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국립 국어원에서 복수 정답을 인정했다고 들었습니다.
질문자 : 김도윤
등록일시 : 2025. 8. 3.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그럼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국립국어원이 수요일, 일요일 복수정답을 인정한 걸 보았습니다.
근데 여기서 수요일은 내일이 어제였으면이라고 가정했을 때 나오는 답입니다.
어제(실제) 오늘(가정 금요일) 내일(가정)
어제가 내일이었고 그랬을 때 오늘이 금요일이라면내일은 토요일입니다.
그렇다면 어제 역시 토요일입니다.
이때 오늘의 판단 기준은 실제인 어제입니다.
어제를 기준으로 오늘을 이야기한다면
어제인 토요일의 다음날인 일요일이 오늘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일요일입니다.
근데 내일이 어제였으면이라고 한다면
어제 (가정) 오늘(가정 금요일) 내일 (실제)
내일이 어제였고 오늘이 금요일이라면어제는 목요일이 됩니다.
그렇다면 내일은 목요일입니다.
실제인 내일을 기준으로 오늘을 이야기한다면
내일인 목요일의 전날인 수요일이 오늘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수요일입니다.
어제가 내일이라면과 내일이 어제라면은 완전히 다른 문장이며
이 가정이 바뀜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집니다.
국립국어원은 조속히 이를 수정 공표해주시고 실수를 인정하고 정정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8. 4.
안녕하십니까?아래와 같이 말씀하신 내용을 어디에서 보셨는지 알려 주셔야 조치할 수 있겠습니다.
온라인 가나다의 질의응답에서라면 해당 질의응답에서 재질문으로 글을 올려 주시면 조처하겠습니다.
국립국어원이 수요일, 일요일 복수정답을 인정한 걸 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
국립국어원에서 응답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문자 : 김정훈
등록일시 : 2015. 7. 12.
이 문장의 뜻이 궁금합니다저 문장대로 반영이 된다면내일 / 오늘-1 / 내일-1이 되는것입니까어제-1 / 오늘-1 / 어제가 되는것입니까아니면 중의적으로 둘 다 의미하는것입니까?
답변자 : 온라인가나다
답변일시 : 2015. 7. 14.
안녕하십니까?문의하신 부분이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하지 못해 답변을 드리지 못했습니다.
다만, ‘요일’과 관련된 부분이라면 이는 관점에 따라 ‘오늘’의 요일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음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문장 :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1. ‘어제의 요일’ 자체가 그대로 ‘내일의 요일’에 대입된다고 본다면,다시 말해 ‘어제의 요일=내일의 요일’로 본다면 답은 ‘일요일’입니다.
오늘이 ‘일요일’이라고 가정했을 때, 어제는 토요일입니다.
토요일이 ‘내일의 요일’이라면 오늘은 ‘금요일’이 됩니다.
2. ‘어제의 요일’을 ‘어제가 아닌 내일의 요일’로 대입한다고 본다면,
다시 말해 ‘어제의 요일≠내일의 요일’로 본다면 답은 ‘수요일’입니다.
이 시각에서 본다면 어제의 요일 자체가 바뀝니다.
오늘이 ‘수요일’이라고 가정했을 때, 어제는 화요일입니다.
어제가 화요일이 아니고 ‘내일의 요일(목요일)’이었다고 본다면 오늘은 ‘금요일’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그외 다른 답변들입니다.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답변의 주제
작성자 최율 등록일 2025. 3. 22. 조회수 1,090
안녕하세요. 국어원에서 흥미로운 주제에 답변을 남긴 것을 보았습니다.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럼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의 문장에서 실제 오늘이 무슨 요일이냐는 것인데요.
국어원에서는 실제 오늘은 수요일, 일요일의 중의적인 문장이라고 답변하였습니다.
질문 1. 위 문장에서 '어제가 내일이다.'는 'A 는 B'구조가 아닌지요? 만약 A는 B 구조가 맞다면 '내일이 어제다.' 와 같이 B 는 A 로 주어가 바뀐 해석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먼저 이 문장에서 *어제 내일*은 명사가 아닌 대명사로 쓰였습니다. 요일은 약속된 순서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1. 토요일이 월요일이면 오늘은 화요일이다. (A는 B일 경우) 오늘은 금요일이 아님.
