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껀 건

작성자 2515 등록일 2025. 7. 17. 조회수 543
""랑 ''차이 알고 싶어요안돼요 랑 안되요 중 안돼요 가 맞지않나요?? 안해요 가 안하요 보다 잘 어울리는데 왜 다들 안되요라고 쓰는건가요… 


==================================================================
질문자 : 2515                               등록일시 : 2025. 7. 10.
습득 껀으로 가 아니라 습득 건으로 아닌가요… ''이거랑 ""이거에 차이를 알고싶어요했슴 이 아니라 했음 아닌가요? 아버지가 자꾸 쓰시는데 아닌 거 같은데 틀렸네 맞았네 인정도 없고 그냥 씹어서 미칠 거 같아요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5. 7. 11.
안녕하십니까? 1. '어떤 일이나 문제를 일으킬 만한 특정한 일이나 사건'을 이르는 말은 '건'으로 표기하므로, '습득한 일', '습득한 사건'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습득 건'으로 표기함이 바릅니다.2. '랑'은 '어떤 행동을 함께 하거나 상대로 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비교의 기준이 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입니다. '이거랑'은 '이거'에 이러한 조사 '랑'이 결합한 표현입니다.3. '했다'의 명사형은 '했음'으로 표기함이 바릅니다. 이는 명사형 어미 '-음'이 결합한 표기라는 점을 참고하실 수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의미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7. 18.

안녕하십니까?

1. 큰따옴표("")는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하거나 남의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 할 때 씁니다. 작은따옴표('')는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쓰거나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씁니다. 또한 문장의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에도 쓸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한글 맞춤법의 문장 부호 규정(https://korean.go.kr/kornorms/regltn/regltnView.do#a714)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2. '안되다'의 활용형은 '안돼요'로 적습니다.

