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쥐’의 어원
‘다람쥐’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 먼저 ‘다람’과 ‘쥐’로 분석을 할 수 있어 보인다.
이때의 ‘쥐’는 그 정체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박쥐, 생쥐, 얼럭쥐, 땃쥐’의 ‘쥐’ 등과
같은 예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다람’은 무엇인지……
   ‘다람쥐’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 먼저 ‘다람’과 ‘쥐’로 분석을 할 수 있어 보인다. 이때의 ‘쥐’는 그 정체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박쥐, 생쥐, 얼럭쥐, 땃쥐’의 ‘쥐’ 등과 같은 예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다람’은 무엇인지 짐작하기가 쉽지 않다.
   예전의 문헌을 찾아보면 오늘날의 ‘다람쥐’에 해당하는 말은 18세기 문헌에 ‘쥐’라는 형태로 등장한다.

쥐(豆鼠) <한청문감 18세기>, 다쥐 鼯 <한불자전 1880년>
    이 ‘쥐’ 역시 ‘’과 ‘쥐’로 분석을 할 수 있다. 여전히 궁금한 것은 ‘’의 의미인데 이때의 ‘’은 ‘달리다’의 뜻이 있는 ‘다(走)’에 명사를 만드는 ‘-’이 결합한 말이라고 생각된다. 즉 ‘- + -’과 같이 만들어진 말이다. ‘-’이 ‘’이 된 것은 ‘-’은 모음 앞에서 ‘ㄹ’로 모양을 바꾸는 이른바 ㄷ불규칙 동사이기 때문이다.

- ‘달리다’의 뜻



+
- 명사를 만드는 말
    결국 ‘’은 ‘달리기’라는 뜻의 말이다. 이러한 점은 ‘’에 ‘-질’이 붙으면 오늘날의 ‘달음박질’에 해당하는 ‘질’이란 말이 되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총이  되 <박통사신석언해(1765년)>
  밀기라 <흥부젼(19세기)>
    ‘다람쥐’는 이 ‘’에 ‘쥐’가 결합한 말이므로 ‘쥐’는 ‘달리기 쥐(즉 달리는 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다람쥐’라는 이름은 이 ‘다람쥐’의 재빠른 동작을 비유하여 붙인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다람쥐의 동작이 재빠르다는 생각은 아래와 같은 비유적인 표현이 쓰이는 것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산에셔다람쥐갓치 날샌 놈이라 <치악산(1908년)>
- “홍윤표, ‘다람쥐’의 어원, 새국어소식 2004. 7.”에서 뽑아서 줄인 글임.
 
 
  - ‘한글문화 체험기 공모’ 심사결과 발표
  - ‘겨레말큰사전’ 편찬 남북 4차 회의 개최
  - 국내 최초로 인터넷 국어사전에서 음성 듣기 서비스 시작
  -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열려
  -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 최고의 다듬은 말로 ‘누리꾼’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