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 및 방송 자료 상세보기

우리말 하나되기 9회-KTV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4. 10. 13. 조회수 4411

■ 제목: 우리말 하나되기 9회-KTV

■ 분량: 4분 21초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세종대왕꼐서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한글
뿌리 깊은 나무처럼 백성들 사이로 퍼져 나간 한글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는 한글날

북한에도 한글날이 있을까?

남북한 언어 차이 우리말 하나되기에서 알아보자

    

강성범(이하 강): 우리말을 사랑하시는 전국의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남한에서 가장 유쾌한 사나이, 북한에서 가장 먹힐 듯한 얼굴의 사나이, 개그맨 강성범입니다.
송지영(이하 송): 안녕하십니까? 북한 ‘방송원’ 송지영입니다.
강: ‘방송원’이요? ‘방송원’이 뭐하는 사람인가요?
송: 대한민국에서는 아나운서라고 하죠? 북한에서는 ‘방송원’이라고 부릅니다.

아나운서=방송원

강: 아, 그럼 개그맨은요? 개그맨도 우리말이 아니지 않습니까?
송: 맞습니다. 우리말이 아니죠, 개그맨은 북한 말로 ‘희극배우’라고 부릅니다.

개그맨=희극배우

강: 희극배우? 그럼 북한에서는 우리말하고 좀 다른 게 꽤 있어요.
송: 네, 북한에서는 외래어를 쓰는 게 아니고요. 우리말로 많이 순화해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 그러면은 북한에서는 특히나 오는 10월 9일이 더 뜻깊은 날이겠습니다.
송: 10월 9일? 무슨 날이죠?
강: 빨간 날 있잖습니까? 한글날이요.
송: 아, ‘조선글날’을 말씀하시는 거죠?
강: 아, 또 그걸 ‘조선글날’이라고 얘길 합니까?
송: 네, 북한에서는 ‘조선글날’이라고 제가 들어봤는데.

한글날=조선글날

강: 그럼 10월 9일이 북한에서는 ‘조선글날?’
송: 음 10월 9일을 쇠는 건 아니고요.
강: 응.
송: 북한에서는 1월 15일?
강: 1월 15일이요? 우리는 10월 9일인데요.
송: 우리는 1월 15일인데?
강: 그래요?
송: 네!
강: 안 되겠습니다. 그러면은 북한에서는 ‘조선글날’을 왜 1월 15일에 쇠는지, 한번 전문가 선생님께 여쭤봐야 되겠습니다. 선생님, 나와 주시라요.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이대성(이하 국): 네, 강성범 씨. 그 한글날을 두고 명칭도 다르고 날짜도 달라서 많이 당황스러우셨죠? 한글을 북한에서는 ‘조선글’, ‘조선글자’라고 합니다.

한글=조선글, 조선글자

국: 우리가 ‘한’을 붙여 말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조선’을 붙여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한말 '한-'=북한말 '조선-'

국: 한복을 ‘조선옷’이라고 한다든지, 또는 국악 즉 한국음악을 ‘조선음악’이라고 한다는 것이 그런 예입니다.

한복=조선 옷
국악=조선 음악

국: 그리고 우리는 10월 9일 즉 한글이 반포된 때를 기념해서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정하고 또 국경일로 기념하고 있는데 반해서 북한에서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때인 1월 15일을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이다라고 하고 이날을 ‘조선글날’이라고 합니다.

남한 말ㅣ북한 말
남한 말: 한글날ㅣ북한 말: 조선글날
남한 말: 한글 반포일ㅣ북한 말: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
남한 말: 10월 9일ㅣ북한 말: 1월 15일

강: 우리 선생님 말씀 들으니까 이해가 되네요. 그러니까 북한에서는 한글을 ‘조선글’, 그리고 한글날을 당연히 ‘조선글날’ 이렇게 얘기를 하고 그렇다면은 국어사전은 ‘조선글 사전’?
송: ‘조선말 사전’

국어사전=조선말 사전

강: 아, 조선말 사전.
송: 네.

강: 한옥은 ‘조선옥?’
송: ‘조선집’.

한옥=조선집

강: 맞추는 게 어렵네요. 하하하.
송: 오, 잘 맞추셨는데요! 
강: 그렇다면 북한에서도 ‘조선글날’ 1월 15일이 그 공휴일입니까?
송: 북한에서는 쉬는 날은 아니구요, 달력에 표기만 해 놓고 그냥 알아 둘 정도로? 그렇게만.
강: 에이, 아이고 중요한 날 좀 쉬게 하지.
송: 아, 강성범 씨. 휴식일에만 집중하시지 마시고 우리의 자랑스러운 한글날을 기억하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강: 알겠습니다. 자 여러분 앞으로 남한 말, 북한 말 하나 되는 그날까지! 저 강성범과 함께, 우리 송지영 방송원과 함께 여러분께 널리 알리고 저도 많이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자, 오늘의 북한 말 정리하면서 저희들은 인사를 드리겠습니다. 여러분!
강, 송: 안녕히 계시라요.

공동 기획
KTV
국립국어원

우리말 하나되기
남한어ㅣ북한어

남한어: 한글날ㅣ북한어: 조선글날
남한어: 국악ㅣ북한어: 조선음악
남한어: 국어사전ㅣ북한어: 조선말 사전
남한어: 한옥ㅣ북한어: 조선집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