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동사의 시제 변형에 대하여 묻고 싶습니다.

작성자 임다영 등록일 2024. 7. 17. 조회수 227

과거 현재 미래

먹다 먹었다 먹을 것이다 처럼 동사의 시제 변형이 규칙성을 보이는 것 같은데,

대부분 먹다, 걷었다 처럼 먹'었'다 걷'었'다 이런 규칙 이더라고요.

하지만 닫다, 놀다 처럼 닫'았'다 놀'았'다 가 되는 경우도 있던데 이것도 규칙성이 있는 건가요??

[답변]형태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7. 18.

안녕하십니까?

'닫다, 놀다'의 '닫-, 놀-'처럼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아' 형태로 적고(닫다, 놀아, 닫았다, 놀았다), 그 밖의 모음은 '-어' 형태로 적습니다(먹어, 걷어, 개어, 되어 주어, 피어). 이러한 형태를 설명한 '한글 맞춤법' 제16항을 아래에 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16항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다.

해설: 국어에서는 어간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ㅑ, ㅗ’일 때는 ‘­-아’ 계열의 어미가 결합하고, ‘ㅐ, ㅓ, ㅔ, ㅕ, ㅚ, ㅜ, ㅟ, ㅡ, ㅢ, ㅣ’ 등일 때는 ‘-­어’ 계열의 어미가 결합한다. 이처럼 어간의 모음에 따라 어미의 모음이 결정되는 것을 모음 조화(母音調和)라고 한다. 다음은 ‘-아’ 계열과 ‘-어’ 계열의 어미가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고맙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