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안녕하십니까?
한글 맞춤법에서는 본용언+보조 용언 구성에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 붙여 씀을 허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관형사형 뒤에 결합하는 보조 용언의 형태가 의존 명사에 ‘-하다/싶다‘가 결합한 구성인 경우가 그에 해당합니다.
이때, 본용언이 합성 용언이거나 파생어이면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항상 띄어 써야 합니다.
그렇다면 ‘실수한듯싶다’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는 것이 적절한가요?
본용언인 ‘실수하다‘는 어근 ‘실수‘와 접사 ’-하다’가 결합한 파생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글 맞춤법에 따라 보조용언인 ‘듯싶다‘를 띄어 써야 하는데, 결합하는 방식이 붙여 씀을 허용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이런 상황에서는 규정을 어떻게 따라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듯싶다’를 붙여 쓰는 것이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것인가요?
아울러, 합성용언과 본용언+본용언, 또는 본용언+보조 용언을 구별하는 방법이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서로 다른 용언이 연결어미 ’-아‘를 통해 이어진 합성용언의 경우 다른 두 구성과 혼동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말고는 없을까요?
[답변]띄어쓰기
안녕하십니까?
보조 용언 띄어쓰기를 설명한 '한글 맞춤법' 제47항의 아래 해설에 따라 '실수한 듯싶다'로 띄어 씁니다.
본용언이 합성어인 경우에는 ‘덤벼들어보아라, 떠내려가버렸다’처럼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결합한 형태가 너무 길어질 수 있으므로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붙여 쓰지 않는다. 본용언이 파생어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합성어는 한 단어이고, '본용언과 본용언,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두 단어인데, 한 단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고맙습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