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공부하다에서 -하다가 접사인 이유

작성자 불명 등록일 2023. 10. 24. 조회수 1,350








==================================================================

질문자 : 불명                               등록일시 : 2022. 3. 5.

안녕하세요. 


공부하다라는 단어를 분석하면 공부하-는 어간이고 -다는 활용할 때 변하니까 어미이지 않습니까.

더 나아가 공부하-라는 어간을 분석하면 공부라는 어근과 -하-라는 접사로 이루어진 것 아닌가요? 

그래야 공부하는, 공부하니 와 같은 활용형에서 단어를 분석할 때도 -하-를 접사로 인정한다면 납득이 쉬운데

왜 표준국어대사전에선 -하-가 아닌 -하다를 접사로 인정하고 있는지 궁금증이 생겨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2. 3. 7.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바는 사전에 정보를 싣는 체계에 관한 것으로서, 국립국어원 누리집 사전은 접사 표제어를 '-하다', '-답다', '-뜨리다'와 같이 '-다'가 붙은 방식으로 실었습니다.

재질문: 그럼 왜 찾아내다의 내다는 접사가 아니라 어근인가요?



[답변]단어 형성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3. 10. 28.

안녕하십니까?

'찾아내다'는 아래와 같은 뜻을 나타내는 말로서, 동사 '찾다'와 동사 '내다'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입니다. '내다'는 접사로 쓰이지 않습니다.

찾아내다 「001」 「동사」 【…을】 찾기 어려운 사람이나 사물을 찾아서 드러내다.
찾아내다 「002」 「동사」 【…을】 모르는 것을 알아서 드러내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