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깔 있는 글 우리말 다듬기
이런 일을 했어요 우리 시 다시 보기
신문 제목 다시 보기 내가 본 한국 사람, 한국말
말의 뿌리를 찾아서 교실 풍경
문화 들여다보기 일터에서 말하다
만화로 배우는 우리말 국어 관련 소식
이대성(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선임연구원)
   글쓴이가 몸담고 있는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는 남과 북이 힘을 합쳐 처음으로 통일 국어사전을 만들기 위해 세운 기관이다. 지금껏 우리가 보아 온 국어사전은 어찌 보면 남녘말 사전에 불과한 것일 수 있다. 나라가 갈라지기 이전부터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가 써 온 말이 모두 담겨 있는 양 생각해 왔지만 실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갈라진 땅은 그렇게 언어도 갈라놓은 채 수십 년을 무심히 지나쳐 왔다. 하지만 바꾸어 생각해 보면 이렇게 남과 북이 어려움 없이 회담하고 경제 교류도 하는 것은 각자 우리말의 순수성과 전통성을 잘 지켜왔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 좋은 예가 바로 말 다듬기 사업이다. 익히 알려진 대로, 북녘에서는 정부 수립 초기부터 문맹 퇴치를 위해 한글 전용을 힘차게 밀고 나갔을 뿐만 아니라 어려운 한자어나 일본어 및 영어 등을 우리말로 다듬는 일에도 힘을 쏟았다. 여기에 북녘 체제의 특수함까지 더해져서 적어도 겉으로 보기에는 남녘에 비해서 말 다듬기 사업이 꽤 잘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겨레말큰사전> 편찬을 위해 북녘 사람들을 만나 얘기를 나눠 보면 남녘 사람들보다 다듬은 말을 훨씬 많이 쓰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별달리 다듬어 쓸 필요마저 없다고 여기고 있는 ‘주스(juice)’를 북녘 사람들은 ‘단물’이라 하는 것이 그 예이다. 하지만, 북녘에서도 말을 다듬어 놓기만 하고 실제로는 잘 쓰지 않는 말들도 많이 있다. 얼마 전 평양에서 만난 북녘 사람에게 ‘아이스크림(ice cream)’ 대신 ‘얼음보숭이’를 많이 쓰느냐고 물어보니까, ‘얼음보숭이’는 거의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그런지 <조선말대사전>에는 ‘아이스크림’만 올라 있다.1)
   이처럼 정도 차이는 있지만 남과 북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외래어로부터 우리말을 지키는 일에 힘을 쏟아 왔으며, 그것이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우리는 한 겨레라는 의식을 가지게끔 하는 요인이 된 것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아직도 북녘말을 접할 수 있는 사람은 제한되어 있고 그만큼 북녘말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하는 이들도 많이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호에서는 남녘과 북녘에서 다듬은 말들 가운데 서로 같게 다듬은 말들을 일부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자료를 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남과 북이 서로 같은 생각으로 다듬은 말들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남북이 모두 다듬어 써야 한다고 정한 말들인 만큼, 이 말들은 잘 알아두어 일상생활에서 버릇을 들이면 좋을 성싶다.

