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국립국어원, '인공지능 말평' 과제 활용 한국어 인공지능 우수 논문 선정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5. 9. 26. 조회수 2252

국립국어원, '인공지능 말평' 과제 활용
한국어 인공지능 우수 논문 선정

- ‘제3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10. 1.(수)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시상



  국립국어원은 작년부터 한국어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인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HCLT)’와 연계하여 한국어 인공지능 우수 논문을 선정, 시상하고 있다. 이는 영어 중심의 인공지능 기술 환경에서 차세대 연구자들의 한국어 인공지능 연구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올해는 국립국어원 ‘인공지능 말평(kli.korean.go.kr/benchmark)’에 제시된 10종의 한국어 능력 평가 과제*를 대상으로 한 기술 개발 연구 논문을 공모하였으며 전문가 심사를 거쳐 우수 논문 4편을 선정하였다. 이 중 최우수 논문 1편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이, 우수 논문 3편에는 국립국어원장상이 수여된다.

* ‘한국어 문장 간 논리 관계 판별’, ‘한국어 일상 대화 연결’, ‘대화 맥락 기반 부적절 발언 탐지’, ‘일상 대화 요약’, ‘속성 기반 감성 분석’ 등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1편과 국어원장상 3편의 선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정 결과

논문 제목

저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최우수 논문상)

한국어 문장 간 논리 관계 판별을 위한 담화 표지 기반 데이터 증강과 스팬 라벨 가중 학습

박지홍, 김주영, 이세연, 박수진,
김건우

(경상국립대)

국어원장상

(우수 논문상)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하는 부적절 발언 탐지를 위한 추론 관점을 명시하는 소프트 귀납적 편향 접근법

김주영, 박지홍, 이세연, 박수진,
김건우

(경상국립대)

보상함수 설계 기반 Self-Feedback 강화학습을 통한 LLM 추론 능력 향상

김아진, 김균엽, 강상우

(가천대)

TOUR: 공감적 에이전트 기반 한국어 과제 지향 발화 재작성

김지수, 곽태윤

(성균관대)

 

  이렇게 선정된 논문의 발표 및 시상은 ‘제3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에서 진행한다. 한국어 인공지능 학계와 산업계 연구자들이 모두 모이는 자리에서 발표와 시상이 이루어지는 만큼 후속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한국어 인공지능의 연구 성과를 알리고 연구 개발을 독려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잘 아는 인공지능 연구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제3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포스터 1부.

담당 부서

문화체육관광부

책임자

과장

이현주

(02-2669-9750)

 

국립국어원 언어정보과

담당자

학예연구사

김소희

(02-2669-9614)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