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어려운 외래 용어 ‘디토 소비’ 대신 쉬운 우리말 ‘모방 소비’로 쓰세요

작성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5. 9. 30. 조회수 1064

어려운 외래 용어 ‘디토 소비’ 대신

쉬운 우리말 ‘모방 소비’로 쓰세요

- 국민 참여와 국어심의회 거쳐 어려운 외래 용어 19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 ‘디스커버리 제도’는 ‘증거 열람 제도’로, ‘알이(RE)100’은 ‘재생 에너지 100’, ‘전량 재생 에너지’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이하 국어원)은 우리 사회에 퍼져 있는 외래 용어 19개를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2025년 9월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 심의·의결을 거쳐 ‘디토 소비’, ‘다이내믹 프라이싱’, ‘디스커버리 제도’ 등의 외래 용어를 각각 ‘모방 소비’, ‘유동 가격제’, ‘증거 열람 제도’ 등으로 다듬었다. 다듬은 말의 후보안은 언론계, 학계, 청년(대학생) 등이 참여한 ‘새말모임’에서 마련되었으며, 전국 15세 이상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에 상정됐다.

  * 우리말 대체가 필요한 외국어 및 외국어 단어별 우리말 대체어 수용도 등 조사

 

  이번에 발표한 다듬은 말 가운데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할 말로 국민이 가장 많이 선택한 말은 ‘디토 소비’(77%)였다. 최근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확산되는 소비 풍조 중 하나인 ‘디토 소비’는 다른 사람의 구매를 따라 소비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쉬운 우리말인 ‘모방 소비’로 다듬었다.

 

  이밖에 언론 등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디스커버리 제도’나, ‘알이(RE)100’ 등을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디스커버리 제도’는 ‘재판 과정에서 소송 당사자가 직접 증거를 수집하거나, 상대의 증거를 미리 열람할 수 있는 제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다듬은 말 후보로 ‘증거 개시 제도’, ‘증거 공개 제도’, ‘증거 열람 제도’, ‘증거 상호 공개제’가 제안되었다. 국민들은 이 중 ‘증거 열람 제도’를 가장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로 선택했으며,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회의 심의에서도 ‘증거 열람 제도’를 최종 다듬은 말로 선정했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전량을 재생 에너지로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을 의미하는 ‘알이(RE)100’의 다듬은 말은 ‘재생 에너지 100’ 또는 ‘전량 재생 에너지’로 복수 대체어를 선정했다.

 

<그림 1>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외국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2025년 9월 우리말로 대신해야 할 외국어, 디토 소비(77%) 바꾼말 '모방 소비', 다이내믹 프라이싱(75.5%) 바꾼말 '유동 가격제', 디스커버리 제도(74.5%) 바꾼말 '증거 열람 제도', 브라운드필드 투자(74%) 바꾼말 '현지 인수 투자', 런치플레이션(71.6%) 바꾼말 '점심 물가 상승', 디브리핑(70.6%) 바꾼말 '과정 평가/정리 보고', 그린필드 투자(70%) 바꾼말 '현지 설립 투자', 알이(RE)100(69.1%) 바꾼말 '재생 에너지 100/전량 재생 에너지', 부트 캠프(68.5%) 바꾼말 '집중 교육', 스케일업(67.6%) 바꾼말 '규모 확대', 그림의 숫자는 그 외국어를 우리말로 대신해야 한다고 평가받은 비율입니다. 조사에 참여한 국민 중 77%는 외국어인 '디토 소비'를 우리말로 대신하는 것이 좋다고 답했습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앞으로도 쉬운 공공언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공공성이 높거나 국민 생활과 밀접한 낯선 외래 용어를 신속하게 우리말로 다듬고, 누리소통망(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국민에게 널리 알릴 계획이다.



붙임 2025년 9월 다음은 말 목록

담당 부서

문화예술정책실

책임자

과장

최진

(044-203-2531)

 

국어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이윤영

(044-203-2534)

담당 부서

국립국어원

책임자

과장

황용주

(02-2669-9721)

 

공공언어과

담당자

연구사

유희정

(02-2669-9724)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