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학회/행사/기타 안내 상세보기

2020년 제4회 국립국어원 원내 토론회 후기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0. 11. 24. 조회수 25334

2020년 제4회 국립국어원 원내 토론회 후기

주 제

언어인류학 연구방법론

발표자

강윤희(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일 시

2020년 11월 16일 (월) 15:00

장 소

온라인 동영상 강의



  이번 제4회 원내 토론회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의 강윤희 교수가 발표를 맡아 언어인류학을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언어인류학이란 인류학 관점에서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의사소통에 나타나는 문화적 다양성에 초점을 두는 학문을 말한다. 언어인류학은 고고학, 생물인류학, 사회문화인류학과 함께 인류학의 4대 학문 분야이다.
  언어인류학은 문화로서의 언어 연구라고 말할 수 있다. 언어인류학에서 언어는 사회적인 하나의 행동이다. 즉 언어인류학에서는 말하기의 구조 분석보다는 사회적인 기능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 사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언어인류학에서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한 사회의 규칙을 기반으로 적절한 발화를 선택할 수 있는 ‘문화적 이해 능력’을 전제로 한다.

  언어 사용의 규칙과 가치를 공유하는 ‘언어공동체’는 언어인류학의 분석 단위이다. 순수한 언어적 요소를 넘어 역사와 정치, 집단적 동질감을 가진 집단을 언어공동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의사소통 능력이 있다’는 말은 단순히 지시적 의미를 아는 것을 넘어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양한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언어인류학은 무엇이 ‘좋은 문제’인가를 생각하는 것에서 연구를 시작한다. 가령 사람들이 무엇을 말하며(서술적 질문), 왜 그렇게 하는가(설명적 질문)를 생각하는 것에서 연구를 시작한다. ‘민족지적(民族誌的) 연구’는 자문화중심주의를 벗어나 해당 문화 내부자의 관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민족지적 연구에서는 ‘참여 관찰’을 하거나 ‘면담’을 하는 ‘현지 조사’의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민족지적 연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연구자의 관점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자적 관점을 취하여 그들 사회에서 무엇이 ‘언어’로 생각되는지를 밝혀내는 것이다. 강 교수는 ‘특정 언어 화자들에게 중요한 사회적, 물리적 세계는 언어에 반영되며, 그 화자들의 세계관을 반영한다’는 사피어-워프 가설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영어에서 한 단어 ‘rice’이지만, 한국어에서는 ‘벼, 쌀, 밥’으로 어휘가 분화된 사례, 이누이트(에스키모)족의 눈[雪]에 대한 다양한 어휘 분화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또 미국 내 인도네시아 이주민 연구 등 직접 자신이 내부자의 관점에서 조사한 다양한 현지 조사 사례를 설명했다.

  강 교수는 최근 언어인류학이 언어 자체의 기술, 기록에서 벗어나 특정 주제와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되거나 현지 조사를 기본으로 하되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등 다양한 대중 매체를 활용하여 점차 연구 방식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강의를 마무리하며 앞으로의 언어인류학 연구는 기존과는 다른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내부자의 관점에서 그들의 언어적 가치를 밝혀내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의자 소개 SNU Depertment of Anthroplogy (강의자 사진) 교수 강윤희/Kang Yunhui 언어인류학자. 지식의 언어적 텍스트화와 콘텍스트화, 사회언어학, 언어와 인지체계의 관계, 다중언어 사용을 주로 연구한다. 현재 스웨덴 인문사회과학 재단의 연구 과제를 수행 중이다. 1987-1993 서울대학교(학·석사)/ 1995-2002 미국 예일대학교 Yale University(석사 및 박사)/ 2002-2007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 Research Associate/ 2007-2011 싱가포르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사회학과 조교수/ 2011-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강의자료1] 언어학과 언어인류학의 비교 1. 언어학: 언어를 규칙의 추상적 체계로서 연구(구조/문법), 언어인류학: 언어를 사회적 행위의 하나로 간주/ 2. 언어학: 언어의 내적 체계에 관심, 언어인류학: 언어의 사용과 의사소통에 관심/ 3. 언어학: 언어(langue) vs. 말(parole) 말하기는 개별적이고 특수함, 언어인류학: 말하기의 규칙 사회적 의미와 기능에 초점
[강의자료2] 의사소통능력: 언어 사용에서 문화적 지식의 중요성 ·언어에 대한 능력(문법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적절성에 대한 지식도 포함 ·지시적 의미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황적 의미도 알아야 함 -화자와 청자의 사회관계, -사회적 상황, -지역적 관습 ·준언어적, 비언어적인 것, 변이형도 포함 (오른쪽 하단에 강의자의 강의 모습이 있음.)

[강의자료4] 언어인류학 연구방법 ·면담(interview) ·자연스러운 대화 ·설문조사 ·가장 쌍 실험 방법(matched-guise test) [강의자료5] 마무리: 최근의 언어인류학 연구 변화 ·연구 대상과 방법의 변화 -기존의 연구는 하나의 조사지 또는 언어공동체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언어 현상을 모두 포함하여 기술하려는 자료 중심적인 연구 경향(왕한석 2012) -언어 자체의 기술과 기록에서 벗어나 특정 주제와 이론 중심으로 -현지 조사(면담, 참여관찰)를 기본으로 하되, 대중 매체 등의 활용 -전세계적 이동성 증가에 따른 초국가적 상황에 대한 연구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