2. 월요일이 토요일이면 오늘은 금요일이다.(B는 A일 경우) 주어가 바뀌어 뜻이 달라짐.실제 오늘이 일요일일 때 2번의 뜻을 표현하고 싶다면 '내일이 어제라면' 혹은 '어제가 내일이 된다면'과 같이 사용해야할 것입니다.
혼란스러운 이유가, 어제 = 내일, 내일 = 어제 라는 착오 때문입니다.
단어만 두고 본다면 참인 명제같지만 문장에서 요일로 치환하여 순서가 바뀌는 순간 본래의 의미가 다르게 됩니다.
바른 명제는 어제 = 내일이 아닌 어제 -> 내일 입니다.
핵심은 요일의 순서가 정해져 있어서 단어의 순서가 바뀌면 단서도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조금 명확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어제와 내일을 대명사로 사용하기 보다는
'내일이 토요일이었으면'과 같이 명사로 사용하면 쉽겠습니다.
3. 화요일이 목요일이다. 그럼 오늘은 금요일이다.실제 오늘은 수요일임.
질문 2. 맥락과 관련해서사회에서 언어를 사용할 때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하셨는데 이 문장에서 화자는 '금요일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 시점이 수요일인지 일요일인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두 요일 모두 동일한 맥락과 상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마다 다른 유추해석보다는 문장 구조에 따라 해석함이 바르지 않나 생각합니다
.[어제가 내일이라면 오늘이 지나지 않을텐데.. ] 와 같이 문학적표현이라면 논란의 여지가 없는 아름다운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본문의 주제는 단지 금요일을 되었으면 하는 기원이라.. 의견이 분분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항상 도움받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의 입장 주십시오!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
[답변]표현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3. 24.
안녕하십니까?질문의 요지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제시하신 문장을 해석하는 방식에 대한 개인의 의견을 올리신 것이라면,
온라인 가나다에서는 개인의 의견에 대해 판단해 드리거나 정정해 드리기 어려움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가나다에서는 문장이 사용된 개인의 바람이나 맥락에 대해서는 판단해 드리기 어렵고, 문장 구조에 따른 논리적 의미만을 말씀해 드릴 수 있습니다.
다만 이전 답변에서 'A는 B이다'와 'B는 A이다'의 의미가 같다고 말씀드린 것은, 'A=B'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이라면 'B=A'도 성립한다는 것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예를 들어, 논리적으로 문장의 의미만을 두고 본다면 '저 아이가 철수다'와 '철수가 저 아이다'의 의미가 같은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한국어에서 이러한 문장을 구성할 때, 주어로 나타나는 대상은 대체로 말하고자 하는 대상을 나타내므로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 보통이며, 따라서 위 두 문장을 쓰는 상황이 완전히 같지는 않습니다.
이 점에서 '어제가 내일이다'라는 표현의 의미가 '내일이 어제이다'의 의미가 다소 다르게 느껴질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논리적으로 두 문장의 의미가 다르다고 볼 근거는 없으며,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답변을 드린 것입니다. 이 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요일의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것과 '어제', '내일'의 방향이 다르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관계가 없습니다. 이 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재질문] [재질문] [재질문] [재질문] [재요청]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일텐데] 그렇다면 오늘은 무슨요일인가?
작성자 노상균 등록일 2024. 11. 22. 조회수 7,649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그렇다면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뒤늦게 보고 답변까지 찾아보고 수요일,일요일 다된다고 해서 이해가 안가서 재질문 드립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을 적어보자면
1. 오늘이 금요일일 텐데 - 뒤에 텐데 라는 것으로 봐서는 바람이고, 현실은 아닙니다. 따라서 "바라는오늘" = 금요일
2. 어제가 내일 이었으면 좋겠다 - 어제 = 현실, 내일이었으면 = 으면 이 붙었으므로 현실이 아닌 바람
3. 여기서 1.2. 항목을 조합해보면- 내가 바라는 오늘은 금요일이니 내가 바라는 내일이 토요일이 됩니다.- 또한 2. 항목에서 보면 '바라는 내일'= '현실의 어제' 가 되므로 '현실의 어제'=토요일이 됩니다.
