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윗사람의 존함(함자, 성함)을 말할 때 이름자와 자는 띄어쓰나요?

작성자 이용준 등록일 2024. 5. 13. 조회수 76

윗사람의 존함(함자, 성함) 말할 때

홍길동의 경우

홍 길자 동자라고 하는지,

홍 길 자 동 자라고 하는지

알려주세요.

비밀번호

[답변]띄어쓰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5. 14.

안녕하십니까?

'홍 길 자 동 자'로 쓰는 것이 원칙이나 단음절이 연속한 구조이므로 '홍 길자 동자'로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고맙습니다.

-----

한글 맞춤법 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 좀더 큰것
  • 이말 저말
  • 한잎 두잎
해설

띄어쓰기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글을 읽는 이가 의미를 바르고 빠르게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음절로 된 단어가 여럿(셋 이상)이 연속해서 나올 때 단어별로 띄어 쓰면 오히려 의미를 바르고 빠르게 파악하기가 더 어렵다.

그런 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붙여 쓸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이다.

  • 좀 더 큰 이 새 차(원칙) / 좀더 큰 이 새차(허용)
  • 내 것 네 것(원칙) / 내것 네것(허용)
  • 물 한 병(원칙) / 물 한병(허용)
  • 그 옛 차(원칙) / 그 옛차(허용)

그러나 단어별로 띄어 쓴다는 원칙이 있기에 과도하게 붙여 쓰기는 어렵다. 두 개의 음절은 붙일 수 있지만, 세 개 이상의 음절을 붙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좀더 큰 이 새차(○) / 좀더큰 이새차(×)
  • 내것 네것(○) / 내것네것(×)
  • 물 한병(○) / 물한병(×)

또한 연속되는 단음절어를 붙여 쓸 수 있다고 해서 아무렇게나 붙여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 단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붙여야 한다. 가령, ‘물 한 병’을 ‘물 한병’이라고는 쓸 수 있어도 ‘물한 병’이라고 쓸 수는 없다. ‘물’과 ‘한’이 의미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의미적으로 자연스럽게 하나로 이어질 때에만 붙여 쓸 수 있다.

  • 더 못 가.(○) / 더못 가.(×)
  • 잘 안 와.(○) / 잘안 와.(×)
  • 늘 더 자.(○) / 늘더 자.(×)

위의 예에서 ‘못, 안, 더’는 각각 뒷말 ‘가, 와, 자’를 먼저 꾸미는 것이어서 앞말과 묶이기 어렵다. ‘좀 더 봐’를 ‘좀더 봐’로 쓸 수 있는 것과 달리 위의 ‘늘 더 자’는 ‘늘더 자’로 붙여 쓸 수 없다. 이는 ‘좀’이 ‘더’를 먼저 꾸미는 것과는 달리 ‘늘’은 하나로 묶인 ‘더 자’를 꾸미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