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앉다 발음
안녕하세요. ‘앉다‘의 발음이 왜 ’안따’로 되는 과정이 헷갈려서 질문 남깁니다.
’앉다’가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서 ‘안다’가 되고 된소리 되기가 일어나서 ‘안따‘가 되는지,
아니면 ’앉다’의 지읒이 음절의 끝소리 규칙으로 ‘안ㄷ다’로 되고 나서 된소리되기로 안ㄷ따‘가 되고 자음군 단순화로 ’안따’가 되는지
2가지 중 어느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비슷한 사례로 ‘핥다‘가 있는 것 같은데,
만약에 ’핥다‘에 자음군 단순화를 하면 ’할다’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 된소리되기가 못일어나는데, 어떻게 할따가 되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앉다, 핥다'의 발음
안녕하십니까?
표준 발음법 제10 항에 따르면 겹받침 ‘ㄵ’은 자음 앞에서 [ㄴ]으로 발음하며 표준 발음법 제24 항에 따르면 어간 받침 ‘ㄴ(ㄵ)’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ㄷ’은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앉다'의 표준 발음은 [안따]가 되는 것입니다. ‘ㄵ’ 뒤의 경음화는 실제로는 ‘ㄷ’에 의한 경음화입니다. 겹받침의 일부인 ‘ㅈ’이 탈락하기 전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그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표준 발음법 제24 항 해설 아래에 있는 '더 알아보기' 내용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한편 표준 발음법 제25 항에서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라고 보이며 그 용례로 '핥다[할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학술적으로는 겹받침 ‘ㄾ’의 경음화는 ‘ㄷ(ㅌ)’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제23 항과 같은 성격을 지닙니다. 다만 제23항의 경우 받침이 종성에서 [ㄱ, ㄷ, ㅂ] 중 하나로 발음되는 데 비해 ‘ㄾ’은 종성에서 [ㄹ]로 발음되기 때문에 별개의 조항으로 분리한 것이며 이는 앞선 제24항에서 ‘ㄵ’ 뒤의 경음화를 ‘ㄷ’ 뒤의 경음화로 보지 않고 ‘ㄴ’ 뒤의 경음화와 동일시한 태도와 궤를 같이한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