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및 방송 자료 상세보기
[국립국어원 국외 통신원]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을?
■ 제목:
■ 분량: 6분 35초
국립국어원 국외 통신원
인도 네루 대학교 편
ㅇ 자미아 국립대학교 조교수 샤히드 임란(이하 샤): 안녕하세요. 저는 자미아 국립대학교 조교수 샤히드 임란이라고 합니다. 오늘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파악하러 지금 인도의 명문 대학교 ‘네루 대학교’에 와 있습니다. 네루 대학교는 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한국어 전공으로) 학부부터 박사 과정까지 갖추고 있는 유일한 대학교입니다. 그럼 저와 이제 한국어학과 교수님들과 학생들을 만나러 가시죠.
네루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실!
ㅇ 샤: 교수님 안녕하세요. 오늘 시간 내 주셔서 우선 감사드리고요. 교수님 간단하게 소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ㅇ 네루 대학교 한국어학과 조교수 사티안슈 스리바스타바(이하 사): 저는 사티안슈 스리바스타바라고 하는데요. 여기 네루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입니다. 네루 대학교에서 공부했고, 이제 교수로서 일하고 있는데요. 2012년도부터 현재까지 지금 강의하고 있고, 문법 강의도 하고, 통번역 강의도 하고 있습니다.
ㅇ 샤: 그럼 교수님 혹시 한국어 수업에서 한국 문화를 함께 가르치는 방법이 있으실까요?
ㅇ 사: 여기는 우리 학생들이 언어뿐만 아니라 문학, 역사, 사회 전반적인 문화까지 접하게 되는데요. 여러 가지 방법들 중에서 우리는 시청각 자료도 많이 이용하고요. 한국 문화와 관련된 책이나 자료 같은 것도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학생들이 직접 한국 문화를 체험할 기회도 많이 제공하고 있어요. (한국) 음식 만들기, 김치 김장하기 뭐 이런 매년 한글날 행사를 되게 크게 하거든요. 그 축제에서는 이제 다양한 프로그램도 하고 다양한 대회도 하고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ㅇ 샤: 그러면 그 문화 체험을 할 때 반응이 어땠는지 질문해도 될까요?
ㅇ 사: 네, 반응이 아주 뜨겁죠. 특히 우리 한국 문화 행사가 되게 인기가 많은데요. 한국어학과 학생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우리 대학교 학생 모두가 다 와서 즐기는 밤이 되는데요. 유행이라서 그런지 케이팝 댄스 공연도 많이 준비하고 있어요. 제일 인기 있었던 공연 중 하나는 트로트 공연했어요. 그래서 트로트까지. 어 트로트까지. 지금 학생들이 지금 관심사가 그냥 케이팝뿐만 아니라 현재 유행 중인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 판소리라든지 트로트 문화 이런 것도 접하게 되고 직접 준비해서 무대까지 올라와 공연하고 있어요.
ㅇ 샤: 그럼 두 번째 질문을 드리자면 한국어와 인도 언어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나 차이점이 있는지.
ㅇ 사: 힌디어와 한국어의 어순은 똑같아요. 표현이나 총칭이나 이런 것들이 되게 비슷한 점이 많아서 제가 봤을 때 아마 힌디어로 가르치면 더 빨리 (한국어를) 습득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차이점은 힌디어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가 돼서 되게 복잡하다는 거예요. 그밖에는 뭐 큰 차이.
- 산스크리트어
: 인도·유럽어족 가운데 인도·이란어파에 속한 인도·아리아어계 계통으로 고대 인도의 표준 문장어
ㅇ 샤: 그럼 마지막 질문인데요. 교수님 한국어 교수로서 가장 보람을 느낀 순간이 뭐라고 생각하시는지.
ㅇ 사: 학생들이 한국어를 잘하게 되고 한국 문화를 잘 접해서 자기 인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느꼈을 때 그러는 거(보람을 느끼는 것) 같아요. 학생들이 여기서 졸업하고 삼성, 엘지 이런 큰 회사에 대기업에 들어간 학생도 있고 대사관에 들어간 학생도 있고 보면서 우리가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ㅇ 샤: 오늘 시간을 내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ㅇ 사: 감사합니다.
ㅇ 샤: 네, 감사합니다.
ㅇ 샤: 안녕하세요.
ㅇ 네루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사 2학년 삭시 바티아(이하 삭): 네, 안녕하세요.
ㅇ 샤: 자기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ㅇ 삭: 안녕하세요. 저는 학사 2학년 삭시라고 합니다.
ㅇ 네루대학교 한국어학과 석사 2학년 바르샤 아누 그라하(이하 바): 안녕하세요. 저는 네루 대학교 한국어학과 석사 2학년 학생 바르샤라고 합니다.
ㅇ 샤: 인도에서 보이는 한류 문화에 대해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ㅇ 바: 그 한류는 원래 한국이나 동아시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만 아는 것이었는데 요즘에는 (일반) 대중들까지 한류를 쉽게 접하고 있는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제가 최근에 택시를 탔는데 택시 기사님께서 이제 힌디어로 한국 드라마를 보고 계시더라고요. 되게 신기했고 그때 제가 생각했어요. 이제 한류는 일반 사람들도 즐기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ㅇ 삭: 한국 드라마나 노래들이 요즘 인기가 많아지고 있어가지고 저희 동생들도 이제 언니 오빠들도 요즘 많이 보고 있어요.
ㅇ 샤: 한국에 여행을 가고 싶다면 그 장소가 어디일까요?
ㅇ 바: 제주도에 꼭 가보고 싶어요.
ㅇ 삭: 저 제주도.
ㅇ 바: 제주도 제일 유명하고 예쁘다는 소문을 많이 들으니까 (가고 싶어요.)
ㅇ 삭: 너무 아름다워서 가 보고 싶어요.
ㅇ 바: 제가 사투리를 아주 좋아하는 사람이고 여기저기 다니면서 그곳의 사투리를 좀 (배우고 싶어요.)
ㅇ 삭: 제주어? 음 언어가 한국어랑 사투리 달라서 좀 관심이 많이.
ㅇ 샤: 영상을 보는 사람들이 한국인들과 다른 나라에서 한국어 교육을 하는 분들일 건데 인도 (네루 대학교 한국어학과) 대표자로 어 한마디를 하자면 그 한마디가 뭘까요?
ㅇ 바: 이제 저도 학습자, 연구자로서 다 같이 많은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재미있는 것들을 발견하면서 공부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ㅇ 샤: 같이 나누어서 (연구하고) 연구의 결과 등 다 같이 한국말로 하면 더 나은 한국어 교육의 세계가 되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인터뷰를 해 주셔서 너무나 감사하고요. 그리고 앞으로 네 또 하시는 일들이 다 잘 되길 바라면서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