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익숙지

작성자 질문! 등록일 2024. 5. 14. 조회수 13

‘하’가 줄어드는 기준은 ‘하’ 앞에 오는 받침의 소리이다. ‘하’ 앞의 받침의 소리가 [ㄱ, ㄷ, ㅂ]이면 ‘하’가 통째로 줄고 그 외의 경우에는 ‘ㅎ’이 남는다.

이렇게 말씀해 주셨는데요,

통째로 줄어드는 경우인 '하' 앞에 오는 받침의 소리를 그와 같이 선정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 근거를 알려 주세요.









==================================================================

질문자 : 질문                               등록일시 : 2024. 5. 6.

<p>'익숙지, 익숙치' 어느 게 맞는 걸까요?</p>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4. 5. 7.

<p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안녕하십니까?</p><p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익숙하지'에서 '하'가 통째로 줄어 '익숙지'로 쓰입니다.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데(간편케, 달성케, 추진토록, 청컨대), 문의하신 경우는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어 '익숙지'로 적습니다.(생각건대, 깨끗지, 섭섭지) 이러한 준말 형태를 설명한 '한글 맞춤법' 제40항 해설을 아래에 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어간의 끝음절 ‘하’가 줄어드는 방식은 두 가지이다.</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첫째, ‘하’가 통째로 줄지 않고 ‘ㅎ’이 남아 뒤에 오는 말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되는 경우다. 이럴 때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둘째, ‘하’가 통째로 줄어드는 경우다. 이때도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하’가 줄어드는 기준은 ‘하’ 앞에 오는 받침의 소리이다. ‘하’ 앞의 받침의 소리가 [ㄱ, ㄷ, ㅂ]이면 ‘하’가 통째로 줄고 그 외의 경우에는 ‘ㅎ’이 남는다.</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고맙습니다. </p>

비밀번호

[답변]표기 근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5. 17.

안녕하십니까?

이전 답변에서 제시한 '한글 맞춤법' 제40항 해설에서 설명한 대로, 실제로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이 근거입니다.

고맙습니다.