가가호호(家家戶戶) → 집집마다 가교(架橋) → 다리놓기
가교(假橋) → 임시 다리/림시다리2) 간극(間隙) →
갈근(葛根) → 칡뿌리 거수하다(擧手--) → 손들다
견인하다(牽引--) → 끌다 경수(硬水) → 센물
공복(空腹) → 빈속 공석(空席) → 빈자리
과대하다(過大--) → 지나치게 크다 과육(果肉) → 열매살
내방(內方) → 안쪽 내충성(耐蟲性) → 벌레견딜성
농번기(農繁期) → 바쁜 농사철 농병(膿病) → 고름병
뉴(紐) → 단(但) → 그러나, 다만
대지(垈地) → 집터 대질(對質) → 무릎맞춤
도료(塗料) → 칠, 칠감 동년(同年) → 같은 해
동면(冬眠) → 겨울잠 동사하다(凍死--) → 얼어 죽다
두서(頭緖) → 갈피 드라마(drama) →
라인(line) → 마후라[muffler] → 소음기
매상(買上) → 사(들이)기 맹아(萌芽) →
모돈(母豚) → 어미돼지 모처(某處) → 어떤 곳
미곡(米穀) → 미등(尾燈) → 꼬리등
방치하다(放置--) → (내)버려두다 배면(背面) → 등면
백대(白帶) → 흰띠 백지(白紙) → 흰종이
벌목(伐木) → 나무베기 보데[body] → 차체
분분하다(紛紛--) → 어지럽다 불철주야(不撤晝夜) → 밤낮없이
비등하다(沸騰--) → 끓어오르다 비산하다(飛散--) → 흩날리다
비육(肥育) → 살찌우기 빈발하다(頻發--) → 자주 일어나다
사료(飼料) → 먹이 사면(斜面) → 비탈(면)
사채(社債) → 회사 빚 산양(山羊) → 염소
산양유(山羊乳) → 염소젖 상이하다(相異--) → (서로) 다르다
상차하다(上車--) → 차에 싣다 상환하다(償還--) → 갚다
색인(索引) → 찾아보기 서식처(棲息處) → 사는 곳
서식하다(棲息--) → 살다 세척하다(洗滌--) → 씻다
세탁하다(洗濯--) → 빨래하다 세필(細筆) → 가는붓
속(束) → 묶음, 뭇 수종(樹種) → 나무 종류
순치(馴致) → 길들이기 스케일(scale) → 규모
스타트(start) → 출발 승선하다(乘船--) → 배 타다
승차하다(乘車--) → 차 타다 승하다(乘--) → 곱하다
승환(乘換) → 갈아타기 식비(食費) → 밥값
심도(深度) → 깊이 여가(餘暇) → 겨를
여과하다(濾過--) → 거르다 염증(厭症) → 싫증
영아(嬰兒) → 갓난아기/갓난애기 오기하다(誤記--) → 잘못 적다(쓰다)
외양(外樣) → 겉모양 요깡[羊羹] → 단묵
용법(用法) → 쓰는 법 우사(牛舍) → 외양간
우와기[上衣] → (양복)저고리 우피(牛皮) → 소가죽
유지(油脂) → 기름 유희(遊戱) → 놀이
은닉하다(隱匿--) → 감추다, 숨기다 음영(陰影) → 그늘, 그림자
이식하다(利殖--) → 옮겨 심다 이앙하다(移秧--) → 모내다
인덱스(index) → 찾아보기 자력(自力) → 제힘
자체(字體) → 글자체 잔전(-錢) → 잔돈
장손(長孫) → 맏손자 장형(長兄) → 큰형
적재하다(摘載--) → 싣다 적치하다(積置--) → 쌓아 놓다(두다)
정히(正-) → 틀림없이 제초작업(除草作業) → 풀뽑기
종묘(種苗) → 씨모 종자(種子) → 씨, 씨앗
주방(廚房) → 부엌 즈봉(jupon) → 양복바지
지석묘(支石墓) → 고인돌 차입금(借入金) → 꾼 돈
착용하다(着用--) → 신다, 쓰다, 입다 척박지(瘠薄地) → 메마른 땅
천해(淺海) → 얕은 바다 철자법(綴字法) → 맞춤법
추기(秋期) → 가을철 태토(胎土) → 바탕흙
토색(土色) → 흙색 파이프(pipe) →
파종(播種) → 씨뿌리기 파종하다(播種--) → 씨 뿌리다
판매하다(販賣--) → 팔다 편도(片道) → 한쪽 길
한천(寒天) → 우무 혈관(血管) → 핏줄/피줄
협의(狹義) → 좁은 뜻 호명하다(呼名--) → 이름 부르다
호칭하다(呼稱--) → 부르다 화기주의(火氣注意) → 불조심
후단(後端) → 뒤끝 흑탄(黑炭) → 검은숯
1) 재미있는 것은 ‘아이스크림’을 가리키는 다른 말로 ‘에스키모(eskimo)’를 쓰기도 한다는 점이다.
2) 남과 북의 표기법이 달라 서로 다르게 표기하는 것은 빗금으로 구분하였다. 앞엣것이 남녘의 표기이고, 뒤엣것이 북녘의 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