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중세 국어 의문형 종결 어미, 의문 보조사

작성자 장수은 등록일 2024. 10. 25. 조회수 2,020

판정 의문문에 사용하는 종결 어미 '-녀'와  '-려'는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하나요?


의문 보조사 '가'와 '아', 설명 의문문에 사용하는 종결 어미 '-뇨'와 '-료', 의문 보조사 '고'와 '오'의 쓰임 구분에 대해서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중세 국어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10. 28.

안녕하십니까?

이곳은 현대 표준어를 기준으로 답변을 드리고 있으므로, 중세 국어와 관련하여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우리말샘의 옛말 정보에서는 아래와 같은 풀이를 보이고 있으니 이 점도 참고해 보시되, 구체적인 사항은 국어사 서적 등을 두루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고맙습니다.

--------------

품사
「어미」
분류
「옛말」
「004」((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라’ 할 자리에 쓰여, 의문문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이 大施主의 功德이 하녀 져그녀.≪석상 19:4

번역: 이 대시주의 공덕이 많은가 적은가.

나고져 식브녀 阿難일 브리신대 오샤 내 나리다.≪월곡 상:48

번역: 나가고 싶으냐 아난이를 부리시니 오셔야 내가 나가겠습니다.

天帝 닐오 셜미 이러니 아니 뉘읏브녀 對答샤 뉘읏브디 아니다 시고.≪월석 7:54-3

번역: 천제가 말하되 "설움이 이러하니 뉘우쁘지 않느냐?"라고 하니 대답하되 "뉘우쁘지 않습니다."라고 하시고.

부톄 니샤 내 니던 究羅帝 眞實로 그러터녀 아니터녀 對答 實로 世尊 말 더다.≪월석 9:36-2

번역: 부처께서 이르시되 "내가 말했던 구라제가 진실로 그러하더냐 그렇지 않더냐?"라고 하니 대답하되 실로 세존 말씀과 같당ㅆ습니다."라고 하였다.

품사
「어미」
분류
「옛말」
「007」((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랴.
아바 病이 기프시니 엇뎨려 臣下ㅣ 닐오 됴 藥 몯 어들 命이 아니 오라시리다.≪석상 11:18

번역: 아버님 병이 깊으시니 어찌하랴 신하가 이르되 좋은 약을 못 얻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실 겁니다.

人天을 거려 내시며 四生 거려 濟度신 功德을 어루 이긔여 기리려.≪월석 서:9

번역: 인천을 건져 내시며 사생을 건져 제도하신 공덕을 가히 이기어 기리겠랴.

아모 사미나 이 良醫의 虛妄 罪 能히 니려니려 몯 니리다.≪월석 17:22

번역: 어느 누가 이 양의의 허망한 죄를 일컬을 수가 있으랴 일컬을 수가 없으랴, 죄를 일컬을 수 가 없습니다.

「032」 「조사」 「옛말」 ((모음 ‘ㅣ’나 ㄹ 받침으로 끝나지 않는 체언류 뒤에 붙어))((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인가.

「020」 「조사」 「옛말」 ((모음 ‘ㅣ’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류 뒤에 붙어))((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인가.

-뇨
-뇨 「001」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해라할 자리에 쓰여,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냐’에 비해 예스러운 느낌을 주며 시와 같은 문학 작품 따위에 주로 쓰인다.

-료
-료 「004」 「어미」 「옛말」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리오.

「046」 「조사」 「옛말」 ((주로 의문사와 함께 쓰여))인가.

「029」 「조사」 「옛말」 ((‘ㄹ’ 받침으로 끝나거나 받침이 없는 체언류 뒤에 붙어))((주로 의문사와 함께 쓰여))이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