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23항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국밥[국빱]
  • 깎다[깍따]
  • 넋받이[넉빠지]
  • 삯돈[삭똔]
  • 닭장[닥짱]
  • 칡범[칙뻠]
  • 뻗대다[뻗때다]
  • 옷고름[옫꼬름]
  • 있던[읻떤]
  • 꽂고[꼳꼬]
  • 꽃다발[꼳따발]
  • 낯설다[낟썰다]
  • 밭갈이[받까리]
  • 솥전[솓쩐]
  • 곱돌[곱똘]
  • 덮개[덥깨]
  • 옆집[엽찝]
  • 넓죽하다[넙쭈카다]
  • 읊조리다[읍쪼리다]
  • 값지다[갑찌다]
해설 [ㄱ, ㄷ, ㅂ]으로 발음되는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서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으로 각각 발음되는 된소리되기를 규정한 것이다. 한 단어 안에서나 체언의 곡용 및 용언의 활용에서나 위의 환경에서는 예외 없이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24항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신고[신ː꼬]
  • 껴안다[껴안따]
  • 앉고[안꼬]
  • 얹다[언따]
  • 삼고[삼ː꼬]
  • 더듬지[더듬찌]
  • 닮고[담ː꼬]

  • 젊지[점ː찌]
다만, 피동, 사동의 접미사 ‘-기-’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 안기다
  • 감기다
  • 굶기다
  • 옮기다
해설 용언 어간의 받침이 ‘ㄴ(ㄵ), ㅁ(ㄻ)’일 때에도 뒤에 오는 ‘ㄱ, ㄷ, ㅅ, ㅈ’을 된소리인 [ㄲ, ㄸ, ㅆ, ㅉ]으로 각각 발음한다. 이는 용언 어간에만 적용되는 규정이다. 체언의 경우에는 ‘신도[신도], 신과[신과]’라든가 ‘바람도[바람도], 바람과[바람과]’ 등과 같이 된소리로 바꾸어 발음하지 않는다.

다만. ‘ㄴ, ㅁ’ 받침을 가진 용언 어간의 피동·사동은 이 규정에 따르지 않아서 ‘안기다[안기다], 남기다[남기다], 굶기다[굼기다]’와 같이 발음한다. 일종의 활용 형식인 용언의 명사형의 경우에는 ‘안기[안ː끼], 남기[남ː끼], 굶기[굼ː끼]’와 같이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25항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넓게[널께]
  • 핥다[할따]
  • 훑소[훌쏘]
  • 떫지[떨ː찌]
해설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되는 겹받침 ‘ㄼ, ㄾ’ 다음에서도 뒤에 연결되는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한다는 규정이다. 이는 용언 어간에 한정되는 규정인데, 체언의 경우에는 ‘여덟도[여덜도], 여덟과[여덜과], 여덟보다[여덜보다]’처럼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기 때문이다. 받침 ‘ㅀ’의 경우에는 이미 제12항에서 규정되었다. 이 규정을 겹받침에 한정시킨 것은 홑받침 ‘ㄹ’ 다음에서는 ‘알고, 알더니, 알지’와 같이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26항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갈등[갈뜽]
  • 발동[발똥]
  • 절도[절또]
  • 말살[말쌀]
  • 불소[불쏘](弗素)
  • 일시[일씨]
  • 갈증[갈쯩]
  • 물질[물찔]
  • 발전[발쩐]
  • 몰상식[몰쌍식]
  • 불세출[불쎄출]
다만, 같은 한자가 겹쳐진 단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 허허실실[허허실실](虛虛實實)
  • 절절-하다[절절하다](切切-)
해설 한자어에서 받침 ‘ㄹ’ 다음에 된소리로 발음되는 것을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결과, 물건, 불복, 설계, 열기, 절기, 출고, 팔경, 활보’ 등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는 예들이 많다.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사전에서 그 발음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같은 한자가 겹친 첩어의 경우에는 된소리로 발음되지 않는다.
  • 결결[결결](缺缺)
  • 별별[별별](別別)

제27항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할 것을[할꺼슬]
  • 갈 데가[갈떼가]
  • 할 바를[할빠를]
  • 할 수는[할쑤는]
  • 할 적에[할쩌게]
  • 갈 곳[갈꼳]
  • 할 도리[할또리]
  • 만날 사람[만날싸람]
다만, 끊어서 말할 적에는 예사소리로 발음한다.