4. 3에서 결과로 봤을 때 - 현실의 어제는 토요일이라 현실의 오늘은 일요일 위와 같이 나옵니다.
만약 제가 잘못 이해를 하고 있다면현실의 오늘이 수요일 이 되려면 어떤 해석이 되는 건가요?제가 이해한 내용에 '일요일'을 대입하면현실의 오늘 : 일요일현실의 어제 : 토요일대입하면[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그렇다면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1. 토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가 됩니다.- 명확히 문맥상 맞습니다.
하지만제가 이해한 내용에 '수요일'을 대입하면현실의 오늘 : 수요일현실의 어제 : 화요일대입하면[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그렇다면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
1. 화요일이 내일이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늘이 금요일 일텐데 가 됩니다.- 화요일이 내일이면 오늘은 월요일이 됩니다.- 하지만 오늘은 수요일이라는 명시를 하고 대입을 하였습니다.- 월요일과 수요일은 같지 않습니다.명확히 수요일을 저 문장에 대입해서 말이 되는 것인지 답변 좀 해주세요
==============================================================
[답변]의미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11. 25.
안녕하십니까?질문하신 문장에서 화자가 바라는 내용은 '어제와 내일이 같은 날이다'라는 것이고,
화자가 바라는 가상의 상황에서 '오늘'은 '금요일'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이 가상의 상황에서 '어제'를 변하는 것으로 보고 '내일'은 현실의 요일과 동일한 것으로 볼 것인지, '어제'를 현실의 요일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내일'을 변하는 것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이해해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어제'와 '내일' 중 어떠한 날을 가상의 상황의 '오늘'과 연관하여 이해하고, 둘 중 어떠한 날을 현실의 '오늘'과 연관하여 이해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
만약 대화 상황에서, 가상의 상황의 '오늘'과 연관되는 것이 '어제'라면 이때의 '어제'는 가상의 상황상 '목요일'이 됩니다.
한편 가상의 상황의 '어제'는 현실의 상황의 '내일'과 동일해야 하므로, 현실 상황의 '내일' 역시 '목요일'이 됩니다.
따라서 현실 상황의 '오늘'은 '목요일'을 앞둔 날, 즉 '수요일'로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
즉 말씀하신 내용 중 2와 관련하여, '어제'를 현실이 아닌 바람으로 이해하고 '내일'을 현실로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앞서 누차 답변드린 대로, 이상의 내용은 '어제가 내일이었으면 좋겠다'라는 문장에서 '어제=내일'이라는 논리적 의미만을 고려하고,'어제'가 가변적 의미로 해석될지 '내일'이 가변적 의미로 해석될지는 알 수 없다는 점을 전제로 합니다.
다만 언어적으로 표현된 문장의 의미는 단순히 문장에 쓰인 언어 표현에 의한 논리적 의미만이 고려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이나 맥락, 대화의 상황, 화자의 어조 등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문장의 처음에는 고정적인 표현이 놓이는 것이 보통이므로, 위와 같은 문장은 대체로 '어제'의 의미가 절대적인 의미로서 고정되어 있고, '내일'의 의미가 상대적인 의미로서 가변적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는 합니다.
즉 일상적으로 해석한다면, 질문자께서 생각하시는 결론이 도출될 가능성이 좀 더 높다고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논리적으로 다르게 해석될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으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상기 답변들이 국립국어원이 답한 내용입니다.
특히 2015년 답변한 내용은 사람들 사이에서 많이 떠돌아다니는 내용입니다.
어제가(실제) 내일이라면(가정)과 내일이(실제) 어제라면(가정)은완전히 다른 문장으로
그 결과 값이 다르게 나오는 가정이므로 제 원 글을 참고하시어 수정 공표 바랍니다.
이는 하늘에 계신 예슈아 하마쉬아흐님의 지혜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