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중세국어 '애'

작성자 김민규 등록일 2025. 9. 27. 조회수 223

세종어제 훈민정음에서 비교 부사격 조사로 '에'를 쓰던데,  앞말이 음성모음일 때는 '에',양성모음일 때는 '애'가 쓰이는 것인가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중세 국어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9. 30.

안녕하십니까?

온라인 가나다는 현대 국어 문법에 한하여 참고 정보를 드립니다. 다만, 국립국어원 누리집 사전에 실려 있는 옛말 조사 정보를 아래에 보입니다.

「조사」 「옛말」 ((끝음절의 모음이 ‘ㆍ, ㅏ, ㅗ’가 아닌 체언류 뒤에 붙어))과.

나랏 말미 中國에 달아 文字와로 서르 디 아니.≪훈언 1

번역: 나라의 말이 중국 달라 문자로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一切 곧 一이라 다 性 업수메 니라.≪영가 하:8

원문: 一切卽一, 皆同無性.

번역: 모든 것이 곧 하나이라서 다 본성이 없음과 같다.

고맙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