 예쁘? / 그 사람 키가 크? / 밖에 누가 왔? / 얼마나 되? <의문형>

‘-데’는 화자가 과거의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표시

‘-대’는 ‘-다(고) 해’가 줄어서 된 말이다. 따라서 다음 (5)에서 보듯이 형용사나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대’, 동사 뒤에서는 ‘-ㄴ대, -는대’가 쓰이며, ‘-다’ 앞에 올 수 있는 선어말어미는 모두 ‘-대’ 앞에도 올 수 있다. (5ㄷ)은 서술격조사 뒤에서 ‘-대’가 ‘-래’로 바뀜을 보여 주는데, 이는 예전에 서술격조사 뒤에서 ‘-다’가 ‘-라’로 교체되던 역사적 사실이 현대국어에 화석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5ㄱ) 사람들이 그러는데 진옥이가 예쁘(예뻤/예쁘겠). <형용사 뒤>
(5ㄴ) 진옥이가 결혼한대. / 진옥이는 추리소설만 읽는대. <동사 뒤>
(5ㄷ) 진옥이가 학생회장이(학생회장이었). <서술격조사 뒤>

‘-대’는 남의 말을 전달함을 표시

한편 우리말에는 위에서 언급한 ‘-데’와 구별되는 ‘-ㄴ데’가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데’는 화자가 과거에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나, 반말투로 남의 반응을 기대하면서 스스로 감탄하는 뜻을 나타내는(그리하여 이때의 ‘-ㄴ데’는 그 끝을 약간 올려 발음하는 것이 보통이다) ‘-ㄴ데’는 눈 앞에 벌어진 사태를 보면서 이야기할 때도 쓰인다. 이러한 차이는 ‘-데’가 기원적으로 선어말어미 ‘-더-’와 연관되는 데 비해 ‘-ㄴ데’는 ‘-더-’와 무관한 형태인 데에 기인한다. (6ㄱ)은 앞말에 받침이 있을 때에는 ‘-ㄴ데’에 매개모음 ‘-으-’가 결합하여 ‘-은데’ 형태로 나타남을 보여 주며, (6ㄹ)은 ‘-ㄴ데’ 앞에 ‘-시-’, ‘-(었)느-’, ‘-(겠)느-’, ‘-(었)더-’, ‘-(겠)더-’와 같은 선어말어미가 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어미 ‘-ㄴ데/-은데’는 특이하게도 ‘-었-’이나 ‘-겠-’ 뒤에는 바로 결합할 수 없는데, 이 점을 고려하여 국어사전에서는 ‘-ㄴ데/-은데’ 외에 ‘-느-’, ‘-더-’가 결합한 ‘-는데’, ‘-던데’도 표제어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다.

(6ㄱ) 오늘 날씨 참 시원한데. / 그 옷 참 보기 좋은데. <형용사 뒤>
(6ㄴ)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는데. <동사 뒤>
(6ㄷ) 철수가 아니라 진옥이가 학생회장인데. <서술격조사 뒤>
(6ㄹ) 결혼식장에는 혜정이 신랑도 왔는데/왔던데/왔겠는데.

‘-ㄴ데’는 스스로 감탄하는 투. 넌지시 상대방의 의견을 묻기도


♣ 나의 맞춤법 실력은?
** 18∼20개 맞음: 교양 있으시군요.
** 15∼17개 맞음: 더 잘할 수 있어요.
** 11∼14개 맞음: 좀 부끄럽겠죠.
** 10개 이하 맞음: 이래도 됩니까?

  1. 답을 알아맞추다 ( ) / 답을 알아맞히다 ( )
  2. 도와 줄게 ( ) / 도와 줄께 ( )
  3. 알맞은 ( ) / 알맞는 ( )
  4. 아름다와 ( ) / 아름다워 ( )
  5. 깨끗이 ( ) / 깨끗히 ( )
  6. 웃어른 ( ) / 윗어른 ( )
  7. 셋째 ( ) / 세째 ( )
  8. 얽히고설킨 ( ) / 얽히고 힌 ( )
  9. 그리고 나서 ( ) / 그러고 나서 ( )
  10. 출석률 ( ) / 출석율 ( )
  11. 덕을 베품 ( ) / 덕을 베풂 ( )
  12. 공부하려고 ( ) / 공부할려고 ( )
  13. 껍질채 삶다 ( ) / 껍질째 삶다 ( )
  14. 도와 주십시오 ( ) / 도와 주십시요 ( )
  15. 멋장이 ( ) / 멋쟁이 ( )
  16. 회사 창립 20 돐 ( ) / 회사 창립 20 돌 ( )
  17. 설레이는 마음 ( ) / 설레는 마음 ( )
  18. 우레 같은 박수 ( ) / 우뢰 같은 박수 ( )
  19. 사업을 벌이다 ( ) / 사업을 벌리다 ( )
  20. 구절 ( ) / 귀절 ( )
    (☞ 정답과 해설은 여기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