[붙임]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할걸[할껄]
  • 할밖에[할빠께]
  • 할세라[할쎄라]
  • 할수록[할쑤록]
  • 할지라도[할찌라도]
  • 할지언정[할찌언정]
  • 할진대[할찐대]
해설 관형사형 ‘-ㄹ, -을’ 다음에서는 ‘ㄱ, ㄷ, ㅂ, ㅅ, ㅈ’을 각각 예외 없이 된소리로 발음한다. ‘-(으)ㄹ’ 다음에 오는 것이 명사가 아니라 보조 용언일 경우에도 역시 그 다음 자음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 할 듯하다[할뜨타다]
  • 할 법하다[할뻐파다]
  • 할 성싶다[할썽십따]
붙임. 관형사형 어미와 같은 ‘-(으)ㄹ’로 시작되는 어미에서도 역시 ‘ㄹ’ 뒤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을 된소리로 각각 발음한다. 예컨대 ‘-(으)ㄹ거나, -(으)ㄹ세, -(으)ㄹ수록, -(으)ㄹ지, -(으)ㄹ진대’ 등이 그 예들이다. ‘-(으)ㄹ까, -(으)ㄹ꼬, -(으)ㄹ쏘냐’는 아예 된소리로 표기한다.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던’ 등 ‘ㄴ’ 받침을 가진 어미 뒤에서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 간 사람
    [간사(ː)람]
  • 가는 사람
    [가는사(ː)람]
  • 가던 사람
    [가던사(ː)람]
  • 입는다
    [임는다]
  • 입는데
    [임는데]
  • 입는지
    [임는지]

제28항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휴지가 성립되는)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ㄷ, ㅂ, ㅅ, ㅈ’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 문-고리[문꼬리]
  • 눈-동자[눈똥자]
  • 신-바람[신빠람]
  • 산-새[산쌔]
  • 손-재주[손째주]
  • 길-가[길까]
  • 물-동이[물똥이]
  • 발-바닥[발빠닥]
  • 굴-속[굴ː쏙]
  • 술-잔[술짠]
  • 바람-결[바람껼]
  • 그믐-달[그믐딸]
  • 아침-밥[아침빱]
  • 잠-자리[잠짜리]
  • 강-가[강까]
  • 초승-달[초승딸]
  • 등-불[등뿔]
  • 창-살[창쌀]
  • 강-줄기[강쭐기]
해설 표기상으로는 사이시옷이 드러나지 않더라도 기능상 사이시옷이 있을 만한 합성어의 경우에 된소리로 발음되는 예들을 제시하고 있다. 사이시옷은 15세기의 경우에 기본적으로는 관형격의 기능을 나타냈던 것이나, 현대 국어로 내려오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서 사이시옷에 의한 된소리의 실현도 일정치가 않다. ‘나뭇집(나무를 파는 집)’과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은 그런대로 관형격의 기능을 보여 주지만 ‘돌집[돌ː찝](돌로 지은 집)’은 관형격의 기능이 있을 수 없음에도 된소리로 발음한다. 그리하여 사이시옷이 드러나지 않으면서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사전에 그 된소리를 표시하여야 한다.(한글 맞춤법 제30항 참조.)

사이시옷이 표기상으로 드러난 경우에 그 사이시옷에 관련된 발음에 대한 규정은 제30항인데, ‘음의 첨가’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편의상 제28항과 분리시켜 배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