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모름지기의 어원

작성자 김유빈 등록일 2024. 5. 16. 조회수 17

모름지기는 기본형태가 이 형태 그대로 부사어인가요? 파생어인가요? 피생어라면 어떤 글자부터 파생된 부사인가요?

비밀번호

[답변]모름지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5. 17.

안녕하십니까?

아래에 '모름지기'의 어휘 역사 정보를 첨부해 드립니다. 이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모름지기'의 역사 정보

모롬즉이(18세기~19세기)>모름즉이(18세기~19세기)>모름지기(20세기~현재)

설명현대 국어 ‘모름지기’의 옛말인 ‘모롬즉이’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모롬즉이’는 “모름지기”의 의미인 ‘*모롬’에 접미사 ‘-즉’이 결합한 ‘*모롬즉’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롬’은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지만, 15세기 이래로 “모름지기”의 의미로 쓰인 단어였던 ‘모로매’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모로매’가 ‘*모롬’과 조사 ‘-애’가 결합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모롬즉이’의 제2음절 모음 ‘ㅗ’가 ‘ㅡ’로 변화하여 18세기에는 ‘모름즉이’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후기에 ‘ㅈ’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 모음화의 영향으로 ‘모름즉이’의 제3음절 ‘즉’이 ‘직’으로 바뀐 후 연철 표기 되어 20세기 이후 ‘모름지기’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면서 ‘ㆍ’와 ‘ㅡ’의 표기가 혼동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모름즉이’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ㆍ’에서 변화한 것으로 오해하여 18세기의 ‘모즉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