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된소리 표기 규정
안녕하세요
된소리 표기 규정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어문규정집 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에 따라 '똑딱똑딱'이 표준어인 것은 알겠는데,
그럼 같은 구조인 '싹둑싹둑'은 '싹뚝싹뚝'이 아닌 '싹둑싹둑'이 표준어 인가요?
'싹둑'이 표준어 이기 때문에 그대로 반복한다고 이유를 삼자니
어문 규정집 5항 - 2. 다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에 의한다면 '똑딱'이 아닌 '똑닥'이 표준어인 것이 맞고 그렇다면 '똑닥똑닥'이 표준어여야 하는데 또 그렇지는 않으니.....
어떻게 이해하는게 좋을까요?
[답변]표기
안녕하십니까?
'한글 맞춤법' 제5항에 따르면 '똑딱'도 '싹둑(싹둑싹둑)'과 마찬가지로 '똑닥'으로 적을 만하지만, '똑'과 '딱'은 비슷한 음절이 거듭되는 경우에 해당하여 예외적으로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여 '똑딱'으로 적습니다. 아래에 보인 맞춤법 해설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제5, 13항 해설
그렇지만 ‘똑똑하다, 쓱싹쓱싹, 쌉쌀하다’의 ‘똑똑, 쓱싹, 쌉쌀’처럼 같거나 비슷한 음절이 거듭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여 같은 글자로 적는다.
‘딱딱, 쌕쌕’ 등은 ‘딱, 쌕’의 음절이 반복되는 의성어이므로 반복되는 음절을 동일하게 적는다. ‘딱딱’을 ‘딱닥’으로 적어도 소리는 동일하지만 ‘딱딱’이라고 적으면 ‘딱’이라는 음절이 반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언어 직관에 더 맞는다. ‘씁쓸하다, 똑딱똑딱, 쓱싹쓱싹’ 등도 각각 ‘씁, 쓸’, ‘똑, 딱’, ‘쓱, 싹’의 비슷한 음절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딱딱, 쌕쌕’ 등과 성격이 비슷하다. 따라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반복되는 경우, 그 반복되는 부분을 같은 글자로 적는 것이 자연스럽다.
고맙습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