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 10년을 돌아보다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5. 9. 25. 조회수 2617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 10년을 돌아보다

- 국립국어원, 9월 26일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 10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 -



  국립국어원(이하 국어원)은 오는 9월 26일(금) 국어원 1층 강당에서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 10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향후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와 활용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농인의 언어와 문화를 담은 한국수어 말뭉치

 

  한국수어 말뭉치는 농인의 실제 대화를 수집·분석하여 농인의 언어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아낸 국내 최초의 대규모 수어 자료이다. 지난 10년 동안 국어원은 농사회와 협력하여 20대 이상의 전국 농인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의 한국수어를 수집해 왔다. 한국수어 말뭉치는 농사회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수어를 담고 있는 농인의 삶과 문화가 담긴 귀중한 문화유산일 뿐 아니라, 수어 사전 집필이나 수어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국어원은 학계, 산업계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수어 말뭉치를 구축하여 국어원 ‘모두의 말뭉치’(kli.korean.go.kr/corpus)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국내외 전문가와 농사회가 함께하는 토론과 교류의 장

 

  한국수어 연구자, 농사회 주요 인사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하는 이번 세미나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한국수어 말뭉치 구축 사업의 성과, 그리고 지난 10년 동안 한국수어 말뭉치를 구축해 오면서 겪은 연구진의 경험과 농사회에서 일어난 수어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수어 연구의 성장 과정 등을 발표한다. 또한 한국수어 말뭉치의 체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수어 말뭉치의 구조와 지침에 대한 발표가 준비되어 있다. 2부에서는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가브리엘레 랑어 교수와 괴팅겐대학교 마르쿠스 슈타인바흐 교수가 온라인 강연을 통해 독일과 유럽에서의 수어 말뭉치 구축 및 활용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국어원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한국수어 말뭉치 구축 및 연구 성과는 수어 연구의 불모지였던 한국 사회에 수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해 왔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성과를 공유하고 한국수어 발전 방향을 함께 고민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붙임] 국립국어원 ‘한국수어 말뭉치 연구 10주년 기념 세미나’ 포스터 1부

담당 부서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수어점자진흥과

책임자                과장  최혜원 (02-2669-9690)
담당자             주무관   곽정란 (02-2669-9613)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