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올림말 ‘플라세보(placebo)’ 관련 비슷한말의 정합성과 체계성 검토 바람
올림말 ‘플라세보(placebo)’ 관련 비슷한말의 정합성과 체계성 검토 바람
---
플라세보(placebo)「명사」 『약학』 실제로는 생리 작용이 없는 물질로 만든 약. 젖당·녹말·우유 따위를 이용하며, 어떤 약물의 효과를 시험하거나 환자를 일시적으로 안심시키기 위하여 투여한다. ≒ 가약(假藥), 속임약(속임藥).
가약4(假藥)「명사」 『약학』 실제로는 생리 작용이 없는 물질로 만든 약. 젖당·녹말·우유 따위를 이용하며, 어떤 약물의 효과를 시험하거나 환자를 일시적으로 안심시키기 위하여 투여한다. = 플라세보(placebo).
속임-약(속임藥)「명사」 『약학』 실제로는 생리 작용이 없는 물질로 만든 약. 젖당·녹말·우유 따위를 이용하며, 어떤 약물의 효과를 시험하거나 환자를 일시적으로 안심시키기 위하여 투여한다. = 플라세보(placebo).
위약6(僞藥)「명사」 『약학』 환자에게 심리적 효과를 얻도록 하려고 주는 가짜 약.
속임약^효과(속임藥效果) 『심리』 속임약을 썼을 때 환자가 진짜 약으로 믿어 좋은 반응이 나타나는 일.
플라세보^효과(placebo效果) 『의학』 ‘속임약 효과’의 전 용어.
---
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내용입니다. 비슷한말인데도 정합성, 체계성 등에서 하자가 있으므로 아래를 참고하여 수보할 것을 제안합니다.
① 플라세보, 가약, 속임약은 비슷한말로 연결되어 있지만, ‘위약’은 그렇지 않습니다. 어휘 간의 정합성, 체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약’도 비슷한말로 연결시킬 것을 제안합니다.
② ‘속임약^효과’와 ‘플라세보^효과’는 같은 용어로 연결시키고 있는데, ‘위약^효과’도 백과 사전 등에서 나타나고 있으므로 올림말로 등재할 것을 제안합니다. 또한 ‘플라세보’는 대표 올림말로 싣고 있으면서 ‘플라세보^효과(placebo效果)’를 ‘속임약 효과’의 전 용어로 풀이하고 있는 점도 모순이 아닌가 합니다.
③ 위의 반의어인 ‘노세보^효과(nocebo效果)’도 올림말로 등재할 것을 제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