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상담 사례 모음

이 자료는 국어생활종합상담실 온라인가나다에서 묻고 답한 내용 중에서 뽑아 정리한 것입니다.

'더 하다', '더하다'의 띄어쓰기

등록일 2019. 12. 6. 조회수 6,810
[질문] "마차가 부서지면 구르기밖에 {더 하겠어요/더하겠어요}?"에서 알맞은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답변] "마차가 부서지면 구르기밖에 더 하겠어요?"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제시된 문장은 마차가 부서지면 구르기 이외에 무엇을 더 하겠느냐는 뜻이므로 '더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어떤 기준보다 정도가 심하다'의 뜻으로 "부담은 예전보다 지금이 더하다."와 같이 쓰이는 형용사 '더하다'나, '더 보태어 늘리거나 많게 하다', '어떤 정도나 상태가 더 크거나 심하게 되다', '어떤 요소가 더 있게 하다'의 뜻으로 각각 '둘에 셋을 더하다', '나무잎이 푸른빛을 더하다', '병세가 더하다'와 같이 쓰이는 동사 '더하다'는 붙여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