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ㅂ 불규칙 활용과 순경음 비읍
ㅂ 불규칙 활용은 어간 끝 'ㅂ' 받침이 모음 어미 '-아/-어' 앞에서 반모음 'ㅜ/ㅗ'로 바뀌거나 매개모음 또는 피사동 접사 앞에서 모음 'ㅜ'로 바뀌거나 탈락하는 활용이라고 알고 있는데 피사동접사 앞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 양상이나 자세한 규칙에 대해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또 명사화 접미사가 붙으면 축약되거나 탈락한다는 내용도 순경음 비읍과 관련해서 ㅂ 불규칙 활용이 일어난건가요?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ㅂ 불규칙 활용
안녕하십니까?
온라인 가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답변을 들리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비읍 불규칙 활용'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타 설명에 대해서는 그와 같이 설명한 사람이나 출판사 쪽으로 문의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곳은 표준국어대사전과 어문 규범에 대해 문의하는 곳으로서 순경음 비읍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순경음 비읍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국어사 서적 등을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고맙습니다.
-------
비읍^불규칙^활용(비읍不規則活用) 『언어" 어간의 말음인 ‘ㅂ’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우’로 변하는 활용. ‘굽다’가 ‘구워’로, ‘아름답다’가 ‘아름다우니’로 활용하는 것 따위이다. 다만, ‘돕다’, ‘곱다’는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 나 ‘도와’, ‘고와’가 된다.≒ㅂ 받침 변칙, ㅂ 벗어난끝바꿈, ㅂ 변칙, ㅂ 변칙 활용, ㅂ 불규칙 활용, 비읍 벗어난끝바꿈, 비읍 변칙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