3. '(-)하다'는 여 불규칙 활용을 하므로 '안 하다'는 '안 해요'로 활용합니다. '안 해요'와 '안 돼요'는 '하다'와 '되다'의 의미 차이입니다. 아래에 '하다'와 '되다'의 의미를 첨부해 드리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하다 [하다발음 듣기] 하여[하여발음 듣기](해[해ː]), 하니[하니발음 듣기]
하다 「001」 「동사」 【…을】 사람이나 동물, 물체 따위가 행동이나 작용을 이루다.
하다 「002」 「동사」 【…을】 먹을 것, 입을 것, 땔감 따위를 만들거나 장만하다.
하다 「003」 「동사」 【…을】 표정이나 태도 따위를 짓거나 나타내다.
하다 「004」 「동사」 【…을】 음식물 따위를 먹거나 마시거나 담배 따위를 피우다.
하다 「005」 「동사」 【…을】 장신구나 옷 따위를 갖추거나 차려입다.
하다 「006」 「동사」 【…을】 어떤 직업이나 분야에 종사하거나 사업체 따위를 경영하다.
하다 「007」 「동사」 【…을】 어떤 지위나 역할을 맡거나 책임지다.
하다 「008」 「동사」 【…을】 어떠한 결과를 이루어 내다.
하다 「009」 「동사」 【…을】 무엇을 사거나 얻거나 하여 가지다.
하다 「010」 「동사」 【…을】 값이 어느 정도에 이르다.
하다 「011」 「동사」 【…을】 ((값어치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기대에 걸맞은 일을 행동으로 나타내다.
하다 「012」 「동사」 【…을】 ((주로 ‘할 것 없다’ 구성으로 쓰여))((‘…을’ 대신에 ‘-고 -고’, ‘-다 -다’가 쓰이기도 한다))분별하여 말하다.
하다 「013」 「동사」 【…을 -게】 ((주로 ‘어떻게’와 함께 쓰이며 ‘-게’ 대신에 ‘-듯’이나 ‘…대로’ 따위가 쓰이기도 한다))사건이나 문제 따위를 처리하다.
하다 「014」 「동사」 【…을 …으로】 특정한 대상을 어떤 특성이나 자격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거나 삼다.
하다 「015」 「동사」 【…을 …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두다.
하다 「016」 「동사」 【…을 …으로】 【-기로】 어떤 일을 그렇게 정하다.
하다 「017」 「동사」 【…을 -고】 이름 지어 부르다.
하다 「018」 「동사」 【…으로】 ((주로 ‘하여(서)’ 꼴로 쓰여))어떠한 일의 원인이 되다.
하다 「019」 「동사」 【…으로】 ((주로 ‘해서’나 ‘하여’ 꼴로 쓰여))어디를 경유하다.
하다 「020」 「동사」 ((주로 ‘하여(서)’ 꼴로 ‘쯤’, ‘경’ 다음에 쓰여))일정한 시각이나 시기에 이르다.
하다 「021」 「동사」 ((‘하면’ 꼴로 명사 다음에 쓰여))이야기의 화제로 삼다.
하다 「022」 「동사」 ((‘하고’ 꼴로 명사의 단독형과 함께 쓰여))‘그것에 그치지 않고 거기에 더하여’의 의미를 나타내는 말.
하다 「023」 「동사」 【-고】 ((간접 인용의 경우에는 ‘고’가, 직접 인용의 경우에는 ‘라고’가 쓰인다))이르거나 말하다.
하다 「024」 「동사」 【-고】 ((주로 ‘하는’ 꼴로 쓰이는데 ‘-고 하는’은 ‘-는’으로 줄기도 한다))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따위를 나타내는 문장의 내용을 받아 뒤에 오는 체언을 꾸미는 기능을 나타내는 말.
하다 「025」 「동사」 【…에/에게 -게】 ((‘-게’ 대신에 ‘-노라고, -ㄴ다고’ 따위나 ‘…대로, …처럼’ 따위의 부사어가 쓰이기도 한다))다른 사람에게 특별한 방식으로 어떤 영향을 주거나 대하다.
하다 「026」 「동사」 【-게】 ((‘-게’ 대신에 ‘…대로, …처럼’ 따위의 부사어가 쓰이기도 한다))어떤 방식으로 행위를 이루다.
하다 「027」 「동사」 ((‘-거나 -거나, -든지 -든지, -고 -고, -다가 -다가, -거니 -거니, -둥 -둥, -까 -까’ 따위의 구성 뒤에 쓰여))나열되거나 되풀이되는 둘 이상의 일을 서술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말.
하다 「028」 「동사」 ((‘-ㄴ가/ㄹ까/나, -려니, -려나, -거니’ 구성 뒤에 쓰여))생각하거나 추측하다.
하다 「029」 「동사」 ((‘-니 -니’ 구성 따위 뒤에 쓰여))이러저러하게 말하다.
하다 「030」 「동사」 ((‘-다’ 구성 뒤에서 ‘하면’ 꼴로 쓰여))만일 어떤 상황이 일어나면 그에 따르는 어떤 상황이 반드시 뒤따라옴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1」 「동사」 ((의성어 뒤에 쓰여))그런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하다 「032」 「동사」 ((인용 조사 없이 발화를 직접 인용하는 문장 뒤에 쓰여))인용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3」 「동사」 ((문장 앞에서 ‘하나’, ‘하니’, ‘하면’, ‘하여’, ‘해서’ 따위의 꼴로 쓰여))‘그러나’, ‘그러니’, ‘그러면’, ‘그리하여’, ‘그래서’의 뜻을 나타내는 말.
하다 「056」 「동사」 ((동사의 어간, ‘있다’, ‘없다’ 뒤에서 ‘-는가, -ㄴ가’ 구성 뒤에 쓰여))‘대립’의 의미를 나타내는 말.
하다 「034」 「보조 동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게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의 행동을 시키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도록 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5」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주로 ‘-었으면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의 행동을 하거나 앞말의 상태가 되기를 바람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6」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어야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7」 「보조 동사」 ((동사 뒤에서 ‘-으려(고) 하다’, ‘-고자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의도하거나 바람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8」 「보조 동사」 ((동사 뒤에서 ‘-기는 하다’, ‘-기도 하다’, ‘-기나 하다’ 따위의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일단 긍정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39」 「보조 동사」 ((동사 뒤에서 ‘-고 해서’, ‘-고 하여’, ‘-고 하니’ 구성으로 쓰여))앞말의 사실이 뒷말의 이유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40」 「보조 동사」 ((동사 뒤에서 ‘-고는 하다’, ‘-곤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습관처럼 하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황이 반복되어 일어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41」 「보조 동사」 ((형용사 뒤에서 ‘-어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내는 말.
하다 「058」 「보조 동사」 ((일부 동사 뒤에서 ‘-어 하다’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대한 상태나 태도를 드러냄을 나타내는 말.
하다 「042」 「보조 형용사」 ((‘이다’의 어간이나 형용사 뒤에서 ‘-기는 하다’, ‘-기도 하다’, ‘-기나 하다’ 따위의 구성으로 쓰여))앞말이 뜻하는 상태를 일단 긍정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말.
하다 「057」 「보조 형용사」 ((‘이다’의 어간이나 형용사 뒤에서 ‘-고 해서’, ‘-고 하여’, ‘-고 하니’ 구성으로 쓰여))앞말의 사실이 뒷말의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말.

