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고되다의 어원
작성자
ㅇㅇㄹ
등록일
2025. 6. 17.
조회수
2,693
학교 국어시간에 피동에 대해 배웠는데, '-되다'가 명사를 피동사로 만드는 방법이라 배웠습니다.
그래서 '-되다'를 사용하는 피동사를 생각하던 도중 '고되다'가 생각났는데, 지금은 형용사로 등록되어있어 '고되다'의 어원을 여쭤봅니다.
'고-'+'-되다'로 합성된 말인 것 같은데, '고-'가 의미하는 바가 한자로 보이는데 이의 어원이 기록된 바가 있을까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고되다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6. 18.
안녕하십니까?
'고되다'의 어원 정보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다만, 사전에 '고되다'의 원어 정보가 따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고유어로 판단할 수 있으며(한자어, 외래어는 표제어 다음에 원어를 밝힙니다.), 품사와 의미를 고려하면 어근 '고' 뒤에 아래 (1)이 아닌 (2)가 붙어 만들어진 말로 판단됩니다.
- (1) -되다 「접사」 ((일부 명사 뒤에 붙어))‘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예: 가결되다, 사용되다, 형성되다)
(2) -되다 「접사」 ((몇몇 명사, 어근, 부사 뒤에 붙어))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예: 거짓되다, 참되다, 막되다)
- 고맙습니다.
이전글
높임표현
다음글
공문서 금액 아라비아 표기방법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