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삼첩반상, 구첩반상 등 띄어쓰기

작성자 레몬라임 등록일 2025. 8. 20. 조회수 31

안녕하세요.


쟁첩의 수에 따라 <daum:word id="kkw000133967"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삼첩반상</daum:word><daum:word id="kkw000186752"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오첩반상</daum:word><daum:word id="kkw000262140"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칠첩반상</daum:word><daum:word id="kkw000027405"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구첩반상 등으로 구별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daum:word>

<daum:word id="kkw000027405"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그러면 십이첩반상도 붙여 쓰나요?</daum:word>

<daum:word id="kkw000027405"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
</daum:word>

<daum:word id="kkw000027405" style="font-family: "Spoqa Han Sans", "Apple SD Gothic Neo", "MS PGothic", "Nanum Barun Gothic YetHangul", sans-serif; font-size: 17px; word-spacing: 0px;">3첩반상, 7첩반상, 9첩반상, 12첩반상으로 쓸 때는 </daum:word>표기를 어떻게 하면 될까요?

[답변]표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8. 21.

안녕하십니까?

아래에 보인 '반상'의 사전 내용을 보면 "3첩·5첩·7첩·9첩 등으로 구별하고"라고 되어 있고, 현재 '삼첩반상, 오첩반상, 칠첩반상, 구첩반상'만 사전에 실려 있어서 이들 외에 문의하신 표기에 대하여는 온라인 가나다에서 임의로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실제로 '십이첩반상'으로 쓰고 있다면, 사전에 실려 있는 단어들과 계열을 이루는 말로 볼 수 있겠고, 사전에도 등재될 수 있다고 봅니다.

반상 「명사」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 사기나 놋쇠 따위로 만들며, 주발·대접·쟁반·탕기·조칫보·보시기·종지 따위를 기본으로 하고 쟁첩의 수에 따라 3첩·5첩·7첩·9첩 등으로 구별하고, 대접과 쟁반 외에는 모두 뚜껑이 있다.

고맙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