되다 [되다발음 듣기/뒈다발음 듣기] 되어[되어발음 듣기/뒈여발음 듣기](돼[돼ː발음 듣기]), 되니[되니발음 듣기/뒈니발음 듣기]
되다 「002」 「동사」 【…이】 【…으로】 다른 상태나 성질로 바뀌거나 변하다.
되다 「001」 「동사」 【…이】 새로운 신분이나 지위에 이르다.
되다 「003」 「동사」 【…이】 어떤 시기나 시점에 이르다.
되다 「004」 「동사」 【…이】 일정한 수량에 차거나 이르다.
되다 「005」 「동사」 【…이】 어떤 대상의 수량, 요금 따위가 얼마이거나 장소가 어디이다.
되다 「006」 「동사」 【…이】 사람으로서의 품격과 덕이 갖추어지다.
되다 「007」 「동사」 【…이】 어떠한 심리적 상태에 놓이다.
되다 「034」 「동사」 【…이】 어떤 행위나 일이 일어나거나 행하여지다.
되다 「023」 「동사」 【…이】 어떤 특별한 뜻을 가지는 상태에 놓이다.
되다 「035」 「동사」 【…이】 시간이나 공간 따위가 비거나 여유가 생기다.
되다 「008」 「동사」 【…이】 【…에게 …이】 【(…과) …이】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어떤 관계로 맺어져 있다.
되다 「009」 「동사」 【…으로】 어떤 재료나 성분으로 이루어지다.
되다 「010」 「동사」 【…으로】 어떤 형태나 구조로 이루어지다.
되다 「011」 「동사」 【…으로】 어떤 사람이나 조직의 이름으로 만들어지다.
되다 「036」 「동사」 어떤 때가 오다.
되다 「012」 「동사」 어떤 사물이 모습을 갖추어 만들어지다.
되다 「013」 「동사」 일이 이루어지다.
되다 「037」 「동사」 어떤 일이 가능하거나 받아들여지다.
되다 「015」 「동사」 ((주로 ‘다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사물의 기능이 없어지거나 수명이 끝나다.
되다 「038」 「동사」 ((과거형으로만 쓰여))어떤 것이 충분하거나 더 필요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말. 주로 거절하는 뜻으로 쓴다.
되다 「017」 「동사」 【-도록】 【-기로】 어떤 일이 그렇게 정하여지다.
되다 「016」 「보조 동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게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말.
되다 「018」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어야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내는 말.
되다 「019」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으면 되다’ 구성으로 쓰여))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 괜찮거나 바람직함을 나타내는 말.
되다 「021」 「보조 동사」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 뒤에서 ‘-어도 되다’, ‘-어서는 안 되다’ 따위의 구성으로 쓰여))어떤 일이 가능하거나 허락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
되다 [되ː다발음 듣기/뒈ː다발음 듣기] 되어[되어발음 듣기/뒈여발음 듣기](돼[돼ː발음 듣기]), 되니[되ː니발음 듣기/뒈ː니발음 듣기]
되다 「024」 「동사」 【…을 …으로】 말, 되, 홉 따위로 가루, 곡식, 액체 따위의 분량을 헤아리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