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훈민정음
작성자
김예령
등록일
2025. 11. 4.
조회수
23
훈민정음은 우리나라의 글자 라고 교과서에 되어있었는데 우리나라 말이라고 해도 맞나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훈민정음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11. 5.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사항은 개념어의 범주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곳에서 분명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참고적인 정보로서 말씀드리면, 일반적으로 '말'은 음성 기호를, '글자'는 말을 적은 일정한 체계의 부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말과 글'처럼 구분하여 표현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훈민정음은 '글자'로 표현하는 것이 좀 더 적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훈민-정음(訓民正音) [훈ː민정음
] - 훈민-정음 「001」 「명사」 『언어"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 훈민-정음 「002」 「명사」 『역사"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